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버즈
Don Budge![]() | |
풀네임 | 존 도널드 버지 |
---|---|
나라(스포츠) | ![]() |
태어난 | 캘리포니아 오클랜드 | 1915년 6월 13일
죽은 | 2000년 1월 26일 펜실베이니아 주 스크랜턴 | (84세)
높이 | 6ft 1인치(평방 cm |
프로로 전향했다. | 1938년 (1932년부터의 순회공연) |
은퇴한 | 1961 |
플레이스 | 오른손(한손 백핸드) |
인턴 테니스 호프 | 1964(구성원 페이지) |
싱글스 | |
경력기록 | 649-297 (68.6%)[1] |
경력직명 | 43[1] |
최고 순위 | 1번(1937, A. Wallis Myers)[2] |
그랜드 슬램 단식 경기 결과 | |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 W(1938년) |
프렌치 오픈 | W(1938년) |
윔블던 | W (1937, 1938) |
US 오픈 | W (1937, 1938) |
전문전공 | |
US 프로 | W(1940, 1942) |
웸블리 프로 | W(1939년) |
프렌치 프로 | W(1939년) |
복식 | |
경력기록 | 0–0 |
최고 순위 | 1번(1942년, 레이 보우어스) |
그랜드 슬램이 2배 더 많은 결과를 낳다 | |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 SF(1938년) |
윔블던 | W (1937, 1938) |
US 오픈 | W(1936년, 1938년) |
그랜드 슬램 혼합 복식 결과 | |
윔블던 | W (1937, 1938) |
US 오픈 | W (1937, 1938) |
존 도널드 버지(John Donald Beze, 1915년 6월 13일 ~ 2000년 1월 26일)는 미국의 테니스 선수였다. 그는 테니스 그랜드 슬램을 구성하는 4개 대회에서 남자든 여자든, 여전히 유일한 미국 남자든 최초의 선수로 가장 유명하다.[3] 버지는 커리어 그랜드 슬램에서 프레드 페리에 이어 두 번째로 우승한 남자였고, 여전히 그 업적을 달성한 최연소 선수다. 그는 10개의 메이저 대회에서 우승했고, 그 중 6개는 그랜드 슬램(남성 통산 기록)과 4개의 프로 슬램으로, 후자는 세 개의 다른 표면에서 달성했다. 버즈키는 테니스 역사상 최고의 백핸드로 평가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관측통들은 후기 선수인 켄 로즈월보다 더 좋은 평가를 내리고 있다.[4][5] 그는 또 트리플 크라운(동일 대회 단식, 남자 복식, 혼합복식)을 세 차례(1937년과 1938년 윔블던, 1938년 US오픈)에 우승한 유일한 남자고, 1년에 두 차례 우승한 유일한 남자다.
초년기
버즈키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에서 태어났으며 스코틀랜드 이민자 출신으로 미국 이민 전 레인저스 예비팀에서 몇 차례 경기를 치른 적이 있는 전 축구선수 존 '잭 버지'와 펄 킨케이드 버지의 아들이다.[6] 성장한 그는 캘리포니아 대학 팀에서 테니스를 친 형 로이드의 권유로 13세에 테니스를 치기 전 다양한 스포츠를 했다.[7] 그에게는 누나도 있었다. 그는 빨갛고, 키가 크고, 날씬했으며, 그의 키는 결국 여전히 가장 강력한 서브 중 하나로 여겨지는 것을 도울 것이다.[8] 버킷은 1933년 말 버클리 캘리포니아 대학에서 공부했지만 미국 데이비스컵 보조팀과 테니스를 치기 위해 떠났다.
아마추어 경력
고향인 캘리포니아에서 딱딱한 코트 표면에 익숙해진 버즈 감독은 동부의 잔디 코트에서 경기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좋은 강사와 열심히 공부한 것이 그 변화를 가져왔다.
