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

Large intestine
대장
Colon illustration lg.jpg
복부 앞, 대장을 보여주고 소장은 회색입니다.
Gray1223.png
복부 앞부분, (빨간색)과 위와 대장(파란색)의 표면 표시를 나타냅니다.대장은 거꾸로 된 U와 같다.
세부 사항
일부위장관
시스템.소화기 계통
동맥장간막상동맥, 장간막하동맥장골상동맥
정맥상·하장간막정맥
림프하장간막림프절
식별자
라틴어결장 또는 창자 쇄골
메쉬D007420
TA98A05.7.01.001
TA22963
FMA7201
해부학 용어

대장으로도 알려진 대장네발 동물에서 위장관소화기관의 마지막 부분입니다.여기서 물을 흡수하고 남은 노폐물을 대변으로 직장에 저장해 [1]배변으로 배출한다.대장은 대장에서 가장 긴 부분이고, 이 용어들은 종종 서로 바꿔서 사용되지만, 대부분의 정보원은 대장을 맹장, 대장, 직장,[1][2][3] 항문관의 결합으로 정의합니다.몇몇 다른 원천들은 항문관을 [4][5][6]제외한다.

인간의 경우, 대장은 골반오른쪽 장골 부위에서 시작되며, 허리 바로 아래 또는 여기서 장골판을 통해 맹장의 끝과 결합됩니다.그리고 나서 대장복부를 올라가고, 횡결장으로서 복강 폭을 가로지르고, 그리고 나서 직장과 항문관[7]끝점까지 내려갑니다.전반적으로, 인간의 대장은 약 1.5미터(5피트) 길이로, 이는 인간 소화관 [8]전체 길이의 약 5분의 1에 해당한다.

구조.

대장의 삽화입니다.

대장의 결장소화기관의 마지막 부분입니다.하우스트라라고 [9]불리는 일련의 주머니로 인해 분할된 모양을 하고 있다.고형 노폐물이 체내에서 제거되기 전에 염분추출하여 장내 미생물에 의한 미흡수물질의 발효가 일어나는 장소입니다.소장과 달리 대장은 음식이나 영양소의 흡수에 큰 역할을 하지 않는다.약 1.5리터 또는 45온스의 물이 매일 [10]대장에 도착합니다.

대장에서 가장 긴 부위로 성인 인간의 평균 길이는 남성의 경우 65인치 또는 166cm(80~313cm), 여성의 [11]경우 61인치 또는 155cm(80~214cm)이다.

섹션

결장 단면 내경

포유동물에서 대장은 맹장, 대장, 직장, [1]항문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장의 네 부분은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S자결장입니다.이러한 섹션은 원통형 굴곡으로 회전합니다.

결장의 일부분은 복강내 또는 후복막에서 그 뒤에 있다.후복막 장기는 일반적으로 복막이 완전히 덮여 있지 않기 때문에 제자리에 고정되어 있습니다.복강 내 장기는 완전히 복막에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움직일 [12]수 있다.대장 중 상행결장, 하행결장 및 직장은 후복막이고 맹장, 충수, 횡결장 및 S자결장은 복강 [13]내이다.이것은 개복 수술과 같이 수술 중에 어떤 장기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지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요하다.

직경 면에서는 맹장이 가장 넓어 건강한 사람의 평균은 9cm 미만이고, 횡결장은 평균 [14]직경이 6cm 미만이다.하강 결장과 S자 결장은 지름이 [14][15]평균 4-5cm(1.6-2.0인치)로 약간 작다.각 결장 섹션의 특정 임계값보다 큰 직경은 메가콜론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대장 컴퓨터 단층촬영에서 생성된 3D 파일

맹장 및 맹장

맹장은 대장의 첫 번째 부분으로 소화에 관여하는 반면, 발생학적으로 발달하는 맹장은 소화에 관여하지 않고 내장과 관련된 림프조직의 일부로 간주됩니다.맹장의 기능은 확실하지 않지만, 일부 출처는 그것이 내장 미생물군의 샘플을 저장하는 역할을 하고 면역 반응 과정에서 고갈되면 대장에 미생물군을 다시 채우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믿고 있습니다.맹장은 또한 높은 농도의 림프세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행결장

상행결장은 대장의 네 가지 주요 부분 중 첫 번째 부분이에요.그것은 맹장이라고 불리는 장의 일부에 의해 소장과 연결되어 있다.상행 결장은 복강을 통해 약 8인치(20cm) 동안 횡결장을 향해 위쪽으로 흐릅니다.

