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지 천황
Emperor Meiji메이지 천황 明治天皇 | |||||||||
---|---|---|---|---|---|---|---|---|---|
일왕 | |||||||||
재위 | 1867년 2월 13일 ~ 1912년 7월 30일 | ||||||||
즉위 | 1868년 9월 12일 | ||||||||
선대 | 고메이 | ||||||||
후계자 | 다이쇼 | ||||||||
쇼군 | 도쿠가와 요시노부 (1866년 ~ 1868년) | ||||||||
다이조다이진 | 산조 사네토미 (1871년 ~ 1885년) | ||||||||
수상 | |||||||||
태어난 | 사치 친왕 무쓰히토 (祐宮睦仁親王) 1852년 11월 3일 도쿠가와 막부 야마시로현 교토시 교토 교엔 국가 정원 | ||||||||
죽은 | 1912년 7월 30일 일본제국 도쿄도 메이지궁 | (59세)||||||||
매장 | 1912년 9월 13일 | ||||||||
배우자. | |||||||||
쟁점. 그 중에서도... | |||||||||
| |||||||||
하우스. | 일본 황실 | ||||||||
아버지. | 고메이 천황 | ||||||||
어머니. | 나카야마 요시코 | ||||||||
종교 | 신도 | ||||||||
서명 |
무쓰히토(, 1852년 11월 3일 睦仁 ~ 1912년 7월 30일)는 일본의 제122대 천황(재위: 1852년 11월 3일 明治天皇).1867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통치한 그는 일본 제국의 첫 번째 군주였고 메이지 시대를 주재했습니다.그의 통치는 메이지 유신과 관련이 있는데, 메이지 유신은 일본이 고립주의 봉건국가에서 산업화된 세계 강국으로 변화하는 것을 목격한 일련의 급격한 변화들입니다.
1852년 메이지 일왕이 탄생할 당시 일본은 270여 개의 분권적 영역을 통치하는 고립주의자 도쿠가와 막부와 그에 종속된 다이묘들이 지배하던 봉건적인 산업화 이전 국가였습니다.[4]그가 사망할 무렵, 일본은 광범위한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혁명을 겪었고 세계 무대에서 강대국 중 하나로 부상했습니다.뉴욕 타임즈는 1912년 황제의 장례식에서 이러한 변화를 요약했습니다: "장례차 이전의 것과 장례차 이후의 것 사이의 대조는 정말 놀라운 것이었습니다.옛 일본이 되기 전에, 새 일본이 온 후에."[5]
배경
도쿠가와 막부는 17세기 초에 자리를 잡았습니다.[6]그것의 통치하에 쇼군은 일본을 지배했습니다.다이묘로 알려진 약 180명의 영주들이 쇼군 아래에서 자치적인 영역을 지배했고, 때때로 쇼군은 다이묘들에게 선물을 요구했지만 세금을 부과하지 않았습니다.쇼군은 다이묘들을 다른 방식으로 통제하기도 했는데, 오직 쇼군만이 다이묘들의 결혼을 승인할 수 있었고, 쇼군은 다이묘들의 땅을 처분할 수 있었습니다.[7]
1605년에 공식적으로 은퇴한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초대 도쿠가와 쇼군이었습니다.은퇴 후,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그의 아들 도쿠가와 히데타다는 1605년 귀족 행동 강령을 발표했습니다.법전에 따르면, 황제는 학문과 예술에 시간을 바쳐야 했습니다.[8]막부의 천황들은 유교의 고전을 연구하고 시와 서예에 시간을 할애하여 이 강령을 고수한 것으로 보입니다.[9]황제들은 일본과 중국의 역사와 지리의 기초만을 배웠습니다.[9]쇼군은 자신의 행동에 대해 천황의 동의나 조언을 구하지 않았습니다.[10]
천황들은 천황이 퇴위한 후나 궁전에 불이 붙으면 사원으로 피신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거의 궁전 경내나 교토의 고쇼를 떠나지 않았습니다.[11]메이지 천황의 다섯 전임자 중 40세 이상을 산 천황은 거의 없었습니다.[10]황실은 유아 사망률이 매우 높았습니다. 황제의 다섯 형제 자매들은 모두 유아로 사망했고, 그의 15명의 자녀 중 5명만이 성인이 되었습니다.[10]
17세기 초에 권력을 잡은 직후, 막부 관리들(일반적으로 바쿠후로 알려짐)은 일본과의 거의 모든 서양 무역을 끝내고 1635년 사코쿠 칙령에 따라 기독교 선교사들이 섬에 들어오는 것을 금지했습니다.중국의 무역 규모가 큰 것 외에도 네덜란드인만이 일본과 무역을 계속했고, 나가사키 옆 데지마 섬에 자리를 잡았습니다.[12]그러나 19세기 초에 이르러 유럽과 미국 선박들이 일본 주변 해역에 출현하는 빈도가 증가했습니다.[13]
메이지 천황은 그의 손자들을 매우 사랑했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마지막 왕세자인 한국의 고종의 아들인 이운을 매우 좋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14]
젊은 시절
무쓰히토 친왕은 1852년 11월 3일 고쇼 북쪽 끝에 있는 외할아버지의 사유지에 있는 작은 집에서 태어났습니다.그 당시에는 출생이 문화적으로 오염의 원인으로 여겨져서 황자는 궁전에서 태어나지 않았습니다.대신, 황실의 구성원들은 임산부의 아버지 집 근처에 있는 구조물에서 태어나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무쓰히토 친왕의 어머니 나카야마 요시코는 아버지 고메이 천황의 후궁(일본어: 権の典侍, 로마자: 곤노텐지)이었고, 주 상담역인 나카야마 다다야스의 딸이었습니다.그 어린 왕자는 사치노미야, 즉 사치 왕자라는 칭호를 받았습니다.[16]