- 1932
버지는 지난 7월 캐나다 서부에서 열린 준결승에 진출해 헨리 프루소프에게 5세트 만에 패했다. 오클랜드 감독은 "오클랜드의 젊은 선수가 시애틀의 건장한 행크 프루소프를 5세트까지 끌고 다니며 푸젯 사운드가 가장 좋아하는 대회를 포함해 대부분의 관중들을 놀라게 했다. 점수는 6-2, 3-6, 6-3, 2-6, 6-2로, 버팀목이 침착하고 수집된 경기를 내내 펼치며 열심히 뛰는 프루소프가 실책을 저지르게 했다. 시애틀맨의 젓가락질이 특히 마지막 세트에서 완벽하게 작동했고, 그는 항상 뭔가 예비적인 것이 있는 것 같았어."[9]
- 1933
지난 5월 델 몬테 챔피언십에서, 버즈키는 결승에서 월리스 베이츠를 연속 세트에서 이겼다.[10] 7월, 버즈키는 캘리포니아 주 챔피언쉽 결승전에서 존 무리오를 이겼다. 그는 "테니스 팬들은 남자 단식 경기와 전문가들이 "모든 것을 가지고 있다"고 솔직하게 시인하는 버즈와의 며칠 동안 대화를 나눌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챔피언의 스트로크뿐만 아니라 그의 나이를 훨씬 뛰어넘는 존재감과 전략을 가지고 있다. 무리오의 가장 불타는 드라이브들은 그의 머리에 붙은 불타는 붉은 털들 중 하나를 자극하는 데 실패했다."[11] 7월 덴버에서 열린 콜로라도 챔피언십 결승에서 버즈키는 잭 티드볼을 5세트 만에 꺾었다.[12]
- 1934
버짓은 6월에 열린 캘리포니아 주 챔피언쉽에서 에드 챈들러를 5세트 만에 물리치고 우승을 유지했다. "찬들러는 경기 내내 골대에 자주 갔고, 버즈 감독은 거의 독점적으로 베이스라인 게임을 하기로 결정했으며, 슛을 자르거나 크로스 코트 슛으로 어쩔 수 없이 웨빙을 했다; 토요일 준결승에서 존 무리오와의 5세트 경기 후 지쳐서, 그는 챔피언에 대한 배짱을 크게 다하여 싸웠다.어제의 치열한 경쟁의 끝은 완전히 지쳤다."[13]
- 1935
버지는 지난 4월 팜스프링스 대회 결승에서 진 마코를 꺾었다.[14] 버지는 8월 뉴포트 카지노 대회 결승에서 프랭크 쉴즈를 꺾었다.[15] 9월 퍼시픽 사우스웨스트 토너먼트 결승에서 버지는 멘젤이 은퇴한 로데리히 멘젤을 상대로 혼합 복식 경기를 위한 에너지를 보존하기 위해 2세트 대 1로 앞서고 있었다.[16] 10월에 열린 태평양 연안 선수권 대회 결승전에서 버지는 바비 리그스를 이겼다.[17]
- 1936
지난 1월, 버즈키는 북캘리포니아 실내 이벤트 결승전에서 월터 시니어(Walter Senior)를 꺾었다.[18] 지난 4월 파인허스트에서 열린 남북 토너먼트에서 '스피드와 컨트롤의 슈퍼브전'[19]으로 한 경기만 패해 할 서피스에게 3연승했다. 6월 퀸즈 클럽 토너먼트 결승에서 버팀목이 데이브 존스를 꺾었다.[20] 버지는 8월 동양선수권 결승에서 리그스를 꺾었다.[21] 버지는 9월 태평양 남서 토너먼트 결승에서 페리를 이겼다.[22] 10월, 버즈키는 태평양 연안 선수권 대회 결승전에서 월터 시니어를 이겼다.[23] 12월에 버즈키는 남부 캘리포니아 한겨울 토너먼트 결승전에서 리그스를 이겼다.[24]
- 1937
