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낭병
Gallbladder disease담낭병 | |
---|---|
기타 이름 | 담도병, 간도병 |
![]() | |
매우 흔한 담낭 질환인 담낭의 콜레스테롤 증상에 대한 마이크로그래프. 담낭절제술 시료. H&E 얼룩. | |
전문 | 위내과 ![]() |
담낭질환은 담낭과 관련된 질환으로 담도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가장 흔한 원인은 담석(담석)이다.[1][2]
담낭은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을 집중 저장해 간, 담낭, 오디의 괄약근 등을 연결하는 담즙관을 통해 담도를 통해 소화계로 전달함으로써 지방의 소화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담낭은 신경호르몬 기준으로 조절되며, 담즙이 수축되어 담즙관으로 배출되는 CCK(Cholecystokinin)가 있다. 다른 호르몬들은 담즙의 이완과 추가적인 저장을 가능하게 한다.[3][4] 호르몬, 도관 또는 담낭의 붕괴는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다. 담석은 가장 흔한 질환으로 담석이 췌관을 막으면 담석염, 담석염, 담석 췌장염 등 다른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1][2][5] 치료는 증상성 질환에 대해 고려되며 수술 치료부터 비수술 치료까지 다양할 수 있다.[2]
2013년에는 약 1억 4천만 건의 담낭·담도 질환이 새로 발생했다.[6]
담낭병의 징후와 증상
담낭병은 주로 오른쪽 상복부에 복통이 나타난다. 이 고통은 담도 결장이라고 묘사된다. 통증은 일반적으로 특정 질환을 포함한 몇 가지 요인에 따라 갑자기 일어나 오른쪽 어깨와 등에 방사된다. 그것은 일정하거나 삽화적일 수 있고 몇 분에서 몇 시간까지 지속될 수 있다. 이 고통은 담도 결장통으로 묘사된다. 담낭 질환과 담도 결장증의 다른 흔한 증상으로는 메스꺼움과 구토가 있다. 담낭염, 담석증 등의 질환과 함께 열이 있을 수 있다.[1][2]
신체검사에서 환자는 머피의 사인을 받아 증정할 것이다. 이 동작을 하려면 의사가 오른쪽 갈비뼈의 아랫부분을 잡고 그 밑으로 손가락을 구부려야 한다. 양성 테스트는 깊은 영감으로 고통을 이끌어 내고 담낭, 담낭염의 염증을 나타낸다. 머피의 긍정적인 표시로 복부의 깊은 구개도 통증을 유발한다. 이런 경우 의사들은 복강염, 복강 염증을 배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음성의 머피의 기호는 모든 담낭 질환을 상승성 담낭염으로 배제하지 않는다. 복부 초음파 중 의사의 손을 대체하는 초음파 변환기를 사용하면 머피의 양성 사인을 감지할 수 있다. 이 표지는 또한 급성 담낭염에[2][7] 대한 90% 이상의 양성과 음의 예측값을 가지고 있다.