어린 왕자는 일본에서 큰 변화의 시대에 태어났습니다.이 변화는 1853년 7월 매튜 페리 제독과 그의 미국 해군 함대(일본인들이 "검은 배"라고 부르는 것)가 에도(도쿄라고 알려진 1868년 이후)의 항구로 항해했을 때 극적으로 상징되었습니다.[17]페리는 일본이 국제 무역에 대해 개방을 시도했고 일본이 동의하지 않을 경우 군사적 결과가 초래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18]페리의 도착으로 인한 위기 때문에 막부가 황실과 협의하는 매우 이례적인 조치를 취한 것은 적어도 250년 만에 처음입니다.[19]고메이 천황의 관리들은 미국과 교역하는 것에 동의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페리가 귀환할 때 취해야 할 조치를 미리 알려달라고 조언했습니다.[20]일본 정부는 그들의 군대가 미군에 상대가 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무역을 허용하고 소위 "불평등 조약"이라고 불리는 조약을 제출했습니다.[21]"불평등 조약"은 관세 권한과 외국인을 재판할 수 있는 권리를 포기하는 것을 의미했습니다.[18]막부의 조정과의 협의 의지는 짧았습니다: 1858년, 시간이 부족하여 협의할 수 없었다는 내용의 편지와 함께 조약에 대한 이야기가 전해졌습니다.[22]고메이 천황은 화가 나서 퇴위하겠다고 위협했지만, 이 행동에도 쇼군의 동의가 필요했을 것입니다.[23]
황제의 소년기의 많은 부분은 나중의 기록을 통해서만 알려져 있는데, 그의 전기 작가 도날드 킨은 종종 모순적이라고 지적합니다.한 동시대 사람은 무츠히토를 건강하고 튼튼하며, 다소 불량배이며, 스모에 특출난 재능이 있다고 묘사했습니다.또 다른 진술은 왕자가 섬세하고 종종 아팠다고 합니다.어떤 전기 작가들은 그가 처음 총소리를 들었을 때 기절했다고 진술하고, 다른 작가들은 이 사실을 부인합니다.[24]1860년 8월 16일, 사치노미야는 친왕이자 왕위 계승자로 선포되었고, 아버지의 배우자에 의해 공식적으로 입양되었습니다.그해 11월 11일, 그는 황태자로 선포되었고, 성인 이름인 무쓰히토를 받았습니다.[25]왕자는 7살에 교육을 시작했습니다.[26]그는 무관심한 학생임을 증명했고, 말년에는 글쓰기 연습에 자신을 더 적용하지 못한 것을 후회하며 시를 썼습니다.[27]
재위
소요와 가입
1860년대 초, 막부는 몇 가지 위협을 받았습니다.외세의 대표자들은 일본에서 그들의 영향력을 확대하려고 노력했습니다.많은 다이묘들이 외교 문제를 다루는 바쿠후에 대해 점점 불만을 품고 있었습니다.많은 수의 젊은 사무라이들이 만나 쇼군에 대항하는 발언을 하기 시작했습니다.그들은 고메이 천황을 존경했고, 사회적 병폐를 치료하기 위한 직접적인 폭력 행위를 선호했습니다.그들은 처음에 모든 외국인들의 죽음이나 추방을 원했지만, 시시는 나중에 나라의 근대화를 지지하기 시작했습니다.[28]바쿠후는 시와 다이묘 사이를 갈라놓으려는 노력으로 여러 무리를 달래기 위한 몇 가지 조치를 취했습니다.[29]
교토는 고시의 중심지였고 고시는 고메이 천황에게 영향을 미쳤습니다.1863년, 시시는 그에게 "오랑캐 추방 명령"을 내리도록 설득했습니다.그 명령을 실행할 권한이 없었기 때문에, 그 명령은 막부를 곤란한 처지에, 그들은 명령을 실행할 의사가 없었기 때문입니다.외국인이나 그들의 배에 여러 차례 공격을 가했고, 외국군은 보복했습니다.바쿠후 군은 대부분의 시시를 교토에서 몰아낼 수 있었고, 1864년에 돌아오려는 그들의 시도는 좌절되었습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불안은 일본 전역에서 계속되었습니다.[29]
정치적 혼란에 대한 왕자의 인식은 불확실합니다.[30]이 시기에 그는 아버지와 함께 와카 시를 공부했고, 그 다음에는 궁정 시인들과 함께 공부했습니다.[31]1866년, 도쿠가와 요시노부(德川義信)라는 새로운 쇼군이 즉위했고, 왕자는 고전 교육을 계속했습니다.도쿠가와 요시노부는 일본을 서구식 국가로 변화시키고자 했던 개혁가였습니다.요시노부는 최후의 쇼군이었고, 소요와 군사 행동이 계속되는 가운데서도 바쿠후들 사이에서 저항에 부딪혔습니다.1866년 중반, 한 바쿠후 군대가 일본 남부의 반란군들을 처단하기 위해 나섰습니다.군대가 패배했습니다.[32]
고메이 천황은 36세의 나이로 중병에 걸려 1867년 1월 30일에 사망했습니다.영국의 외교관 어니스트 사토우는 "고메이 천황이 후계자로서 15세 또는 16세의 소년을 남긴 것이 정치 현장에서 사라진 것이 가장 적절했다는 것을 부인할 수 없다.[33]
1867년 2월 3일, 교토에서 열린 짧은 의식에서 왕세자는 공식적으로 왕위에 올랐습니다.[34]새 황제는 정치적인 문제를 포함하지 않은 고전적인 교육을 계속했습니다.한편 쇼군 요시노부는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고군분투했습니다.자신의 행위에 대해 황제의 확인을 거듭 요청했고, 결국 이를 받아냈지만, 젊은 황제가 직접 결정에 관여했다는 흔적은 없습니다.시시와 다른 반란군들은 새로운 일본에 대한 그들의 비전을 계속해서 형성했고, 그들은 천황을 존경했지만, 그가 정치 과정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하도록 할 생각은 전혀 없었습니다.[35]
정치적 투쟁은 1867년 말에 절정에 이르렀습니다.요시노부는 자신의 직함과 권력의 일부를 유지하되, 입법권은 영국식 모델에 기초하여 양원제 입법부에 부여하는 것으로 합의가 이루어졌습니다.1867년 11월 9일, 요시노부는 공식적으로 천황에게 사직서를 제출하고 10일 후에 공식적으로 물러났다.[36]그 다음 달, 반란군은 황궁을 장악한 채 교토로 진군했습니다.[37]1868년 1월 4일, 황제는 황제 통치의 "복고"를 선언하는 문서를 법정 앞에서 의식적으로 낭독했고,[38] 그 다음 달에는 외국 열강에게 문서를 보냈습니다.[37]
일본 천황은 쇼군 도쿠가와 요시노부에게 자신의 요청에 따라 통치권을 돌려줄 수 있는 허가가 내려졌음을 모든 외국의 군주들과 그들의 신하들에게 알립니다.우리는 앞으로 국가의 모든 대내외적인 문제에 대해 최고의 권한을 행사할 것입니다.따라서 황제의 직함은 조약이 체결된 타이쿤의 직함으로 대체되어야 합니다.우리는 외교 업무를 담당할 장교를 임명하고 있습니다.조약국 대표들이 이 발표를 인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무쓰히토[39]
게이오 4년(1868년) 10월 23일, 게이오 시대에서 메이지 시대로, 천황의 시호에 사용된 "계몽된 통치"로 변경되었습니다.이것은 황제가 통치하던 시대의 이름을 따서 사후에 명명하는 관습의 시작이었습니다.