지난 2월, 버즈키는 마이애미 대회 결승전에서 브라이언 그랜트를 꺾었다.[25] 6월 퀸즈 클럽 토너먼트 결승에서 버니 오스틴을 꺾었다. "셀덤은 오스틴의 스탠딩 스타를 가지고 있어서 대중이 보는 데서 패배를 참패하게 만들었다."[26] 버지는 윔블던을 휩쓸며 단식(결승에서 고트프리드 폰 크람과 연속 세트 우승), 진 마코와의 남자 복식 우승, 앨리스 마블과의 혼합 복식 왕관을 차지했다. 8월 뉴포트 카지노 대회 결승에서 버팀목이 리그스를 꺾었다.[27] 버짓은 "버짓이 평소 천재적인 유도 게임에서 두 번이나 탈락한 이상한 시소 사건"인 미국선수권 결승전에서 폰 크램을 이겼다.[28] 버지는 9월 퍼시픽 사우스웨스트 토너먼트 결승에서 폰 크램을 다시 꺾었다.[29] 버지는 10월 태평양 연안 토너먼트 결승전에서 리그스를 이겼다.[30] 12월 버즈키는 "덥고 습한 날씨가 선수들을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 증명되었다"는 경기에서 결승전에서 존 브로미치를 누르고 빅토리아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31] 버지는 그해 독일과의 데이비스컵 인터존 결승전에서 폰 크람과의 경기에서 가장 큰 명성을 얻었다. 마지막 세트에서 1-4로 뒤진 그는 다시 8-6으로 이겼다. 그의 우승으로 미국 팀은 12년 만에 처음으로 데이비스 컵에서 우승할 수 있었다. 그의 노력으로, 그는 AP통신 올해의 남자 운동선수로 선정되었고 그는 제임스 E로 뽑힌 최초의 테니스 선수가 되었다. 설리번 상은 미국 최고의 아마추어 운동선수다.
- 1938
1938년 버핏은 호주 결승에서 존 브로미치, 프랑스 결승에서 로데릭 멘젤, 윔블던에서 헨리 '버니' 오스틴을 꺾으며 아마추어 테니스를 압도해 한 번도 세트에서 진 적이 없다(복식·혼합복식에서도 우승), 미국 선수권 결승에서 진 마코(복식·혼합복식에서도 우승), 첫 전야제가 됐다.테니스에서 그랜드 슬램을 이기기 위해서. 역대 최연소 '커리어 그랜드슬램'(자신의 생애 4대 메이저)을 완성하기도 했다. 그는 23번째 생일을 이틀 앞둔 1938년 6월 11일 프랑스 단식에서 우승했다. 버즈키는 7월 프라하에서 열린 체코 선수권대회 결승전에서 라디슬라프 헤흐트를 꺾었다.[32] 버지는 8월 뉴포트 카지노 대회 결승에서 시드니 우드를 꺾었다.[33]
직업 경력
- 1939
버지는 그랜드슬램 우승 후 1938년 10월 프로로 전향했고 이후 대부분 정면승부를 펼쳤다. 1939년에는 프로테니스에서 군림하고 있는 두 왕 엘스워스 넝쿨스를 22 대 17로, 프레드 페리를 28 대 8로 꺾었다.[34][35][36] 그 해, 그는 또한 두 개의 주요 프로 대회인 넝쿨을 상대로 한 프랑스 프로 선수권 대회와 한스 뷔슬린을 상대로 한 웸블리 프로 대회에서 우승했다. 그는 또한 넝쿨, 틸든, 스토이펜 등이 출연했던 유럽 투어에서 여름에 1위를 차지했다.
- 1940
1940년 월드시리즈 프로 투어는 없었지만 7개의 주요 대회가 있었다. 버지. DonBudge4 이러한 사건에서 승리함으로써:(결승전에서 딕 Skeen을 치고)[38]은 국립 공개 화이트 황은 스프링스(결승전에서 브루스 반스를 누르고)[39]에서 미국 프로 축구 선수권 대회(월에 페리를 그의 세계 이 남동쪽 프로 마이아미 비치에서(결승전에서 페리고)[37]북한 &. 남 프로 파인에 붙어 있었다.e)결승전.
