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다이고 천황

Emperor Go-Daigo
고다이고 천황
後醍醐天皇
Emperor Godaigo.jpg
일본의 천황
군림하다1318년 3월 29일 – 1339년 9월 18일
대관식1318년 4월 30일
전임자하나조노
후계자고무라카미
고곤 (프로텐더)
쇼군모리쿠니 왕자
모리요시 공
나리나가 왕자
아시카가타카우지
태어난1288년 11월 26일
가마쿠라 막부 헤이안쿄
죽은1339년 9월 19일 (1339-09-19) (50세)
요시노노안구(나라), 아시카가 막부
매장
토노오노미사사기 (나라)
배우자기시 사이온지
준시공주
이슈
그 중에서도...
모리요시 공
다카나가 왕자
무네나가 왕자
쓰네나가 왕자
나리나가 왕자
고무라카미 천황
가네요시노미야
야마토
아버지고우다 천황
어머니후지와라노추시
서명Go-Daigo Takaharu.png

고다이고 천황(高大古天皇, 1288년 11월 26일 ~ 1339년 9월 19일)은 일본의 96대 천황으로,[1] 전통적 계승 질서에 따른 것이다.[2]1333년 가마쿠라 막부를 성공적으로 타도하고, 단명된 겐무 복원세워 황실을 다시 집권하게 했다.1868년 메이지 유신 까지 황제가 실권을 가진 것은 이번이 마지막이었다.[3]겐무 복원은 1336년 아시카가 다카우지에 의해 차례로 타도되어 아시카가 막부를 안내하고, 고다이고가 이끄는 요시노에 근거지를 교토에 위치한 북법원남법정 사이에서 황실을 대립하는 두 파벌로 갈라놓았다.

이 14세기 주권자는 개인적으로 9세기 다이고 천황과 고-(高-)의 이름을 따서 사후의 이름을 택하여 '더 늦다'로 번역하기도 하고, 따라서 때로는 '더 늦다이고 천황'이라고도 부르기도 하며, 어떤 구시대적인 소식통에서는 '다이고, 두 번째' 또는 '다이고 2세'라고 부르기도 한다.

전기

국화왕위에 오르기 전, 개인 이름(이미나)은 다카하루신노(高橋神野)이다.[4]

다이카쿠지토 천황의 차남인 고우다 천황이었다.그의 어머니는 후지와라노 츄시/타다코(藤原子)로 후지와라노 다다쓰구(이쓰쓰쓰지 다다쓰구)의 딸이다.그녀는 단텐몬인이라고 불리는 뇨인이 되었다.그의 형은 고니조 천황이었다.

고다이고 천황의 이상은 다이고 천황 재위 때의 엥기 시대(901–923)로, 직접적인 제국 통치 기간이었다.황제의 시호는 보통 사후 정해졌다가 고다이고 천황이 생전에 직접 정하여 다이고 천황과 함께 나누었다.

고다이고의 생애의 사건

오가타 게꼬의 목판판 3장판; 고다이고 천황은 카사기야마의 그의 궁전에서 귀신을 꿈꾼다.
  • 1308(엔쿄 1):고니조 천황의 죽음으로 하나조노가 12세에 국화좌에 즉위하고, 가마쿠라 막부의 지시로 전황제 고우다의 차남 다카하루 신노가 황태자 겸 후계자로 즉위한다.[5]
  • 1318년 3월 29일(분포 2, 2월 26일):하나조노 11년(재위 11년(재위 11년), 황제는 퇴위하고, 후계(센소)는 고우다 전 황제의 차남인 사촌에게 받았다.그 직후 고다이고 천황은 왕위(소쿠이)에 올랐다고 한다.[6]
  • 1319(분포 3, 4개월):고다이고 천황은 재위 시작을 기념하기 위해 넨고겐오로 바꾸게 했다.[7]

1324년, 고다이고 천황의 가마쿠라 막부 전복 계획이 발각되면서 로쿠하라 단다이쇼추 사건에서 측근인 히노 스케토모를 처분했다.

1331년 겐코 사건에서 고다이고 천황의 계획이 다시 발각되었는데, 이번에는 측근인 요시다 사다후사의 배신에 의해 밝혀졌다.그는 재빨리 Kasagiyama(가사기의 현대 도시, Sōraku 구, Kyōto 현)에 외딴 성에 군대지만, 이 성은 막부의 군대는 다음해에 빠졌고 그들은, 오키 국(는 오키 제도 현대의 시마네현)[8] 같은 plac에 다이고 exiling 황제 Kōgon 왕좌를 차지한 보물을 숨겼다.e고토바 천황은 1221년 조큐 전쟁 이후 유배되었다.