대장의 주요 기능 중 하나는 노폐물에서 물과 다른 주요 영양소를 제거하고 재활용하는 것이다.노폐물이 회장 판막을 통해 소장을 빠져나가면 맹장으로 이동한 다음 이 추출 과정이 시작되는 상승 결장으로 이동합니다.폐자재는 연동막에 의해 횡결장을 향해 위쪽으로 펌핑됩니다.상행결장은 때때로 게라크 판막을 통해 충수에 부착된다.반추동물에서 상승결장은 나선결장으로 [16][17][18]알려져 있다.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대장암이 가장 자주 발생한다(41%)[19]

횡결장

횡결장은 간 굽힘(간에 의한 대장 회전)에서 비장에 의한 굽힘(비장에 의한 대장 회전)으로 알려진 간 굽힘(간에 의한 대장 회전)까지 결장의 일부입니다.횡결장은 에서 떨어져 나가며, 대오멘텀이라고 불리는 복막의 큰 주름에 의해 부착됩니다.후면에서, 횡결장은 횡간간막으로 알려진 장간막으로 후복벽과 연결되어 있다.

횡결장은 복막에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이동성이 있습니다(전후의 결장 부분과는 다릅니다).

횡결장의 근위부 2/3는 상간막동맥(SMA)의 분기인 중간결장동맥에 의해 관류되고, 후자는 하간막동맥(IMA)의 가지에 의해 공급된다. 두 혈액 공급 사이의 "물 빠진" 영역은 중간구와 뒷구트 사이의 배아학적 분열을 나타내며 허혈에 민감한 영역입니다.

내림차순대장

하강 결장은 비장 굴곡에서 S자 결장의 시작까지의 결장의 일부입니다.소화기 계통의 하강 결장의 기능 중 하나는 직장으로 배출되는 대변을 저장하는 것이다.그것은 사람의 3분의 2에서 후복막이다.다른 하나는 (통상적으로 짧은)[20] 장간막을 가지고 있다.동맥 공급은 좌측 결장동맥을 통해 이루어집니다.하행 결장은 또한 말단 내장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이는 근위 내장보다 위장관을 따라 더 멀리 있기 때문이다.이 지방에는 장내 식물군이 매우 밀집해 있다.

S자 결장

S자형 결장은 대장의 하행결장 이후와 직장 앞의 부분이다.sigmoid라는 이름은 S자형을 의미합니다(sigmoid; cf. sigmoid sinus 참조).S자 결장의 벽은 근육질이고 대장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수축하여 변이 직장으로 이동하게 한다.

S자형 결장은 IMA의 한 가지인 S자형 동맥의 여러 가지 가지(보통 2와 6 사이는 보통 2와 6 사이이다.IMA는 상직장동맥으로 끝납니다.

S자형 내시경 검사는 S자형 결장을 검사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진단 기법입니다.

직장

직장은 대장의 마지막 부분이다.배변을 통해 배변을 기다리는 동안 형성된 대변을 보관합니다.그것의 길이는 [21]약 12cm입니다.

외모

맹장 – 대장의 첫 번째 부분

  • 대장균 – 평활근의 세 가지 띠
  • Haustra – 대장균의 수축으로 인해 부풀어 오른다.
  • 상피 부속품– 내장 지방 축적량이 적음

태아성 대장균은 대장의 길이를 달린다.대장균은 대장 자체보다 길이가 짧기 때문에 대장이 낭상되어 선반 모양의 장내 [22]돌기인 대장의 하스트라를 형성한다.

혈액 공급

대장에 대한 동맥 공급은 상부 장간막 동맥(SMA)과 하부 장간막 동맥(IMA)의 분기에서 나옵니다.이 두 시스템 사이의 흐름은 전체 길이 동안 대장과 평행하게 이어지는 대장의 주변 동맥을 통해 통신합니다.역사적으로 리올란 호 또는 굽이치는 장간막 동맥(모스코위츠의)으로 다양하게 식별되는 구조는 근위부 SMA를 근위부 IMA에 연결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이 가변적으로 존재하는 구조는 어느 한 쪽의 혈관이 막힐 경우 중요하다.그러나 문헌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리뷰는 이 선박의 존재에 의문을 제기하며 일부 전문가들은 미래의 의학 [23]문헌에서 이 용어들을 폐지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정맥 배수는 보통 대장 동맥 공급을 반사하며, 하부 장간막 정맥비장정맥으로 배출되고, 상부 장간막 정맥은 비장정맥과 합류하여 으로 들어가는 간문맥을 형성합니다.

림프배수

상행결장 및 횡결장의 근위부 2/3에서 림프배출회백림프절상장간막림프절에 대한 이며, 이들 림프절은 시스테라 [24]키릴리로 배수된다.횡결장의 말단, 하행결장, S상결장 및 상직장의 림프는 하장간막 및 대장 림프절로 [24]유출됩니다.펙틴산염 라인 위의 항문관으로 가는 하부 직장은 내부 회장 [25]결절로 배수됩니다.펙틴선 아래의 항문관은 표면적인 사타구니 [25]결절로 배수된다.펙티네이트 라인은 이 전이를 대략적으로 나타낼 뿐입니다.

신경 공급

교감공급: 장간막신경절상하부교감공급: 미주신경 및 골반신경

발전

내배엽, 중배엽, 외배엽은 위배라고 불리는 과정에서 발달하는 배아층이다.위 조절은 인간의 발달 초기에 일어난다.위장관은 이러한 [26]층에서 유래한다.

