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세페 밀리코

Giuseppe Millico
주세페 밀리코

비토 주세페 밀리코(Il Moscovita,[1] 1737년 1월 19일–1802년 10월 [2]2일)는 18세기 이탈리아의 소프라노 카스트라토, 작곡가, 음악 선생님으로 크리스토프 윌리발드 글룩의 오페라 공연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전기

밀리코는 바리 근처테를리즈에서 태어났다.1754년에 그는 나폴리에 왔다.1757년 로마에서 그는 가수로서 첫 공연을 가졌다.1758년부터 1765년까지, 그는 러시아에서 일했고, 그리고 나서 이탈리아로 돌아갔습니다.1769년, 글럭은 밀리코를 위한 오르페오 에우리디케에서 오르페우스 역할을 파르마에서 공연하기 위해 각색했다.-알토 카스트라토 가에타노 과다니를 위해 작곡된 원래 역할은 밀리코의 소프라노 성악으로 바뀌었고 오페라 전체가 기념 작품인 레 페스테 다폴로[3]연기로 바뀌었다.1770년, 밀리코는 의 알케스테 재공연에서 글룩이 특별히 그를 위해 고쳐 쓴 아데메투스의 원래 테너 역할을 불렀고, 그의 이탈리아 개혁 [3]오페라 3부작 중 마지막 작품인 같은 작곡가의 파리데 에 엘레나에서 파리 역할을 창조했다."글럭과 밀리코는 굳건한 친구가 되었고, 글럭은 사랑하는 조카[마리안나]의 음악 교육을 밀리코의 보살핌에 맡겼습니다. 이 가수의 음악력에 대한 적지 않은 찬사가 있었습니다."[4]

밀리코는 1772년 카니발 [5]시즌에 밀라노의 테아트로 레지오 두칼레에서 주어진 안토니오 사키니아르미다에서 리날도의 역할을 해석한 후, 킹스 극장에서 "프리모 뮤직오"(교장 카스트라토)로 활동하기 위해 작곡가의 런던 이사와 함께 하기로 결정했다.여기서 그는 사키니의 첫 런던 오페라에서 남자 주인공을 연기했다.[6]그는 또한 1770년 런던에서 과다니의 [7]적극적인 참여로 시작된 글럭스 오르페오의 "진보적인 물타기, 파스티치오 패션"에 대항하기 위한 시도에 연루되었다.파르마의 주요 공연자인 밀리코와 안토니아 마리아 [8]아길라르의 킹스 시어터에서 공연할 수 있는 기회를 이용하여, 오르페오와 유리디케의 오리지널 글룩 버전은 1773년 여름에 광고되었지만, 그것은 완전한 실패로 판명되었고 [9]두 번의 공연 후에 폐기되었다.1774년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밀리코는 파리의 글룩을 방문했고, 프랑스판 오르페오 에우리디스가 힘든 리허설을 하고 있을 때, 작곡가는 "프랑스 악보의 테너 역할이 밀리코가 부르는 모렐레의 집에서" 두 번의 비공개 시험 공연을 했다.큐피드, 그리고 글룩과 하프시코드).[4]

밀리코는 베네치아, 피렌체, 로마, 밀라노에서 공연한 후 1780년 나폴리로 돌아와 작곡가와 [10]교사로 큰 인기를 얻었다.그는 부르봉 공주 마리아 테레사와 루이사 마리아, 그리고 아직 [10]넬슨 경의 연인이 아닌 엠마 해밀턴에게 노래를 가르쳤다.나폴리에서의 이 기간 동안, 그는 그의 작품으로 확인된 8개의 오페라를 작곡했는데, 거의 모든 오페라는 나폴리에서 초연되었다. - 두 개는 트랜스베타시오libretti이고, 한 개는 글룩의 이탈리아 개혁 오페라의 librettiist인 Ranieri de' Calzabigi의 단어에 초연되었다.밀리코의 오페라 '라 피에타 다모레'의 악보에는 글룩의 오페라 세리아 개혁 시도에 대한 지지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다.밀리코는 또한 칸타타 8곡, 살베 레지나, 23곡의 아리아와 22곡, 그리고 82곡의 칸조네를 작곡했다.이 작품들은 보통 하프 반주를 위해 작곡되었고 그 당시에 매우 인기가 있었다; 많은 작품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컬렉션의 일부로 출판되었다.그의 건반곡 모음집인 '뮤지컬 트리플즈: 소나틴 컬렉션'은 1791년 [10]런던에서 출판되었다.그는 나폴리에 남아서 그곳에서 죽었다.

레퍼런스

  1. ^ 고대 모스크바에서 그의 오랜 삶을 언급하는 "The Muscovite"(이탈리아어로 "Milico Vito Giuseppe"(센트로 Studi Baresi의 "밀리코 비토 주세페")
  2. ^ Caprioli, Leonella Grasso (2010). "MILLICO, Vito Giuseppe". Dizionario Biografico degli Italiani (in Italian). Vol. 74.
  3. ^ a b 헤이즈
  4. ^ a b 하워드, 페이지 71
  5. ^ "Italianopera - Libretti a stamp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March 2012. Retrieved 29 November 2018.
  6. ^ 디키에라, 페이지 114
  7. ^ 영국의 오르페우스, 이브 바르샴, 파트리샤 하워드, 페이지 63 et seq.
  8. ^ 크롤; (이탈리아어)알레산드라 크루시아니, 지렐리, 안토니아 마리아, 디지오나리오 바이오그라피코 데글리 이탈리아니 - 제56권, 2001년, 트레카니 온라인
  9. ^ (프랑스어) Georges Sauvé, Antonio Sacchini 1730-1786 - Un musicien de Marie-Antoinette - Bréviaire biographique, 파리, L'Harmattan, 2006, 페이지 39 (ISBN 2-296-01994-3)
  10. ^ a b c 크롤과 브란덴부르크

추가 정보

  • Gerhard Croll과 Irene Brandenburg: "Milico, Giuseppe", Grove Music Online Ed L.Macy (2007년 3월 7일 액세스), grovemusic.com 2008년 5월 16일 Wayback Machine에서 아카이브, 서브스크립션 액세스.
  • 스탠리 새디의 데이비드 디치에라, 사키니, 안토니오(마리아 가스파로 지오아치노), 뉴욕, 그로브(옥스포드 대학 출판부), 1997, IV, 페이지 114–116.ISBN 978-0-19-522186-2
  • Jeremy Hayes: "Alceste", "Paride ed Elena", "Orfeo ed Euridice", Grove Music Online Ed L.Macy (2007년 3월 7일 액세스), grovemusic.com 2008년 5월 16일 Wayback Machine에서 아카이브, 서브스크립션 액세스.
  • Patricia Howard (ed.) , C.W. von Gluck : Orfeo , Cambridge / New York / Melbourn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1981 (컨설팅판 : Cambridge Opera Handbooks , paperback , 2010 , ISBN 0-521-29664-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