담낭의 질병
- 담석증은 일반적으로 증상이 없지만 메스꺼움, 구토, 통증 등 담낭질환의 다른 징후와 증상과 병발적으로 결합해 등에 방사되는 담도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증상 담석의 치료법은 담낭절제술이다. 복통은 다른 장 질환과 혼동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통증을 완화시키지 못한다.[5]
- 담낭염, 담낭에 염증이 생기는 것은 급성이나 만성적인 경우 모두 발생할 수 있다. 초음파는 담낭벽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선택되는 진단 테스트다. 또한 급성인 경우 백혈구 수치가 증가하는 백혈구 증세가 발견된다. 만성적인 경우 담낭절제술은 치료성이 있지만 고령 환자의 대체요법으로 약물치료를 받는다. 급성일 때는 종기, 통증 조절, 담낭절제술 전까지 아무 것도 먹지 않는 등 합병증 때문에 항생제를 복용한다.[4]
- 담낭 용종은 담낭에서 다양한 원인에 의해 성장한 것으로 가장 흔한 것은 콜레스테롤 용종이다. 일부는 위 복통을 유발할 수 있고, 다른 일부는 증상이 없는 상태로 남아 있다. 크기와 증상에 따라 치료 과정이 결정되며, 용종이 작은 사람은 용종의 성장을 위한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받을 수 있다. 10mm보다 큰 용종은 잠재적 악성 성질로 인해 담낭 제거, 담낭 제거가 필요하다.[5][8]
- 담낭암(담낭의 악성 종양)은 드물게 발생하며, 대부분 자궁선암이다. 초기 암은 대부분 무증상이기 때문에 담낭의 신엽이 늦게 발견돼 예후가 좋지 않다. 담석증, 담석, 특정 민족, 담낭 용종, 비만과 같은 생활습관 질환을 가진 환자에게서 암에 대한 민감성이 증가했다는 기호로 개인의 암에 대한 여러 가지 가설이 형성되어 왔다. 증상으로는 지속적인 우측 상부 사분면 통증, 황달, 눈에 띄는 질량이 있다.[5][8]
- 담도이질증은 담낭에서 담즙이 비정상적으로 분비되어 만성 담도 결장으로 이어지는 질환이다. 이 진단은 담석의 가장 흔한 원인을 조사하고 슐레시스토키닌을 사용한 HIDA 스캔을 통해 방출 분율을 관찰하는 여러 연구에 기초하고 있다. 이 호르몬은 담낭에서 담즙을 분비하게 한다.[8]
- 담낭절제술후증후군(콜레스터증후군, 수력, 천공, 누공)
- 크산토그라누마성 담낭염은 희귀한 형태의 담낭질환으로 암은 아니지만 담낭암을 모방한 것이다.[9][10] J.J. 맥코이 주니어와 동료들에 의해 1976년 의학 문헌에 처음 발견되어 보고되었다.[9][11]
진단
진단 검사는 가장 가능성이 높은 진단에 기초한다. 담낭질환 검사에서는 특히 간판 검사나 리파아제 등 췌장 효소가 정상 한계 내에 있게 된다. 알칼리성 인산염과 빌리루빈에 약간의 상승이 있을 수 있다. 담석이 췌장 담석이나 담석증을 유발하는 다른 담도부위를 막고 있다면 간판, 췌장 효소, 빌리루빈 등이 눈에 띈다.[1][2]
초음파는 담낭벽, 용종, 심낭액, 담석의 두꺼워지는 것을 검사하기 위해 선택하는 진단 영상이다. 초음파 변환기를 사용하여 Murphy의 양성 기호를 확인할 수도 있다.[8][7] 또 다른 이미징 모달리티는 간기능을 검사하기 위해 척추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 스캔은 담낭이 조절된 양의 호르몬으로 정상 작동하는지 여부를 평가한다.[1][8] 담석증 의심증상과 관련해서는 담즙관을 막고 있는 돌을 제거해 담석증을 유발할 수 있어 내시경 역행성 담석증 치료(ERCP)가 진단과 치료에 모두 사용된다.[2]
치료
담석이나 작은 용종이 우연히 발견된 무증상 질환 환자의 경우 증상이 나타날 때까지 추가 치료를 하지 않는다. 개인이 담낭증후군과 초기 암에 걸렸을 때는 담낭절제술이 활용된다. 담낭절제술은 특히 지역 림프절이 관여할 경우 5년 생존율이 낮아 고도암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8] 담낭염의 증상은 일반적으로 담낭염의 경우 과민성 장 증후군 등 다른 소화기관 질환에 의해 복통이 발생하지 않는 한 담낭절제술 후 감소한다.[4]
담석이나 담석증의 비수술적 치료에는 돌을 녹이는 약물치료가 포함된다. 부작용 프로필 때문에 우르소디올을 함유한 체노데옥시콜산과 우르소디올이 더 흔하게 사용된다. 작은 돌들을 약으로 녹이는 데는 약 2년이 걸릴 것이다.[4][2] 체중 감소를 통해 담석에 대해 가질 수 있는 수정 가능한 위험 요소, 콜레스테롤을 낮추기 위한 식이 변화, 트리글리세리드(Triglyceride)[2] 등을 줄일 수 있는 다른 방법.
담석
담석은 담도의 다른 곳뿐만 아니라 담낭에서도 생길 수 있다. 담낭의 담석이 증상일 경우 담낭 절제술로 알려진 담낭의 외과적 제거가 나타날 수 있다.