변화

대장의 정상적인 구조에 대한 한 가지 변형은 추가적인 고리가 형성될 때 발생하며, 결과적으로 대장은 정상보다 최대 5미터 더 길어집니다.용장결장이라고 불리는 이 상태는 일반적으로 직접적인 건강상 큰 영향은 없지만, 드물게 발생하므로 폐색을 초래하고 즉각적인 의학적 [27][28]치료가 필요하다.중요한 간접적 건강상의 결과는 표준 성인 대장경을 사용하는 것이 어렵고 중복 결장이 있는 경우에는 불가능하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기기에 특수화된 변형(소아 변종 포함)은 이 [29]문제를 극복하는 데 유용합니다.

미세해부술

대장암소

4개의 조직 섹션 내에 있는 결장암(장샘)세포가 미토콘드리아 단백질 시토크롬c산화효소 서브유닛I(CCOI)를 생성하면 세포는 갈색-오렌지색을 띠도록 염색되고 세포핵헤마톡실린으로 푸른 회색으로 염색된다.패널 A, B를 크립트의 장축에 걸쳐 절단하고 패널 C, D를 크립트의 장축에 평행하게 절단했다.패널 A에서 막대는 100µm를 나타내며 결장상피 내의 크립트 빈도를 추정할 수 있다.패널 B는 단면에 3개의 크립트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 크립트는 CCOI 발현에 불충분한 1개의 세그먼트와 2개의 크립트로 핵분열하는 적어도 1개의 크립트를 오른쪽에 가진다.패널 C는 좌측에 2개의 크립트로 분할되어 있는 크립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패널 D는 2개의 CCOI 결핍 암호와3개의 CCOI 결핍 암호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소규모 클러스터를 나타내고 있습니다(바에는 50µm가 표시됩니다).이미지는 원래 사진 현미경으로 만들어졌지만 패널 A, B, D도 기사에[30] 포함되었고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 License를 통해 삽화가 발행되었습니다.

대장의 벽은 침입이 있는 단순한 주상피로 둘러싸여 있다.그 침입은 장샘 또는 결장암이라고 불린다.

대장암괴는 현미경처럼 두꺼운 시험관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시험관 길이(암괴 내강) 아래에 중앙 구멍이 있습니다.여기에 4개의 조직 단면이 표시되어 있으며, 2개는 무덤의 긴 축을 가로지르고 2개는 긴 축에 평행하게 절단되어 있습니다.이 이미지에서 세포는 시토크롬c산화효소 서브유닛I(CCOI)라고 불리는 미토콘드리아 단백질을 생성하면 갈색-오렌지 색을 나타내기 위해 면역조직화학에 의해 염색되었다.세포핵(암호벽에 늘어선 세포 바깥쪽 가장자리에 위치)은 해마톡실린으로 청회색으로 염색된다.패널 C와 D에서 볼 수 있듯이 크립트의 길이는 약 75에서 약 110셀입니다.베이커 [31]외 연구진은 평균 암호 둘레가 23개 세포라는 것을 발견했다.따라서 여기에 표시된 이미지에 따르면 대장암호당 평균 약 1,725~2,530개의 세포가 존재합니다.소수의 지하실에서 세포 수를 측정한 Nooteboom 등은 [32]대장 지하실당 1,500개에서 4,900개의 세포 범위를 보고했다.세포는 크립트 베이스에서 생성되어 크립트 축을 따라 위쪽으로 이동한 후 며칠 [31]후에 대장 내강으로 흘러 들어갑니다.지하실 [31]바닥에는 5~6개의 줄기세포가 있다.

패널 A의 이미지에서 추정된 바와 같이 대장상피에는 [33]평방 밀리미터 당 약 100개의 대장암괴가 있다.인간결장의 평균 길이는 160.5cm[11], 대장 내부 둘레는 6.2cm이므로 [33]인간결장의 내부 표면 상피 면적은 995cm로 995만개2(1000만개에 육박)의 무덤을 포함한다.

여기에 나와 있는 4개의 조직 부분에서 많은 장샘은 CCOI 유전자에 미토콘드리아 DNA 돌연변이를 가진 세포를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 흰색으로 보이며, 주요 색깔은 핵의 청회색 염색이다.패널 B와 같이 3개의 크립트의 줄기세포 일부가 CCOI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이들 줄기세포에서 발생하는 세포의 40~50%가 크로스컷 영역에서 흰색 세그먼트를 형성한다.

전체적으로 CCOI에 부족한 암호의 비율은 40세 이전에는 1% 미만이었지만, [30]그 이후에는 경과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합니다.여성의 CCOI 결핍 대장암은 80-84세까지 평균적으로 여성의 18%,[30] 남성의 23%에 이른다.

결장의 크립트는 2개의 크립트를 형성하기 위해 크립트가 파열하는 패널 C와 적어도 1개의 크립트가 파열하고 있다고 생각되는 패널 B에서 볼 수 있듯이 핵분열에 의해 재생될 수 있다.CCOI가 부족한 대부분의 암호는 서로 인접한 여러 개의 CCOI가 부족한 암호와 함께 암호(암호 복제) 클러스터 내에 있습니다(패널 [30]D 참조).

