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U-T

ITU-T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 표준화 부문
Emblem of the United Nations.svg
줄임말ITU-T / UIT-T
유형ITU 섹터
법적 상태활동적인
본사스위스 제네바
머리
이채섭
모조직
국제 전기 통신 연합
자회사스터디 그룹 2, 스터디 그룹 3, 스터디 그룹 9, 스터디 그룹 11, 스터디 그룹 12, 스터디 그룹 13, 스터디 그룹 15, 스터디 그룹 16, 스터디 그룹 17, 스터디 그룹 20, AI, 글로벌 디지털 금융 서비스 이니셔티브, AI 및 공통 데이터
웹 사이트ITU.int/ITU-T

ITU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ITU-T)는 사이버 보안을 위한 X.509, 기계 학습을 위한 Y.3172 Y.3173, 비디오 압축을 위한 H.264/MPEG-4 AVC같은 통신 및 정보통신 기술에 대한 표준을 회원국과 회원국 간에 조정합니다.ITU-T는, 국제 전기 통신 연합(ITU)의 3개의 섹터(부문 또는 유닛)의 1개입니다.

ITU의 표준화 노력은 1865년 국제 전신 연합(International Telegraph Union)이 결성되면서 시작되었다. 이 연합은 후에 국제 전기 통신 연합(ITU)이 되었다.ITU는 1947년에 유엔의 전문기구가 되었다.국제전신전화협의위원회(프랑스어: Comité Consultatif International Téléphonique et Télegraphique, CCITT)는 1956년에 창설되어 [1]1993년에 ITU-T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업계 지배 회의인 세계전기통신표준화총회(WTSA)의 첫 회의가 그해 3월 1일 열렸다.ITU-T는 스위스 제네바에 있는 ITU 본사에 본부를 둔 TSB(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Bureau)라는 상설 사무국을 두고 있다.TSB의 현재 국장은 이채섭으로,[2] 첫 임기는 2015년 1월 1일에 시작되었고 두 번째 임기는 2019년 1월 1일에 시작되었다.채섭 리는 2007년 1월 1일부터 2014년 12월 31일까지 감독을 맡았던 영국말콤 존슨의 를 이었다.

일차 기능

ITU-T의 사명은, 국제 전기 통신 [3]서비스의 요금과 회계 원칙을 정의하는 것 외에, 전세계의 모든 통신 및 정보통신 테크놀로지(ICT) 분야를 망라하는 표준의 효율적이고 적시에 작성되는 것을 보증하는 것입니다.

ITU-T가 작성하는 국제표준은, 「권고」(권고」의 통상적인 의미와 구별하기 위해서 대문자로 표기)라고 불리며, 국내법의 일부로서 채택되었을 경우에만 의무화된다.

ITU-T는 유엔 전문기구인 ITU의 일부이기 때문에 그 [4]표준은 유사한 형식의 기술사양을 공표하는 대부분의 다른 표준개발기구보다 더 공식적인 국제적 중요성을 갖는다.

역사

나폴레옹 3세의 주도로, 프랑스 정부는 1865년 파리에서 열린 회의에 국제적인 참가자들을 초대하여 국제 전신 서비스를 촉진하고 규제하였다.회의의 결과, 현대 [1]ITU의 선구자가 탄생했습니다.

1925년 파리 회의에서 ITU는 CCIF라는 프랑스 약자로 알려진 국제 전화 서비스의 복잡성과 장거리 전신(CCIT)[5]을 다루기 위해 두 개의 자문 위원회를 만들었다.

CCIF와 CCIT가 직면한 많은 기술적 문제들의 기본적인 유사성을 고려하여, 1956년에 그것들을 단일 단체인 프랑스 [5]약자로 국제 전신 전화 협의 위원회(CCITT)로 통합하기로 결정이 내려졌다.새로운 조직의 첫 번째 총회는 1956년 12월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렸다.

