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르마니아(도시)
Germania (city)좌표: 52°31′00″N 13°23′20″E / 52.51667°N 13.3889°E
베를린의 역사 |
---|
![]() |
브란덴부르크의 마르그라비테 (1157–1806) |
프로이센 왕국 (1701–1918) |
독일 제국 (1871–1918) |
프로이센 자유 주 (1918–1947) |
바이마르 공화국 (1919–1933) |
나치 독일 (1933–1945) |
서독과 동독(1945~1990) |
|
독일 연방 공화국 (1990–현재) |
참고 항목 |
게르마니아(Germania, [ɡɛʁmamaːni̯a]로 발음됨)는 나치 시대 독일 수도 베를린의 예상 갱신으로, 제2차 세계대전의 계획적인 승리 이후 나치 독일의 미래에 대한 아돌프 히틀러의 비전의 일부였다. "제3제국의 최초 건축가"인 알버트 스피어는 이 프로젝트의 감독자로서 재건된 도시를 위한 많은 계획들을 생산했는데, 그 중 극히 일부만이 건설이 이루어진 1938년에서 1943년 사이에 실현되었다.
샬롯텐버거 차우스제(오늘날의 스트라제 데스 17)를 넓히는 것을 포함한 동서양 대도시 축의 조성 등 일부 사업이 완료되었다. 주니) 그리고 베를린 승리 칼럼을 원래 서 있던 라이히스타그에서 멀리 떨어진 중앙에 배치했다. 그러나 그로세 할레(위대한 홀)의 창설과 같은 다른 것들은 전쟁의 시작 때문에 보류되어야 했다. 그러나 많은 건설 예정 지역의 많은 오래된 건물들은 전쟁 전에 철거되었고, 결국 패배로 인해 계획이 중단되었다.
이름
베를린을 재건하여 그가 창조하는 데 도움이 될 새로운 세계의 수도로 만들 것을 구상하고, 그것에 새로운 이름인 '게르마니아'[1]를 제공한 사람은 아돌프 히틀러였다. 히틀러의 1942년 6월 8일 '탁상토크'에 관한 기록에 따르면, 히틀러의 개명 목적은 신질서의 대게르만 제국에게 다음과 같은 분명한 중심점을 주기 위한 것이었다.
바이에른인들과 프러시아인들이 독일 사상의 비스마르크에 감명을 받아야 했던 것처럼, 대륙 유럽의 게르만족들도 게르만족 개념을 프로그래밍적으로 지향해야 한다. 그는 심지어 제국의 수도 베를린을 '게르마니아'로 개칭함으로써 우리가 이 과제에 상당한 추진력을 부여할 것이라고 좋게 생각한다. 게르마니아의 수도는 게르마니아라는 이름이 매우 적절할 것이다. 왜냐하면 게르만 민족의 핵심에 속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을지에도 불구하고, 이 수도는 통일감을 심어줄 것이기 때문이다.[2]
히틀러는 몇 달 전 이 도시에 대한 자신의 비전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세계 수도 베를린은 고대 이집트, 바빌론, 로마와 비교만 할 수 있을 것이다! 런던이란 무엇인가, 거기에 비하면 파리는 무엇인가![3]
알버트 스피어가 맡긴 베를린 재건 공식 계획은 '제국의 수도 건설 종합 계획'(독일어: Gesamtbauplan für die Reichshauptstadt).

계획
당시는 이 습지가 짙은 베를린 지대가 제안된 프로젝트의 하중을 받아, 승리 아치가 세워졌을 현장 근처에[5] 여전히 존재하는 탐사 건물(슈베르벨라성스코르퍼, 문자 그대로 번역: 무거운 하중을 견디는 몸)[4]을 건설할 수 있었는지에 대한 의구심이 계속 제기되었다. 기본적으로 건축가들이 지면이 얼마나 무거운 무게를 실을 수 있었는지를 시험하기 위해 사용한 콘크리트 블록이다. 계기들은 그 블록이 얼마나 멀리 땅속으로 가라앉았는지를 감시했다. 슈베르벨라성스코르페르가 침몰했다. 3년 동안 18cm(7+1⁄8 인치)를 시험용으로 사용하기로 했는데, 최대 허용 정산은 6cm(2+3⁄8 인치)이었다. 이러한 거창한 장치에 의해 수집된 증거를 사용한다면, 토양이 추가적인 준비 없이 그러한 구조물을 지탱할 수 있었을 것 같지는 않다.[6] 그 위에 다리를 놓아 슈베르벨라성스코르페르를 덮을 계획이었다. 아치는 근처에 있었을 것이지만, 기반 시설을 통해 흐르는 축의 문제 때문에 어떤 편리한 위치도 설정하기가 어려웠을 것이다.[5]
스피어는 마르틴 보르만에게 신교도 및 가톨릭 당국과 접촉했을 때 비난을 받았다. 보르만에 따르면, 교회는 새로운 지역에 건축 부지를 받지 못하게 되어 있었다.[7]
철거
베를린 재건을 위해 길을 터주기 위한 낡은 건물들의 래칭은 1938년 대웅전이 서 있을 알센 지구와 슈페르가 독일외교통상원 건설을 계획했던 티에르가르텐 지구 등 도시 주변 여러 곳에서 시작되었다.T 동-서 축은 건설될 예정이었다. 동서축은 1년 뒤인 1939년 히틀러의 50번째 생일축하 행사에 맞춰 완공되었는데, 이때 스피어스는 히틀러에게 "나의 총통님"이라는 말과 함께 이를 선물했다. 동서축의 완성을 보고하고 싶다. 그 작품이 스스로 대변하기를."[1]
빌드됨
스피어는 새로운 챈슬러리를 디자인했는데, 베르사유 궁전의 거울의 전당보다 두 배 더 길도록 디자인된 광대한 홀이 포함되어 있었다. 히틀러는 비록 그것이 시작되진 않았지만 그가 세번째, 더 큰 챈슬러리를 만들기를 원했다. 두 번째 챈슬러리는 1945년 소련군에 의해 파괴되었다.