보신 전쟁으로 알려진 분쟁에서 요시노부의 추종자들은 잠시 저항했고 1869년 말 마침내 바쿠후의 저지는 패배했습니다.[37]
세력통합
바쿠푸의 축출에도 불구하고, 반군에 의해 효율적인 중앙 정부가 세워지지 않았습니다.3월 23일, 네덜란드 장관-레지던트 디르크 데 그라프 판 폴스브룩과 프랑스 장관-레지던트 레옹 로체스는 에도(도쿄)에서 메이지의 새 황제와 개인적으로 접견한 첫 유럽 사절들이었습니다.[40][41]이 청중은 일본에서 네덜란드 외교의 기초를 닦았습니다.[42]그 후, 드 그레프 반 폴스브룩은 주요 유럽 국가들의 대표들과의 협상에서 황제와 정부를 도왔습니다.[43][42]1868년 4월 7일, 황제는 새 정부의 성격에 대한 5개 항의 성명인 헌장 선서를 받았습니다.이 성명은 아직 새 정권에 헌신하지 않은 사람들을 설득하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그 후 천황이 공식적으로 추진한 이 문서는 봉건제를 폐지하고 일본에 근대 민주 정부를 선포했습니다.그 헌장 선서는 후에 쇼와 천황에 의해 인류 선언에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 정부에 부과된 변화에 대한 지지로 언급되었습니다.[44]어린 시절 이후 처음으로, 그는 5월 중순 교토의 황실 지구를 떠나 바쿠후 군대의 잔당을 추적하는 군대를 지휘했습니다.사람들로 붐비는 도로 때문에 느린 단계로 여행을 하는 그는 교토에서 오사카까지 3일이 걸렸습니다.[45]새로운 지도자들은 천황이 그의 백성들과 외국 사절들에게 더 잘 보이기를 원했기 때문에 오사카에는 분쟁이 없었습니다.5월 말, 오사카에서 2주간(교토에서보다 훨씬 덜 격식을 차린 분위기에서), 천황은 자신의 집으로 돌아왔습니다.[46]그가 돌아온 직후, 천황은 여가를 위해 더 많은 문학 연구를 유보하면서 모든 국정 업무를 관장하기 시작할 것이라고 발표되었습니다.[47]1871년 이후에야 황제의 연구는 현대사에 관한 자료를 포함하게 되었습니다.[48]
1868년 9월 19일, 천황은 에도 시의 이름을 "동쪽의 수도"라는 뜻의 도쿄로 바꾸기로 발표했습니다.그는 10월 15일 교토에서 공식적으로 즉위했습니다(내란으로 인해 전년도에서 연기된 예식).대관식 직전, 그는 새로운 시대, 즉 넨고를 메이지 혹은 "계몽된 통치"라고 부를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지금까지는 천황의 치세에 여러 번 넨고가 변경되는 경우가 많았는데, 앞으로는 한 치세에 넨고가 하나밖에 없다고 발표했습니다.[49]
즉위 직후, 천황은 도쿄를 처음으로 방문하면서, 도로를 통해 도쿄로 여행했습니다.그는 11월 말에 도착했고 사람들에게 사케를 나누어 주면서 장기 체류를 시작했습니다.도쿄 사람들은 제국의 방문을 열망했습니다.도쿄는 쇼군의 궁정이 있던 곳이었고 도시의 주민들은 막부가 폐지되면서 도시가 쇠퇴할지도 모른다고 우려했습니다.[50]1889년이 되어서야 수도를 도쿄로 이전하기로 최종 결정이 내려졌습니다.[51]도쿄에 있는 동안, 천황은 처음으로 일본의 해군 함정에 승선했고, 그 다음날 일본의 해군이 어떻게 강화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지시했습니다.[52]그가 교토로 돌아온 직후, 천황의 이름으로 (아마도 궁정 관리들에 의해 쓰여진 것으로 추정됨) 대본이 발행되었습니다.그것은 정부 업무에 관여하려는 그의 의도를 나타냈습니다.그리고 실제로 그는 각료 회의와 무수한 다른 정부 행사에 참석했지만, 거의 말은 하지 않았지만, 거의 그가 사망하는 날까지 참석했습니다.[53]
정치개혁
성공적인 혁명가들은 그들 스스로를 국무원으로 조직했고, 그 후 세 명의 주요 장관들이 정부를 이끄는 체제로 만들었습니다.이 구조는 1885년 서양식으로 내각을 이끌 총리가 설립될 때까지 지속될 것입니다.[54]처음에는 천황의 유임조차도 확실하지 않았고 혁명 지도자 고토 쇼지로는 후에 몇몇 관리들이 "극단주의자들이 더 나아가 미카도를 폐지할 것을 두려워했다"고 말했습니다.[55]일본의 새로운 지도자들은 다이묘들이 통치하는 영역의 패치워크 시스템을 개혁하려고 했습니다.1869년, 혁명을 지지했던 몇몇 다이묘들이 자신들의 토지 재산을 천황에게 물려주고 상당한 급여를 받으며 총독으로 재임명되었습니다.다음 해에는 다른 모든 다이묘들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1871년, 일본이 72개의 현으로 분할됨에 따라, 천황은 영역이 완전히 폐지되었다고 발표했습니다.다이묘들은 그들의 이전 수입의 10%에 해당하는 연봉으로 보상받았지만 (그들은 지금 통치 비용을 공제할 필요가 없지만), 새로운 수도인 도쿄로 옮겨야 했습니다.대부분의 다이묘들은 정계를 은퇴했습니다.[56]
새 정부는 점차 정부로부터 봉급을 받을 권리를 포함한 사무라이들의 대부분의 특권을 폐지했습니다.하지만, 다이묘들과는 달리, 많은 사무라이들이 이 변화로 인해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었습니다.대부분의 다른 계급에 기초한 구분들은 폐지되었습니다.합법화된 부라쿠민에 대한 차별은 끝이 났습니다.하지만, 이 계층들은 현재까지도 일본에서 차별을 받고 있습니다.[57]
1889년 헌법은 비록 실질적인 권력은 없었지만 새로운 의회를 만들었습니다.[citation needed]권력은 도쿠가와 가문으로부터 유신을 이끌었던 다이묘들과 다른 사무라이들의 손에 넘어갔습니다.[citation needed]따라서 일본은 군사적, 정치적, 경제적 영역에서 가장 강력한 권력자들로 구성된 과두제인 겐로에 의해 지배되었습니다.그 천황은 1586년 오기마치 천황이 왕위에서 물러난 이후 50세를 넘긴 일본의 군주로는 처음으로 왕위에 머물렀기 때문에 최근의 전임자들보다 더 많은 정치적 장수를 보여주었습니다.[citation needed]
