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체코 장군
General Pacheco![]() |
파체코 장군 | |
---|---|
도시 | |
부에노스아이레스의 위치 | |
좌표:34°27˚S 화씨 58°39°/34.450°S 58.650°W좌표: 34°27′S 58°39′W / 34.450°S 58.650°W/ | |
나라 | ![]() |
주 | ![]() |
파르티도 | 티그레 |
설립됨 | 약 1880년 |
표고 | 11m(36ft) |
인구 | |
• 합계 | 43,287 |
CPA 베이스 | B 1617년 |
지역 번호 | +54 11 |
파체코 장군은 아르헨티나 그레이터 부에노스아이레스의 도시 밀집 지역 티그레 파르티도에 있는 도시다.티그레 내부의 사단의 입장은 파르티도 내부의 중요성에 상당 부분 요약된다.가장 최근의 인구조사(2001년)에 따르면 파체코의 인구는 4만3287명으로 파르티도의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가 되었다.부에노스아이레스 시내에서 북쪽으로 38km 떨어진 교외지역으로 팬아메리칸 하이웨이에서 불과 몇 블록 떨어진 곳에 있다.[1]
이코노미
이 지역에는 포드 자동차 아르헨티나, 폭스바겐 플러스 크래프트 푸드 등 중요한 자동차 조립 공장이 있다.게다가 테크힌트 그룹은 그곳에 산업 공장을 가지고 있다.입주 공장은 161개소로 총 7,135명이 근무하고 있다.[2]
라디오디푸시온 아르헨티나 알 아웃사이더의 단파송신기는 파체코 장군에 위치해 있으며 전 세계에서 들을 수 있다.
자동차 산업
파체코 장군은 포드 자동차 아르헨티나와 폭스바겐의 본거지다.아르헨티나의 조립 부문에는 CIADEA, Sevel, General Motors, FIAT, 토요타, 오토라티나와 함께 이 두 가지가 포함된다.[3]오톨라티나는 세벨, CIADEA에 이어 아르헨티나에서 세 번째로 큰 작가 프로듀서다.[4]이 부문은 400개의 기업과 35,700명의 종업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GDP에 기여하는 기여도는 업계 생산량의 16%를 차지한다.[3]
포드 팔콘 공장은 1965년 파체코 장군의 아르헨티나에서 생산되었다.[5]포드는 1961년부터 1991년까지 포드 팔콘을 생산했다.[4]일단 아르헨티나에 파체코 스탬핑과 조립이 설립되고 토착적인 제도적 장치를 수정함으로써 아르헨티나는 곧 전국 13위의 자동차 수출국이 되었다.[5][3]이러한 큰 산업은 보통 인식되지 않는 인구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인식되지 않는 이 인구는 또한 산업을 위해 대부분의 일을 하는 인구다.[6]포드는 90%가 고등학교 교육을 받았고 3분의 1만이 대학 학위를 가진 노동력을 고용했다.이와 같은 식물은 산업 경험이 적은 젊고 교육받은 노동자에게 의존한다.[4]노동자들은 자동차 산업에 앞서 농업에 종사하다가 23세 전후에 자동차 산업에 들어온다.[4]거대한 산업을 구축할 때 한 도시의 인구는 말할 것도 없고, 조립 분야의 발전을 목적으로 하는 정책들이 국가의 사회 구조보다 더 중요하다.[3]학교와 훈련의 조합이 자동차를 계속 생산하기 위해 공장 운영의 중심이 되었다.[4]
오토라티나가 제공한 정보에 따르면 이들 공장 근로자의 49%가 초등학교를 수료했으며 19%가 중등학교를 수료했으며 6%만이 대학교 학위를 소지하고 있다.[4]학교 입지와 많은 수의 교육받은 노동자들이 자동차 산업의 지리적인 조직을 규정하는 새로운 요소가 된다.예를 들어 헨리 포드 기술학교는 파체코 제너럴 파체코에 위치해 있으며 자동차 산업에 대비하기 위해 우수한 기술력을 가진 학생들을 교육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아르헨티나 자동차 산업은 경쟁력 면에서는 자원이 부족하지만, 변속기 생산에서는 세계적인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고 있다.[4]
식품공업
크래프트 푸드 아르헨티나(KFTA)의 주 생산 공장은 파체코 장군에 있다.[1]2009년, H1N1 인플루엔자 대유행 사건이 있었는데, 이는 3월말 멕시코에서 시작되어 같은 해 아르헨티나로 진출했다.이번 발병은 회사의 노동자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1]150명의 근로자가 해고돼 2009년 아르헨티나에서 가장 두드러진 노사갈등이 됐다.이로 인해 범아메리카 고속도로에 피켓이 걸렸다.근로자들은 독감을 피하기 위해 70%의 임금 인상을 요구했고, 1개월의 유급휴가를 요청했다.이 두 가지 요청은 모두 회사에서 거절당했다.[1]경영진은 노동자들이 향후 단체교섭에서 이익을 얻는 것을 막기를 원했다.40명의 노동자들이 경찰의 폭력적인 퇴거를 경험했다.
