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 선(캘리포니아 주)

Green Line (Calgary)
그린 라인
G (ctrain).png
개요
상태계획(공사 보류)
소유자캘거리 트랜짓
로캘캐나다 앨버타 캘거리
터미16번가 N(전체 증축 시 160번가 N)
셰퍼드(전체 빌드아웃 시 설정)
스테이션15(전체 빌드아웃 시 29개)
웹사이트www.calgary.ca/greenline
서비스
유형경전철
시스템CT레인
경로번호203
연산자캘거리 트랜짓
데일리 라이더십65,000개(전체 빌드 시 14만개)
역사
계획개방2027 (2027)[1]
기술
선 길이20km(12mi)
(완전 확장 시 46km)
캐릭터등급, 고가, 지하, 도로 주행
트랙 게이지1,435 mm (4ft 8+12 인치)
전기화오버헤드 라인, 600V DC[2]
작동 속도시간당 80km(50mph)
지도도

미래연장
N로160번길
N로144번길
스토니 트레일
노스 푸앵트
N로96번길
침구톤 트레일 NW
침구통
N로64가길
손클리프
N로40가길
N로28가길
N로16가길
N로9가길
보우 강
2번가 SW
SW7길
다운타운 트랜짓 몰
CTrain
캐나다 태평양 철도
센트럴 스트리트
레드 라인
블루 라인
SE로4가길
엘보우 강
램지/잉글우드
캐나다 태평양 철도
SE로26가길
블랙풋 트레일
하이필드
디어풋 트레일
보우 강
린우드/밀리카인
오그덴
사우스힐
채석공원
더글러스 글렌
셰퍼드
미래연장
프레스트윅
매켄지 타운
스토니 트레일
오번 만/마호가니
사우스 병원
세톤

그린 라인캐나다 앨버타 캘거리 북서부와 남동부 사이를 운행할 계획경전철(LRT) 메가프로젝트다. 완공되면 CTrain 시스템의 세 번째 노선이 되며 기존의 레드라인, 캘거리 시내 블루라인과 연결되는 203번 국도로 알려지게 된다. 그린라인은 앨버타[3] 역사상 최대 규모의 공공인프라 사업으로 2위 사업보다 3배 반이나 크다.[4] 그것은 캘거리에서 저상 열차를 운행하는 첫 번째 철도 노선이 될 것이다.[5]

완공되면, 그린 라인은 46킬로미터에 이르는 29개의 역으로 구성될 것이다. 레드라인, 블루라인처럼 그린라인이 단계적으로 구축된다. 1단계 공사에는 15개 역(등급 9개, 지하 4개, 고가 2개)이 투입되며 2020년 6월 16일 캘거리 시의회의 자금과 승인을 받았다.[6] 주요 건설은 2021년 초에 시작될 예정이었으나 통합 보수당 지방정부가 노선의 자금 중 약속한 부분을 기부하지 못하여 2021년 말로 연기되었고, 캘거리 시는 "신뢰할 만한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7][8][9] 이는 수개월 동안 시 공무원, 정치인, 언론인들로부터 지방정부, 석유 재벌 및 통합 보수당과[10][11][12][13] 관련된 다른 간부들이 그린라인의 대중의 지지에도 불구하고 그린라인의 입장을 억누르거나 취소하려고 시도하고 있다는 추측이 있은 후에 나온 것이다.[14] 도의 조치로 캘거리시는 계획 수립과 사전 건설, 공공 참여가 계속됐지만 사업 조달을 일시 중단했다.[9] 2021년 5월 25일 캘거리 시는 이 노선의 벨트라인 구간인 구간인 2A를 시작으로 2021년 가을 공사를 시작한다고 발표했다.[15] 시는 건설관리 시공사로 PCL건설을 선정했다.[16] 이 사업은 2021년[17] 7월 7일 정부 3개 명령 모두로부터 최종 승인을 받았고 이후 저스틴 트뤼도 총리는 "돈이 있고 협정이 체결돼 있어 선거와 상관없이 그린라인이 전진할 것"이라고 밝혔다.[18] 1단계 공사는 2027년에 완료될 예정이다.[19]

