프레더릭 쿡
Frederick Cook프레더릭 쿡 | |
---|---|
![]() | |
태어난 | 프레드릭 앨버트 쿡 1865년 6월 10일 미국 뉴욕 호튼빌 |
죽은 | 1940년 8월 5일 뉴로셸, 뉴욕, 미국 | (75세)
휴식처 | 포리스트 론 묘지 |
교육 | 컬럼비아 대학교 뉴욕대학교 의과대학 |
배우자 | 리비 포브스 (m.1889년, 1890년 사망)마리 피델 헌트 (m. 1902; div. 1923) |
프레드릭 앨버트 쿡(Frederick Albert Cook, 1865년 6월 10일 ~ 1940년 8월 5일)은 1908년 4월 21일 북극에 최초로 도달한 것으로 알려진 미국의 탐험가, 의사, 민족지학자입니다. 로버트 피어리는 1년 후에 주장을 제기했지만, 두 사람의 주장은 격렬하게 논쟁이 되어 왔습니다. [1]1909년 12월, 코펜하겐 대학교의 위원회는 쿡의 제한된 기록을 검토한 후, 그의 주장을 입증할 수 없다고 판결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11년 쿡은 자신의 주장의 진실성을 유지하는 탐험에 대한 회고록을 출판했습니다. 게다가, 그는 또한 북미에서 가장 높은 산인 데날리(당시 맥킨리 산으로 알려짐) 정상에 오른 최초의 사람이라고 주장했는데, 이 주장은 그 이후로도 마찬가지로 신빙성이 떨어졌습니다. 그는 데날리나 북극을 달성하지 못했을 수도 있지만, 그의 탐험은 미국인이 북극 섬인 메이겐 섬을 발견한 첫 번째이자 유일한 탐험이었습니다.
전기
쿡은 뉴욕 호튼빌에서 설리번 카운티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출생지는 캘리쿤이나 델라웨어로 표기되기도 하며 둘 다 설리번 카운티에 있기도 합니다.)[2] 그의 부모님 테오도르와 막달레나 코흐는 성공적으로 성을 채택한 최근 독일 이민자였습니다.[3] 그는 대학 이전에 지역 학교를 다녔습니다. 컬럼비아 대학교를 졸업한 후, 그는 오늘날의 뉴욕 대학교 그로스먼 의과대학에서 의학을 공부하여 1890년에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쿡은 1889년에 리비 포브스와 결혼했습니다. 그녀는 2년 후에 죽었습니다. 1902년, 그의 37번째 생일에, 그는 마리 피델 헌트와 결혼했습니다. 그들은 두 딸을 함께 두었습니다.[4] 그들은 1923년에 이혼했습니다.[5]
초기원정대
쿡은 1891년부터 1892년까지 로버트 피어리의 북극 탐험과 1897년부터 1899년까지 벨기에 남극 탐험의 외과 의사였습니다. 그는 그들의 배인 벨기카호가 겨울 동안 얼음에 갇혔을 때 선원들의 생명을 구하는데 기여했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그러한 행사를 준비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남극 지역에서 처음으로 겨울을 나는 탐험대가 되었습니다. 괴혈병을 막기 위해 쿡은 선원들에게 신선한 고기를 공급하기 위해 사냥을 갔습니다. 승무원 중 한 명은 로알드 아문센(Roald Amundsen)이었는데, 그는 쿡의 탐험 일기에 그의 생존의 공을 돌렸습니다.
1897년, 쿡은 영국 선교사 토머스 브리지스를 만난 티에라 델 푸에고를 두 번 방문했습니다. 그들은 브릿지스가 20년 동안 함께 일했던 오나족과 야간족을 연구했습니다. 이 기간 동안 브리지스는 그들 언어의 문법에 관한 원고와 3만 단어 이상의 사전을 준비했습니다. 몇 년 후, 쿡은 그 사전을 자신의 것으로 출판하려고 했습니다.[6][7]
데날리 정상

1903년, 쿡은 데날리로 탐험대를 이끌었고, 그 동안 그는 그 범위를 일주했습니다. 그는 1906년에 두 번째 여행을 했고, 그 후 다른 탐험대원 한 명과 함께 그 봉우리의 첫 번째 정상을 달성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쿡이 낮은 산에 남긴 벨모어 브라운을 포함한 다른 멤버들은 즉시 그러나 사적으로 의심을 표했습니다. 쿡의 주장은 1909년 북극 영유권을 둘러싼 피어리와의 분쟁이 불거질 때까지 공개적으로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으며, 피어리의 지지자들은 쿡의 데날리 등반도 사기라고 주장했습니다.