1992년 전권대표회의(ITU의 최고 정책결정회의)는 ITU의 개혁을 보았고, 유니온은 점점 복잡해지고, 상호작용적이며, 경쟁적인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갖게 되었다.CCITT는 무선통신 부문(ITU-R) 및 전기통신 개발 부문(ITU-D)[6]과 함께 연합 3개 부문 중 하나로 ITU-T로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역사적으로 CCITT의 권고안은 승인을 받기 위해 4년마다 열리는 본회의에 제출되었고, 각 본회의 후에 권고안의 전체 세트가 발표되었습니다.그러나, 텍스트의 제작이나 번역의 지연은, 전기 통신 [7]산업의 빠른 변화 속도에 맞지 않았다.

'실시간' 표준화

1980년대 초 퍼스널 컴퓨터 산업의 부상은 소비자들과 기업들 사이에 아직 표준화되지 않은 통신 기술을 채택하는 새로운 관습이 생겨났다.따라서 표준 기관들은 훨씬 더 빨리 표준을 발표하거나, 그 이후에 사실상의 표준을 승인해야 했습니다.이것의 가장 두드러진 예 중 하나는 오픈 문서 아키텍처 프로젝트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1985년에 전 세계의 소프트웨어 회사들이 여전히 전자 오피스의 미래를 형성하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던 시기였고,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의 비밀 바이너리 파일 포맷이 확립된 지 한참 후인 1999년에 완성되었습니다.사실상의 글로벌 스탠다드

ITU-T는 이제 훨씬 더 간소화된 프로세스로 운영됩니다.회원사에 의한 문서 초안의 최초 제안부터 완전한 상태의 ITU-T 권고안의 최종 승인까지의 기간은 현재 몇 개월(경우에 따라서는 그 이하)로 단축될 수 있습니다.이것에 의해, ITU-T의 표준화 승인 프로세스는,[8] ITU의 과거보다, 신속한 테크놀로지 개발의 요구에 훨씬 더 신속히 대응할 수 있게 됩니다.새로운 권장사항과 갱신된 권장사항이 거의 매일 발행되고 있으며, 현재 3,270개가 넘는 권장사항 라이브러리가 모두 온라인으로 [9][10][11]무료로 제공됩니다(ITU-T와 ISO/IEC가 공동으로 관리하는 약 30가지 사양은 일반인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12]

ITU-T는 또한 다양한 포럼과 표준개발기구(SDO) 간의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노력해왔다.이러한 협업을 통해 작업의 중복을 방지하고 시장에서 [13]규격이 상충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표준화 작업에서 ITU-T는 국제 표준화 기구(ISO) 및 인터넷 기술 특별 조사위원회(IETF)[14]와 같은 다른 SDO와 협력합니다.

권장 사항의 작성

ITU-T의 업무의 대부분은 섹터 멤버와 어소시에이트에 의해서 행해지고 있으며, 전기통신 표준화국(TSB)은 ITU-T의 행정 부문이며, 기존의 업무 영역을 진행시켜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기 위한 다수의 워크숍과 세미나의 코디네이터입니다.이 행사는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의 폭넓은 토픽을 다루며, 고위급 전문가가 연사로 참여하며, 엔지니어부터 산업 [15]전 분야의 고급 경영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의 참석자가 참석합니다.

ITU-T의 기술 작업인 권장사항 개발은 네트워크 표준 스터디 그룹 13, 멀티미디어 표준 스터디 그룹 16, 보안 표준 스터디 그룹 17 등의 스터디 그룹(SG)이 4년마다 실시하고 있습니다.심의의 일환으로서 WTSA는 ITU에 글로벌 스탠다드 심포지엄을 개최하도록 지시하고 있습니다.이것은 WTSA와 달리 일반인도 참가할 수 있는 것입니다.이 SG에 관여하는 사람들은 전 세계에서 온 통신 전문가들이다.현재 11개의 SG가 있습니다.스터디 그룹은 TSB가 [16]발행한 캘린더에 따라 직접(또는 사실상 예외적인 상황에서) 만난다.SG는 ITU-T가 창출하는 도구인 Focus Groups(FG)에 의해 증강되어 ICT 표준화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 참여 및 작업 방법에 있어 큰 유연성을 제공합니다.SG와 FG의 주요 차이점은 SG가 스스로 조직하고 자금을 조달하고 비회원을 업무에 참여시킬 수 있는 자유를 더 많이 가지고 있지만 권고안을 승인할 권한은 없다는 것이다.포커스 그룹은 매우 빠르게 생성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수명이 짧으며, 자체 작업 방법, 리더십, 자금 조달 [17]및 성과물 유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현재 포커스 그룹에는 건강을 위한 인공지능(FG-AI4H)에 대한 ITU-WHO 포커스 그룹뿐만 아니라 5G용 머신 러닝(Y.3172 개발), 네트워크용 양자 정보 기술, 보조자율 주행용 인공지능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대체 승인 프로세스