일본인들은 메이지 유신과 그에 따른 산업화로 일본이 한 세대 안에 태평양의 일류 강국이자 세계의 주요 국가가 될 수 있었기 때문에 메이지 유신을 자랑스럽게 여깁니다.그러나 메이지 천황이 유신에서 차지한 역할과 재위 기간 동안 그가 행사한 개인적 권위와 영향력은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그는 일기를 쓰지 않았고, (그의 아버지와 달리) 거의 편지를 쓰지 않았고, "서너 장 이상의" 사진을 남기지 않았습니다.[citation needed]그를 만났거나 가까이 있었던 사람들의 이야기는 대개 실질적인 정보를 거의 담고 있지 않거나 서로 모순됩니다.[58]
그 시기에 대한 확실한 자료가 부족하기 때문에, 메이지 천황의 성격과 유신에서의 역할을 둘러싼 미스터리는 역사적 논쟁의 문제로 남아 있습니다.[59]제임스 C.백스터는 천황이 메이지 과두제가 사전에 합의한 사항에 거의 간섭하지 않는 실권 없는 인물이었다고 주장합니다.[60][61]반대로, 허버트 빅스는 메이지를 그의 반민주적 성향을 수용하는 동안 겐로가 저지하기 위해 고군분투한 강력한 독재자로 묘사합니다.[62]R.스타는 메이지를 매우 개인주의적이고, 그의 정부 내 어떤 집단에게도 꼭두각시가 아닌, 그리고 진보적이기는 하지만 '자유주의'나 '민주주의'는 아닌 솔직한 사람으로 특징짓고 있습니다.[63]그러나 또 다른 역사학자 집단은 그가 결코 완전한 독재자가 아니었으며, 그의 개인적 권력이 "절대주의적 목적에 훨씬 더 가까웠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분열되어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64]아니면 단지 겐로의 의사결정에 중재 역할을 했을 뿐입니다.[65]
그는 와카 형태로 다음과 같은 시를 작곡했습니다.
- よもの海
- みなはらからと思ふ世に
- など波風のたちさわぐらむ[66]
- 요모노우미
- 하라카라토 미나
- 오모후요니
- 나도 나미카제노
- 타치사와구라무[citation needed]
- 사방의 바다.
- 모두 한 자궁에서 태어납니다.
- 그렇다면, 왜 바람과 파도가 불협화음으로 일어납니까?[citation needed]
이 시는 나중에 1941년 9월 진주만 공격 전에 그의 손자인 쇼와 천황이 전쟁을 피하고 싶다고 말하기 위해 제국 회의에서 읊었습니다.[citation needed]
일러스트레이티드 런던 뉴스는 1905년 3월 19일 뉴욕 트리뷴에 메이지 천황을 표지로 한 기사를 실었습니다.설명 텍스트에는 다음과 같이 적혀 있습니다.
승리한 일본 천황 - 새로운 세계 강대국의 사랑 받는 통치자.1852년 11월 3일에 태어난 천황은 1867년 2월 3일에 황실이 명목상으로만 가지고 있던 권력을 대대로 휘두르는 쇼군 왕조의 탄압을 받아 왕위를 계승했습니다.무쓰히토는 40년도 채 되지 않아 반야만 상태에서 일류 국가의 지위에 오른 것으로 현대 군주 중 가장 실용적임을 증명했습니다.[67]
장년생
그의 삶의 말기에 고토쿠 슈스이를 포함한 몇몇 좌파들은 군주를 살해하기 위해 음모를 꾸민 혐의로 처형되었습니다.이 음모는 반역죄 사건(1910)으로 알려져 있습니다.[citation needed]
당뇨병, 신장염, 위장염에 시달리던 메이지 천황은 요독증으로 세상을 떠났습니다.공식 발표에 따르면 1912년 7월 30일 00시 42분에 사망했다고 하지만 실제 사망은 7월 29일 22시 40분이었습니다.[68][69]그의 뒤를 이어 장남인 다이쇼 천황이 즉위했습니다.
1912년까지 일본은 정치, 경제, 사회 혁명을 겪었고 세계 강대국 중 하나로 부상했습니다.뉴욕 타임즈는 1912년 황제의 장례식에서 이러한 변화를 다음과 같이 요약했습니다. "장례차 이전의 것과 이후의 것 사이의 대조는 정말 놀라운 것이었습니다.옛 일본이 되기 전에, 새 일본이 온 후에."[5]
1912년 천황이 사망한 후, 일본 국회는 메이지 유신에서의 그의 역할을 기념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습니다.메이지 천황과 황후가 방문한 것으로 알려진 도쿄의 한 지역에 있는 홍채 정원이 메이지 신궁의 위치로 결정되었습니다.신사에는 교토 남쪽의 후시미모모야마에 있는 천황의 묘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70]
가족과 이슈
이 섹션은 검증을 위해 추가적인 인용이 필요합니다. 찾기 : – · · 책 · (2019년 3월) (이 를 및 |
메이지 즉위 직후, 천황의 신하들은 이치조 하루코를 그에게 신부감으로 내세웠습니다.미래의 황후는 황실 관리의 딸이었고, 신랑보다 세 살 위였는데, 그의 겐푸쿠(남자 의식)가 끝날 때까지 결혼을 기다려야 했습니다.1869년 1월 11일 결혼식을 올렸습니다.[71]쇼켄 황후로 사후에 알려진 그녀는 수백 년 만에 처음으로 천황의 부인이라는 칭호를 받은 황실의 배우자였습니다.비록 그녀는 공적인 역할을 한 최초의 일본 황후 컨소시엄이었지만, 그녀는 아이를 낳지 않았습니다.그러나 메이지 천황은 다섯 명의 공식적인 대기 부인들 사이에서 15명의 자녀를 낳았습니다.야나기와라 미쓰나루의 딸 나루코 공주(1855~1943) 사이에서 태어난 왕자와 소노 모토사치 백작의 장녀 사치코(1867~1947) 사이에서 태어난 공주 4명만 성인이 될 때까지 살았습니다.비록 메이지가 후궁을 가진 마지막 천황이었지만, 이 기능은 1924년까지 공식적으로 폐지되지 않았습니다.[citation needed]
배우자.
