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라티아누스 푸나리우스
Gratianus Funarius그라티아누스 "후나리우스" fl.(AD 4세기)는 로마 제국의 일리리아 군인으로 4세기에 번성했다. 그는 로마의 황제 발렌티니아누스 1세와 발렌티니아 왕조의 창시자인 발렌티니아누스 1세의 아버지였다.
인생
그라티아누스는 280년대에 아마도 남부 판노니아 세쿤다(현대 크로아티아)에 있는 시발래(빈코프치) 마을에서 유래했다.[1] 젊었을 때, 그는 밧줄 판매원이었기 때문에 "로프맨"이라는 뜻의 후나리우스라는 별명을 얻었다. 그라티아누스는 군에 입대하여 대열을 뚫고 올라와 콘스탄티누스 대왕 통치 기간 동안 수호 가정교사가 되었다.[2] 이 시기에 살로나(Split)에서 "...atianus"라는 이름의 보호자 가문이 증명되어, 일부는 그라티아누스가 그곳에 주둔했을 수도 있었다고 생각한다.[2] 그라티안의 첫 번째 독립군 사령부는 호민관으로서 아마도 콘스탄티누스의 이동 야전군에 있었을 것이다.[2] 320년대 후반이나 330년대 초반에 그는 아마도 국경지역을 감독하기 위해 아프리카로 오게 되었다.[3] 그러나 그라티아누스는 곧 횡령죄로 기소되어 퇴직할 수밖에 없었다.[4] 그라티아누스는 340년대 초반에 회수되었고 브리타니아로 만들어졌다. 그는 342/3 겨울 섬에서의 선거 운동 중 콘스탄스 1세 황제 휘하의 한 부대를 지휘하도록 소환되었을지도 모른다.[4] 군생활이 끝난 후 그라티아누스는 생가로 돌아와 평판이 좋은 민간인으로 살았다.[5]
그라티안의 은퇴에서 황제 콘스탄티우스 2세(재위 337–361)는 그의 유산을 모두 몰수했는데, 이는 그가 유서 깊은 마그넨티우스의 지지를 의심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여전히 군대 내에서 인기가 있었다; 이러한 인기는 그의 아들들의 성공적인 경력에 기여할 수 있었다. 364년 아들 발렌스가 황제가 되었을 때 콘스탄티노플의 원로원은 그의 놋쇠 상을 내렸다.
가계도
원천
- ^ Lenski, Noel Emmanuel (2002). Failure of empire: Valens and the Roman state in the fourth century A.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 46. ISBN 978-0-520-23332-4. Retrieved 12 October 2010.
- ^ a b c Tomlin, R. (1973). The Emperor Valentinian I. p. 2.
- ^ Tomlin, R. (1973). The Emperor Valentinian I. p. 3.
- ^ a b Tomlin, R. (1973). The Emperor Valentinian I. p. 4.
- ^ Tomlin, R. (1973). The emperor Valentinian I. p. 5.
- ^ 키나스트 외 2017, 페이지 355. 대상 없음: (
- ^ 윌리엄스 & 프리엘 1994, 페이지 189. (
- Roberts, Walter E. (10 August 2010). "Valentinian I (364-375 A.D)". De Imperitoribus Romanis. Roman Emperors.
- Rodgers, N. (2005). The History and Conquests of Ancient Rome. Hermes House.
- https://web.archive.org/web/20060516084430/http:///www.ancientlibrary.com/smith-bio/1409.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