1333년 고다이고 천황은 나와 나가토시 일가의 도움으로 오키에서 탈출하여 호키 국 센조 산(돗토리 현 도하쿠고토우라 현)에서 군대를 일으켰다.막부가 보내어 이 군대를 찾아 파괴한 아시카가 다카우지는 황제의 편을 들어 로쿠하라 단다이를 사로잡았다.직후, 동쪽에서 군대를 일으켜 세운 닛타 요시사다 군은 가마쿠라를 포위했다.마침내 도시가 닛타에 함락되자, 쇼군 섭정 호조 다카토키도쇼 사원으로 도망쳐 그와 그의 온 가족이 자살했다.이로써 호조 세력은 종식되고 새로운 군사정권의 발판이 마련되었다.[8]: 15–21

다이고는 승리한 뒤 교토에 돌아오자 고곤 천황으로부터 왕위를 물려받아 겐무 복원을 시작했다.복원은 표면적으로는 구태의연한 방식을 부활시킨 것이지만, 사실 황제는 중국 황제의 그것과 같은 제국주의적 독재에 눈독을 들이고 있었다.그는 중국인들을 온갖 방법으로 모방하여 동양에서 가장 강력한 통치자가 되고 싶었다.조급해진 개혁, 토지권, 보상금, 사무라이를 정치질서에서 배제한 것에 대해 많은 불평을 야기했고, 그의 정치질서는 무너지기 시작했다.1335년 나카센다이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칙령을 얻지 못하고 동일본으로 건너간 아시카가 다카우지는 불만에 빠졌다.다이고는 니타 요시사다에게 아시카가를 추적해 파괴하라고 명령했다.아시카가 하코네 다케노시타 전투에서 닛타 요시사다를 격파했다.구스노키 마사시게기타바타케 아키에가 교토와 교신하면서 아시카가 군을 격파했다.다카우지는 규슈로 달아났으나 이듬해 다시 군사를 가다듬은 뒤 교토에게 다가갔다.구스노키 마사시게가 다카우지와의 화해를 천황에게 제의했지만, 고다이고는 이를 거절했다.마사시게와 요시사다에게 다카우지를 멸망시키라고 명령했다.구스노키의 군대는 미나토가와 전투에서 패했다.

아시카가 군이 교토에 입성하자 고다이고 천황은 히에이 산으로 도망치면서도 화해를 도모하여 제국 레갈리아를 아시카가 쪽으로 보냈다.다카우지는 지묘인토 천황인 고묘를 옹립하고 겐무법칙의 제정과 함께 공식적으로 막부를 시작했다.[8]: 54–58

고다이고 천황에 대한 기념 신토 사당과 묘지

Go-Daigo 수도에서 1월 1337년에서 요시노의 산 속의, 그리고 Southern북부 법원의 북부 왕조에서 교토 의정서의 왕조 요시노에서 서로 대결했다 기간 시작하는 남부 법원을 세웠다 그는 아시카가 위조 빠지게 되어 있기를 넘겨 준 regalia 탈출했다.[8]:55,59

고다이고 천황은 가네요시 황태자를 규슈와 닛타 요시사다, 쓰네요시 황태자를 호쿠리쿠에 파견하는 등, 아들들을 사방으로 파견하여 북궁에 반대할 수 있도록 명령했다.

  • 1339년 9월 18일(8월 15일, 랴쿠오 2일):고다이고 21년, 천황은 고무라카미 황제가 될 아들 노리요시 신노에게 유리하게 요시노에게 퇴위하였다.[9]
  • 1339년 9월 19일(8월 16일, 랴쿠오 2일):고다이고는 죽었다.[10]

고다이고의 실제 묘지는 정해졌다.[1]이 황제는 전통적으로 나라 신토 사당(미사사기)에서 존경을 받고 있다.