설명

그린 라인은 캘거리의 CTrain 시스템의 일부로 통합된 저상 열차를 사용하는 도시 및 교외 경전철 노선이 될 것이다. 캘거리의 다른 철도망과 마찬가지로 그린 라인은 완전히 재생 가능한 풍력 발전 전기로 구동될 것이다.[20] 이 노선의 운영은 라이더 요금과 함께 시세의 공적 자금으로 지원되며 캘거리 트랜짓이 관리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역은 저상 열차의 사용으로 인해 기존 CTrain 역보다 작고 덜 정교하게 될 것이다. 이 선의 남동 구간은 기존 레드라인블루라인과 유사하게 운행되며, 등급 횡단 및 무료입장소에 전용 트랙, 벨, 게이트가 설치된다. 이어 26번가 SE역램지/잉글우드역 사이의 선로가 기존 수날타역과 유사한 안내도로에서 상승한다. 이후 이 노선은 벨트라인, 센트럴시티, 어우 클레어를 거쳐 4개의 지하역이 있는 완전히 지하에 위치하게 된다. 지하 세그먼트는 빅토리아 파크 버스 차고지와 인접한 11번가와 6번가 SE의 터널 포털에서 시작된다. 그것은 11번가 SE 아래의 얕은 터널에서 벨트라인으로 진입할 이며, 4번가 SE와 센트럴 스트리트 남부 역에서 지하에 정차한 후 북쪽으로 방향을 바꿔 2번가 SW 아래의 중심 도시로 진입할 것이다. 이어 열차는 캘거리 도심 7번가 SW역 지하에 정차해 기존 레드라인과 블루라인으로 직통 환승이 가능하다. 열차는 북쪽으로 계속 이어져 어 클레어의 2애비뉴 SW역 지하에 정차하고, 어 클레어 마켓에 통합된 터널포털에서 빠져나와 열차를 수용하기 위해 중앙도서관과 비슷하게 재개발될 예정이다. 그런 다음, 두 개의 다중이용 경로가 있는 높은 안내도가 센트럴 스트리트 다리 북쪽에 있는 센트럴 스트리트까지 선로를 따라갈 것이다. 이후 열차는 전용차로인 센트럴 스트리트 2차선에서 북쪽으로 달리며 맥나이트 대로 남쪽의 차량통행 2차선과 맥나이트 대로 북쪽의 4차로를 남긴다. 이 열차는 중앙로를 따라 대부분의 등급 횡단보도에서 문, 종, 울타리 없이 운행될 것이다. 기차는 북쪽으로 계속 갈 것이고, 선로는 결국 하베스트 힐즈 대로의 중앙부에 들어갈 것이며, 노선은 결국 스토니 트레일 북쪽을 가로질러 키스톤의 외곽 교외 공동체로 들어갈 것이다.[21][22]

역 및 경로

이 노선은 46킬로미터의 선로에서 북중부에서 남동 캘거리까지 운행될 것이며 29개의 역이 운행될 것이다. 이로써 캘거리의 총 CT레인 스테이션 수는 74개가 된다. 계획된 그린 라인 복도는 현재 세 가지 버스 고속 운송(BRT) 노선을 통해 제공된다. 300번 국도(캘거리 국제 공항과 시내, 주로 중심가를 따라 운행), 301번 국도(북 핀트와 시내 사이),[23] 302번 국도(세톤과 시내 사이)이다.[24] 레드라인, 블루라인처럼 그린라인이 단계적으로 구축된다. 1단계 공사는 16번가 N역 북쪽 16번가에서 캘거리 시내를 거쳐 셰퍼드역 126번가 SE까지 연장된다.[25]

1단계 건설은 세 개의 작은 세그먼트에 점진적으로 건설될 것이다.[19]

터미네이터(최종 빌드아웃)
터미네이터(1단계)

그린 라인(1단계)

[26] 등급 오프닝 플랫폼형 주차 공간[27] 근사위치
NA로16길 at-grade 2027 중앙 없음 센터 스트리트 N, 크레센트 하이츠의 16번가와 14번가 사이, 턱시도 공원 남쪽 가장자리
N로9가길 at-grade 2027 측면 없음 센트럴 스트리트 N, 로터리 파크 근처 크레센트 하이츠의 9번가와 7번가 N번가 사이
2번가 SW 지하 2027 중앙 없음 어우 클레어 아래, 보우 강프린스 아일랜드 공원, 리버프론트 애비뉴 북서쪽, 2 스트리트 SW
SW7길 지하 2027 중앙 없음 캘거리 시내 7번가와 2번가 SW 이하, 레드라인블루라인 연결
센트럴 스트리트 지하 2027 중앙 없음 벨트라인 캘거리 타워 남쪽 11번가 SE 아래
SE로4가길 지하 2027 중앙 없음 벨트라인 스탬프드 파크에서 올림픽대로 SE의 동쪽에 있는 11번가 SE 이하
램지/잉글우드 상승됨 2027 측면 없음 11번가 SE 부근의 기존 화물 철도 선로와 인접하며, 잉글우드램지의 12번가 SE에 걸쳐 상승함
SE로26가길 상승됨 2027 측면 없음 교차로 시장 서쪽의 26번가와 11번가 SE에서.
하이필드 at-grade 2027 중앙 없음 하이필드 대로와 오그덴 로드 SE 인근, 하이필드 시에서 가장 오래된 공업 지역
린우드/밀리카인 at-grade 2027 측면 600 린우드밀리컨 에스테이트의 팝 데이비스 애슬레틱 파크와 인접한 오그덴 로드와 밀리컨 로드 SE에서
오그덴 at-grade 2027 측면 없음 캐나다 태평양 철도 본부에 있는 오그덴의 지역사회에서
사우스힐 at-grade 2027 측면 없음 글렌모어 트레일리버벤드와 인접한 24번가 SE 인근
채석공원 at-grade 2027 측면 없음 채석공원 대로 인근, 채석공원 SE 26번가.
더글러스 글렌 at-grade 2027 측면 600 더글라스데일/더글라스글렌의 디어풋 트레일 근처 114번가 SE에 인접
셰파르드 at-grade 2027 측면 600 South Trail Crossing 쇼핑 센터 126번가 SE 근처