스웨덴의 보후스 화강암은 게르마니아에서 건축 재료로 사용되기 위해 수입되었다.[8]
공사가 중단됨
제2차 세계대전이 시작될 무렵 1939년 독일의 폴란드 침공과 함께 공사가 중단되었으나 독일의 확실한 승리 이후 다시 시작되었다. 1940년 프랑스가 패배하고 히틀러가 슈페르와 몇몇 선택된 사람들과 단기간 파리를 방문했을 때, "베를린에게 새로운 얼굴을 주고 싶다"는 총통의 욕망이 되살아나 그의 지휘로 작품이 배가 되었다. 스퍼의 선동으로 히틀러는 다음과 같은 내용의 포고문에 서명했다.
가능한 한 짧은 시간 내에 베를린은 재개발되어야 하고 강력한 새로운 제국의 수도로서 우리의 승리의 위대함을 통해 그에 걸맞은 형태를 획득해야 한다. 지금 이 나라의 가장 중요한 건축과제를 완성하면서 나는 우리의 최종 승리에 가장 중요한 공헌을 본다. 나는 그것이 1950년까지 완성되기를 기대한다. [원문에 수록된 것][1]
그러나 히틀러가 당초 또 다른 전격전으로 보았던 독일군의 소련 침공에 심각한 차질을 빚자 1943년 3월 '게르마니아' 건설이 영구 중단됐다.[1]
구성되지 않음
스플렌더스
베를린으로 계획된 다른 건물들은 거의 하나도 지어지지 않았다. 베를린은 프라크탈리("Avenue/Boulevard of Splendour (s))"라고 알려진 5킬로미터 길이의 중앙 대로를 따라 재편성될 예정이었다. 이것은 브란덴부르크 문과 가까운 동서축의 교차로에서 남쪽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테레르가르텐을 거쳐 템펠호프 공항 바로 서쪽 지역으로 내려가기 전에 옛 시게살리의 진로를 따라 내려갈 것이다. 이 새로운 남북축은 퍼레이드장 역할을 했을 것이고, 교통이 통제되었을 것이다. 대신 차량들은 퍼레이드 경로 바로 아래를 달리는 지하 고속도로로 우회되었을 것이다; 이 고속도로의 터널 구조물의 구간이 건설되었고, 오늘날에도 여전히 존재한다. 스피어가 이 거리 건설에 대비하여 1938년에 티에르가르텐의 다른 지역으로 시게살리를 이전했음에도 불구하고 지상에서는 어떠한 작업도 시작되지 않았다.
이 계획은 또한 계획된 남북축이 옛 안할터 역과 포츠다머 역까지 이어지는 선로를 단절하고 폐쇄를 강요할 것이기 때문에 두 개의 새로운 대형 철도역을 건설할 것을 요구했다. 이 새로운 역들은 이 도시의 주요 훈데코프 지리학 S-Bahn 링 위에 지어질 것이다. S-Bann은 Wedden의 노르반호프와 길의 남쪽 끝에 있는 Tempelhof-Shöneberg에 있는 더 큰 Südbanhof와 함께. 더 이상 기차역으로 사용되지 않는 안할터 반호프는 2차 세계대전 이후 베를린에서 수영장으로 바뀌었을 것이다.