이미지 | 위치 | 이름. | 출생. | 죽음. | 아버지. | 쟁점. |
---|---|---|---|---|---|---|
황후 | 이치조 마사코(一条勝子) 후에 쇼켄 황후 (昭憲皇太后) | 1849년 5월 9일 | 1914년4월9일 | 이치조 다다카 | 없음. |
후궁들
이미지 | 이름. | 출생. | 죽음. | 아버지. | 쟁점. |
---|---|---|---|---|---|
— | 하무로 미쓰코(葉室光子) | 1853년2월3일 | 1873년 9월 22일 | 곤다이나곤:하무로 나가마사 | • 제1대 왕자:와카미쓰테루히코노 미코토 |
— | 하시모토 나츠코(橋本夏子) | 1856년 3월 19일 | 1873년 11월 14일 | • 쇼나곤:히가시보조 나쓰나가 • 다이나곤:하시모토 사네아키라 (양부) | • 퍼스트 프린세스:와카타카요리히메노 미코토 |
야나기와라 나루코(柳原愛子) | 1859년6월26일 | 1943년10월16일 | 곤추나곤:야나기하라 미츠나루 | • 둘째 공주:우메노미야 시게코 황녀 • 둘째 왕자:다케노미야 유키히토 천황 • 세 번째 왕자:하루노미야 요시히토(훗날의 다이쇼 천황) | |
— | 치구사 코토코(千種任子) | 1855 | 1944 | 사콘고노쇼 : 아리토 치구사 | • 셋째 공주:시게노 미야 아키코 황녀 • 네 번째 공주:마스노미야 후미코 황녀 |
소노 사치코(園祥子) | 1867년 12월 23일 | 1947년7월7일 | 우콘노고노추조: 소노 모토사치 | • 다섯 번째 공주:히사노미야 시즈코 황녀 • 네 번째 왕자:아키노미야 미치히토 천황 • 제6대 공주:쓰네노미야 마사코 황녀 • 일곱 번째 공주:가네노미야 후사코 황녀 • 제8대 공주:후미노미야 노부코 황녀 • 다섯 번째 왕자:미쓰노미야 데루히토 천황 • 제9대 공주:야스노미야 토시코 • 열 번째 공주:사다노미야 토키코 |
쟁점.
메이지 천황은 15명의 자녀(5남 10녀)를 두었고, 그 중 5명(1남 4녀)은 성년이 되었습니다.
그에게는 18명의 손자(11명의 손자와 7명의 손녀)가 있었습니다.
이미지 | 상황 | 이름. | 출생. | 죽음. | 어머니. | 결혼. | 쟁점. | |
---|---|---|---|---|---|---|---|---|
— | 퍼스트 프린스 | 와카미쓰테루히코노 미코토 (稚瑞照彦尊) (사산) | 1873년 9월 18일 | 1873년 9월 18일 | 하무로 미쓰코 | — | — | — |
— | 퍼스트 프린세스 | 와카타카요리히메노 미코토 (稚高依姫尊) (사산) | 1873년11월13일 | 1873년11월13일 | 하시모토 나츠코 | — | — | — |
— | 둘째 공주 | 우메노미야 시게코 (梅宮薫子内親王) | 1875년 1월 25일 | 1876년 6월 8일 | 야나기와라 나루코 | — | — | — |
— | 세컨드 프린스 | 다케노 미야 유키히토 (建宮敬仁親王) | 1877년9월23일 | 1878년 7월 26일 | 야나기와라 나루코 | — | — | — |
제3황자 | 하루노미야 요시히토 (明宮嘉仁親王) (훗날의 다이쇼 천황) | 1879년 8월 31일 | 1926년 12월 25일 | 야나기와라 나루코 | 1900년5월10일 | 쿠죠 사다코 | • 쇼와 천황 히로히토 • 지치부 친왕 야스히토 • 다카마쓰 친왕 노부히토 • 다카히토 미카사 친왕 | |
— | 셋째 공주 | 시게노 미야 아키코 (滋宮韶子内親王) | 1881년8월3일 | 1883년9월6일 | 치구사 코토코 | — | — | — |
— | 넷째 공주 | 마스노 미야 후미코 (増宮章子内親王) | 1883년1월26일 | 1883년9월8일 | 치구사 코토코 | — | — | — |
— | 제5공주 | 히사노 미야 시즈코 (久宮静子内親王) | 1886년2월10일 | 1887년4월4일 | 소노 사치코 | — | — | — |
— | 제4황자 | 아키노 미야 미치히토 (昭宮猷仁親王) | 1887년8월22일 | 1888년11월12일 | 소노 사치코 | — | — | — |
제6공주 | 쓰네노미야 마사코 (常宮昌子内親王) | 1888년9월30일 | 1940년3월8일 | 소노 사치코 | 1908년4월30일 | 다케다 태자 쓰네히사 다케다 | • 다케다 쓰네요시 친왕 • 다케다 아야코 | |
칠공주 | 가네노미야 후사코 (周宮房子内親王) | 1890년1월28일 | 1974년8월11일 | 소노 사치코 | 1909년4월29일 | 기타시라카와 나루히사 친왕 | • 나가히사 기타시라카와 친왕 • 기타시라카와 미네코 • 기타시라카와 사와코 공주 • 기타시라카와 다코 | |
제8공주 | 후미노미야 노부코 (富美宮允子内親王) | 1891년8월7일 | 1933년11월3일 | 소노 사치코 | 1909년 5월 6일 | 아사카 야스히코 친왕 | • 아사카 기쿠코 공주 • 아사카 다카히코 • 아사카 다다히토 친왕 • 아사카 기요코 | |
— | 제5황자 | 미쓰노미야 데루히토 (満宮輝仁親王) | 1893년11월30일 | 1894년 8월 17일 | 소노 사치코 | — | — | — |
아홉째 공주 | 야스노미야 토시코 (泰宮聡子内親王) | 1896년 5월 11일 | 1978년3월5일 | 소노 사치코 | 1915년 5월 18일 | 히가시쿠니 나루히코 친왕 | • 히가시쿠니 모리히로 친왕 • 히가시쿠니 모로마사 친왕 • 히가시쿠니 아키쓰네 친왕 • 히가시쿠니 도시히코 친왕 | |
— | 사다노미야 토키코 (貞宮多喜子内親王) | 1897년9월24일 | 1899년1월11일 | 소노 사치코 | — | — | — |
명예
국위