계획북방확장

[28] 등급 오프닝 플랫폼형 주차 공간[27] 근사위치
N†로160번길 at-grade TBD 중앙 없음 키스톤 외곽 교외 지역 160번가 N번가 센터 스트리트 N에서
N로144번길 at-grade TBD 중앙 없음 센트럴 스트리트 N, 스토니 트레일 북쪽에 있는 144번가 N, 리빙스턴 지역 주민
노스 푸앵트 at-grade TBD 중앙 TBD 하베스트 힐즈 대로, 코벤트리 힐즈파노라마 힐즈 팬텀 대로에서
N로96번길 at-grade TBD 측면 TBD 하베스트 힐즈 대로에서, 컨트리 힐스하베스트 힐즈 96번가, 향후 캘거리 국제공항 연결
침구통 at-grade TBD 측면 TBD 중앙 N번가, 침구턴 하이츠의 침구톤 대로에서
N로64가길 at-grade TBD 측면 없음 센트럴 스트리트 N, 헌팅턴 힐즈의 64번가 N에 있음
손클리프 at-grade TBD 측면 없음 손클리프의 McKnight Blvd에 있는 센터 스트리트 N에서
N로40가길 at-grade TBD 측면 없음 그린뷰 공업지역 근처의 하이랜드 파크에 있는 40번가 N에 있는 센터 스트리트 N에서
N로28가길 at-grade TBD 측면 없음 턱시도 공원 내 28번가 N번가 중심가 N에서

계획 동남 확장

[29] 등급 오프닝 플랫폼형 주차 공간[27] 근사위치
프레스트윅 at-grade TBD 측면 TBD Prestwick 게이트 및 52 Street SE의 New Brighton 인접
매켄지 타운 at-grade TBD 측면 TBD McKenzie Towne Avenue 및 52 Street SE의 McKenzie Towne에서
오번 만/마호가니 at-grade TBD 측면 TBD 오번 베이마호가니, 오번 메도우스 애비뉴와 스토니 트레일 남쪽 52번가 SE에 있다.
사우스 병원 at-grade TBD 측면 없음 Market Street SE와 인접한 South Health Campus에서
세토노 at-grade TBD 중앙 TBD 세튼 애비뉴와 세톤 웨이 SE에서, 세톤 커뮤니티에.

확장 타임라인 및 자금 지원

미래 확장의 조정과 일반 설계는 시의회에서 승인되었지만, 향후 확장의 연장과 재원 조달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건설 1단계에서는 라인에서 가장 복잡하고 가장 비싼 구간을 먼저 건설하여 자금 조달이 가능해짐에 따라 노선의 증분적이고 비교적 단순한 확장이 가능하다. 이 라인의 완전한 증축은 20억~30억 달러의 추가 비용이 필요할 것으로 추정된다. 2019년, 잠재적 미래 자금 지원의 가변적인 양에 대해 몇 가지 잠재적 단계 2 빌드아웃을 평가하였다. 다음은 다음과 같다.[30]

  • CA$2억 5천만–4억:
  • CA$4억–7억:
  • CA$7억–10억:
    • 북쪽~64번가 N 또는
    • 남쪽부터 세튼까지 또는
    • 북쪽 40번가 N, 남쪽은 오번만/마호가니

추가 인프라

완료되면 녹색 라인 1단계에 다음 기능이 추가된다.