대체 승인 프로세스(AAP)는 업계에서 현재 요구하는 기간 내에 표준을 시장에 출시할 수 있도록 개발된 패스트트랙 승인 절차입니다.AAP는 ITU-T Recommendation A.[18]8에 정의되어 있습니다.

승인절차를 합리화함으로써 표준제정을 획기적으로 개편한 것은 2001년에 시행된 것으로, 표준화 과정의 이러한 중요한 측면에 수반되는 시간을 80~90% 단축한 것으로 추정된다.이는 90년대 중반까지 4년, 1997년까지 2년이 걸렸던 평균 기준을 이제는 평균 2개월에서 짧게는 5주 만에 승인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승인 과정에 포함된 기본 절차의 합리화 외에도 AAP 사용에 중요한 기여 요인은 전자 문서 처리이다.승인 프로세스가 시작되면 대부분의 경우 추가 물리적 회의 없이 나머지 프로세스를 전자적으로 완료할 수 있습니다.

AAP의 도입은 또한 기술 표준의 승인에서 섹터 회원과 회원국 모두에게 동등한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승인 과정에서 공공/민간 파트너십을 공식화한다.

SG 전문가 패널은 초안 텍스트를 지정할 준비가 충분히 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해당 기관에 SG 회의에서 전달된 제안서 초안을 작성하고, 이에 따라 다음 수준에서 추가 동의를 제공한다.

본 동의가 이루어진 후 TSB는 초안을 ITU-T 웹사이트에 게시하고 의견을 구함으로써 AAP 절차의 시작을 알립니다.이것은 모든 구성원이 텍스트를 검토할 수 있는 기회를 줍니다.라스트 콜이라고 불리는 이 단계는 4주간의 기간으로 멤버국과 섹터 멤버에 의해 코멘트가 송신됩니다.

편집 수정 이외의 코멘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추가 작업이 필요할 수 있는 문제가 식별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 권고는 승인된 것으로 간주한다.단, 의견이 있을 경우 SG 회장은 TSB와 협의하여 관련 전문가의 의견해결 절차를 수립한다.수정된 텍스트는 3주의 추가 검토 기간 동안 웹에 게시됩니다.

마지막 콜 단계와 마찬가지로 추가 리뷰에서는 코멘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권장사항이 승인된 것으로 간주됩니다.코멘트가 수신된 경우, 아직 작업이 더 필요한 몇 가지 문제가 있는 것이 분명하며, 초안 텍스트와 모든 코멘트는 다음 스터디 그룹 미팅으로 전송되어 추가 논의와 가능한 [19]승인을 받습니다.

정책 또는 규제상의 영향이 있다고 간주되는 권고사항은 기존 승인 프로세스(TAP)를 통해 승인되며, 이를 통해 회원국의 반영과 코멘트를 더 길게 할 수 있습니다.TAP 권장사항은 ITU의 6개 언어(아랍어, 중국어, 영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스페인어)[20]로도 번역됩니다.

시리즈 및 권장 사항

ITU-T 권장사항은 ITU-T가 발행하는 통신 및 컴퓨터 프로토콜 사양 문서에 부여된 이름입니다.