그로저 플라츠
쾨니그스플라츠(현재의 플라츠 데 르푸블리크) 터에 있는 길의 북쪽 끝에는 약 35만 평방미터(380만 평방피트)의 면적을 가진 그로저 플라츠("그랜드 플라자")라고 알려진 대규모 공개 포럼이 열릴 예정이었다. 이 광장은 구 크롤 오페라 하우스의 자리에 총통의 궁전이 서쪽에 있고, 동쪽에 1894년 제리히스타그 건물이 있으며, 남쪽(스플레 가에서 광장 입구 양쪽에 있는 독일군 고위 지휘관)이 있는 가장 웅장한 건물들로 둘러싸여 있을 예정이었다.…의 징조항. 광장의 북쪽에는 슈페르가 새로운 베를린의 중심축인 거대한 돔 건물인 볼크샬레(인민회관)를 히틀러가 직접 설계할 계획이었다. 만약 그것이 지어졌다면, 볼크샬은 여전히 오늘날 세계에서 가장 큰 밀폐된 공간이 될 것이다. 일이 시작되기 전에 전쟁이 일어났지만, 필요한 모든 땅을 획득했고, 공학적 계획도 수립되었다. 이 건물은 높이가 200m(660ft)가 넘고 지름이 250m(820ft)로 세인트 돔보다 16배 이상 컸을 것이다. 베드로 대성당.
트라이얼 아치
길의 남쪽 끝에는 파리의 개선문을 기반으로 한 개선문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다시 말해, 훨씬 더 크다; 그것은 높이가 거의 100미터(330피트)가 될 것이고, 개선문(당시 현존하는 가장 큰 개선문)은 다소 외톨이를 대체하려는 의도로 그 개구부 안에 들어맞았을 것이다.g 이 아치와 관련된 역사, 특히 프랑스의 역사에 관련된 독특한 의식들이 그것과 연결되어 있다.[9] 1945년 소련군이 베를린을 점령한 결과, 이 제안된 '트리엄팔 아치'에 맞추어 소련군 전사자 2천명이 그곳에 묻힌 기념비가 건립되었다. 이 관대하게 비례한 구조 안에 제1차 세계대전의 독일 전사자 180만 명의 이름을 새겨야 한다는 의도였다.[10]
참고 항목
- 파시스트 건축
- 총통 도시 -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다른 도시들이 광범위하게 재건되어야 함
- 글로벌 시티
- 나치 건축
- 노르드스테른(도시)
- 소련 궁전
- 스피어 운트 어
- 스탈린주의 건축
- 전체주의 건축
- 더 운터강
- 볼크샬레 - 대웅전
참조
메모들
- ^ a b c d 프리드리히, 토마스(2012) 히틀러의 베를린: 오용된 도시. 코네티컷 주 뉴 헤이븐: 예일 대학 출판부 370-72쪽 ISBN978-0-300-16670-5
- ^ 힐그루버, 안드라스와 선택기, 헨리(1968) 히틀러 티슈게스프래슈 임 퓨러하우프티어 1941–1942, 페이지 182. 뮌헨
- ^ 조흐만, 베르너(1980) 모놀로게 임 퓨러하우프티에 1941–1944, 페이지 318. 뮌헨
- ^ "Schwerbelastungskörper (Heavy Load-Bearing Body)". www.visitberlin.de. Retrieved 2020-09-25.
- ^ a b "Information place heavy load-bearing body". Informationsort Schwerbelastungkörper. Retrieved 13 January 2019.
- ^ "Hitler's Underground Lair". Cities Of The Underworld. Season 1. Episode 103. May 5, 2007. History Channel. Retrieved January 13, 2019.
- ^ 알버트 스피어(1997년). 제3제국의 내부: 회고록. 뉴욕: 사이먼과 슈스터, 177페이지.
- ^ Schouenborg, Björn; Eliasson, Thomas (2015). The Swedish Bohus granite - a stone with a fascinating history. EGU General Assembly. Vienna, Austria. Bibcode:2015EGUGA..1714883S.
- ^ "Défilé du 14 juillet, des origines à nos jours" [The July 14th Parade, from its origins to nowadays] (in Frenc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23, 2016.
- ^ Housden, Martyn (2000). Hitler: study of a revolutionary?. Taylor & Francis. p. 151. ISBN 978-0-415-16359-0.
참고 문헌 목록
- Speer, Albert (1970). Inside the Third Reich. Translated by Richard Winston; Clara Winston. New York: The Macmillan Company.
추가 읽기
- Moorhouse, Roger (2010). Berlin at War: Life and Death in Hitler's Capital, 1939-1945. Bodley Head. ISBN 9780224080712.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웰토프슈타트 게르마니아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3D 가상 레크리에이션
- 로이터 보도
- 에라틱 연구소 베를린, 게르마니아의 실제 계획과 미디어 표현 양면에서 시뮬레이션 건축과 시물락라의 반복되는 요소에 대한 논의
- 히틀러의 베를린. 프로젝트 게르마니아
- 히틀러의 슈퍼시티 다큐멘터리
- 웰토우프슈타트 게르마니아
- 로저 무어하우스(2012년 3월) "게르마니아: 히틀러의 꿈의 수도" 오늘의 역사
- Ezra Haber-Glenn MIT 도시계획과 "Man in the High Castle"에서 Alt-Berlin의 비전 하이 캐슬 TV 시리즈의 '더 맨'에서 대체 베를린의 오락에 대해.
- 어떻게 히틀러의 미래 독일을 되살렸는지, 카타린 트렌다코스타, 기즈모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