첼류스킨 SS
SS Chelyuskin좌표:68°18°05°N 172°49′40″w/68.3014°N 172.8278°W
![]() 첼류스킨 | |
역사 | |
---|---|
이름. | 첼류스킨 |
주인 | ![]() |
교환입니다. | 글라브제모르풋[1] |
빌더 | 덴마크 코펜하겐(B&W) 부르마이스터 및 웨인 |
개시. | 1933년 3월 11일 |
세례식 | 세미온 첼류스킨 |
완료된 | 1933 |
처녀항해 | 1933년 5월 6일 |
운명. | 1934년 2월 13일 침몰 |
일반적인 특징 | |
유형 | 증기선 |
톤수 | 7,500t |
길이 | 310.2’ |
비임 | 54.3’ |
높이 | 22.0’ |
설치된 전원 | 2400hp |
속도 | 12,5 노트 |
승무원 | 111 |
SS 첼류스킨[2](러시아어: 111 111 111 111 111 111 111 111, IPA: kl 111usk 111n)은 극지방의 얼음 속을 항해하기 위해 강화된 소련의 기선이다.이 탐험대의 임무는 단 한 번의 항해 시즌에 쇄빙선이 아닌 북방 해로를 통해 여행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결정하는 것이었다.
버마이스터와 웨인(B&W, 코펜하겐)에 의해 1933년 덴마크에서 건설되었으며 18세기 러시아 극지 탐험가 세미온 이바노비치 첼류스킨의 이름을 따왔다.탐험대의 대장은 Otto Yulievich Shmidt이고 배의 선장은 V.였다. I. 보로닌.기선에는 구출을 포함한 항해 내내 영화를 촬영한 소련의 촬영기사 마크 트로야노프스키와 아르카디 샤프란을 포함해 111명이 타고 있었다.선원들은 첼류스키네츠라는 단수형을 가지고 첼류스키네츠로 알려져 있다.
미션
1933년 8월 2일 무르만스크를 떠난 후, 그 기선은 9월에 얼음밭에 갇히기 전까지 북부 항로의 대부분을 통과하는데 성공했다.그 후 1934년 2월 13일, 추크치 해의 콜류신 섬 부근의 얼음에 짓눌려 가라앉기 전에 얼음 팩에 떠내려갔다.선원들은 간신히 얼음 위로 탈출하여 몇 개의 스페이드와 얼음 삽, 그리고 두 개의 쇠지렛대를 사용하여 임시 활주로를 만들었다.그들은 같은 해 4월 구조되어 바다 연안의 반카렘 마을로 날아갈 때까지 13번이나 활주로를 재건해야 했다.그곳에서 첼류스킨파 중 일부는 Uelen 마을로 더 멀리 날아가고, 53명은 300마일 이상을 걸어 그곳에 도착했다.
수색과 구조 작전에 참여한 항공기 조종사들은 새로 제정된 소련 영웅 칭호를 받은 첫 번째 사람들이었다.그 조종사들은 아나톨리 리아피데프스키, 지기즈문트 레바네프스키, 바실리 몰로코프, 마브리키 슬렙뇨프, 미하일 보도피아노프, 니콜라이 카마닌, 이반 도로닌이었다.리아피데프스키는 민간용 TB-1 중폭격기인 ANT-4를, 슬렙네프와 레바네프스키는 임무 수행을 위해 미국에서 특별히 들여온 통합 함대를, 다른 조종사들은 폴리카르포프 R-5를 조종했다.클라이드 굿윈 아미트스테드와 윌리엄 래티머 [3]래버리라는 두 명의 미국 항공 정비사도 1934년 9월 10일 첼류스킨트시호의 수색과 구조를 도왔고 레닌 훈장을 받았다.
기선이 베링 해협 입구에 갇혔을 때, 소련은 보통 기선 한 척이 한 계절에 북부 해안 항로 전체를 항해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는 것을 증명했기 때문에 이 탐험이 주로 성공적이라고 여겼다.1933년과 1934년에 몇 번의 추가 시험 운행 후, 북해 항로가 공식적으로 개설되었고 1935년에 상업적 개발이 시작되었다.이듬해 소련 발트함대의 일부가 태평양으로 건너가 일본과 무력충돌이 임박했다.그 배에는 10명의 여성과 2명의 어린 아이들이 타고 있었다.아이들 중 한 명은 생후 6개월밖에 되지 않았다.항해 중에 승객 한 명이 병에 걸려 죽었다.
![]() 콜류신 섬의 위치. |
레거시
참사의 여파로, 야로슬라블의 중앙 광장은 첼류스킨트시의 이름을 따 민스크에 있는 첼류스킨트 공원과 마찬가지로 이름이 바뀌었다.마리나 츠베타예바는 구조대에 박수를 보내는 시를 썼다.탑승한 두 명의 소련 카메라맨들이 모스크바에 도착한 지 9일 후, 그들의 영상은 개발되고 편집되어 특집 다큐멘터리 영화로 공개되었다.1970년 동독 TV는 레이너 하우스도르프가 감독하고 에베르하르트 멜리에스가 교수로 출연하는 이 배의 항해에 관한 영화인 츠켈주스킨을 제작했다.슈미트, 디터 만이 바실리예프, 프리츠 디에즈가 발레리안 쿠이비셰프다.[4]
이 배의 난파선을 찾기 위한 노력은 적어도 4개의 다른 탐험대에 의해 이루어졌고, 마침내 2006년 9월 [5]축치해에서 약 50미터 깊이에서 발견되었다.극지 탐험가 Artur Chilingarov는 이 배를 인양하여 박물관으로 개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영국 시인 마이클 로버츠는 1936년 조나단 케이프가 펴낸 시집 '첼류스킨'에 수록된 시를 썼다.
「 」를 참조해 주세요.
추가 정보
Davies, R.E.G.; Salnikov, Yuri (2005). The Chelyuskin Adventure - Эпопея "Челюскина". McLean VA, USA: Paladwr Press. ISBN 978-1888962239. (최신판)
레퍼런스
- ^ (러시아어)첼류스킨과 피즈마: 위의 모든 점은 Lazar Freidgame에 의해 Wayback Machine에 2009-06-08 아카이브되었습니다.
- ^ 첼리우스킨도.
- ^ 주니어 항공기 연감, 1935, 페이지 8
- ^ IMDb의 Tscheljuskin.
- ^ В Чукотском море найдены фрагменты «Челюскина» — in Russian
외부 링크
- (러시아어로) 첼류스킨-70 - 수중 고고학 탐험 공식 사이트
- (러시아어) 첼류스킨 구출
- 1933년 첼류스킨과 주르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