담석은 담도 지질의 용해도의 경미한 균형이 콜레스테롤, 무주입 빌리루빈 또는 담도 지질의 박테리아 분해산물의 강수에 유리하게 작용할 때 형성된다. 콜레스테롤 담석의 경우 간 콜레스테롤 분비에서의 대사변화는 담낭 운동성의 변화와 담즙 염의 장내 세균 저하와 결합하여 담즙 내 콜레스테롤 운반체를 불안정하게 하고 콜레스테롤 결정을 생성한다. 흑색소 담석의 경우 헤메 대사나 빌리루빈 흡수량의 변화는 빌리루빈 농도의 증가와 빌리루빈산칼슘의 침수로 이어진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담도의 기계적 장애는 갈색 색소결석의 담도지질의 박테리아 퇴화와 침수를 초래하는 주요 요인이다.[12]
위험요소
임신
여성 성호르몬이 자연적으로 상승하는 임신 중에는 여성의 5%~30%에 담도 슬러지(콜레스테롤, 빌리루빈산칼슘, 뮤신 등으로 구성된 담즙에서 파생되는 부분적 물질)가 나타난다. 분해능은 partum 후기에 자주 전이된다: 슬러지는 2/3로 사라지고, 작은 (<1 cm) 담석은 1/3로 사라지지만, 결정적인 담석은 ~5%로 확립된다. 임신 중 석재 형성을 위한 추가적인 위험 요인으로는 비만(임신 전), 고밀도 지단백질(HDL) 콜레스테롤 감소, 대사증후군 등이 있다.[13]
호르몬 피임약
특히 비옥한 시기에는 여성들이 남성들보다 거의 두 배나 더 담석을 형성할 가능성이 있다; 그 차이는 폐경 이후에 좁혀진다. 근본적인 메커니즘은 여성 성호르몬이다; 동등성, 경구 피임법, 에스트로겐 대체 요법은 콜레스테롤 담석 형성의 위험인자가 확립되어 있다. 여성 성호르몬은 간 담즙 분비와 담낭 기능에 악영향을 미친다. 에스트로겐은 콜레스테롤 분비를 증가시키고 담즙염 분비를 감소시키는 반면 프로게스틴은 담즙염 분비를 감소시키고 담낭을 비우는 것을 방해하여 건성으로 이어지는 작용을 한다. 일부 경구 피임약에 사용되는 새로운 4세대 프로게스틴인 드로스피레논은 담석증과 담낭절제술의 위험을 더욱 높일 수 있지만, 증가된 위험은 상당히 적고 임상적으로 의미가 있을 것 같지 않다.[13]
소급(역사적) 코호트 연구는 1980년과 1981년 미시간과 미네소타 주의 메디케이드 청구 데이터를 포함한 매우 큰 데이터 베이스에 대해 수행되었다. 이 데이터 베이스에서는 OC 사용자 138,943명을 비사용자 341,478명과 비교했다. 경구 피임약은 담낭 질환의 위험요인으로 나타났으나, 그 위험은 젊은 여성들에게만 잠재적인 임상적 중요성이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크다.[14]
1984년 영국 왕립대 구강피임연구는 장기적으로는 경구피임약이 담낭질환에 걸리기 쉬운 여성에게서 병의 가속화가 나타나긴 하지만 담낭질환의 위험 증가와는 관련이 없다고 제안하고 있다.[15]
새로운 연구는 그렇지 않다는 것을 시사한다. 1993년의 메타 분석에서는 경구 피임약의 사용이 담낭 질환의 약간 그리고 일시적으로 증가된 비율과 관련이 있다고 결론을 내렸지만, 래이터들은 효과를 배제할 수는 없지만 현대의 저선량 경구 피임약이 오래된 공식보다 안전하다는 것을 확인한다.[16]
2001년 IMS LifeLink Health Plan Claims Database의 비교 연구는 경구 피임약을 사용하는 많은 여성 집단에서 레보네스트렐, 드로스피레논, 노리스테론과 관련된 담낭 질환의 위험이 레보네스트렐에 비해 작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가 발견되었다고 해석했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위험 증가는 경구 피임약의 다른 제제(에티노디올 디아세테이트, 노게스트렐 및 노게스테이트)와 관련이 없었다.[17]
갱년기 호르몬 치료
일부 관찰 연구에서는 황토색이 담낭 질환의 위험을 4배까지 2배까지 증가시킨다고 제시했지만, 그러한 연관성은 일관성 있게 보고되지 않았다.[18][19] 폐경 후 여성들 사이에서 최근에 무작위로 처리된 임상 실험 데이터는 현재 구강 갱년기 호르몬 치료 에스트로겐의 인과적 역할을 뒷받침하고 있다. 또 다른 대규모 study,[20]의 긍정적인 발견 확인에 관한 기념비적인 여성 건강 계획'(WHI)담석증의 위험 또는 수술을 치료할 수 있는 둘 다 에스트로겐, estrogen-plus-progestin(medrox과 말의 에스트로겐 포합(복합형 에스트로겐, 계태 추출물)으로 매우 중요한 증가(p<>0.001)보도했다.yproge스테론; CEE+MPA ). 구체적으로는 무작위화 이전에 자궁절제술(n = 8376)을 받았거나 하지 않았거나(n = 14203)한 건강한 폐경 후 여성들 사이에서 각각 67% 증가(CEE 대 위약), 59% 증가(CEE+MPA 대 위약)했다.[21]