  • 각각 40m 길이의 저층 경전철 열차 40–45
  • 선로20길
  • 15개 역(등급 9개, 지하 4개, 지상 2개)
  • 총 1,800 – 1,900개의 노점을 갖춘 3개의 공원 및 승차 시설(Lynnwood/Millican, Douglas Glen, Shepard)
  • 램지/잉글우드에서 26개 애비뉴 SE역 사이의 1km의 고가 선로
  • 셰퍼드역[31] 북쪽, 경전철 차량(LRV) 유지관리 및 보관 시설 1개

When the full line is complete, it will also feature 12 bridges, 10 park and ride facilities (with 5,000 to 6,000 parking stalls), 10 tunnels (including the 4 km (2.5 mi)-long centre city tunnel from 2 St SW in Eau Claire to Olympic Way SE in Victoria Park, a bridge connecting Eau Claire to Centre Street North, and 2 LRV maintenance and storage fac일리츠(셰퍼드 및 96번가 N).[32][21]

임팩트

이 거대한 주체는 수십만 명의 칼가리아인들의 이동성, 경제성, 삶의 질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25] 그린 라인은 전적으로 풍력 발전 전력에 의해 구동될 것이며, 이는 캘거리 도로의 차량 14,200대 감소에 해당하는 연간 6만7,000톤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소시킬 것이다.[33][34] 이것은 연간 2,200만 리터의 가솔린과 디젤 연료를 절약하고 도시 전체의 스모그를 2%[33] 감소시킨다. 디어풋 트레일은 현재 캘거리에서 남동쪽으로 가는 주요 교통 노선이다. 알버타에서 가장 번화한 고속도로로 만성적인 혼잡을 겪고 있다. 칼가리아인들은 2016년 피크 시간 혼잡 속에서 평균 15.7시간을 보냈다.[35][36] 그린라인 정렬은 디어풋 트레일에 인접해 운행되며, 교통도시 전반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동맥경로의 교통량을 줄이는 촉매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린 라인이 완공되면 도시 전체의 혼잡도가 10-15% 감소하고 총 차량 킬로미터가 최대 40% [36]감소할 것이다. 또한, 이 노선은 기존 중북부 BRT와 남동부 BRT 탑승자의 이동 시간을 평균 25분 단축할 것이다.[25] 9번가 N - McKnight Blvd 사이의 센트럴 스트리트는 차량통행을 위해 2개 차선으로 축소되어 도로를 동맥 관통도로에서 지방도로로 전환하게 된다. 시내를 오가고자 하는 사람들 — 센트럴 스트리트를 이용하는 McKnight Blvd는 CTrain을 타거나 Edmonton Trail이나 14 Street NW와 같은 대체 노선을 타도록 권장될 것이다. 이 노선은 1단계 건설에만 2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이 노선에서 도보 거리 내에 20만개의 일자리를 연결함으로써 COVID-19 대유행 사태에 대응한 캘거리의 경제 회복에 기여할 것이다. 완공되면 매일 14만명이 그린라인을 탈 것으로 예상된다. 1단계 공사는 하루 6만5000명의 승객을 태울 것으로 예상된다.[25]

역사

초기 역사

트램은 1909년부터 1950년까지 41년간 센트럴 가의 표면을 달린다.[37] 그린 라인은 캘거리 전차의 역사적인 정렬, 센트럴 스트리트 표면의 운행 열차도 복원시킬 것이다.

그린 라인은 캘거리의 첫 LRT 라인이 개통된 지 2년 후인 1983년에 처음 구상되었다.[38] 일찍이 1986년에 맥켄지 타운, 뉴 브라이튼, 코퍼필드의 공동체는 미래 노선을 위해 52번가 SE를 따라 토지를 분할했다. 그 후 1987년에 시는 동남부 대중교통 회랑 연구를 실시했고 남동부 캘거리에는 언젠가는 전용 경전철 노선이 필요할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39]

원제안

2010년 캘거리시는 불과 5년 후 캘거리 인구가 125만명에 이르기 전에 그린라인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했다.[40] 디어풋 트레일의 만성적인 혼잡은 125만 인구 목표 이전에 그린 라인을 건설하지 못한 탓도 있다.[41] 2011년, 시는 그린 라인 북-중앙 다리에 가능한 세 가지 정렬을 고려하기 시작했다: 디어풋 트레일에 인접한 노즈 크릭, 에드먼턴 트레일 또는 센트럴 스트리트. 대중과의 교류가 끝난 후, 시는 센트럴 스트리트를 선호되는 정렬로 선택했다.[42] 2012년, 그린 라인은 시내에서 중앙북부로, 그리고 도심에서 남동쪽으로 두 개의 분리된 새로운 노선으로 제안되었다.[43] 회선의 분할은 의회에서 부결되었다.[44] 2016년까지 1억1000만 달러가 선로설비 취득과 예비 연구에 쓰였다.[45] 시는 2017년 5월 일부 설계 선택 시 예상외로 비용이 많이 들어 단계적으로 시공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46] 당초 28개 역의 그린 라인 전체 예상액이 45억 달러였지만,[47] 중심도시 터널 비용 19억5000만 달러를 포함한 1단계 비용만 46억5000만 달러로 추산됐다.[48][46]

