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이드포스트셀
Guidepost cells가이드포스트셀 | |
---|---|
해부학적 용어 |
안내 포스트 셀은 신경 액손 성장과 이동의 세포 하부 조직을 돕는 세포다.[1]그들은 짧고 쉬운 경로를 만들어 그들의 목표 영역을 향해 액손 성장 원뿔을 이끌어냄으로써 길고 복잡한 액손 성장의 중간 표적 역할을 한다.[2][3]
식별
1976년, 안내소 세포는 메뚜기 배아와 드로소필라 둘 다에서 확인되었다.[4][5][6][7]Ti1 개척자 성장 원뿔을 CNS로 확장하기 위해 "스텝 스톤"처럼 작용하는 단일 안내 기둥 세포가 메뚜기 사지 봉오리에서 처음 발견되었다.[4][6]그러나 안내소 세포도 하나의 집단으로 작용할 수 있다.[4]드로소필라의 신경관에는 성장축의 결합에 이용 가능한 바닥판 세포라고 불리는 상피세포의 띠가 있다.[4]이러한 연구는 항해를 위해 결합할 고선호도 기판을 제공함으로써 가이드포스트 셀을 차축의 미래 경로에 위치한 비연속 랜드마크로 정의했다.[2]
안내소 세포는 전형적으로 아직 액손이 자라지 않은 미성숙 활엽세포와 뉴런 세포다.[2][4][8]그것들은 단거리 셀 또는 축에 의존하는 셀로 분류될 수 있다.[2]
유도 세포로서의 자격을 얻기 위해, 유도 세포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가정된 뉴런을 개발 중에 검사한다.[9]문제의 유도 셀을 시험하기 위해 먼저 유도 셀이 있는 곳에서 신경 액손 성장과 이주를 검사한다.[9]그 후 유도셀이 없는 상태에서 신경축의 성장과 이주를 더욱 심사하기 위해 유도셀을 파괴한다.[10][9]뉴런 액손은 유도세포가 있는 곳에서 경로를 향해 뻗어 나갔다가 유도세포가 없는 상태에서 경로를 상실하면 유도포스터셀로서 자격을 얻는다.[9]Ti1 개척자 뉴런은 최종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 안내소 세포가 필요한 일반적인 사례다.[6][9]그들은 CNS에 도달하기 위해 Fe1, Tr1, Cx1의 세 개의 가이드포스트 뉴런과 접촉해야 한다.[6][9]Cx1이 파괴되면 Ti1 개척자는 CNS에 도달할 수 없다.[6][9]
구성에서의 역할
측면 후각선
횡방향 후각관(LOT)은 축방향 안내 역할을 하기 위해 안내소 셀을 제안한 첫 번째 시스템이다.[2]이 이동 경로에서 후각 신경세포는 비강공에서 후각구 내의 승모세포로 이동한다.[2]승모 1차축은 전후핵, 후각결핵, 해적피질, 엔토르히날피질, 편도체의 피질핵 등 보다 높은 후각중추를 향해 연장되어 LOT라고 불리는 차축의 묶음을 형성한다.[2]텔렌지팔론에 처음 등장하는 뉴런인 '로트세포'는 LOX 액손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세포 기판을 갖고 있기 때문에 가이드포스트(Guidpost)로 꼽힌다.[2]과학자들은 지도에서 그들의 역할을 시험하기 위해 6-OHDA라는 독소로 로트 세포를 절제했다.[2]그 결과 로트세포가 파괴된 지역에서 로트축이 멈춰서면서 가이드포스트 세포로 로트세포를 확인했다.[2]
내부 투영
카잘레지우스 세포는[11] 최초로 피질 시트와 해마 프리모르듐을 덮고, 릴린에 의해 피질 적막을 조절하는 세포다.[2]해마의 다른 영역(스트라텀 오리엔스, 성층 방사상, 내부 분자층)에서 GABAergic 뉴런과 연결하기 위해 개척자 엔토르히날 뉴런은 카잘-레지우스 세포와 시냅스 접촉을 한다.[2]과학자들(델 리오와 동료들)은 지도에서 그들의 역할을 시험하기 위해 6-OHDA로 카잘-레지우스 세포를 경외시켰다.[2]그 결과 엔토르히날 액손은 해마에서 자라지 않고 카잘레지우스 세포를 안내소 세포로 다스렸다.[2]
탈모체 연결부
근세 세포(또는 내부 캡슐 세포)는 내부 캡슐을 만드는 경로를 따라 위치한 뉴런 유도 포스트 세포다.[2]그들은 코르티코탈라믹과 탈라코르티컬 액손(TCAs)이 태음부에 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 발판을 제공한다.[2]분자 세포와 관련된 전사 인자가 있다: Mash1, Lhx2, Emx2.가이드포스트 셀이 이러한 인자의 녹아웃 표현으로 변이되면 TCA의 지침은 무효가 된다.[2]
복도 셀은 TCA 안내를 위해 존재하는 또 다른 안내소 셀 세트다.[2]이 GABAergic 뉴런들은 medial ganglionic emergence와 globus pallidus의 증식 영역 사이에 "corridor"를 형성하기 위해 이동한다.[2]코리더 셀은 MGE에서 파생된 영역을 통해 TCA 성장을 제공한다.[clarification needed]단, 회랑세포와 TCA 사이에 연결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TCA 표면에 ErbB4 수용체의 발현과 함께 뉴르굴린1 신호 경로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2]