황실청은 이곳을 고다이고의 묘지로 지정한다.정식 명칭은 '도노오노노미사사기'이다.[11]

계보

부부와 아이들

기시황후와 고다이고 천황.에마키 타이헤이키로부터 (17세기경) 제2권, 황후의 한탄에 대하여.사이타마 현립 역사 민속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다.
  • 황후(추구):사이온지 기시(西西之子) 후대 황후 고쿄고쿠인(高橋高gok) 사이온지 사네카네의 딸.
    • 공주 (b. 1314)
    • 둘째 딸:간시( princess子内, 1315년–1362년) 이후 이세신궁사이오( sai宣神宮) 다우거센시몬인(四 sense本人, 1315년–1362년) 황후, 고곤 천황(高곤 천황)과 결혼하였다.
  • 황후(추구):황태자 준시(子子王) 후기황후 신무로마치인(神武rom仁, 고후시미 천황의 딸)
    • 사치코 황공자(幸子内子, b. 1335)
  • 궁녀:후지와라노 지카코(藤原 no子)도 이쓰쓰지 무네치카의 딸인 주나곤텐지(中國納天地)이다.
    • 열한째 아들:미츠요시 황태자(満良親子)
  • 시녀 : 다이나곤노스케, 기타바타케 모로시게의 딸
  • 대기 중인 숙녀:신안사쓰텐지(新安寺天地, 新安寺atsu侍, 지묘인 야스후지의 딸)
  • 대기 중인 숙녀:Sochi-no-suke (帥典侍讃岐)
  • 궁녀:코토노나이시(勾oto no侍), 사이온지 쓰나후사의 딸
    • 프린세스
  • 궁녀:쇼쇼노나이시(少少内侍), 스가와라노아리나카의 딸
    • 세조 황태자(世祖王子) – 온조지(溫祖之)의 우두머리 사제
  • 궁녀:후지와라(아노)노 렌시( (原子子/野子子) 후세(後世) 신타이켄몬인(新大明人, 1301–1359) 아노 킨카도의 딸.
    • 쓰네나가 천황(쓰네노시 황태자) (쓰네노시(쓰네노시))
    • 나리요시 황태자(또한 나리나가) (成良親王)
    • 노리요시 황태자(義里yoshi子)는 후에 고무라카미 천황(高村山天皇)이 된다.
    • 쇼시 황태자(王子内子) – 이세신궁 1333–1336년 사이오, 후에 호안지 수녀
    • 이시공주(李 ishi子公主) – 이마바야시의 수녀
    • 추측 - 노리코( princess子 later) 후기 황후 신센요몬인(神en陽mon)
  • 궁녀:미나모토노 지카코(源親子), 기타바타케 모로치카의 딸
    • 모리요시 황태자(또는 모리나가) – 엔랴쿠지(텐다이자스, 天台座)의 주제사제(부사명: 손운, 尊法親)
    • 고쇼 황태자(高sh子, 1305–1333) – 사제
    • 공주 히시(妣子内) – 이마바야시의 수녀
    • 공주 – 코노에 모토츠구와 결혼(나중에 이혼)
    • 손쇼 황태자(孫sho子)
  • 뇨고:후지와라노 지시(実子).토인 사네오의 딸
    • 프린세스
  • 궁녀:후지와라노 슈시/모리코(藤原子子, 1303–1357)는 도인 사네야스(洞洞u)의 딸이다.
    • 겐엔 황태자(天皇太子, d.1348) – 고후쿠지(高福寺)의 주임 사제
    • 사이케이 황태자(最恵法親) – 묘호인 성직자
  • 공주:겐시 황후(天皇后, 1270년–1324년) 이후 가메야마 천황의 딸인 다우거 쇼케이몬인(昭昭山皇后, 1270년–1324년).
  • 궁녀:후지와라 미치코(니조)도 곤노다이나곤노 삼미노 쓰보네(権大大言, d. 1351) 후에 다메치 니조의 딸인 레이쇼인(霊霊院 ()이 있다.
    • 호닌 왕자( prince (法王子, 1325–1352) – 닌나지의 사제
    • 가네노시 왕자(가네나가도) (懐良親王, 1326–1383) – 세이세이 타이쇼군 (征大大大) 1336–?
    • 공주
  • 궁녀:이치죠노 쓰보네(一一局)는 후에 사이온지 사네토시의 딸 유기몬인(劉基本人)이다.
    • 도키요시 황태자(역시 요요시)(1306–8 – 1330)c.
    • 황태자 조손(趙孫) (재위왕자 게이슨, 恵尊法王) – 쇼고인(聖goin)의 사제
    • 공주 긴시( (子子) – 이마바야시의 수녀
  • 궁녀:시조 다카스케의 딸 쇼나곤노 나이시(少納言侍)
    • 손신(孫神) – 사제
  • 뇨고: 다이나곤노쓰보네(大納言), 오기마치 사네아키라의 딸
    • 나오코 황공자( (子内子)
  • 뇨고:새몬노카미노쓰보네(左衛門督), 다메타다 니죠의 딸
    • 이마바야시의 수녀
  • 궁녀: 곤노추나곤노쓰보네(権中中), 산조 긴야스의 딸
    • 사다코 황공주( (子内主)
  • 뇨고:요시다 사다후사의 딸
  • 뇨고 : 보몬노쓰보네(坊門局), 보몬 기요타다의 딸
    • 공주 (요도?)
  • 뇨고:호리카와 모토모의 딸
    • 프린세스
  • 뇨고 : 미나모토노야스쿠코(源子子子) 또한 아스카이노쓰보네(飛鳥井局) 후기 엔세이몬인하리마(延島) 미나모토노야스토키의 딸.
  • 뇨고 : 와카미즈노쓰보네(若水局), 미나모토노야스토키의 딸
  • 뇨고:호리구치 사다요시의 딸
    • 딸은 요시미즈 무네마사와 결혼했다.
  • 궁녀:코노에노 츠보네(近衛局) 후기 쇼쿤몬인(昭訓門院)
    • 토모요시 왕자(知良王)
  • (여자)
    • 요도 (1398년) – 제5대 도케이지 주임
    • 로쿠조 아리푸사의 아내
    • 류젠 료사이 (竜泉令淬, d.1366)
    • Kenkō (賢光)