점막류

대장에서 발현되는 수많은 단백질 코드 유전자 중 약 150개이며, 일부는 다른 지역의 점막에 특이하며 CEACAM7을 포함한다.[34]

기능.

조직학적 단면.

대장은 소화가 안 되는 물질을 직장으로 보내기 전에 음식에서 물과 흡수 가능한 영양분을 흡수합니다.대장은 티아민, 리보플라빈, 그리고 비타민 K와 같은 대장 박테리아에 의해 만들어진 비타민을 흡수합니다.[35][citation needed][36]또한 대변을 압축하고, 대변을 볼 항문을 통해 배출될 때까지 대변을 직장에 저장합니다.

대장은 또한 K+와 Cl-를 분비한다.낭포성 섬유증에서는 염화물 분비가 증가한다.다양한 영양소의 재활용은 결장에서 이루어진다.예를 들어 탄수화물 발효, 짧은 사슬 지방산,[37][citation needed] 요소 순환 등이 있습니다.

충수에는 소량의 점막 관련 림프조직이 포함되어 있어 맹장이 면역에서 결정되지 않은 역할을 한다.그러나 맹장은 초기 성장과 [38]발달 과정에서 항상성에 중요한 생체아민과 펩타이드 호르몬을 분비하는 내분비세포를 포함하고 있어 태아 생활에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카이름이 이 튜브에 도달했을 때, 대부분의 영양소와 물의 90%가 몸에 흡수되었다.이 시점에서 나트륨, 마그네슘, 염화물같은 일부 전해질은 섭취한 음식의 소화 불가능한 부분뿐만 아니라 남겨진다. (예를 들어, 섭취한 아밀로스의 많은 부분, 지금까지 소화로부터 보호되어 온 녹말, 그리고 용해성 또는 불용성 형태의 대부분 소화 불가능한 탄수화물인 식이 섬유)키임은 대장을 통해 이동하면서, 대부분의 남은 이 제거되는 반면, 키임은 점액박테리아섞여 대변이 됩니다.상행결장은 변의 물질을 액체로 받는다.그리고 나서 대장의 근육은 물기 많은 노폐물을 앞으로 이동시키고 모든 여분의 물을 천천히 흡수하여, 변이 하강하는 [39]대장으로 이동하면서 점차 굳어지게 합니다.

박테리아는 그들 자신의 영양분을 얻기 위해 섬유질의 일부를 분해하고 아세테이트, 프로피온산염, 부틸레이트를 노폐물로 생성하며, 이는 다시 대장의 세포막에 의해 영양분을 [40]공급하기 위해 사용된다.단백질이 없습니다.인간의 경우,[41] 소화되지 않은 탄수화물의 10%가 식단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상대적으로 큰 결장을 가진 다른 유인원과 영장류를 포함한 다른 동물에서는 더 많은 것을 이용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식단에서 식물성 물질의 더 많은 부분을 허용하게 된다.대장은[42] 소화 효소를 생성하지 않습니다. 화학적인 소화는 키임이 대장에 도달하기 전에 소장에서 완료됩니다.결장의 pH는 5.5와 7 사이에서 변화합니다(약산성부터 [43]중성까지).

입석 경사 삼투압

결장에서의 수분 흡수는 일반적으로 투과 삼투압 구배를 거슬러 진행됩니다.입상 경사 삼투압은 장내 삼투압 경사에 반하여 수분을 재흡수하는 것이다.장 내벽을 차지하고 있는 세포는 나트륨 이온을 세포간 공간에 주입하여 세포간 유체의 삼투압성을 높인다.초강장 유체는 더 많은 나트륨 이온이 세포간 [44]유체로 다시 펌프되는 동안, 단단한 접합부와 인접한 세포를 통해 삼투압에 의해 물을 세포간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삼투압을 만듭니다.물은 각각의 개별 단계에서 삼투압 구배를 따라 내려가지만, 전반적으로 물은 보통 나트륨 이온이 세포간 유체로 펌핑되기 때문에 삼투압 구배를 거슬러 이동합니다.이것은 모세혈관의 혈액이 장 내강 내의 액체에 비해 저혈압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대장이 물을 흡수하도록 합니다.

장내 식물군

대장은 곰팡이, 원생동물, 고세균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700종 이상의 박테리아를 보유하고 있다.종의 다양성은 지리적, [45]식단에 따라 다르다.인간의 원위부 내장에 있는 미생물들은 종종 약 100조 개에 달하며 무게가 약 200 그램에 달할 수 있다.대부분 공생하는 미생물 덩어리는 최근에 발견된 가장 최근의 인간의 장기, 즉 잊혀진 [46]장기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대장은 이 지역에 살고 있는 박테리아에 의해 형성된 산물의 일부를 흡수한다.소화되지 않은 다당류(섬유)는 대장 내 세균에 의해 짧은 사슬의 지방산으로 대사되어 수동 확산에 의해 흡수된다.대장에서 분비되는 중탄산염은 이러한 지방산의 [47]형성에 기인하는 증가된 산도를 중화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이 박테리아들은 또한 혈액으로의 흡수를 위해 많은 양의 비타민, 특히 비타민 K와 비오틴을 생산합니다.이 비타민의 공급원은, 일반적으로, 매일의 필요량의 일부만을 제공하지만, 그것은 식이 비타민 섭취가 적을 때 중요한 기여를 합니다.대장 내 박테리아에 의해 형성된 비타민의 흡수에 의존하는 사람은 비타민 생성 종과 의도된 [48]질병을 유발하는 박테리아를 억제하는 항생제로 치료하면 비타민이 부족해질 수 있다.