기타인자
1994년의 한 예비 연구는 체질량 지수가 젊은 여성들 사이에서 증상 담석의 가장 강력한 예측변수로 남아 있다고 지적했다. 다른 위험 요소들은 네 번의 임신, 체중 증가, 흡연이다. 알코올은 사용과 담낭 질환 사이에 역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22]
참고 항목
참조
- ^ a b c d e Corazziari, E; Shaffer, E A; Hogan, W J; Sherman, S; Toouli, J (1 September 1999). "Functional disorders of the biliary tract and pancreas". Gut. 45 (Supplement 2): ii48–ii54. doi:10.1136/gut.45.2008.ii48. PMC 1766688.
- ^ a b c d e f g h i Afamefuna, Simore Candidate Philadelphia College of Osteopathic Medicine School of Pharmacy Suwanee, Georgia Shari N. Allen, PharmD, BCPP Assistant Professor of Pharmacy Practice Philadelphia College of Osteopathic Medicine School of Pharmacy Suwanee (2013). "Gallbladder Disease: Pathophysiology, Diagnosis, and Treatment". US Pharm. 38 (3): 33-41.
- ^ Luo, Xiaoyu (2007). "On the mechanical behavior of the human biliary system". World Journal of Gastroenterology. 13 (9): 1384. doi:10.3748/wjg.v13.i9.1384. PMC 4146923.
- ^ a b c d Behar, Jose (24 February 2013). "Physiology and Pathophysiology of the Biliary Tract: The Gallbladder and Sphincter of Oddi—A Review". ISRN Physiology. 2013: 1–15. doi:10.1155/2013/837630.
- ^ a b c d Stinton, Laura M.; Shaffer, Eldon A. (15 April 2012). "Epidemiology of Gallbladder Disease: Cholelithiasis and Cancer". Gut and Liver. 6 (2): 172–187. doi:10.5009/gnl.2012.6.2.172. PMC 3343155.
- ^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3, Collaborators (22 August 2015).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01 acute and chronic diseases and injuries in 188 countries, 1990-2013: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3". Lancet. 386 (9995): 743–800. doi:10.1016/S0140-6736(15)60692-4. PMC 4561509. PMID 26063472.
{{cite journal}}
:first1=
일반 이름 포함(도움말) - ^ a b Salati, Sajad; al Kadi, Azzam (2012). "Murphy's sign of cholecystitis-a brief revisit". Journal of Symptoms and Signs. 1 (2): 53-56.
- ^ a b c d e f Vogt, David (December 2002). "Gallbladder disease: An update on diagnosis and treatment". Cleveland Clinic Journal of Medicine. 69 (12): 977-984.