- 1875년 4월 10일 욱일승천회 창립자 겸 군주
- 1876년 12월 27일 국화 훈장 창설자 겸 주권자
- 1888년 1월 4일 메이지 기사단 창립자 겸 군주
- 1888년 1월 4일 오동나무 꽃 훈장 설립자 겸 주권자
- 1888년 1월 4일 소중한 왕관 훈장의 창설자이자 주권자
- 1890년[72] 2월 12일 황금연회 창립자 겸 군주
외국서훈
그는 다음과 같은 명령과 장식을 받았습니다.[73]
- 오스트리아-헝가리: 헝가리 왕립 성 훈장 대십자 훈장 스티븐, 1881년 5월 16일
- 벨기에: 1880년 11월 20일 레오폴드 훈장 그랜드 코돈
- 덴마크: 1887년[74] 5월 18일 코끼리 훈장 기사
- 프랑스 제3공화국: 1883년 3월 20일 국민훈장 대십자장
- 독일 제국: 흑독수리 기사단, 1879년 5월 29일; 칼라와 함께, 1895년 6월 10일
- 바이에른 왕국: 성 기사단 휴버트, 1894년[75]
- 브런즈윅: 1907년 6월 18일 사자 헨리 훈장 대십자가
- 에르네스틴 공작부인: 작센-에르네스틴 가훈의 대십자가, 1873[76]
- 메클렌부르크(Mecklenburg): 1885년 2월 2일 오레와 칼라로 왕관을 쓴 웬디스 왕관의 대십자가
-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1882년 12월 27일, 흰 매 훈장의 대십자가
- 뷔르템베르크: 1896년 12월 23일 뷔르템베르크 왕관 훈장 대십자가
- 그리스 왕국: 1891년 5월 13일, 구원자 훈장 대십자 훈장
- 하와이 왕국:1881년[77] 3월 15일 카메하메하 1세 훈장 대십자가
- 이탈리아 왕국:
- 1879년[78] 7월 26일 가장 거룩한 축일의 기사
- 1879년 7월 26일 성 모리스 라자루스 훈장 대십자가
- 1879년 7월 26일 이탈리아 왕관 훈장 대십자장
- 대한제국: 1900년 9월 5일 금자왕 훈장의 깃
- 몬테네그로 공국: 다닐로 1세 대공 훈장 대십자장, 1885년 2월 18일
- 네덜란드: 1881년 7월 26일 네덜란드 사자 훈장 대십자장
- 오스만 제국:1890년 6월 13일 훈장 4등급
- 포르투갈 왕국: 1904년 4월 16일, 삼기사단 띠의 대십자가
- 청나라:1898년 12월 20일 1급 1급 더블 드래곤 훈장
- 러시아 제국: 1879년 9월 5일 사도 성 안드레 훈장 1등급 기사
- 복원(스페인):1883년[79] 11월 14일 황금 양털 기사단
- 시암: 1887년[80] 12월 22일 차크리 왕궁 훈장 기사
- 스웨덴-노르웨이: 1881년[81] 12월 11일 세라핌 왕립 훈장 기사
-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1906년[82] 5월 15일 가장 고귀한 가터 훈장의 낯선 기사단원
타임라인 및 갤러리
메이지 시대는 일본의 고대 봉건 사회를 크게 변화시켰습니다.주요 이벤트의 타임라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1852년 11월 3일: 메이지 천황(당시 명칭: 사치노미야 무쓰히토 친왕)은 황후 나카야마 요시코와 고메이 천황 사이에서 태어난다.
- 1853: 매튜 페리 제독이 이끄는 함대가 7월 8일 일본에 도착합니다.[83]쇼군 도쿠가와 이에요시의 죽음, 도쿠가와 이에사다를 쇼군으로 임명.
- 1854–55: 막부에 의해 미국과 조약이 체결됩니다.
- 1850년대 후반~1860년대:손노조이 운동이 한창입니다.
- 1858년: 막부가 네덜란드, 러시아 제국, 영국과 조약을 맺음.쇼군 도쿠가와 이에사다 사망, 도쿠가와 이에모치를 쇼군으로 임명.
- 1860년 3월:다이로 이이 나오스케는 사쿠라다몬 사건에서 암살당합니다.
- 11월 11일:사치노미야는 공식적으로 황태자로 선포되고 무쓰히토라는 개인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 1862년: 나마무기 사건.
- 1864년 ~ 1865년: 영국, 미국, 프랑스, 네덜란드 선박에 의한 시모노세키 폭격; 막부와 조슈 사이에 전투가 벌어짐.
- 1866년 : 쇼군 도쿠가와 이에모치 사망, 도쿠가와 요시노부를 쇼군으로 임명.
- 1867년 1월 31일 : 고메이 천황이 출혈성 천연두로 사망, 무쓰히토의 비공식 즉위.
- 1868년 1월 4일: 공식적인 황실 통치 회복; 도쿠가와 막부의 265년 통치 종료.
- 9월 12일:황제의 공식적인 즉위.
- 10월 23일:연호는 메이지로 바뀝니다.
- 11월 6일:수도는 교토부에서 도쿄로 개칭된 에도로 옮겨집니다.
- 1872년 11월 5일:황제는 러시아 대공 알렉세이 알렉산드로비치를 맞이합니다.
- 1860년대 후반-1881년: 일본의 반란과 암살의 시기.
- 1869년 1월 11일: 천황과 이치조 하루코(一jo har)의 혼인, 이후 쇼켄 황후.
- 9월 4일:황제는 에든버러 공작을 받습니다.
- 1871년 : 한 제도의 폐지가 선언됨.
- 1873년: 에도 성이 화재로 파괴되고 천황은 아카사카 궁으로 이동합니다.그의 첫 아이들은 태어났지만 태어났을 때 죽습니다.
- 1877년: 사쓰마의 난.
- 1878년 : 오쿠보 도시미치 암살.
- 1879년 8월 31일: 미래의 다이쇼 천황이자 천황의 유일한 생존자인 요시히토 친왕이 탄생.
- 1881년 : 외국 군주인 하와이의 칼라카우아 왕의 첫 국빈 방문을 받음.
- 1889년: 메이지 헌법이 공포됨.이토 히로부미가 일본의 초대 총리가 됩니다.