1913년 해리 카스텐스와 허드슨 스턱과는 달리 쿡은 데날리 꼭대기에서 사진을 찍지 않았습니다. 그가 주장한 정상 사진은 19마일(31km) 떨어진 루스 빙하 옆 산등성이의 작은 노두에서 찍은 것으로 밝혀졌습니다.[8]
1909년 말, 1906년 등반 당시 쿡의 유일한 동반자였던 에드 바릴(Ed Barill)은 그들이 정상에 도달하지 못했다는 진술서에 서명했습니다. 20세기 후반, 역사학자들은 그가 쿡의 주장을 부인하기 위해 피어리 지지자들에 의해 보수를 받았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Henderson은 그 당시 이 사실이 은폐되었다고 쓰고 있지만, Bryce는 그것이 결코 비밀이 아니라고 말합니다.)[9] 바릴은 한 달 전까지만 해도 자신과 쿡이 정상에 올랐다고 일관되게 주장했습니다. 그의 1909년 진술서에는 쿡의 "정상회담" 사진에 등장하는 가짜 봉우리라고 불리게 된 것의 정확한 위치를 나타내는 지도와 쿡과 함께 데날리에서 12마일(4.8km) 떨어진 "게이트웨이"(대협곡의 북쪽 끝)에서 쿡이 돌아왔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 포함되어 있습니다.[10]
등반가 브래드포드 워시번(Bradford Washburn)은 데이터를 수집하고 등반을 반복했으며 쿡(Cook)의 1906년 주장을 평가하기 위해 새로운 사진을 찍었습니다. 1956년에서 1995년 사이에 워시번과 브라이언 오코넥은 쿡이 1906년 데날리 여행 동안 찍은 대부분의 사진의 위치를 확인하고 같은 장소에서 새로운 사진을 찍었습니다. 1997년 브라이스는 쿡의 "정상회담" 사진을 포함한 나머지 사진들의 위치를 확인했습니다; 아무 것도 정상 근처 어디에서도 찍히지 않았습니다. 워시번은 쿡의 1906년 사진들 중 어떤 것도 게이트웨이를 지나가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11]
1910년 마자마 클럽의 탐험에 따르면 쿡의 지도는 정상이 아직 10마일(16km) 떨어진 지점에서 갑자기 풍경에서 출발했다고 합니다. 쿡의 주장을 비판하는 사람들은 쿡의 1906년 경로에 대한 지도와 지난 10마일(16km)의 풍경을 비교했습니다.[12] 정상 능선에 대한 쿡의 설명은 산과[13] 닮은 점이 없으며 이후 많은 등반가들에 의해 확인되었다고 다양하게 주장됩니다.[14] 1970년대에 등반가 한스 웨일은 쿡의 이야기와 묘사 모두에 맞는 길을 발견했습니다.[15] 30년 후인 2005년과 2006년에 러시아 산악인들에 의해 이 길은 성공적으로 올랐습니다.[16]
쿡이 "게이트웨이"와 정상 사이를 이동했다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정상에 올랐다는 그의 주장은 그의 사진들의 시야들, 그의 두 스케치 지도들의 마커들, 그리고 달성된 포인트들에 대한 피크 숫자들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습니다.[17] 마찬가지로, 그의 기록된 나침반 베어링, 기압계 판독, 경로 지도, 캠프 쓰레기 모두 정상에 도달했다는 그의 주장을 뒷받침하지 않습니다. 대조적으로, 이 모든 범주에서 게이트웨이에 미치지 못하는 증거가 발견되었습니다.[18]
북극

데날리 산 탐험 이후 쿡은 1907년 북극으로 돌아왔습니다. 그는 북극에 도착할 계획이었지만, 그는 이미 북극에 있을 때인 1907년 8월까지 그의 의도를 발표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1908년 2월 그린란드 북쪽의 작은 정착지인 안노아톡을 떠났습니다. 쿡은 1908년 4월 21일 악셀 하이베르크 섬에서 북쪽으로 이동한 후 아펠라와 에투키쇼크, 두 명의 이누이트 남자만 데리고 극에 도달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남쪽으로 가는 길에, 그는 안노아톡으로 가는 그의 계획된 길이 열린 물에 의해 차단되었다고 주장했습니다. 지역 경기에서 벗어나 산 그의 일행은 어쩔 수 없이 존스 사운드로 남쪽으로 밀려서 데본 섬에서 오픈 워터 시즌과 겨울의 일부를 보냈습니다. 그곳에서 그들은 북쪽으로 여행했고, 결국 1909년 봄에 나레스 해협을 건너 그린란드 쪽의 안노아톡으로 갔습니다. 그들은 여행 도중 굶어 죽을 뻔했다고 말했습니다.