- ^ a b Makino, Isamu; Yamaguchi, T; Sato, N; Yasui, T; Kita, I (2009). "Xanthogranulomatous cholecystitis mimicking gallbladder carcinoma with a false-positive result on fluorodeoxyglucose PET". World Journal of Gastroenterology. 15 (29): 3691–3. doi:10.3748/wjg.15.3691. PMC 2721248. PMID 19653352.
- ^ Rao, RV; Kumar, A; Sikora, SS; Saxena, R; Kapoor, VK (2005). "Xanthogranulomatous cholecystitis: Differentiation from associated gall bladder carcinoma". Tropical Gastroenterology. 26 (1): 31–3. PMID 15974235.
- ^ McCoy Jr, JJ; Vila, R; Petrossian, G; McCall, RA; Reddy, KS (1976). "Xanthogranulomatous cholecystitis. Report of two cases". Journal of the South Carolina Medical Association. 72 (3): 78–9. PMID 1063276.
- ^ Donovan, J. M. (1999). "Physical and metabolic factors in gallstone pathogenesis". Gastroenterology Clinics of North America. 28 (1): 75–97. doi:10.1016/s0889-8553(05)70044-3. PMID 10198779.
- ^ a b Stinton LM, Shaffer EA (2012). "Epidemiology of gallbladder disease: cholelithiasis and cancer". Gut Liver. 6 (2): 172–87. doi:10.5009/gnl.2012.6.2.172. PMC 3343155. PMID 22570746.
- ^ Strom, B. L.; Tamragouri, R. N.; Morse, M. L.; Lazar, E. L.; West, S. L.; Stolley, P. D.; Jones, J. K. (1986). "Oral contraceptives and other risk factors for gallbladder disease". Clinical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39 (3): 335–41. doi:10.1038/clpt.1986.49. PMID 3948473.
- ^ Kay, C. R. (1984). "The Royal College of General Practitioners' Oral Contraception Study: Some recent observations". Clinics in Obstetrics and Gynaecology. 11 (3): 759–86. PMID 6509858.
- ^ Thijs C, Knipschild P (1993). "Oral contraceptives and the risk of gallbladder disease: a meta-analysis". Am J Public Health. 83 (8): 1113–20. doi:10.2105/ajph.83.8.1113. PMC 1695167. PMID 8342719.
- ^ Etminan M, Delaney JA, Bressler B, Brophy JM (2011). "Oral contraceptives and the risk of gallbladder disease: a comparative safety study". CMAJ. 183 (8): 899–904. doi:10.1503/cmaj.110161. PMC 3091897. PMID 21502354.
- ^ Diehl, A. K. (March 1991). "Epidemiology and natural history of gallstone disease". Gastroenterology Clinics of North America. 20 (1): 1–19. ISSN 0889-8553. PMID 2022415.
- ^ Uhler, M. L.; Marks, J. W.; Judd, H. L. (May 2000). "Estrogen replacement therapy and gallbladder disease in postmenopausal women". Menopause. 7 (3): 162–167. doi:10.1097/00042192-200007030-00006. ISSN 1072-3714. PMID 10810961.
- ^ Simon, J. A.; Hunninghake, D. B.; Agarwal, S. K.; Lin, F.; Cauley, J. A.; Ireland, C. C.; Pickar, J. H. (2001-10-02). "Effect of estrogen plus progestin on risk for biliary tract surgery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The Heart and Estrogen/progestin Replacement Study".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35 (7): 493–501. doi:10.7326/0003-4819-135-7-200110020-00008. ISSN 0003-4819. PMID 11578152.
- ^ Cirillo, Dominic J.; Wallace, Robert B.; Rodabough, Rebecca J.; Greenland, Philip; LaCroix, Andrea Z.; Limacher, Marian C.; Larson, Joseph C. (2005-01-19). "Effect of estrogen therapy on gallbladder disease" (PDF). JAMA. 293 (3): 330–339. doi:10.1001/jama.293.3.330. ISSN 1538-3598. PMID 15657326.
- ^ Grodstein, F; Colditz, G. A.; Hunter, D. J.; Manson, J. E.; Willett, W. C.; Stampfer, M. J. (1994). "A prospective study of symptomatic gallstones in women: Relation with oral contraceptives and other risk factors". Obstetrics and Gynecology. 84 (2): 207–14. PMID 8041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