- 1894년: 청일 전쟁; 일본의 승리로 일본은 지역 강국이 되었습니다.
- 1901년 4월 29일 : 다이쇼 천황의 장남 미치노미야 히로히토 친왕(훗날 쇼와 천황)이 태어났을 때 할아버지가 됨.
- 1904-1905: 러일 전쟁; 일본의 승리로 일본은 강대국의 지위를 얻었습니다.
- 1910: 일본 제국에 의한 한국 병합: 일본 통치하의 한국 (-1945).
- 1912년 7월 30일:황제는 5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납니다.[5]
갤러리
-
고바야시 망고의 승리 대군평
-
고세다 호류 헌법초안회의
-
고미 세이키치의 은광산 방문기
-
나카자와 히로미츠의 국화 정원 파티
-
와다 에이사쿠 헌법 공포식
-
미나미 군조에 의한 제국 사령부의 천황
영화 묘사
메이지 천황은 1980년 일본 전쟁 드라마 영화 포트 아서 전투에서 미후네 도시로에 의해 묘사되었습니다.[84]마스다 도시오가 감독을 맡은 이 영화는 러일 전쟁 중 포트 아서 공방전을 묘사했으며, 나카다이 타츠야(노기 마레스케 장군 역), 탐바 테츠로(고다마 겐타로 장군 역) 등이 출연했습니다.
메이지 천황은 나카무라 시치노스케 2세가 연기한 2003년 영화 라스트 사무라이에도 등장합니다.이 영화에서 천황은 자신의 의원들의 확고한 통제하에 있는 나약하고 경험이 부족한 지도자로 묘사되는데, 그는 자신들을 부유하게 만들 특별한 무역권을 미국에 주고 또한 일본에 대한 외국의 지배를 강화할 조약에 서명하도록 의도합니다.황제의 결심은 오직 영화의 마지막에 나타나는데, 이 때 그는 캡틴의 방문으로부터 영감을 받습니다.반란군 사무라이와 함께 싸웠던 네이선 알그렌(톰 크루즈 분)은 일본이 전통과 역사를 희생해서가 아니라 현대화를 할 것이라고 선언하면서 조약을 거부하고 고문들을 해임했습니다.
메모들
- ^ 영어: /ˈ메 ɪd ʒi/, 일본어:[me ꜜːʑi] 근대 이후 일본의 천황이 죽으면 시호를 받습니다.그런 이름은 그가 통치했던 시대와 황제가 생전에 왕위에 기여한 것과 일치합니다.그래서 생전에는 '황제'로만 알려졌지만 사후에는 역사적으로 '메이지 천황'으로 알려졌습니다.그 이름은 1912년 8월 27일에 공식적으로 붙여졌습니다.[2]그는 자신의 치세 거의 전반에 걸쳐 있었던 메이지 시대를 지칭하여 현재의 칭호를 얻었습니다.그의 개인적인 이름(서명을 제외하고는 공식적이거나 공식적인 맥락에서 사용되지 않는)은 무쓰히토였습니다.그는 또한 황제의 죽음이나 퇴위로 한 시대가 끝나는 "일대천황"(일대천황제, 일대천황제) 체제로 통치한 최초의 황제이기도 하지만, 이전에는 [3]재난과 같은 중대한 사건이 일어난 후에 한 시대가 중기에 바뀔 수 있었습니다.
참고문헌
- ^ 1865년 5월 1일(겐지 2년 4월 7일), 겐지에서 게이오로 연호를 고쳤다.1867년 1월 30일(게오 2년 12월 25일), 메이지 천황이 1867년 2월 13일(게오 3년 정월 9일)에 즉위했지만, 1868년 10월 23일(게오 4년 음력 9월 8일)까지 게이오는 계속되었습니다.메이지 천황이 연호를 게이오에서 메이지로 바꾸었을 때.
- ^ 킨 2002, 페이지 706.
- ^ "Explainer - Japan new imperial era name, Reiwa: Origins, Selection, Meaning". Reuters. 1 April 2019. Retrieved 2 February 2023.
- ^ 킨 2002, 200쪽.
- ^ a b c "메이지 덴노의 장례식", 일본 광고주 제8조-제목 없음", 뉴욕 타임즈에서 재인쇄, 1912년 10월 13일.
- ^ 얀센 1995, p. vii
- ^ 고든 2009, 페이지 14-15
- ^ 킨 2002, 페이지 3
- ^ a b 고든 2009, 3-4쪽
- ^ a b c 고든 2009, p. 2
- ^ 고든 2009, 페이지 4-5
- ^ 고든 2009, p. 19
- ^ 고든 2009, 페이지 47
- ^ Herbert P. Bix, Hirohito와 현대 일본 만들기 (뉴욕 2016), p.[ISBN missing]
- ^ 킨 2002, 페이지 10
- ^ 킨 2002, 페이지 14
- ^ Keene, Donald (2005). Emperor of Japan : Meiji and his world, 1852–1912. Columbia University Press. p. 18. ISBN 0231123418. OCLC 1059567148.
- ^ a b 고든 2009, 페이지 50–51
- ^ Keene, Donald (2005). Emperor of Japan : Meiji and his world, 1852–1912. Columbia University Press. ISBN 0231123418. OCLC 1059567148.
- ^ 킨 2002, 페이지 18
- ^ Gordon, Andrew (2003). A modern history of Japan : from Tokugawa times to the present. Oxford University Press. pp. 51–52. ISBN 0195110609. OCLC 49704795.
- ^ Keene, Donald (2005). Emperor of Japan: Meiji and his world, 1852–1912. New York; Chichester: Columbia University Press. p. 18. ISBN 978-0231123419. OCLC 1059567148.
- ^ 킨 2002, 페이지 39-41
- ^ 킨 2002, p. xii
- ^ 킨 2002, 51-52쪽
- ^ 킨 2002, 페이지 46
- ^ 킨 2002, 페이지 48
- ^ 고든 2009, 페이지 53–55
- ^ a b 고든 2009, 페이지 55-56
- ^ 킨 2002, 페이지 73
- ^ 킨 2002, 페이지 78
- ^ 고든 2009, 57-58쪽
- ^ 킨 2002, 페이지 94-96
- ^ 킨 2002, 페이지 98
- ^ Keene 2002, 페이지 102-104
- ^ 타카노, 256쪽.
