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리아 나르보넨시스
Gallia Narbonensis프로빈시아 갈리아 나르보넨시스 | |||||||
---|---|---|---|---|---|---|---|
로마 제국의 속주 | |||||||
기원전 121년[1] ~ 기원전 5세기 | |||||||
![]() 서기 117년경 로마 제국 내 갈리아 나르보넨시스 속주 | |||||||
자본의 | 나르보 마르티우스 | ||||||
역사 | |||||||
역사 시대 | 고대 | ||||||
• 설립 | 기원전 121년[1] | ||||||
• 육안 정복 | 5세기 | ||||||
| |||||||
오늘의 일부 | 프랑스. 이탈리아 모나코 |
갈리아 나르보넨시스(라틴어로 [n 1]"나르본의 갈리아"라는 뜻)는 현재의 프랑스 남부 랑그도크와 프로방스에 위치한 로마의 속주였다.알프스 산맥 북쪽의 첫 번째 로마 속주였던 프로빈치아 노스트라(Our Provincia Nostra)와 갈리아 트란스알피나(Transalpine Gola)로 알려져 이탈리아 북부의 치살피네 갈리아와 구별된다.그것은 기원전 2세기 말에 로마의 속주가 되었다.갈리아 나르보넨시스는 서쪽은 피레네 산맥, 북쪽은 세벤 산맥, 동쪽은 알프스 산맥, 남쪽은 사자만과 접해 있었다. 이 지방은 론 강 유역의 대부분을 포함하고 있었다.갈리아 나르보넨시스의 서쪽 지역은 셉티마니아로 알려져 있었다.그리스 식민지 마살리아, 스페인 지방과 로마 사이의 위치, 그리고 재정 [2]생산량 덕분에 이 지역은 로마 제국의 귀중한 부분이었다.
이름
갈리아 트란살피나 속주는 기원전 118년 해안에 세워진 로마의 식민지 콜로니아 나르보 마르티우스(현재의 나르보네의 위치에 있는 콜로니아 나르보 마르티우스)의 새로운 수도를 따서 나중에 갈리아 나르보넨시스([2]Galia Narbonensis)로 개명되었다.갈리아 나르보넨시스라는 이름은 아마도 아우구스투스 시대에 유래했을 것이다.그나이우스 풀리우스 [3]폴리오가 실시한 인구조사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다고 기록되었다.로마인들은 그것을 프로빈시아 노스트라("우리의 속주") 또는 단순히 프로빈시아("속주")[4]라고 불렀다.이 용어는 현재 프랑스의 한 지역인 동부 지역(프랑스 프로방스, Occitan Provensa)에 대해 프로방스라는 현대 이름으로 남아 있다.
창립
기원전 2세기 중반까지, 로마는 갈리아의 남쪽 해안에 있는 그리스 식민지 마살리아와 많은 무역을 하고 있었다.마살리아는 포카이아에서 온 식민지 주민들에 의해 설립되었고, 이 무렵에는 수세기 동안 꽤 번창했다.로마는 마살리아와 동맹을 맺었고, 마살리아는 군대를 수송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히스파니아로 가는 도로를 건설하기 위해 원하는 작은 땅의 대가로 지역 갈리아, 인근 아키타니, 해상 카르타고인 및 다른 경쟁자들로부터 마을을 보호하기로 합의했다.마살리아인들은 영토보전성보다는 경제적 번영에 더 신경을 썼다.
세르토리우스와의 전쟁 동안, 갈리아 나르보넨시스는 군사 활동의 중요한 기지였다.이것은 나르보네 갈리아의 로마화에 있어서 중요한 사건이었고, 로마인들이 그 지방을 조직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 기간 동안, 해안의 지중해 정착촌들은 북쪽의 강력한 갈리아 부족들, 특히 아르베르니와 알로브로게스로 알려진 부족들에 의해 위협을 받았다.이 지역은 기원전 [1]121년, 이세르 강에서 비투이투스 왕의 휘하에 있는 알로브로게스와 아르베르니를 물리친 로마 장군 퀸투스 파비우스 막시무스의 대승리에 따라 로마의 속주가 되었다.이 패배는 아르베르니족을 상당히 약화시켰고 갈리아 나르보넨시스의 보안을 강화했다.
이 지방은 원래 갈리아 트란살피나(Transalpina, 트랜스알핀 갈리아)라는 이름으로 로마의 지배하에 들어갔는데, 이 이름은 알프스 산맥의 근방에 있는 치살피나 갈리아와 로마를 구별했다.
로마인들은 기원전 118년에 나르본느라는 도시를 세웠다.동시에 갈리아와 히스파니아를 잇는 갈리아 최초의 로마 도로인 도미티아 가도와 톨로사(툴루스)와 부르디갈라(보르도)를 거쳐 대서양으로 이어지는 아키타니아 가도를 건설했다.따라서, 로마인들은 나르본느를 최적의 무역 중심지로 만드는 교차로를 만들었고, 나르본느는 마살리아의 주요 무역 경쟁자가 되었다.나르본에서, 로마인들은 나중에 갈리아 나르보넨시스라고 불리는 트란살핀 갈리아 지방을 세웠다.