일련의 ITU 권장 사항

ITU-T는 X.500과 같은 이름을 가진 권장 사항을 발행합니다.여기서 X는 시리즈, 500은 식별 번호입니다.권장사항이 갱신되면 (대부분) 동일한 번호가 유지되므로 권장사항의 특정 버전을 식별하기 위해 발행 연도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X.500"이라는 용어는 특정 X.500 권장사항과 X.5xx라는 이름의 권장사항 패밀리 모두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됩니다.여기서 특정 X.500 권장사항은 세트의 개요와 개요를 구성합니다.최종 권장사항의 대부분은 전자(PDF) 형식으로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무료가 아닌 텍스트에는 특별한 준비가 존재하는 [21]일반적인 ITU-T ISO/IEC 텍스트가 포함됩니다.

ITU에 의해 공표된 주요 규격

국제전기통신규정(ITR)

ITU-T 권고는 국내법에서 채택되지 않는 한 강제적이지 않은 지위를 가지고 있으며, ITU-T는 구속력 있는 국제조약인 국제전기통신규칙(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Regulations)의 관리인이기도 합니다.ITR은 전신과 전화를 다루는 두 개의 별도 조약이 있었던 ITU의 초창기로 거슬러 올라갑니다.ITR은 1988년 멜버른에서 열린 세계행정전신전화회의(WATTC-88)[26]에서 하나의 조약으로 채택되었다.

ITR은 특히 국제 전기통신 서비스의 정의, 국가와 국가 간 협력, 생명 안전과 전기통신의 우선순위, 과금 및 회계 원칙을 다루는 10개의 조항으로 구성된다.1988년 ITR의 도입은 미국과 영국을 포함한 몇몇 국가들이 1988년 [27]이전에 시장을 자유화하는 조치를 취했지만, 국제 전기통신의 광범위한 자유화 과정의 시작이라고 종종 받아들여지고 있다.

ITU의 헌법과 협약은 세계전기통신회의(WCIT)를 통해 ITR의 개정을 규정하고 있다.따라서 1998년에는 ITR의 [28]검토 프로세스가 시작되었고, 2009년에는 그러한 회의인 WCIT-12를 위한 광범위한 준비가 시작되었다.ITU 사무국은, 「지역 준비 회의」[29]와 함께,[30] 회의에서 논의될 것으로 예상되는 13개의 「핵심 문제에 관한 배경 브리핑」을 작성했다.Hamadoun Touré 전 ITU 사무총장이 소집한 WCIT-12 총회는 2014년 [31][32]12월 3일부터 14일까지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개최되었습니다.

AI for Good

ITU 표준화 부문은 또한 인공지능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유엔 플랫폼인 AI for Good를 조직한다.