쿡과 그의 두 동료는 14개월 동안 안노아톡에서 떠나 있었고, 그 기간 동안 그들의 행방은 극심한 논란의 대상입니다. 캐나다 역사학자 Pierre Berton (Berton, 2001)의 관점에서, 쿡의 북극 섬 여행 이야기는 아마도 합법적일 것입니다. 다른 작가들은 쿡의 동료들이 다른 견해를 제시하는 것처럼 보였던 조사관들에게 나중에 들려준 이야기에 의존해왔습니다.
아펠라와 에투키쇼크의 스케치된 남쪽 여행 경로와 쥘 베른의 소설 하테라스 선장의 모험에서 가상의 난파된 탐험가들이 선택한 경로 사이에는 유사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두 이누이트가 지도에서 추적한 경로는 추위의 극과 가상의 탐험대의 월동지를 모두 넘습니다. 두 탐험대 모두 그들을 문명으로 데려갈 포경선을 찾기 위한 희망으로 존스 사운드의 같은 지역으로 갔습니다.[19]
쿡의 주장은 처음에는 널리 믿어졌지만 1909년 4월 북극에 도달했다고 주장한 쿡의 라이벌 극지 탐험가 로버트 피어리에 의해 논란이 되었습니다. 쿡은 처음에 피어리의 업적을 축하했지만, 피어리와 그의 지지자들은 쿡의 명예를 떨어뜨리기 위한 캠페인을 시작했습니다. 그들은 축구 감독 필딩 H와 같은 과학 분야 밖에서 사회적으로 저명한 사람들의 도움을 요청했습니다. Yost (프레드 러셀의 1943년 책에서 언급된 것처럼, 나는 조용히 갈 것입니다).

쿡은 북극에 도달했다는 자신의 주장을 입증하기 위해 상세한 항해 기록을 작성한 적이 없습니다. 그는 자신의 상세한 기록은 1909년 4월 안노아톡에 남긴 세 개의 상자에 담긴 자신의 소지품의 일부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그들에게 700마일(1,100킬로미터) 남쪽의 우페르나빅까지 두 번째 썰매 여행을 위한 일손이 부족하여 작년에 피어리와 함께 그린란드로 여행했던 미국인 사냥꾼 해리 휘트니와 함께 그들을 맡겼습니다. 1909년 휘트니가 미국으로 돌아오는 길에 쿡의 상자들을 가지고 가려고 했을 때, 피어리는 그것들의 승선을 허락하지 않았습니다. 그 결과 휘트니는 그린란드의 캐시에 쿡의 상자들을 두고 갔습니다. 그들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1909년 12월 21일, 코펜하겐 대학의 한 위원회는 쿡이 제출한 증거들을 조사한 후, 그의 기록들이 그 탐험가가 극점에 도달했다는 증거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고 판결했습니다.[20] (피어리는 제3자의 검토를 위해 그의 기록들을 제출하기를 거부했고, 수십 년 동안 그의 논문을 보관했던 내셔널 지오그래픽 협회는 연구자들의 접근을 거부했습니다.)