다른 박테리아 생성물로는 질소와 이산화탄소혼합물인 가스(플랫투스)가 있으며, 소량수소, 메탄, 황화수소가 있다.소화되지 않은 다당류의 세균 발효는 이것들을 생성한다.분변 냄새의 일부는 아미노산 트립토판으로부터 대사되는 인돌 때문이다.정상 균은 맹장과 [citation needed]림프관을 포함한 특정 조직의 발달에도 필수적이다.

그들은 또한 교차반응 항체의 생산에도 관여한다.이들은 면역체계가 정상 균에 대해 생성하는 항체로 관련 병원균에도 효과가 있어 감염이나 침입을 방지합니다.

결장의 가장 일반적인 두 가지 잎은 바실로타박테로이드타이다.이 둘 사이의 비율은 [49]인간 마이크로바이옴 프로젝트에서 보고된 바와 같이 매우 다양한 것으로 보인다.박테로이드대장염과 대장암의 시작과 관련이 있다.비피더스균은 또한 풍부해서 종종 '친근한 박테리아'[50][51]로 묘사된다.

점액층대장균[52]공격으로부터 대장을 보호한다.

임상적 의의

질병

다음은 대장의 가장 흔한 질병 또는 질환입니다.

대장내시경 검사

대장내시경 영상, 비장 굴곡,
정상 점막당신은 그것을 통해 비장을 볼 있다: 검은 부분

대장 내시경 검사는 항문을 통해 CCD 카메라나 광섬유 카메라로 대장 내시경 검사입니다.이는 육안 진단(예: 궤양, 용종)을 제공할 수 있으며 조직검사 또는 의심되는 대장암 병변의 제거 기회를 부여한다.대장내시경 검사를 통해 1밀리미터 이하의 작은 용종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용종이 제거되면, 그것들이 암 전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위해 현미경의 도움을 받아 연구될 수 있다.용종이 암으로 변하는 데는 15년 또는 그 이하가 걸린다.

대장 내시경 검사는 S자형 내시경 검사와 유사합니다. 차이는 각 대장의 어느 부분을 검사할 수 있는지에 따라 달라집니다.대장 내시경 검사를 통해 전체 대장(1200–1500mm 길이)을 검사할 수 있습니다.S자형 내시경 검사는 대장 원위부(약 600mm)의 검사를 가능하게 하는데, 이는 대장 [53][54][55]내시경 암 생존에 대한 이점이 대장 원위부 병변의 검출로 제한되었기 때문에 충분할 수 있다.

S상결장내시경 검사는 분변잠혈검사(FOBT), 분변면역화학검사(FIT), 다표적변DNA검사(Cologuard) 또는 혈액기반검사(Epi Procolon)[56]와 같은 대변기반의 검사와 함께 수행되는 전체 대장내시경 검사 절차로 자주 사용됩니다.이러한 선별된 환자의 약 5%가 대장내시경 검사를 [57]받는다.

컴퓨터 단층촬영(CT) 스캔 또는 핵자기공명(MR) 스캔에서 재구성된 2D 및 3D 영상을 사용하는 가상 대장내시경 검사도 표준이 아니며 진단 능력과 관련하여 아직 조사 중이지만 완전히 비침습적 의료 검사로 가능합니다.또한 가상 대장 내시경 검사에서는 용종/종양 제거 또는 조직 검사와 같은 치료적 조작이나 5mm 미만의 병변을 시각화할 수 없습니다.CT 대장내시경 검사를 통해 성장이나 용종이 검출된 경우에도 표준 대장내시경 검사를 수행해야 합니다.게다가, 의사들은 최근 회장 항문 주머니의 대장 내시경을 지칭하기 위해 주머니 내시경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기타 동물

대장은 거의 항상 회장판막에 의해 소장과 분리되는 네발동물에서만 진정으로 구별된다.그러나 대부분의 척추동물에서, 그것은 항문으로 직접 이어지는 비교적 짧은 구조이지만, 소장보다 눈에 띄게 넓다.비록 맹장이 대부분의 양막장에 존재하지만, 오직 포유류에서만 대장의 나머지 부분이 진정한 [58]결장으로 발달합니다.

어떤 작은 포유동물에서 대장은 다른 네발동물에서와 같이 곧게 서 있지만, 대부분의 포유류 종에서 대장은 상승부와 하강부로 나뉩니다; 뚜렷한 횡대장은 전형적으로 영장류에만 존재합니다.그러나 대장균과 그에 부수되는 하우스트라는 육식동물이나 반추동물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포유류의 직장은 (단조류제외한) 다른 척추동물의 클로아카에서 유래한 것이고, 따라서 이러한 [58]종에서 발견되는 "직장"과 진정으로 상동성이 없다.