- 1941
1941년, 버즈키는 48세의 빌 틸든을 누르고 또 한번 메이저 투어를 했는데 최종 결과는 47 대 6[40] + 1 동점이 되었다. 버즈(병원을 떠난 지 얼마 안 된)는 US프로챔피언십 개막전에서 존 쿤세에게 패했다. "보시오, 돈 씨는 몇 주 전에 병원에 입원해 계단에서 떨어져 코와 왼쪽 귀를 쾅쾅 닫았소. 그는 오늘 코트다리가 없었고 당연히 그것은 그를 뛰게 하는 나의 신호였다. 그리고 나를 믿어라, 나는 내가 오늘 때린 것보다 더 좋은 드롭 샷을 내 인생에서 한 번도 쳐본 적이 없다. 그 공은 십전팔구 놓을 수 있어!" 하고 후에 파우스가 말했다.[41]
- 1942
1942년, 버지는 바비 리그스, 프랭크 코박스, 페리, 레스 스토이펜을 제치고 마지막 메이저 투어에서 우승했다. 그는 또한 포레스트 힐스에서 열린 US 프로에서 우승하여 결승전에서 리그스를 6–2, 6–2, 6–2로 격파했다. 릭스가 스파이크 구두를 신으라는 요청을 거절당하자 군중들은 야유를 보냈다.[42] 그 후, Buttle을 포함한 많은 최고 프로들이 제2차 세계대전에 참여하게 되었다.
병역

1942년, 버즈키는 2차 세계대전에 참전하기 위해 미 육군 공군에 입대했다. 1943년 초 장애물 코스에서 그는 어깨의 근육을 찢었다. 그의 책 '테니스 회고록' 144페이지에서 그는 이렇게 말했다.
찢어진 상처가 아물지 않았고, 형성된 흉터 조직이 상처를 복잡하게 만들며 심각한 상황까지 연출까지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군 복무를 계속할 수 있었다. 그 후 2년이 지난 45년 봄, 버클리대학에 가서 골병 치료사인 J. 레로이 니어 박사가 나와 함께 일할 수 있도록 한 달치 의병 휴가를 받았다.
이것이 그의 경기력을 영구히 방해했다. 전시 임무 동안 그는 특히 1945년 여름 전쟁을 접고 군대를 위해 전시회를 열었고, 버지는 데이비스 컵 형식으로 미국 육군(버지-프랭크 파커)-미 해군(리그스-웨인 사빈) 대회에 참가했다: 주된 대결은 두 미국인이 최고의 경기라는 것을 아는 버지-리그스 회의였다.1942년 미군에 입대하기 직전인 1942년, 그리고 1945년 프로 서킷에 복귀했을 때 다시 세계인이 되었다. 첫 번째 경기에서, 괌 섬에서, 버즈키는 리그스를 6-2, 6-2로 격파했다. 펠레리우 섬에서, 버즈키는 다시 6–4, 7–5로 이겼다. 리그스는 다음 두 경기에서 버즈, 6–1, 6–1 (울리티 섬), 6–3, 4–6, 6–1 (사이판 섬)을 상대로 승리했다. 버지는 파커에게 릭스에게 2연패를 당했다는 불신감을 털어놓았다. 1945년 8월 첫째 주로 예정되어 있는 티니안 섬에서의 5번째이자 결승전에서 릭스는 버자이를 6 대 8, 6 대 1, 8 대 6으로 이겼다. 이는 리그스가 연속해서 리그스에게 패한 첫 번째 사례였다(리그스는 포레스트 힐즈에서 열리는 미국 아마추어 전국대회 출전자 겸 미래 출전 선수인 아마추어 파커와의 경기에서도 5전 3선승으로 승리했다). 따라서 리그스는 앞으로 있을 평시 투어에서 중요한 심리적 우위를 점하게 된다.[43]
전후
- 1946
1946년, 버즈키는 미국 투어에서 릭스에게 24 대 22로 근소한 차이로 졌다. 릭스(Riggs)는 이로써 자신이 세계 1위로 자리매김했다. 크레이머에 따르면
보비는 버즈키의 어깨에 기대어 그를 때려죽이고, 첫 열네 경기 중 열세 경기를 이긴 다음, 스물네 경기인 버즈에게 스물두 경기를 넘기기 위해 매달렸다. 서른 살에 돈 버지는 거의 다 해먹은 사람이었다. 그것이 그 당시 프로 테니스의 방식이었다.