자금 및 조정 변경

2015년, 캐나다 정부는 알버타에 있는 인프라 프로젝트를 위한 단일 연방 투자 최대 규모인 그린 라인에 역사적인 15억 3천만 달러를 투자할 것이라고 발표했다.[49] 2019년 초 앨버타의 NDP 지방정부는 지방 탄소세가 납부한 15억3천만 달러의 자금을 집행했다.[50] 시간이 흐르면서 캘거리 시는 그린 라인에 대한 자금 지원을 유보했고 이 프로젝트에 15억 3천만 달러의 투자를 지정했다. 그린 라인은 정부의 세 가지 명령 모두로부터 대략 동등한 세 가지 기부로 자금을 조달받는다. 2019년 앨버타 총선거가 끝난 2019년 말 새로 선출된 통합보수성당은 그린라인 예산을 86%[13] 삭감하고 정부가 '이유 없이' 기여를 종료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법안을 통과시켰고 90일 만에 통보했다.[51] 이 조치는 시의 사업 추진 능력을 복잡하게 만들었고, 연방정부의 투자에 대한 시의 접근을 방해했으며, 잠재적인 조달 입찰자들 사이에서 불확실성을 높였다. 도의 이번 결정으로 캘거리시는 1단계 공사가 완료될 때까지 연방정부의 분담금을 받을 수 없어 일시적으로 이 사업의 유일한 활력소가 됐다. 시는 2020년 5월 12일 예산 범위 내에서 사업을 유지하기 위한 노선 조정 변경안을 발표했다. 개정된 정렬은 보우 강 아래의 깊은 땅굴을 프린스 공원 동쪽 끝의 높은 안내도로 대체했다. 강 밑 터널을 없애면 공사비와 위험 부담이 크게 줄어든다. 그 변화들은 또한 9번가 N과 16번가 N 사이에 선을 표면으로 가져왔고, 전용 통행권으로 센터 가의 두 중심 차선을 따라 달렸다. 16번가 N 북쪽 그린 라인은 시가 2017년 권고한 이후 지상 운행 열차로 계획돼 왔다. 변경사항에는 또한 크레센트 하이츠의 9번가 N역을 증설하여 1단계 건설의 역 수를 15개로 늘리고, 총 29개의 역까지 증설하였다. 2번가 SW 역과 4번가 SE 역은 등급에서 지하로 이동하였고, 노선의 벨트라인 구간은 1블록 n으로 이동하였다.처음에 권장한 대로 12번가 남쪽이 아닌 11번가 남쪽 아래에서 주행하는 것이 좋다. 바로우 트레일과 114번가 SE의 교차점 아래에 있는 터널 계획은 교차로를 넘는 고가도로를 위해 폐기되었고, 셰퍼드 역공원과 승차장주차장에서 지상 주차장으로 변경되었다.[52][53]