생선에는 진정한 대장이 없고 단순히 내장의 소화부 끝과 클로아카를 연결하는 짧은 직장이 있다.상어의 경우, 이것은 소금을 분비하는 직장샘을 포함하고 있어 동물이 바닷물과 삼투압 균형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그 샘은 구조가 다소 맹장(caecum)과 비슷하지만 상동적인 [58]구조는 아니다.

기타 이미지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Public domain 이 기사는 20번째 판의 1177페이지에 있는 공공 영역의 텍스트를 포함합니다. 그레이 아나토미 (1918)

  1. ^ a b c "large intestine". NCI Dictionary of Cancer Terms. National Cancer Institut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11-02-02. Retrieved 2014-03-04.
  2. ^ Kapoor, Vinay Kumar (13 Jul 2011). Gest, Thomas R. (ed.). "Large Intestine Anatomy". Medscape. WebMD LLC. Retrieved 2013-08-20.
  3. ^ Gray, Henry (1918). Gray's Anatomy. Philadelphia: Lea & Febiger.
  4. ^ "large intestine". Mosby's Medical Dictionary (8th ed.). Elsevier. 2009. ISBN 9780323052900.
  5. ^ "intestine". Concise Medical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ISBN 9780199557141.
  6. ^ "large intestine". A Dictionary of Bi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ISBN 9780199204625.
  7. ^ "Large intesti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8-28. Retrieved 2016-07-24.
  8. ^ Drake, R.L.; Vogl, W.; Mitchell, A.W.M. (2010). Gray's Anatomy for Students. Philadelphia: Churchill Livingstone.
  9. ^ Azzouz, Laura; Sharma, Sandeep (2020). "Physiology, Large Intestine". NCBI Bookshelf. PMID 29939634.
  10. ^ David Krogh (2010), Biology: A Guide to the Natural World, Benjamin-Cummings Publishing Company, p. 597, ISBN 978-0-321-61655-5
  11. ^ a b Hounnou G, Destrieux C, Desmé J, Bertrand P, Velut S (2002). "Anatomical study of the length of the human intestine". Surg Radiol Anat. 24 (5): 290–4. doi:10.1007/s00276-002-0057-y. PMID 12497219. S2CID 33366428.
  12. ^ "Peritoneum". Mananatomy.com. 2013-01-1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8-10-08. Retrieved 2013-02-07.
  13. ^ "Untitled".
  14. ^ a b Horton, K. M.; Corl, F. M.; Fishman, E. K. (March 2000). "CT evaluation of the colon: inflammatory disease". Radiographics. 20 (2): 399–418. doi:10.1148/radiographics.20.2.g00mc15399. ISSN 0271-5333. PMID 10715339.
  15. ^ Rossini, Francesco Paolo (1975), "The normal colon", in Rossini, Francesco Paolo (ed.), Atlas of coloscopy, Springer New York, pp. 46–55, doi:10.1007/978-1-4615-9650-9_12, ISBN 9781461596509
  16. ^ Medical dictionary
  17. ^ Spiral colon and caecu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03-04, retrieved 2014-04-02
  18. ^ "Answers – The Most Trusted Place for Answering Life's Questions". Answers.com.
  19. ^ Siegel RL, Miller KD, Fedewa SA, Ahnen DJ, Meester RG, Barzi A, Jemal A (March 1, 2017). "Colorectal cancer statistics, 2017". CA Cancer J. Clin. 67 (3): 177–193. doi:10.3322/caac.21395. PMID 28248415.
  20. ^ Smithivas, T.; Hyams, P. J.; Rahal, J. J. (1971-12-01). "Gentamicin and ampicillin in human bile". The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124 Suppl: S106–108. doi:10.1093/infdis/124.supplement_1.s106. ISSN 0022-1899. PMID 5126238.
  21. ^ "Anatomy of Colon and Rectum SEER Training". training.seer.cancer.gov. Retrieved 2021-04-14.
  22. ^ Omar Faiz와 David Moffat의 해부학 개요
  23. ^ Lange, Johan F.; Komen, Niels; Akkerman, Germaine; Nout, Erik; Horstmanshoff, Herman; Schlesinger, Frans; Bonjer, Jaap; Kleinrensink, Gerrit-Jan (June 2007). "Riolan's arch: confusing, misnomer, and obsolete. A literature survey of the connection(s) between the superior and inferior mesenteric arteries". Am J Surg. 193 (6): 742–748. doi:10.1016/j.amjsurg.2006.10.022. PMID 17512289.
  24. ^ a b Snell, Richard S. (1992). Clinical Anatomy for Medical Students (4 ed.). Boston: Little, Brown, and Company. pp. 53–54.
  25. ^ a b Le, Tao; et al. (2014). First Aid for the USMLE Step 1. McGraw-Hill Education. p. 196.
  26. ^ Wilson, Danielle J.; Bordoni, Bruno (2022), "Embryology, Bowel", StatPearls,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PMID 31424831, retrieved 2022-05-27