수천 명의 임금노동자들이 고용관계의 지배로 인한 실업과 생계위협에 직면해 있다.[2]그래서 노동자들이 모여 진보적인 집단행동을 얻어내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사회운동을 일으킨다.식품공장 간 새로운 사회적 가치와 새로운 조직 형태, 새로운 형태의 동원방식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그러나 이는 시장의 역동성과 생산 영역에 의해 부과되는 한계 때문에 어려울 수 있다.[2]대부분의 경우, 이는 노동자의 집단 내에서 업무의 분배를 허용하고 소득의 균등한 분배를 허용하는 자기 관리로 이어진다.노동자들이 솔선수범하지 않는 기업들 사이에서는 이런 개인 발전의 기회가 보이지 않는다.[2]대부분의 경우 노동자들은 단순히 타협할 수밖에 없고 그들의 필요와 이해관계가 인식되지 않게 된다.한 산업의 성과와 성공을 결정할 때 사회 조직은 필수적이다.[3]
참조
- ^ a b c d Llorente, Luchi, Sioli, Ariel, Roberto, Alejandro (2013). "Kraft Foods' 2009 Conflict in Argentina: Turning-Point Analysis of a Labor-Management Negotiation".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Conflict Management and Wiley Periodicals, Inc. 6 (3): 214–237. doi:10.1111/ncmr.12012.
{{cite journal}}
: CS1 maint : 복수이름 : 작성자 목록(링크) - ^ a b c d Atzeni and Ghigliani, Maurizio and Pablo (2007). "Labour process and decision-making in factories under workers' self-management: empirical evidence from Argentina" (PDF). Work, Employment and Society. 21 (4): 653–671. doi:10.1177/0950017007082875. S2CID 54545669 – via SAGE Publications.
- ^ a b c d e Biggart and Guillén, Nicole and Mauro (October 1999). "Developing Difference: Social Organization and the Rise of the Auto Industries of South Korea, Taiwan and Argentina".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4: 722–747. doi:10.2307/2657373. JSTOR 2657373.
- ^ a b c d e f g Shaiken, Harley (March 1995). "Technology and Work Organization in Latin American Motor Vehicle Industries". Economic Commission for Latin America and Caribbean.
- ^ a b Catalan, Jordi (27 April 2010). "Strategic policy revisited: The origins of mass production in the motor industry of Argentina, Korea and Spain, 1945-87". Business History. 52 (2): 207–230. doi:10.1080/00076791003611863. S2CID 153752180.
- ^ Robert, Karen (2005). "The Falcon Remembered". NACLA Report on the Americas. 39 (3): 12–15. doi:10.1080/10714839.2005.11722347. S2CID 164893628.
외부 링크
- 도시 정보:아르헨티나 내무부, 시정부 사무국(IFAM), 시정부 사무국.(스페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