쿡은 간헐적으로 자신의 6개 항행 데이터의 사본을 보관하고 있다고 주장했고, 1911년에 일부를 출판했습니다.[21] 이것들은 태양 지름이 정확하지 않습니다.[22] 쿡의 이누이트 동료인 아웰라(Ahwelah)와 에투키쇼크(Etukishook)는 그와 함께 어디를 갔는지에 대해 상반된 듯 보이는 세부 사항을 말했습니다. 지리적 지식이 향상되었다는 점에서 주요 갈등이 해결되었습니다.[23] 휘트니는 그들이 쿡과 함께 북극에 도착했다고 확신했지만 논란에 휘말리는 것을 꺼렸습니다.
피어리 원정대의 사람들(주로 이누이트에 대해 실무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던 매튜 헨슨과 그렇지 않은 조지 보룹)은 아웰라와 에투키쇼크가 육지에서 불과 며칠 동안 여행을 했다고 말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아웰로와 에투키쇼크는 당시 미지의 메이겐섬을 정확하게 위치하고 정확하게 묘사한 지도를 그렸다고 하는데, 이는 그들이 주장한 대로 이 섬을 방문했음을 강하게 시사합니다.[24][25] 1916년 캐나다의 빌할머 스테팬슨의 탐험대는 이후 메이겐 섬에 상륙했고, 스테팬슨은 이후 쿡의 논문을 읽고 메이겐 섬이 쿡의 발견물이라는 데 동의했습니다. 이 섬은 북미 북극에서 미국 탐험대가 발견한 유일한 섬으로 알려져 있습니다.[26] 자세한 내용은 Bryce(1997)와 Henderson(2005)를 참조하십시오.
쿡과 피어리의 상반된 주장은 로알드 아문센이 남극 탐험 동안 광범위한 항해 예방 조치를 취하도록 하여 성공적일 경우 극을 달성하는 것에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아문센은 대륙을 여행할 수 있는 장점도 있었습니다. 그는 남극에서 자신의 존재에 대한 명백한 증거를 남겼지만, 쿡이 야영을 했을 수도 있고 하지 않았을 수도 있는 얼음은 경쟁적인 주장 사이에서 몇 마일을 표류했을 것입니다.
1911년 회고록의 마지막에 쿡은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나는 내 사례를 진술하고, 내 증거를 제시했습니다. 제 주장과 피어리 씨의 상대적인 장점에 관해서는 두 기록을 나란히 놓으십시오. 비교해 보세요. 저는 당신의 결정에 만족할 것입니다."
명성.
쿡의 명성은 그의 주장에 대한 공격으로부터 회복되지 않았습니다. Peary의 북극 주장은 20세기의 대부분 동안 널리 받아들여졌지만, 그 이후 오랫동안 그를 지지했던 내셔널 지오그래픽 협회를 포함한 다양한 리뷰어들에 의해 신뢰를 얻지 못했습니다. 쿡은 이후 몇 년간 자신의 주장을 옹호하며 여행을 조작했다고 말하는 작가들을 고소하겠다고 협박했습니다.
작가 로버트 브라이스는 상반된 주장의 복잡한 이야기를 연구하면서 남자들의 성격과 목표가 어떻게 대조적인지 평가하기 시작했고, 그것들을 금빛 시대와 비교하여 평가했습니다.[27] 그는 의사이자 민족지학자인 쿡이 자신의 탐험대에 있는 사람들을 아끼고 이누이트를 존경했다고 믿습니다. 브라이스는 쿡이 "새로운 길과 해안선의 지도를 만들고, 에스키모의 생존 기술을 배우고 적응하며, 자신의 지식과 세계의 지식을 발전시키는 등 진정한 탐험의 고기를 진심으로 사랑하고 갈망했다"고 썼습니다.[27] 그러나, 그는 더 화려한 목표 없이 원정대의 자금을 대는데 도움을 줄 지지자를 찾을 수 없었습니다. 지속적인 탐험을 위한 재정적 지원을 얻기 위해 각 사람들이 가장 먼저 북극에 도달해야 한다는 엄청난 압력이 있었습니다.
