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너럴 모터스 W 플랫폼
General Motors W platformW-body | |
---|---|
![]() | |
개요 | |
제조사 | 제너럴 모터스 |
부르기도 한다. | GM10 |
생산 | 1987–2016 |
차체 및 섀시 | |
클래스 | |
배치 | FF 배치도 |
신체 스타일 | |
차량 | 뷰익 센츄리 뷰익 라크로스 뷰익 리갈 쉐보레 임팔라 쉐보레 임팔라 유한회사 쉐보레 루미나 쉐보레 몬테 카를로 올즈모빌 커틀라스 슈프림 올즈모빌레 음모 폰티악 그랑프리 |
파워트레인 | |
엔진 | 122I4 아이언 듀크 I4 쿼드-4 I4 60°V6 쇼트스타 V6 고부가 V6 하이 피쳐 V6 뷰익 V6 LS4V8 |
전송 | 3단 3T40 자동 4단 4T60 자동 4단 4T60-HD 자동 4단 4T65 자동 4단 4T60-E 자동 4단 4T65-E 자동 4단 4T65E-HD 자동 5단 게트라그 282수동 5단 Getrag 284 설명서 6단 6T70 자동 |
치수 | |
휠베이스 |
|
연대기 | |
전임자 | |
후계자 |
|
W-플랫폼(W-body라고도 한다)은 중형 및 풀사이즈 전륜 구동 자동차를 모두 뒷받침하는 제너럴 모터스 자동차 플랫폼이었다. 원래 GM10이라는 코드였는데 1982년 로저 B 회장 밑에서 개발을 시작했다. 스미스는 1987년 폰티악 그랑프리, 뷰익 리갈, 올즈모빌레 커틀라스 슈프림 쿠페로 데뷔했다. 4도어 세단 버전은 1990년에 도입되었다.
1996년 2세대 110.5 휠베이스에서 시작해 109세대 휠베이스 중형 플랫폼이 됐고, 2005년부터는 3세대 110.5 풀사이즈가 2016년 단종을 통해 유일한 버전이었다.
역사
이 플랫폼은 개발에 70억 달러가 들었고, G와 A 플랫폼에서 쉐보레, 폰티액, 올즈모빌레, 뷰익 등이 생산하는 모든 중형차를 대체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것은 궁극적으로 일어나지 않았다; A 플랫폼인 쉐보레 셀럽과 폰티악 6000은 빠르게 단종된 반면, A-바디 뷰익 센츄리, 올드스모빌레 커틀라스 시에라는 1996년까지 생산에 머물렀다. 이 엔지니어링 작업은 소형차 부문으로도 알려진 쉐보레-폰티악-캐나다(CPC) 그룹에 의해 수행되었다.
이 계획은 7개의 GM 공장들이 각각 미국 전체 자동차 시장의 21%인 25만 대의 자동차를 조립하는 것이었다.[1] 그것은 처음부터 형편없이 실행되었지만, 1984년 GM의 조직 개편은 시장 역학관계의 변화와 결합되어 그 프로그램에 큰 혼란을 야기시켰고 그것은 결코 회복되지 않았다. 원래 GM10의 마지막이 출시되기 1년 전인 1989년까지 GM은 생산하는 모든 자동차에서 2000달러를 잃고 있었다.[2]

이 플랫폼의 후기 개정은 MS2000 또는 간단히 W2-Car로 알려졌다. 초기 버전은 가로로 설치된 섬유 유리 모노 잎 스프링과 뒤쪽의 스트럿을 결합하여 사용했다. '1.5세대' W-body 모델들은 쉐보레 코르벳에서 영감을 받은 가로잎 스프링 디자인 대신 코일 스프링을 사용한 후면 서스펜션을 업데이트했다. 1997년 모델 연도에 2세대 W-body는 맥퍼슨 스트럿 코일 스프링 디자인으로 출시되었다.
W 플랫폼은 계획했던 대로 늘어난 엡실론 플랫폼으로 대체되기보다는 2004년에 업데이트되었다. W 차체용 플로어 팬의 금속 제작은 오하이오 주 파르마의 파르마 메탈 센터에서 수행되었다. 이 차들은 GM의 오샤와 자동차 조립회에서 만들어졌다. W-badies에서 GM의 LS 소형블록 엔진을 횡으로 사용한 것은 2005년의 주요한 추가였다.
GM W 플랫폼은 새로운 롱 휠베이스 엡실론 II 플랫폼의 생산과 함께 단계적으로 폐지되었다. W플랫폼에서 생산된 마지막 자동차는 2014년 모델부터 엡실론 기반의 10세대 임팔라로 대체된 쉐보레 임팔라 9세대다. GM은 2016년 5월 생산이 종료될 때까지 W-body 임팔라를 임팔라 리미티드라는 이름으로만 플리트 고객사에 생산을 계속했다.[3]
사용하다
W-차체를 사용하는 차량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1세대 107.5 휠베이스(중형)
- 1988–1996년 뷰익 리갈(2도어 쿠페, 4도어 세단)
- 1988–1997년 Oldsmobile Cutlass Supreme(2도어 쿠페, 2도어 컨버터블, 4도어 세단)
- 1988-1996년 폰티악 그랑프리(2도어 쿠페, 4도어 세단)
- 1990–1994년 쉐보레 루미나(2도어 쿠페, 4도어 세단)
- 1.5 107.5세대 휠베이스(중형)
- 1995-2001년 쉐보레 루미나(4도어 세단)
- 1995-1999년 쉐보레 몬테 카를로(2도어 쿠페)
- 2세대 109 휠베이스(중형)
- 1997-2005 뷰익 센츄리(4도어 세단)
- 1997-2004년 뷰익 리갈(4도어 세단)
- 1998-2002년형 올즈모빌레 인터리그(4도어 세단)
- 2세대 110.5 휠베이스(풀사이즈)
- 1997-2003년 폰티악 그랑프리(2도어 쿠페, 4도어 세단)
- 2000-2005년 쉐보레 임팔라(4도어 세단)
- 2000-2005년 쉐보레 몬테 카를로(2도어 쿠페)
- 3세대 110.5 휠베이스(풀사이즈)
- 2004-2008 폰티악 그랑프리(4도어 세단)
- 2005-2009 뷰익 라크로스/알루어(4도어 세단)
- 2006~2016년 쉐보레 임팔라/임팔라 리미티드[4][5](4도어 세단)
- 2006-2007 쉐보레 몬테 카를로(2도어 쿠페)
참조
- ^ Taylor III, Alex; Erdman, Andrew; Martin, Justin; Welsh, Tricia (November 16, 1992). "U.S. Cars Come Back". money.cnn.com. Retrieved 26 January 2018.
- ^ Monks, Robert A.G. "GM Corporate Governance Case Stud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5, 2008. Retrieved January 26, 2008.
- ^ "Impala Limited Fleet Special Lives On To At Least 2016, Keeps Oshawa Open". thetruthaboutcars.com. October 28, 2013. Retrieved January 26, 2008.
- ^ "Outgoing Chevy Impala lives another year, as fleet-only model". autonews.com. Retrieved March 13, 2013.
- ^ "Outgoing Impala to Continue as 2014 Chevrolet Impala Limited for Fleets". Motor Trend. Retrieved March 13,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