릭스(미국)가 마지막 라운드에서 버지(미국)를 쉽게 꺾은 포레스트힐스에서 열린 US프로에서 위계질서가 마지막 라운드에서 릭스(미국)가 버지(미국)를 쉽게 꺾었다. 1946년에 토너먼트 서킷이 있었다. 버지는 6월 멤피스([44]결승에서 리그스), 6월 리치몬드(결승에서 리그스), [45]7월 필라델피아(결승에서 밴 혼),[46] 10월 샌프란시스코(결승에서 리그스와의 경기)[47]에서 우승했다. 버지는 릭스 뒤에 있는 포인트 테이블에서 2위를 했다.[48]
- 1947
1947년, 버즈키는 두 번의 유럽 투어에서 리그스를 이겼다. 하나는 올해 초에, 그리고 하나는 여름에. 리그스에 따르면, 버지는 여전히 매우 강력하고 치명적인 오버헤드를 가지고 있었고, 로빙으로 아주 많은 점수를 획득하기 보다는, 실제로 두 가지 다른 목표를 달성했다: 그의 끊임없는 로빙으로 버짓은 그가 다른 방법보다 네트에서 다소 더 깊은 플레이를 하도록 유도했고, 그로 인해 리그스가 우승자들에게 패스 샷을 더 쉽게 칠 수 있게 만들었다. 계속 로빙을 하는 것이 버팀이를 매고 있는 것을 도와주었다.[43] 버팀지는 시간이 지날수록 백라인으로 다시 뛰어가도록 했다. 리그스는 5세트 만에 미국 프로 결승에서 버팀스를 꺾고 프로왕에 머물렀기 때문에 리그스는 1948년 크레이머와 빅 투어에서 맞붙게 된다.
- 1948-1961
버지는 1949년 포레스트 힐스에서 리그스에게 패했고 1953년 클리블랜드에서 판초 곤잘레스에게 패하며 US 프로 결승에 두 번 더 올랐다. 1954년, 버즈키는, 로스앤젤레스에서, 당시 세계 최고의 선수였던 곤잘레스를 물리쳤을 때, 판초 곤잘레스, 판초 세구라, 프랭크 세그만과 함께 북미 투어에서 그의 마지막 중요한 승리를 기록했다. 1955년 4월, 버즈키는 포트 로더데일에서 열린 미국 프로 클레이 코트 챔피언십에서 결승전에서 리그스를 물리치고 우승했다.[49] 버지는 지금쯤 아주 드물게 놀고 있었다. 그는 1961년까지 계속 선수로 뛰었는데, 1961년 사우스 프로 결승전에서 잭 아크뉴에게 연속 세트에서 졌다. "그는 여전히 멋진 백핸드를 친다. 하지만 그는 나보다 다섯 살 더 많다. 그리고 내가 그에게 너무 빨리 친 것 같다,"라고 아크넷은 말했다.[50]
만년과 명예
1948년 에드 설리번 쇼와 1951년 스티브 앨런 플리머스 쇼에 출연하였다. 그는 1953년 영화 팻과 마이크에 출연했다.[51]
대회에서 은퇴한 뒤, 버즈키는 코칭으로 돌아서 아이들을 위한 테니스 클리닉을 지휘했다. 1949년 릭스의 자서전에 따르면, 버지는 시드니 우드와 함께 오클랜드에 있는 술집뿐만 아니라 뉴욕에 세탁소를 소유하고 있었다. 코트를 오가는 신사였던 그는 연설에 대한 요구가 많았고 다양한 스포츠 용품들을 지지했다. 테니스에서 오픈 시대의 도래와 함께, 1968년에 그는 재향군인 복식 경기에서 윔블던에 뛰기 위해 돌아왔다. 1973년 58세의 나이로, 그는 전 챔피언 프랭크 세그먼과 팀을 이뤄 윔블던에서 열린 베테랑 복식 선수권 대회에서 감사하는 관중들 앞에서 우승했다.