반대

2020년 초 메가프로젝트의 승인이 임박하자, 통합 보수당과 연계를 맺은 부유한 석유 산업과 기업 경영진들이 캘거리 석유 클럽에서 시 공무원들과 함께 초청 행사를 마련했다.[10][54] 대중의 지지에도 불구하고 이 단체의 목적이 이 사업을 취소하는 것이라는 추측에도 불구하고,[14][55][56] 일부 참석자들은 그렇지 않다고 주장했다.[57] 참석자 중 한 명인 짐 그레이 석유 산업 임원은 이 그룹이 이 라인에 반대하지 않고 대신 "위험을 없애기를" 원한다고 제안했다.[57] 이 단체는 철도의 절반을 버스로 교체하고, 시내 전철을 취소하며, 고층 열차를 이용할 것을 요구했다.[12] 이 단체는 또한 '캘거리 시민의 특별 위원회', '그린 라인을 다시 생각해라', '그린 라인이 제대로 되었다'라는 제목으로 그린 라인에 반대하는 온라인 광고 캠페인에 수천 달러를 쏟아 부었다. 페이스북은 이 그룹의 광고가 수백만 명의 알베르탄 사람들에 의해 목격되었다고 말한다.[58] 이 단체는 또한 캘거리 헤럴드와 같은 지역 신문에 사설을 게재하면서 이 프로젝트에 대해 여러 가지 의심스러운 주장을 펼치며 중단이나 취소를 요구했다. 또한, 이 단체는 도시 전역의 지역사회에 그린 라인 반대 전단지를 붙이고 그린 라인 반대 웹사이트를 운영했다.[59] 2020년 12월, 보수적인 보수적인 교통부 장관인 Ric McIver는 성명에서 그 기차는 "어디로나 가는 [8]노선"이며 그 도시는 "믿을 만한 계획"이 없다고 그린라인을 비난했다.[60] 이후 사업의 기술계획이 부적절하다는 맥아이버의 발언에 이어 6개월의 추가 지연이 발생하자 도는 노선 설계나 정렬에 변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기술적 문제가 해결됐다고 발표했다.[61] 이 문제가 도가 약속한 사업비 일부를 지원하지 못한 이유로 거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통합 보수 지방 정부는 자금 지원을 계속 보류하겠다고 발표했고, 시는 새로운 사업 사례를 생산해야 하며, 디의 확장에 투자하게 될 것이다.rfoot 트레일.[61][62] 알버타 지방정부도 90일 예고만으로 기부를 취소할 수 있는 법안을 유지했다. 관계자들은 이 조치가 이 프로젝트의 구매를 복잡하게 만들고, 이 프로젝트의 전체 비용을 수백만 달러 증가시켰으며, 이 프로젝트를 1년 지연시켰다고 말한다.[11] 이런 조치에도 불구하고 도는 그린라인 구상을 지지한다는 입장을 공개적으로 유지하고 있다.[63][7] 저스틴 트뤼도 총리는 2021년 7월 7일 캘거리 시내의 페어마운트 팔리저 호텔에서 제이슨 케니 알버타 총리와 비공개로 만났다. 3시간도 채 지나지 않아, 알버타 정부는 그린 라인을 수정 없이 승인했으며, 라인 자금 중 그들의 약속된 부분을 기부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7] 지방정부가 1년 넘게 지연시킨 끝에, 저스틴 트뤼도 총리, 나히드 넨시 시장, 시의회 의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캘거리의 올리버 보웬 경전철 정비시설에 모여 그린 라인이 계획대로 진행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제이슨 케니는 그 발표에 참석하기를 거절했고 지방 대표들을 보내지 않았다.[64] 2021년 캘거리 시장 후보인 제롬 파카스는 거의 만장일치에 가까운 프로젝트 승인에 반대표를 던진 유일한 의원이었다.[4]

찬성 및 여론

2020년 6월 16일, 의회는 부유하고 영향력 있는 소수의 기업인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그린 라인 건설 단계 하나를 승인하기로 14대 1로 의결했다.[19] 이 사업은 2021년 7월 7일 정부 3개 발주 모두로부터 최종 승인을 받았다.[17] 2020년과 2021년에 실시된 여러 여론 조사에서 이 거대 주체가 대중적인 지지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6월에 실시된 여론 조사에 따르면, 칼가리아인의 68.7%가 이 프로젝트를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4] 캘거리시가 2021년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90%는 그린라인이 도시의 미래에 중요하다고 답했고 89%는 시의 교통망에 중요한 부가물이라고 답했다. 1단계에 드는 CA$55억의 비용은 연방정부, 지방정부, 캘거리시 간에 대략 같은 비율로 분담될 것이다.[65][66] 저스틴 트뤼도 총리는 2021년 7월 10일 "돈이 있고 협정이 체결돼 있어 선거와 상관없이 그린라인이 전진할 것"이라고 말했다.[18]

건설

캘거리시는 2017년 철도 연계에 따른 공공시설 이전과 환경 환원사업으로 공사준비를 시작해 5억 달러가 넘는 예산을 투입했다.[67] 그 도시는 그 프로젝트가 "쇼핑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말한다.[8] 2020년 12월 17일, 캘거리 시는 2015년에 시행된 노선의 자금조달에 대한 연방 보수 지방 정부의 이관이 실패하자 일시적으로 건설 조달을 "일시"했다.[9] 같은 날, 당 교통부 장관인 리치 맥아이버 대변인은 이 열차가 "어디에도 없는 노선"[8]이라고 말했다. 도는 현재 진행 중인 현안사항으로 2021년 3월 시에서 당초 계획한 대로 2021년 초에 착공할 가능성이 낮다는 보고가 나왔다.[68] 네시 시장은 도의 조치로 노선 건설이 지연됐고, 사업비에도 '수백만 달러'가 추가됐다고 밝혔다.[8] 2021년 5월 25일 캘거리 시는 이 노선의 벨트라인 구간에서 2021년 가을 공사를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시는 건설관리 시공사로 PCL건설을 선정했다.[16] 1단계 공사는 2027년에 완료될 예정이다.[19]