  27. ^ Mayo Clinic Staff (2006-10-13). "Redundant colon: A health concern?". Ask a Digestive System Specialist. MayoClinic.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09-29. Retrieved 2007-06-11.
  28. ^ Mayo Clinic Staff. "Redundant colon: A health concern? (Above with active image links)". riversideonline.com. Retrieved 8 November 2013.
  29. ^ Lichtenstein, Gary R.; Peter D. Park; William B. Long; Gregory G. Ginsberg; Michael L. Kochman (18 August 1998). "Use of a Push Enteroscope Improves Ability to Perform Total Colonoscopy in Previously Unsuccessful Attempts at Colonoscopy in Adult Patients". The Americ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94 (1): 187–90. doi:10.1111/j.1572-0241.1999.00794.x. PMID 9934753. S2CID 24536782. 주의: Wikipedia 콘텐츠의 충실화를 목적으로 Blackwell Publishing이 제공하는 PDF 카피는 1회용입니다.
  30. ^ a b c d Bernstein C, Facista A, Nguyen H, Zaitlin B, Hassounah N, Loustaunau C, Payne CM, Banerjee B, Goldschmid S, Tsikitis VL, Krouse R, Bernstein H (2010). "Cancer and age related colonic crypt deficiencies in cytochrome c oxidase I". World J Gastrointest Oncol. 2 (12): 429–42. doi:10.4251/wjgo.v2.i12.429. PMC 3011097. PMID 21191537.
  31. ^ a b c Baker AM, Cereser B, Melton S, Fletcher AG, Rodriguez-Justo M, Tadrous PJ, Humphries A, Elia G, McDonald SA, Wright NA, Simons BD, Jansen M, Graham TA (2014). "Quantification of crypt and stem cell evolution in the normal and neoplastic human colon". Cell Rep. 8 (4): 940–7. doi:10.1016/j.celrep.2014.07.019. PMC 4471679. PMID 25127143.
  32. ^ Nooteboom M, Johnson R, Taylor RW, Wright NA, Lightowlers RN, Kirkwood TB, Mathers JC, Turnbull DM, Greaves LC (2010). "Age-associated mitochondrial DNA mutations lead to small but significant changes in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in human colonic crypts". Aging Cell. 9 (1): 96–9. doi:10.1111/j.1474-9726.2009.00531.x. PMC 2816353. PMID 19878146.
  33. ^ a b Nguyen H, Loustaunau C, Facista A, Ramsey L, Hassounah N, Taylor H, Krouse R, Payne CM, Tsikitis VL, Goldschmid S, Banerjee B, Perini RF, Bernstein C (2010). "Deficient Pms2, ERCC1, Ku86, CcOI in field defects during progression to colon cancer". J Vis Exp (41). doi:10.3791/1931. PMC 3149991. PMID 20689513.
  34. ^ Gremel, Gabriela; Wanders, Alkwin; Cedernaes, Jonathan; Fagerberg, Linn; Hallström, Björn; Edlund, Karolina; Sjöstedt, Evelina; Uhlén, Mathias; Pontén, Fredrik (2015-01-01). "The human gastrointestinal tract-specific transcriptome and proteome as defined by RNA sequencing and antibody-based profiling". Journal of Gastroenterology. 50 (1): 46–57. doi:10.1007/s00535-014-0958-7. ISSN 0944-1174. PMID 24789573. S2CID 21302849.
  35. ^ Sellers, Rani S.; Morton, Daniel (2014). "The Colon: From Banal to Brilliant". Toxicologic Pathology. 42 (1): 67–81. doi:10.1177/0192623313505930. ISSN 0192-6233. PMID 24129758. S2CID 20465985 – via Web of Science.
  36. ^ Booth, Sarah (April 2012). "Vitamin K: Food Consumption and Dietary Intakes". Food Nutrition Research. 56.
  37. ^ "The Large Intestine (Human)". News-Medical.net. 2009-11-17. Retrieved 2017-03-15.
  38. ^ Martin, Loren G. (1999-10-21). "What is the function of the human appendix? Did it once have a purpose that has since been lost?". Scientific American. Retrieved 2014-03-03.
  39. ^ La funcion de la hidroterapia de colon 2010-01-21 회수
  40. ^ Terry L. Miller; Meyer J. Wolin (1996). "Pathways of Acetate, Propionate, and Butyrate Formation by the Human Fecal Microbial Flora".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62 (5): 1589–1592. Bibcode:1996ApEnM..62.1589M. doi:10.1128/AEM.62.5.1589-1592.1996. PMC 167932. PMID 8633856.
  41. ^ McNeil, NI (1984). "The contribution of the large intestine to energy supplies in man".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39 (2): 338–342. doi:10.1093/ajcn/39.2.338. PMID 6320630.
  42. ^ lorriben (2016-07-09). "What Side is Your Appendix Located – Maglenia". Maglen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10-09. Retrieved 2016-10-23.