- ^ a b c 고든 2009, p. 59
- ^ 킨 2002, 페이지 121
- ^ 킨 2002, 페이지 117
- ^ 일본 천황:메이지와 그의 세계, 1852-1912, 133쪽.도널드 킨
- ^ 마지막 사무라이: japanische Geschichtsdarstellung im populären Kinofilm, pp. 90-91다니엘 쉬러 (2009)
- ^ a b "From Dejima to Tokyo. Dirk de Graeff van Polsbroek (This study is the first complete history of Dutch diplomatic locations in Japan. It has been commissioned by the Embassy of the Kingdom of the Netherlands in Tokyo)".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March 2023. Retrieved 18 March 2023.
- ^ 헤게헤겐반네덜랜드
- ^ 얀센 1995, 페이지 195
- ^ 킨 2002, 페이지 143
- ^ 킨 2002, 페이지 145-146
- ^ 킨 2002, 페이지 147
- ^ 킨 2002, 페이지 171
- ^ Keene 2002, pp. 157-159
- ^ 킨 2002, 페이지 160-163
- ^ 고든 2009, 페이지 68
- ^ 킨 2002, 페이지 163-165
- ^ 킨 2002, 페이지 168
- ^ 고든 2009, 페이지 64
- ^ Jansen 1994, 페이지 342
- ^ 고든 2009, 페이지 63
- ^ 고든 2009, 페이지 65
- ^ 킨 2002, p. xi
- ^ 킨 2002, 페이지 13, 332
- ^ Baxter, James C. (1994). The Meiji Unification Through the Lens of Ishikawa Prefecture. Harvard Univ Asia Center. p. 4. ISBN 978-0674564664.
- ^ Takahashi, Hiroshi (2008). "Akihito and the Problem of Succession". In Shillony, Ben-Ami (ed.). The Emperors of Modern Japan. Brill. pp. 2, 139. ISBN 978-9004168220.
- ^ Bix, Herbert P. (2001). Hirohito and the making of modern Japan. New York: Perennial. pp. 29. ISBN 978-0060931308.
- ^ Starrs, R. (2011). Politics and Religion in Modern Japan: Red Sun, White Lotus. Springer. pp. 71–73. ISBN 978-0230336681. Retrieved 25 November 2018.
- ^ Miyoshi, Masao (1991). Off Center: Power and Culture Relations Betwee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Front Cover. Harvard University Press. p. 170. ISBN 978-0674631762. Retrieved 25 November 2018.
- ^ Connors, Lesley (2010). The Emperor's Adviser: Saionji Kinmochi and Pre-War Japanese Politics. Routledge. p. 58. ISBN 978-1136900235. Retrieved 25 November 2018.
- ^ Frans Stiene, ed. (26 April 2016). "Meiji Emperor Poems" (PDF). Translated by João Magalhães. No. 121.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19 September 2023. Retrieved 19 September 2023.
- ^ The Illustrated London News (19 March 1905). "The victorious Emperor of Japan – beloved ruler of a new world power". New-York Tribune.
- ^ Takashi, Fujitani (1998). Splendid monarchy: power and pageantry in modern Japa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 145. ISBN 978-0-520-21371-5.
- ^ "広報 No.589 明治の終幕" (PDF) (in Japanese). Sannohe town hall.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8 May 2011. Retrieved 18 May 2011.
- ^ Adika, Alon (3 August 2013). "The Emperor and the general: a visit to Fushimi Momoyama". The Japan Times Online. Retrieved 22 February 2019.
- ^ 킨 2002, 105-107쪽
- ^ M1 체임벌린, 바질 홀. (1905) 일본어: 여행자 등의 이용을 위해 일본과 연계한 다양한 주제에 대한 참고, 114쪽.
- ^ 刑部芳則 (2017). 明治時代の勲章外交儀礼 (PDF) (in Japanese). 明治聖徳記念学会紀要. p. 141.
- ^ Jørgen Pedersen (2009). Riddere af Elefantordenen, 1559–2009 (in Danish). Syddansk Universitetsforlag. p. 303. ISBN 978-87-7674-434-2.
- ^ Hof-und Stats-Handbuch des Königreichs Bayern (1906), "Königliche-Orden" p. 8
- ^ Staatshandbücher für das Herzogtum Sachsen-Coburg und Gotha (1884), "Herzogliche Sachsen-Ernestinischer Hausorden" 페이지 32
- ^ Kalakaua to 그의 여동생, 1881년 3월 15일, Greer, Richard A. (편집자, 1967) "왕실 관광객—Kalakaua's Letters Home from Tokio-London Archived 2019 10월 19일 Wayback Machine", Hawaiian Journal of History, vol. 5, pp. 76–77
- ^ Italia : Ministero dell'interno (1900). Calendario generale del Regno d'Italia. Unione tipografico-editrice. p. 54.
- ^ "Caballeros de la insigne orden del toisón de oro". Guía Oficial de España (in Spanish). 1887. p. 147. Retrieved 21 March 2019.
- ^ "พระราชสาสนไปญี่ปุ่น" (PDF). Royal Thai Government Gazette (in Thai). 30 December 1887.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8 May 2019. Retrieved 8 May 2019.
- ^ Sveriges Statskalender (in Swedish), 1909, p. 613, retrieved 6 January 2018 – via runeberg.org
- ^ "No. 27913". The London Gazette. 15 May 1906. p. 3325.
- ^ 독일의 일본학자 요하네스 유스터스 라인이 고찰하고 프란시스 L.이 묘사했습니다.호크스와 매튜 페리 제독은 1856년 작품, 1852년, 1853년, 1854년 미국 해군 M.C. 페리 제독의 지휘 하에 공연된 중국해와 일본으로 가는 미국 편대의 탐험 이야기에서 일본의 "개막"으로서.
-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의 포트 아서 전투 (203 코시)
서지학
- Gordon, Andrew (2009), A Modern History of Japan: From Tokugawa Times to the Present (2nd e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33922-2
- Jansen, Marius (1994), Sakamoto Ryoma and the Meiji Restoration, Columbia University Press, ISBN 978-0-231-10173-8
- — (1995), The Emergence of Meiji Jap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48405-3
- Keene, Donald (2002), Emperor of Japan: Meiji and His World, 1852–1912, Columbia University Press, ISBN 978-0231123402, OCLC 46731178
- Wilson, George M. (1992), Patriots and Redeemers: Motives in the Meiji Restora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SBN 978-0226900919, OCLC 23869701
외부 링크
- 메이지 신사 2015년 3월 31일 웨이백 머신에서 보관.
- 메이지 천황
- Encyclopædia Britannica (11th ed.). 1911. .
- . . 1914.
- ZBW 20세기 언론자료실의 메이지 천황에 관한 신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