최신 토픽

  • ITU-T는 국제 ICT 표준에 접근, 구현, 기여 및 영향을 미치는 개도국의 능력 격차인 "표준화 격차 해소"[33]에 대한 약속을 표명했다.
  • ICT 보안 표준[34] 로드맵은 주요 표준 개발 조직의 기존 표준 및 현재 표준 작업에 대한 정보를 통합하여 보안 표준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 차세대 네트워크(NGN) 개념은 운영 네트워크의 수렴 및 최적화 필요성, 디지털 트래픽의 비상한 확장(즉, 새로운 멀티미디어 서비스, 이동성 등에 대한 수요 증가 등)과 같은 요인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통신 산업의 새로운 현실을 고려합니다.
  • ITU newslog (February 2014). First of its kind publication features ITU-T standards for smart grid and home networking.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a b "ITU's History".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Retrieved 2011-03-20.
  2. ^ "TSB Director's Corner". ITU.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4-27.
  3. ^ "ITU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 (ITU-T) – About Us". www.itu.in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December 2017. Retrieved 6 May 2018.
  4. ^ apdip.net Wayback Machine에서 2007-10-30 아카이브 완료 (p13)
  5. ^ a b "CCITT – 50 Years of Excellence – 1956–2006" (PDF).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p. 8.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011-06-07. Retrieved 2011-03-20.
  6. ^ "CCITT – 50 Years of Excellence – 1956–2006" (PDF).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p. 14.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011-06-07. Retrieved 2011-03-20.
  7. ^ "CCITT – 50 Years of Excellence – 1956–2006" (PDF).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011-06-07. Retrieved 2011-03-20.
  8. ^ "CCITT – 50 Years of Excellence – 1956–2006" (PDF).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p. 16.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011-06-07. Retrieved 2011-03-20.
  9. ^ ITU-T Standards 온라인 무료 이용 가능 2009-05-17 Wayback Machine에서 아카이브 완료
  10. ^ "Free access for all to ITU-T standards.(ITU)". highbeam.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11-04. Retrieved 2010-09-06.
  11. ^ "ITU-T Newslog – Free access for all to ITU-T standards". itu.in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0-09-13.
  12. ^ "ITU-T Recommendations". ITU.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0-08-25.
  13. ^ "CCITT – 50 Years of Excellence – 1956–2006" (PDF).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p. 17.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011-06-07. Retrieved 2011-03-20.
  14. ^ apdip.net Wayback Machine에서 2007-11-29 아카이브 완료 (s10)
  15. ^ "Standards for better Communications – ITU-T Guide for Beginners" (PDF). itu.int. March 2005. pp. 13–16.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3 March 2016. Retrieved 6 May 2018.
  16. ^ "Standards for better Communications – ITU-T Guide for Beginners" (PDF). itu.int. March 2005. p. 17.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3 March 2016. Retrieved 6 May 2018.
  17. ^ itu.int Wayback Machine에서 2007-11-29 아카이브(s23-24), ITU-T Focus Groups 2007-11-01 아카이브(Wayback Machine에서 아카이브)
  18. ^ "A.8: Alternative approval process for new and revised ITU-T Recommendations". ITU. August 2010. Retrieved 2021-11-19.
  19. ^ "Standards for better Communications – ITU-T Guide for Beginners" (PDF). itu.int. March 2005. pp. 28–29.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3 March 2016. Retrieved 6 May 2018.
  20. ^ itu.int 2007-11-29 Wayback Machine, (s27), ITU-T e-FLASH - 제22호 Wayback Machine 2007-11-03호 아카이브 완료
  21.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0-08-25. Retrieved 2010-09-06.{{cite web}}: CS1 maint: 제목으로 아카이브된 복사(링크)
  22. ^ 주의: 장시간 지연은 대화 중에 의도치 않게 서로 "대화"하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23. ^ ITU-T 권고 G.114 – (권장 G.114 (2003년 5월))
  24. ^ Ben-Tovim, Erez (February 2014). "12: {ITU} {G.hn} – {B}roadband Home Networking". In Berger, Lars T.; Schwager, Andreas; Pagani, Pascal; Schneider, Daniel M. (eds.). {MIMO} Power Line Communications: {N}arrow and Broadband Standards, {EMC}, and Advanced Processing. Devices, Circuits, and Systems. CRC Press. doi:10.1201/b16540-14. ISBN 978146655752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05-12.
  25. ^ X.805: 엔드 투 엔드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03-01. Retrieved 2014-02-05.{{cite web}}통신을 제공하는 시스템용 보안 아키텍처: CS1 유지보수: 제목으로 복사(링크) 아카이브
  26. ^ itu.int Wayback Machine에서 2007-11-29 아카이브 완료
  27. ^ "itu.int". itu.in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March 2016. Retrieved 6 May 2018.
  28. ^ tsbedh. "ITU-T – Review of the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Regulations (ITRs)". itu.in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10-24.
  29. ^ "WCIT-12: Preparatory Process". ITU.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12-16.
  30. ^ "WCIT-12: Background Briefs and FAQs". ITU.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12-16.
  31. ^ "WCIT-12 Highlights – 13–14 December 2012". itu.in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November 2014.
  32. ^ "World Conference on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WCIT-12)". ITU.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10-13.
  33. ^ "ITU-T". itu.in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10-29.
  34. ^ "ICT Security Standards Roadmap". itu.in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10-24.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