  43. ^ 2010년 1월 21일 회수된 웨이백 머신에서 2013-11-05 대장기능 아카이브
  44. ^ "Absorption of Water and Electrolytes".
  45. ^ Yatsunenko, Tanya; et al. (2012). "Human gut microbiome viewed across age and geography". Nature. 486 (7402): 222–227. Bibcode:2012Natur.486..222Y. doi:10.1038/nature11053. PMC 3376388. PMID 22699611.
  46. ^ O'Hara, Ann M.; Shanahan, Fergus (2006). "The gut flora as a forgotten organ". EMBO Reports. 7 (7): 688–693. doi:10.1038/sj.embor.7400731. PMC 1500832. PMID 16819463.
  47. ^ den Besten, Gijs; van Eunen, Karen; Groen, Albert K.; Venema, Koen; Reijngoud, Dirk-Jan; Bakker, Barbara M. (2013-09-01). "The role of short-chain fatty acids in the interplay between diet, gut microbiota, and host energy metabolism". Journal of Lipid Research. 54 (9): 2325–2340. doi:10.1194/jlr.R036012. ISSN 0022-2275. PMC 3735932. PMID 23821742.
  48. ^ Murdoch, Travis B.; Detsky, Allan S. (2012-12-01). "Time to Recognize Our Fellow Travellers".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7 (12): 1704–1706. doi:10.1007/s11606-012-2105-6. ISSN 0884-8734. PMC 3509308. PMID 22588826.
  49. ^ Human Microbiome Project Consortium (Jun 14, 2012). "Structure, function and diversity of the healthy human microbiome". Nature. 486 (7402): 207–214. Bibcode:2012Natur.486..207T. doi:10.1038/nature11234. PMC 3564958. PMID 22699609.
  50. ^ Bloom, Seth M.; Bijanki, Vinieth N.; Nava, Gerardo M.; Sun, Lulu; Malvin, Nicole P.; Donermeyer, David L.; Dunne, W. Michael; Allen, Paul M.; Stappenbeck, Thaddeus S. (2011-05-19). "Commensal Bacteroides species induce colitis in host-genotype-specific fashion in a mouse model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Cell Host & Microbe. 9 (5): 390–403. doi:10.1016/j.chom.2011.04.009. ISSN 1931-3128. PMC 3241010. PMID 21575910.
  51. ^ Bottacini, Francesca; Ventura, Marco; van Sinderen, Douwe; O'Connell Motherway, Mary (2014-08-29). "Diversity, ecology and intestinal function of bifidobacteria". Microbial Cell Factories. 13 (Suppl 1): S4. doi:10.1186/1475-2859-13-S1-S4. ISSN 1475-2859. PMC 4155821. PMID 25186128.
  52. ^ Johansson, Malin E.V.; Sjövall, Henrik; Hansson, Gunnar C. (2013-06-01). "The gastrointestinal mucus system in health and disease". Nature Reviews.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10 (6): 352–361. doi:10.1038/nrgastro.2013.35. ISSN 1759-5045. PMC 3758667. PMID 23478383.
  53. ^ Baxter NN, Goldwasser MA, Paszat LF, Saskin R, Urbach DR, Rabeneck L (January 2009). "Association of colonoscopy and death from colorectal cancer". Ann. Intern. Med. 150 (1): 1–8. doi:10.7326/0003-4819-150-1-200901060-00306. PMID 19075198. 2012-01-18 PDF로 Wayback Machine에 보관
  54. ^ Singh H, Nugent Z, Mahmud SM, Demers AA, Bernstein CN (March 2010). "Surgical resection of hepatic metastases from colorectal cancer: a systematic review of published studies". Am J Gastroenterol. 105 (3): 663–673. doi:10.1038/ajg.2009.650. PMID 19904239. S2CID 11145247.
  55. ^ Brenner H, Hoffmeister M, Arndt V, Stegmaier C, Alterhofen L, Haug U (January 2010). "Protection from right- and left-sided colorectal neoplasms after colonoscopy: population-based study". J Natl Cancer Inst. 102 (2): 89–95. doi:10.1093/jnci/djp436. PMID 20042716. S2CID 1887714.
  56. ^ Tepus, M; Yau, TO (20 May 2020). "Non-Invasive Colorectal Cancer Screening: An Overview". Gastrointestinal Tumors. 7 (3): 62–73. doi:10.1159/000507701. PMC 7445682. PMID 32903904.
  57. ^ Atkin WS, Edwards R, Kralj-Hans I, et al. (May 2010). "Once-only flexible sigmoidoscopy screening in prevention of colorectal cancer: a multicentre randomised controlled trial". Lancet. 375 (9726): 1624–33. doi:10.1016/S0140-6736(10)60551-X. PMID 20430429. S2CID 15194212. 2012-03-24 PDF로 Wayback Machine에 보관
  58. ^ a b c Romer, Alfred Sherwood; Parsons, Thomas S. (1977). The Vertebrate Body. Philadelphia, PA: Holt-Saunders International. pp. 351–354. ISBN 978-0-03-910284-5.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