참고 항목

참조

  1. ^ "Green Line Stage One". Calgary Engage. Retrieved June 23, 2020.
  2. ^ "SD160 Light Rail Vehicle: Calgary, Canada" (PDF). Siemens Transportation Systems, Inc. 2007.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October 26, 2010. Retrieved January 23, 2011. Catenary supply voltage: 600 Vdc
  3. ^ Krause, Darren (2020-06-17). "Province to review Calgary Green Line plan: McIver letter". LiveWire Calgary. Retrieved 2020-09-21.
  4. ^ a b "Green Line LRT: Calgary councillors approve alternative Stage 1 route". Global News. Retrieved 2020-06-21.
  5. ^ Communications, Customer Service &. "Green Line Stage One". Engage. Retrieved 2020-09-21.
  6. ^ a b "Green Line future stages". www.calgary.ca. Retrieved June 23, 2020.
  7. ^ a b "Green Line construction in 2021 now a 'fantasy' as contract pause drags on, supporters say". calgaryherald. Retrieved 2021-03-29.
  8. ^ a b c d e "Nenshi says province's 'foot-dragging' could add millions to Green Line costs".
  9. ^ a b c "Green Line LRT procurement process stopped in its tracks due to provincial funding uncertainty".
  10. ^ a b "Group that wants pause on Green Line hosted private event with top city officials".
  11. ^ a b "'Get on with it': Nenshi says province is 'foot-dragging,' could add millions to Green Line costs". calgaryherald. Retrieved 2021-03-25.
  12. ^ a b Krause, Darren (2020-05-25). "Groups vie for footing in Calgary's Green Line debate". LiveWire Calgary. Retrieved 2020-06-23.
  13. ^ a b "Jason Kenney Cuts Green Line Budget 86%".
  14. ^ a b c "New poll shows most Calgarians are in support of Green Line plan". Global News. Retrieved 2020-06-23.
  15. ^ a b "City announces the start of the utility relocation project to make way for main Green Line construction".
  16. ^ a b "PCL begins Calgary's Green Line utility relocation - REMI Network". REMINET. Retrieved 2021-05-28.
  17. ^ a b c "Elbow bumps all around: Trudeau meets face to face with Kenney and Nenshi in Calgary". calgaryherald. Retrieved 2021-07-15.
  18. ^ a b "Sprawlcast: An interview with Prime Minister Justin Trudeau". The Sprawl. Retrieved 2021-07-15.
  19. ^ a b c d "Calgary council votes to build the $5.5B Green Line". CBC News. June 16, 2020.
  20. ^ "The City of Calgary: Investing in the Calgary Green Line".
  21. ^ a b Communications, Customer Service &. "Green Line - Segment 2 :: Green Line Stage One". Engage. Retrieved 2020-05-18.
  22. ^ "Green Line Long Term Vision Report" (PDF).
  23. ^ "BRT North/Downtown, Route 301" (PDF). Calgary Transit. Retrieved 16 May 2019.
  24. ^ "BRT Southeast, Route 302" (PDF). Calgary Transit. Retrieved 16 May 2019.
  25. ^ a b c d "Calgary Green Line Info graphics Place mat" (PDF).
  26. ^ "City of Calgary Route Ahead Plan (Updated May 2020)" (PDF).
  27. ^ a b c Calgary Transit. "Park & Ride Locations - Calgary Transit". www.calgarytransit.com. Retrieved 2 February 2018.
  28. ^ "City of Calgary Route Ahead Plan (Updated May 2020)" (PDF).
  29. ^ "City of Calgary Route Ahead Plan (Updated May 2020)" (PDF).
  30. ^ Hudes, Sammy (March 18, 2019). "Next Green Line phase might only extend north to 64th Avenue". Calgary Herald. Retrieved 16 May 2019.
  31. ^ "Calgary's Green Line storage barn will be so big it may need federal environmental assessment - CBC".
  32. ^ "Alignment and Station Overview" (PDF). Green Line LRT Long Term Vision: 160 Avenue N to Seton (Report). City of Calgary. October 2017. Retrieved 16 May 2019.
  33. ^ a b "The City of Calgary: ADDRESSING CALGARY'S NEEDS WITH GREEN LINE LRT" (PDF).
  34. ^ "City of Calgary: Investing in Calgary's Green Line LRT".
  35. ^ "CBC: Deerfoot Trail congestion".
  36. ^ a b "Green Means Go". Shane Keating — Councillor Ward 12. 2016-01-08. Retrieved 2020-07-10.
  37. ^ "The City of Calgary's Transit History". The Gauntlet. 2018-05-10. Retrieved 2020-06-21.