사기재판
1919년, 쿡은 포트워스에서 신생 석유 회사들을 홍보하기 시작했습니다. 1923년 4월, 쿡과 다른 24명의 포트워스 석유 프로모터들은 사기적인 석유 회사 홍보에 대한 연방정부의 단속으로 기소되었습니다. 쿡의 직원 3명이 유죄를 인정했지만 쿡은 무죄를 주장하며 재판에 임했습니다. 또한 그의 대표 광고 카피라이터인 S. E. J. Cox도 재판을 받았는데, 그는 이전에 자신의 석유 회사 홍보와 관련하여 우편 사기로 유죄 판결을 받은 적이 있습니다.
다른 기만적인 행위들 중에서, 쿡은 이익이 아닌 주식 판매로 배당금을 지불한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쿡의 변호사는 전 정치인 조지프 웰던 베일리로 판사와 자주 충돌했습니다. 배심원단은 쿡이 14개의 사기 혐의로 유죄 판결을 내렸습니다. 1923년 11월, 킬리츠 판사는 쿡과 13명의 다른 석유 회사 발기인들에게 징역형을 선고했습니다. 쿡은 가장 긴 형량인 14세 9개월을 그렸습니다. 그의 변호사는 판결에 항소했지만 유죄 판결은 유지되었습니다.[28][29]
만년
쿡은 1930년까지 투옥되었습니다. 쿡이 벨기카를 몰아낸 덕분에 자신의 목숨을 빚졌다고 믿었던 로알드 아문센은 그곳에서 그를 한 번쯤 찾아갔습니다.[30] 쿡은 프랭클린 D 대통령에 의해 사면되었습니다. 루스벨트는 석방된 지 10년이 지난 1940년, 그리고 8월 5일 뇌출혈로 사망하기 직전에. 그는 버팔로의 숲 잔디 묘지 예배당에 안장되었습니다.
대중문화
- 쿡 & 피어리: The Race to the Pole (1983) – 미국 TV 영화
- [지구 최후의 1번지 (1985) - 영국 미니시리즈
- The Navigator of New York (2003) – Wayne Johnston의 소설
- 라자울라 데 로소나스 (2021) - 카를로스 게이머로 소설
- 지구의 끝에 있는 매드하우스: 벨기카족의 어두운 남극의 밤으로의 여행 (2021) - 줄리안 생톤 지음
- Betty Smith 25장 브루클린에서 자라는 나무 (1943)
메모들
- ^ 헨더슨 2009, 58-69쪽.
- ^ 브라이스(1997), 3쪽.
- ^ "Frederick A. Cook Chronology". Polar Archives. Retrieved February 4, 2021 – via The Ohio State University Libraries.
- ^ "Ruth and Helene Cook". Haeckel Collection. Getty Images. Retrieved September 26, 2018.
- ^ "Frederick A. Cook Chronology". Polar Archives. Retrieved April 20, 2023 – via The Ohio State University Libraries.
- ^ "쿡이 파슨의 인생작을 훔치려 했습니다." 뉴욕타임즈, 1910년 5월 21일자 2013년 10월 3일 접속.
- ^ Bridges, E. L. (1948) The Utter Most of the Earth Republished 2008, Overside Press ISBN 978-1-58567-956-0, 부록 II
- ^ 브라이스, R. (1997) 브래드포드 워시번의 항공사진. DIO. 7 (2). p. 40.
- ^ DIO. 9 (3) 페이지 129. 주 18.
- ^ 브라이스, R. (1997) DIO. 7 (2). p. 57.
- ^ 쿡의 1906년 "정상회담" 사진의 왼쪽 부분을 아담스 카터와 브래드포드 워시번의 1957년 사진의 해당 부분과 비교해 보세요. R. 브라이스에 병치된 사진들(1999). DIO. 9 (3). 페이지 116. 쿡의 "정상회담" 사진의 배경 특징과 몇 분 후 가짜 피크: 브라이스, R. (1997)의 꼭대기에서 찍은 자신의 사진의 특징을 비교하세요. DIO. 7 (2). 그림 4 대 그림 18; 그림 6 및 8의 상세 블로우업 비교.
- ^ 브라이스, R. (1997) DIO. 7 (3). pp. 96–97.
- ^ Washburn, Bradford; Peter Cherici (2001). The Dishonorable Dr. Cook: Debunking the Notorious Mount McKinley Hoax. Seattle: Mountaineers Books. OCLC 47054650.