코퍼스칼로섬
축 성장에 대한 안내 신호를 제공하는 활공 세포의 하위 집단이 있다.[2]"중간선 글리알 지퍼"라고 불리는 첫 번째 세포 세트는 대측반구를 향한 중격으로 가는 중격선 융접과 개척자 축의 안내를 조절한다.[2][7]"광택 슬링"은 등심 중간선을 가로지르는 콜로살 액손 이동을 위한 세포 기판을 제공하는 코르티코셉탈 경계에 위치한 두 번째 세트다.[2][7]"광택 쐐기"는 방사상 섬유로 구성되어 있으며, 축이 중격으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퇴행 단위를 분비하여 말뭉치 굳은살 쪽으로 위치시킨다.[2][7]인두혈관에 위치한 마지막 세트의 글래알 세포는 말뭉치 부위의 개척자 각막 신경세포의 위치를 조절한다.[2]
참고 항목
참조
- ^ Palka, J; John Palka; Kathleen E. Whitlock; Marjorie A. Murray (February 1992). "Guidepost cells". Current Opinion in Neurobiology. 2 (1): 48–54. doi:10.1016/0959-4388(92)90161-D. PMID 1638135.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Rubenstein, Rakic, John, Pasko (2013). Cellular Migration and Formation of Neuronal Connections : Comprehensive Developmental Neuroscience. Academic Press. pp. 457–472. ISBN 9780123972668.
- ^ Goodman, Corey S.; Tessier-Lavigne, Marc (1998). "Molecular mechanisms of axon guidance and target recognition". Molecular and Cellular Approaches to Neural Development. pp. 108–178. doi:10.1093/acprof:oso/9780195111668.003.0004. ISBN 9780195111668.
- ^ a b c d e Gordon-Weeks, Phillip (2005). Neuronal Growth Con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104. ISBN 0521018544.
- ^ Black, Ira (2013). Cellular and Molecular Biology of Neuronal Development.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pp. 70–71. ISBN 9781461327172.
- ^ a b c d e Breidbach, Kutsch, O, Wolfram (1995). The Nervous Systems of Invertebrates: An Evolutionary and Comparative Approach.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pp. 252–253. ISBN 9783764350765.
- ^ a b c d Lemke, Greg (2010). Developmental Neurobiology. Academic Press. pp. 387–391. ISBN 9780123751676.
- ^ Colon-Ramos DA, Shen K, 2008 셀룰러 컨덕터: 신경 회로 개발 중 가이드포스트로서의 글리알 셀.PLoS Biol 6(4): e112. doi:10.1371/journal.pbio.0060112
- ^ a b c d e f g Sanes, Dan (2011). Development of the Nervous System. Academic Press. p. 107. ISBN 978-0123745392.
- ^ Bentley, David; Michael Caudy (1983-07-07). "Pioneer axons lose directed growth after selective killing of guidepost cells". Nature. 304 (5921): 62–65. doi:10.1038/304062a0. PMID 6866090.
- ^ Chao, Daniel L.; Ma, Le; Shen, Kang (2009). "Transient cell–cell interactions in neural circuit formation". Nature Reviews Neuroscience. 10 (4): 262–271. doi:10.1038/nrn2594. PMC 3083859. PMID 19300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