  38. ^ Keating, Shane (2019-09-20). "A (somewhat) Brief History of the Green Line". Shane Keating — Councillor Ward 12. Retrieved 2020-06-22.
  39. ^ "Southeast Mass Transit Corridor Study" (PDF).
  40. ^ Calgary, Open. "Calgary's Population, 1958-2019 Open Calgary". data.calgary.ca. Retrieved 2020-06-22.
  41. ^ Keating, Shane (2017-02-24). "A Chat About Calgary Congestion". Shane Keating — Councillor Ward 12. Retrieved 2020-06-30.
  42. ^ "Suspended sediment in Trail Creek at Michigan City, Indiana". 1992. doi:10.3133/wri924019. hdl:2027/mdp.39015062454080. Cite 저널은 필요로 한다. journal= (도움말)
  43. ^ Smith, Kevin (October 29, 2012). "Canada's light rail renaissance". International Railway Journal. Retrieved 21 May 2019.
  44. ^ "City council approves Green Line, with conditions to keep it on budget". Calgary Herald. Retrieved 2020-06-30.
  45. ^ Klingbeil, Annalise (May 16, 2017). "City has spent $101M on Green Line LRT so far, land acquisition going 'pretty smoothly'". Calgary Herald. Retrieved 16 May 2019.
  46. ^ a b Klingbeil, Annalise (May 16, 2017). "First phase of Green Line would cost $4.65 billion, run from Crescent Heights to Shepard". Calgary Herald. Retrieved 16 May 2019.
  47. ^ Howell, Trevor (February 13, 2017). "Green Line LRT to be phased in, won't reach transit-starved communities for years". Calgary Herald. Retrieved 16 May 2019.
  48. ^ Klingbeil, Annalise (November 2, 2016). "$1.95 billion underground tunnel for Green Line LRT recommended by city". Calgary Herald. Retrieved 16 May 2019.
  49. ^ "Tories announce $1.5B for Green Line LRT project". calgaryherald. Retrieved 2021-03-25.
  50. ^ "Funding arrangement officially secured for first stage of Calgary Transit's Green Line". Calgary. 2019-01-30. Retrieved 2020-06-22.
  51. ^ "Proposed legislation allows UCP cabinet to kill Green Line funding with 90-day notice". Calgary Herald. Retrieved 2020-06-27.
  52. ^ Communications, Customer Service &. "Green Line - Segment 1 :: Green Line Stage One". Engage. Retrieved 2020-09-09.
  53. ^ Communications, Customer Service &. "Green Line - Segment 2 :: Green Line Stage One". Engage. Retrieved 2020-09-09.
  54. ^ "Green Line poll commissioned by group calling to 'de-risk' LRT tests support for 'alternative plan'". Calgary Herald. Retrieved 2020-06-23.
  55. ^ "Delay Green Line or risk 'economic catastrophe', business group tells council". Calgary Herald. Retrieved 2020-07-21.
  56. ^ "Calgary businessmen urge city to put the brakes on Green Line LRT". Calgary. 2019-06-26. Retrieved 2020-07-21.
  57. ^ a b "Green Line poll tests support for business group's 'alternative plan'". Calgary Sun. 2020-06-11. Retrieved 2020-06-23.
  58. ^ "Ad Library". www.facebook.com. Retrieved 2021-03-25.
  59. ^ "Rethink the Green Line Home". web.archive.org. 2020-05-19. Retrieved 2021-05-29.
  60. ^ "City asks to see provincial Green Line report after tense week for LRT project".
  61. ^ a b "UCP government wants a "business case" for Calgary's Green Line".
  62. ^ Alberta, Government of. "P3 to expand Deerfoot Trail improvements". www.alberta.ca. Retrieved 2021-05-18.
  63. ^ Villani, Mark (2020-12-17). "Green Line LRT procurement process stopped in its tracks due to provincial funding uncertainty". Calgary. Retrieved 2021-03-25.
  64. ^ "Trudeau, Nenshi announce final approval of Green Line".
  65. ^ "Alberta pledges $1.53B for Green Line LRT". CBC News Calgary. July 6, 2017. Retrieved October 11, 2017.
  66. ^ "When will construction of the Green Line start? - 660 NEWS". www.660citynews.com. Retrieved 2021-04-11.
  67. ^ Development, Planning and. "Construction updates for Green Line". www.calgary.ca. Retrieved 2020-07-12.
  68. ^ "Green Line construction in 2021 now a 'fantasy' as contract pause drags on, supporters say". calgaryherald. Retrieved 2021-03-29.

외부 링크

  • 그린 라인 LRT 장기 비전: 160번가 N에서 세튼까지, 12개 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