- ^ Henderson (2005), p. 282.
- ^ 브라이스(1997) DIO, 73쪽.
- ^ "프레데릭 쿡 박사의 흔적을 따라", SH 파로.
- ^ 브라이스. (1997) DIO pp. 60–61.
- ^ 브라이스, R. (1999) DIO. 9 (3). pp. 124–125.
- ^ Osczevski (2003).
- ^ "University Finds That Cook's Papers Contain no Proof That He Reached the North Pole" (PDF). The New York Times. December 22, 1909. Retrieved December 20, 2011.
- ^ 쿡, F. (1911) 극의 나의 성취. 258쪽, 274쪽. 쿡이 휘트니에게 남긴 첫 번째 설명에는 데이터가 언급되지 않았고, 휘트니는 그에게 남겨진 데이터에 대해 전혀 알지 못했습니다. 롤린스, 1973, 페이지 87, 166, 301–302 참조.
- ^ Rawlins (1972). 노르웨이 지리학 저널 오슬로 대학. 26쪽. 135~140쪽.
- ^ 오스체프스키, R. J. (2003) 북극 56 (4)
- ^ 오스체프스키, R. J. (2003) "프레데릭 쿡과 잊혀진 극" 북극. 56 (2) 페이지 207–217.
- ^ 롤린스, 1973, 6장.
- ^ 발견: "마이겐 섬", DIOI.
- ^ a b Ken Ringle, 리뷰: "Cook & Peary - The Polar Convention Resolved", 1997년, Surveiller Historical Society에서 출판한 Backsights, 2013년 10월 3일에 접속했습니다.
- ^ Olien, R. (1989). "닥터 프레더릭 A. 쿡과 석유생산자협회", Journal of the West. 28(4). 33-36쪽.
- ^ Cook v. United States, 4 F.2d 517 (5th Cir. 1925년 2월 3일).
- ^ Sancton, Julian (2021). Madhouse at the End of the Earth: The Belgica's Journey into the Dark Antarctic Night. Crown. pp. 3–5, 300–302. ISBN 978-1-9848-2434-9.
참고문헌
- Berton, P. F. (1988). The Arctic Grail: The Quest for the North West Passage and the North Pole. New York: Viking Press. ISBN 9780670824915.
- Bryce, Robert M. (1997). Cook & Peary: The Polar Controversy, Resolved. Stackpole Books. ISBN 978-0-8117-0317-8. OCLC 35280718.
- Bryce, Robert M. (December 1997). "The Fake Peak revisited" (PDF). DIO. 7 (3): 41–76. ISSN 1041-5440. OCLC 18798426.
- Henderson, Bruce (2005). True North: Peary, Cook, and the Race to the Pole. W. W. Norton and Company. ISBN 978-0-393-32738-0. OCLC 63397177.
- Henderson, Bruce (April 2009). "Cook vs. Peary". Smithsonian.
- Osczevski, Randall J. (2003). "Frederick Cook and the Forgotten Pole". Arctic. 56 (2): 207–217. doi:10.14430/arctic616. ISSN 0004-0843. OCLC 108412472.
- Rawlins, Dennis (1973). Peary at the North Pole, Fact or Fiction?. Luce. ISBN 978-0-88331-042-7.
- Robinson, Michael (2006). The Coldest Crucible: Arctic Exploration and American Cultur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SBN 978-0-226-72184-2.
- Silverberg, Robert (2007). Scientists and Scoundrels. Lincoln, NE: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ISBN 978-0-8032-5989-8.
외부 링크
- 열린 도서관의 프레드릭 쿡의 작품들
- 프로젝트 구텐베르크의 프레드릭 쿡의 작품
- Internet Archive(인터넷 보관소)의 Frederick Cook(프레더릭 쿡) 또는 그에 관한 작업
- 20세기 ZBW 언론자료실의 프레더릭 쿡에 관한 신문 스크랩.
- Dartmouth 대학 도서관의 Frederick Cook의 논문
- 수상자: Dartmouth College Library에서 열린 쿡 박사와 북극의 도둑질 (1973)
- Dartmouth College Library의 Cook의 북극 주장에 관한 Samuel J. McCracken 스크랩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