고다이고는 몇몇 궁녀들로부터 다른 공주들을 얻었다.

구교

구교(九橋)는 메이지 시대 이전의 일본 천황 궁정에 붙어 있는 극소수의 권력자를 일컫는 집단 용어다.궁성 밖에서의 법원의 실제 영향력이 미미했던 그 세월 동안에도 위계 조직은 버텼다.

일반적으로 이 엘리트 집단은 한 번에 3~4명 정도만 포함했다.이들은 경험과 배경이 그들을 인생의 정점으로 이끌었을 세습 궁정들이었다.고다이고 시대에는 이 다이조칸의 정점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되었다.

고다이고 치세의 에라스

고다이고의 통치 연도는 둘 이상의 연호넨고로 더욱 구체적으로 확인된다.고다이고 천황의 8대 연호 변경은 8대 연호 변경을 통해서도 군림했던 고하나조노 천황의 재위 때만 수적으로 반영된다.[12]

난보쿠초 전법정
난보쿠초 남부 법원
  • 합법적인 주권 재판소에서 계산한 에라스 (메이지 정서에 의해 결정됨)
난보쿠초 북부 법원
  • 프레데터 주권 재판소에서 계산한 에라스 (메이지 정서에 의해 결정됨)

대중문화에서

고다이고 천황은 소피아 맥두걸대체 역사소설 로마니타스에 등장한다.

참고 항목

메모들

  1. ^ a b 황실청(쿠나이초): 後醍醐醐皇皇(96); 2013-8-28.
  2. ^ 폰슨비-페인, 리처드(1959년).일본 황실, 95페이지.
  3. ^ 산섬 1977: 22-42.
  4. ^ Titsingh, 페이지 281, 페이지 281, Google Books; Varley, 페이지 241.
  5. ^ Titsingh, 페이지 278, 페이지 278, Google Books; Ponsonby-Fane, Richard. (1959년)일본 황실, 페이지 204.
  6. ^ 구글북스에서 티칭, 페이지 281, 페이지 281; 발리, 페이지 44; 텐지 천황 이전에 구별되는 센소의 행위가 인정되지 않으며, 지토, 요제이, 고토바, 후시미를 제외한 모든 주권자는 같은 해에 센소소쿠이가지고 있다.
  7. ^ 발리, 243페이지
  8. ^ a b c d Sansom, George (1961). A History of Japan, 1334–1615. Stanford University Press. pp. 7–11. ISBN 0804705259.
  9. ^ 발리, 페이지 270.
  10. ^ Titsingh, 페이지 295, 페이지 295, Google 북스
  11. ^ 폰슨비-페인, 420페이지.
  12. ^ Titsingh, 페이지 281–294, 페이지 281, Google Books

참조

외부 링크

섭정 직함
선행자 일본 천황:
고다이고

1318–1339
성공자
성공자
고곤 천황
(예쁜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