후대의 역사
이탈리아에 직접 접한 속주를 통제함으로써 로마 국가는 이탈리아와 이베리아 반도 사이의 육로 통제, 이탈리아에 대한 갈리아 공격에 대한 영토 완충지, 갈리아와 마살리아 시장 사이의 돈 되는 론 계곡의 무역로 통제 등 여러 가지 이점을 누리게 되었다.율리우스 시저가 갈리아 전쟁을 시작한 것은 나르본의 수도에서였다.카이사르는 나르보를 재건하고 Forum Julium과 Arles의 도시를 건설했다.줄리어스 시저는 또한 갈리아 나르보넨시스의 많은 공동체들에게 [4]시민권을 주었다.기원전 49년, 마살리아 시는 내전 중에 폼페이우스 편을 들었다.전쟁이 끝난 후, 마살리아는 모든 독립을 잃었고 완전히 로마의 [5]지배를 받았다.
기원전 40년, 제2차 삼두정치가 진행되는 동안, 레피두스는 나르본 갈리아에 대한 책임을 받았고, 반면 마르크 안토니우스는 [6]갈리아의 균형을 받았다.황제가 된 후, 아우구스투스는 갈리아 나르보넨시스를 프로콘술에 [2]의해 통치되는 상원 지방으로 만들었다.
서기 314년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제국의 행정 개편으로 갈리아 나르보넨시스 주와 갈리아 아키타니아 주가 합병되어 디오케시스 비엔넨시스라는 새로운 행정 구역이 만들어졌고, 수도는 더 북쪽에 있었다.새 교구의 이름은 나중에 디오케시스 셉템 지방교구(Diocesis Septem Folandciarum, 7개주 교구)로 바뀌었는데, 디오클레티아누스가 "도"라는 단어를 전통적인 용법보다 더 작은 분구를 의미하도록 강등시켰다는 것을 보여준다.
갈라 나르보넨시스와 주변 지역은 서기 462년에서 477년 사이에 비시고트 왕국에 편입되었고, 로마의 정치적 통제는 영구히 종식되었다.고딕식 점령 이후, 비시고트인의 지배는 일반적으로 셉티마니아로 알려지게 되었고, 론 강 하류의 동쪽에서는 프로방스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
갈리아 나르보넨시스의 영사 주지사 목록
(이 목록은 A.L.F. Ribett, Galia Narbonensis(런던: Batsford, 1988), 페이지 79, 86f를 기반으로 합니다.)
- 그나이우스 풀리우스 폴리오(기원전 18~16년[3])
- 티티우스 라베오 - 티베리우스 치하
- Manius Vibius Balbinus: 15-17
- Torquatus Novellius Atticus : 30-34
- 티투스 무시디우스 폴리아누스—34-37
- 네로 치하 티투스 비니우스
- L. V. [...dius Bassus] 77년경
- 가이우스 이울리우스 코르누투스 테르툴루스 78년 이전
- Aulus Larcius Priscus: 103-109
- 마르쿠스 아실리우스 프리스쿠스 에그릴리우스 플리아누스—118-120
- 루시우스 아니니우스 섹스티우스 플로렌티누스 (124년경)
- 루시우스 아우렐리우스 갈루스(124년-127년
- 루시우스 노비우스 크리스피누스 마르티알리스 사투르니누스:144-5
- 가이우스 칼푸르니우스 콰드라투스 시티아누스 150년 이전
- 루시우스 세스티우스 갈루스(165~183년)
- 그나이우스 코르넬리우스 아퀼리우스 니제르 - 138~192년
- 루시우스 파비우스 실로 셉티미누스 카티니우스 아실리아누스 레피두스 풀치니아누스 - 180~192년
- ...]dius T.f. - 2세기
- 루시우스 라니우스 옵타투스 노바투스(197~214년)
- 이그노투스, 게타를 지지했다는 이유로 살해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210년경).
- ...]us: 210 ~230
-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파울리누스(216년-217년)
- 가이우스 아이밀리우스 베레니시아누스 막시무스 - 222년에서 235년 사이
- 이울리아누스: 222 ~235
- C. 세이우스 칼푸르니우스 콰드라투스 시티아누스 - 3세기[7] 중반
메모들
- ^ 그 이름은 또한 나르본 또는 나르본 갈리아, 나르본 갈리아, 나르본 갈리아로 다양하게 표현된다.
레퍼런스
- ^ a b 를 클릭합니다Maddison, Angus (2007), Contours of the World Economy 1–2030 AD: Essays in Macro-Economic Histor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 41, ISBN 9780191647581.
- ^ a b c Bunson, Matthew (2014-05-14). Encyclopedia of the Roman Empire. Infobase Publishing. ISBN 978-1-4381-1027-1.
- ^ a b Bowman, Alan K.; Champlin, Edward; Lintott, Andrew (1996-02-08).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26430-3.
- ^ a b Riggsby, Andrew M. (2006-07-01). Caesar in Gaul and Rome: War in Words. University of Texas Press. ISBN 978-0-292-71303-1.
- ^ Ebel, Charles (1976). Transalpine Gaul: The Emergence of a Roman Province. Brill Archive. ISBN 978-90-04-04384-8.
- ^ 보트라이트 외로마인, 마을에서 제국으로, 페이지 272 ISBN 978-0-19-511876-6
- ^ CIL XIV, 2831
추가 정보
- William Smith, ed. (1872) [1854]. "Gallia Transalpin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London: John Murray. hdl:2027/hvd.ah5cu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