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라티아 (로마 주)
Galatia (Roman province)프로빈시아 갈라티아 【α】【α】【α】【α】 | |||||||||
---|---|---|---|---|---|---|---|---|---|
로마 제국의 속주 | |||||||||
기원전 25-7세기 | |||||||||
![]() | |||||||||
자본의 | 안시라 (현재의 터키 앙카라) | ||||||||
역사 | |||||||||
역사 시대 | 고전 고대 | ||||||||
• 아우구스투스에 의한 합병 | 기원전 25년 | ||||||||
• 아나톨릭의 테마 확립 | 7세기 | ||||||||
| |||||||||
오늘의 일부 | 터키 |
갈라티아는 아나톨리아(현재의 터키 중부)에 있었던 로마 제국의 속주였다.이것은 기원전 25년 초대 황제 아우구스투스(단독 통치 기원전 30년–기원후 14년)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수도는 안키라이며, 이전에 독립했던 켈트 갈라티아 대부분에 걸쳐 있다.
디오클레티아누스 4대 왕정 개혁으로 북부와 남부가 각각 파플라고니아 지방과 리카오니아 지방을 형성했다.
서기 398년, 아르카디우스 통치 기간 동안, 그곳은 갈라티아 프리마 주와 갈라티아 세쿤다 주 또는 살루타리스 주로 나뉘었다.갈라티아 프리마는 안시라를 수도로 유지하고 영사관에 의해 이끌리면서 옛 지방의 북동부를 덮었다.살루타리스는 옛 지방의 남서쪽 절반을 차지했고, 페시누스에 자리 잡은 새우들이 이끌었습니다.두 지방 모두 폰투스 교구의 일부였다.이 지방들은 유스티니아누스 1세 치하에서 536-548년에 잠시 재결합되었다.이 지역은 결국 7세기 후반에 아나톨리콘의 새로운 테마에 편입되었지만, 옛 지방 행정의 흔적은 8세기 초까지 남아있었다.
지사
(Bernard Remy, Les Carriére sénotores dénoriales dan'Anatolie au Haut-Empire 31 av. J.-C. - 284 ap.C.) (이스탄불:프랑수아 데튀드 아나톨리엔-조르주 뒤메질, 1989년)
- 갈라티아 현의 첫 조직
- 마르쿠스 롤리우스 기원전 25년 - 22년
- 루시우스 칼푸르니우스 피소 폰티펙스 기원전 14-13
- 코르누투스 아퀼라 기원전 6년
- 푸블리우스 술피키우스 퀴리니우스 기원전 5 - 3
- 마르쿠스 세르빌리우스 노니아누스 3세
- 마르쿠스 플로티우스 실바누스 6-7
- Sextus Sotidius Strabo Libuscidianus 13 - 16
- 프리스커스 c. 16 - 20 또는 21
- 메틸리우스 c. 20-25 또는 21-26
- 프론트오 c. 25 - 29 또는 26 - 30
- 실바누스 c. 29 - 33 또는 30 - 34
- 티투스 헬비우스 바실라 c. 33~c.37
- 마르쿠스 아니우스 아프리누스 49~54
- 퀸투스 페트로니우스 움브리누스 54 - 55
- 루시우스 노니우스 칼푸르니우스 토르콰투스 아스프레나스 68 - 70
(AD 70년에서 AD 111년 사이에 갈라티아는 카파도키아와 결합되었다.그 해의 총독은 카파도키아의 로마 총독 목록에서 찾을 수 있다.)
- 갈라티아 현의 두 번째 조직
- 루시우스 카제니우스 소스피스 111 - 114
- 가이우스 율리우스 콰드라투스 바수스 c. 114
- 루시우스 카틸리우스 세베루스 114 - 117?
- 루시우스 코소니우스 갈루스 117 - 119
- 아울루스 라르시우스 마케도니아 119 - 122
- 가이우스 트레비우스 세르기아누스 c. 127 - 130
- 율리우스 새터니누스 c. 130 - 136
- 가이우스 줄리어스 스카풀라 c. 136 - 139
- 루시우스 풀비우스 루스티쿠스 아이밀리아누스 131~161년
- Cornelius [Dex]ter c. 156 - 159 또는 157 - 160
- 푸블리우스 유벤티우스 셀수스 161~163
- 루시우스 푸피디우스 폴리오 163 - 165
- 티투스 리시니우스 무키아누스 c. 175 - 177
- 루시우스 새비니어스 프로쿨루스 c. 177 - 180
- 루시우스 파비우스 실로 c. 190 - 197
- 발레리아누스
- 루시우스 페트로니우스 베루스 197/198
- 가이우스 아티쿠스 노르바누스 스트라보 198-c. 201
- 푸블리우스 케실리우스 우르비쿠스 아이밀리아누스 c. 205-208
- 푸블리우스 알피우스 막시무스 c. 183 - 185 또는 213 - 215
- 루시우스 에그나티우스 빅토르 롤리아누스 c. 215 - 218
- 푸블리우스 플로티우스 로마누스 c. 218 - 221
- 루시우스 율리우스 에이프런리우스 마에니우스 피우스 살라말리아누스 c.221-224
- 퀸투스 아라디우스 루피누스 옵타투스 아엘리아누스 c. 224 - 227
- 퀸투스 서배우스 푸스쿠스 코르넬리아누스 c. 229-230
- 마르쿠스 도미티우스 발레리아누스 c. 230 - 232
- Aurelius Basileus c. 227 - 229 또는 232 - 235
- 마르쿠스 주니우스 발레리우스 네포티아누스 250
- 미니키우스 플로렌티우스 이후 250년
교회 행정
칼케돈 공의회(451년)와 히에로클레스의 시네케무스(531년 경)에 따르면 갈라티아 프리마 지방은 안키라를 수도교구로 두고 있으며, 6개의 준교구가 있다.타비움, 아스포나, 킨나, 라가니아 또는 아나스타시오폴리스, 미니조스 및 훌리오폴리스.[1][2]
칼케돈 평의회와 시네케모스의 규약에 따르면 갈라티아 세쿤다 지방에는 페시누스가 있으며, 8개의 속주가 있다.오르키스토스, 페티시오스, 아모리움, 클라네오스(칼케돈에 없음), 트로크나데스, 에우디아스, 미리카, 제르마 또는 미리안젤론.[3]페시누스는 6세기 중반 유스티니아노폴리스가 설립되면서 몰락했고 결국 수도권은 그의 [4]칭호를 유지한 채 그곳으로 넘어갔다.
레퍼런스
원천
- Belke, Klaus; Restle, Marcell (1984). Tabula Imperii Byzantini, Band 4: Galatien und Lykaonien (in German). Vienna: Verlag der Österreich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ISBN 978-3-7001-0634-0.
- Ramsay, William M. (1890). The Historical Geography of Asia Minor. London: John Murr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