버지는 1977년 자메이카 몬테고 베이 라켓 클럽의 상주 테니스 프로였다. 1978년 10월에 그는 라스베가스의 캠브리지 타워 호텔에서 테니스 프로가 되었다.[52] 몇 달 후 그는 해고되었지만 그는 5년 계약 위반으로 그 주인을 고소했고 455,041 달러를 받았다.[53]
버지는 1964년 로드 아일랜드 뉴포트에 있는 현재 국제 테니스 명예의 전당인 국립 잔디 테니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54][52] 1992년 베이 에어리어 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당선되었다.[7] 그가 젊었을 때 뛰었던 오클랜드 북부의 부시로드 파크에 있는 한때 무덤이 많은 테니스 코트는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55]
1977년 브로드웨이 뮤지컬 '여기서 좋아질 것 같아'의 애니에 소개된 그는 애니가 테니스 라켓을 한 번도 집어 본 적이 없다고 말하자 '아빠 워벅스'의 비서는 언더링에게 이렇게 말했다. 아, 그리고 그 돈 버즈 녀석 좀 데리고 와라."[56] 이 언급은 기술적으로 시대착오적인데, 이 이야기는 1933년에 제시되어 있는데, 당시 버클리의 학부생이었고 아직 두각을 나타내지 못했었다.
사생활
그는 시나리오 작가이자 만화가인 윌리엄 콘셀만의 딸인 디아드레 콘셀만(1922~1978)과 성에서 결혼식을 올렸다. 1941년 6월 2일 시카고의 크리소스톰 성공회.[57]
말년에 그는 펜실베니아 딩먼스 페리에서 두 번째 부인 로리엘과 함께 살았다.[58]
1999년 12월, 버즈키는 자동차 사고로 부상을 당했는데, 그는 완전히 회복하지 못했다. 그는 2000년 1월 26일 펜실베이니아 주 스크랜턴의 한 요양원에서 8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59]
그에게는 데이빗과 제프리라는 두 아들이 있었다.[59]
평가
버지는 역사상 가장 위대한 선수 중 한 명이라는 데 대한 공감대 형성이다. 그는 약간의 톱스핀으로 때리는 우아하고 압도적인 백핸드를 가지고 있었고, 그의 민첩성과 서브가 합쳐져 그를 당대 최고의 선수로 만들었다. E. Digby Baltzell은 1994년에 Buttle과 Laver가 "일반적으로 모든 세계 챔피언 리스트의 상위 등급에 올랐으며, Buttle은 약간의 우위를 가지고 있다"[60]고 썼다. 윌 그림슬리는 1971년에 "부지는 많은 사람들에 의해 "역대 거인들 중 으뜸으로 여겨진다"[61]고 썼다. 폴 메츨러는 역대 최고 선수 10명을 분석한 결과 제2차 세계대전 전 가장 위대한 선수로 버팀지를 단식해 잭 크레이머에 이어 종합 2위를 차지했다.[62]
잭 크레이머 자신은 버즈키가 그의 경기가 한창일 때 엘즈워스 넝쿨이 1위를 차지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가장 위대한 선수였다고 썼다.[63] 크라머는 이렇게 말했다.
버즈키는 그 중에서도 최고였다. 그는 가장 완벽한 기계 세트를 소유하고 있었고 가장 일관성이 있었다... 돈이 워낙 잘해서 1954년 38세의 나이로 세드그만, 곤잘레스, 세구라와 함께 투어를 했을 때, 그 어떤 남자도 서브에서 일관되게 네트에 도달할 수 없었다. 그리고 세드만은, 그 당시 그 게임을 했던 빠른 남자로서 절대 전성기에 있었다. 돈 역시 백핸드로 베이스라인에 고정시킬 수 있었다.
크레이머는 1979년 자서전에서 돈 버즈(일관적인 플레이를 위해)나 엘즈워스 넝쿨(게임의 절정기) 중 가장 뛰어난 선수로 꼽았다. 그 다음 네 가지 최고는 연대기적으로 빌 틸든, 프레드 페리, 바비 리그스, 판초 곤잘레스였다. 이 모든 출처는 로드 레이버가 1969년 두 번째와 오픈 그랜드 슬램을 마친 후 쓰여졌다.
1986년 초, 캘리포니아 북부에서 편집된 잡지인 Inside Tenness는 네 가지 이슈 중 일부를 "세기의 투어네멘트"라는 장문의 기사에 할애하여 역사상 가장 위대한 것을 결정하게 되었다. 모두 25명의 선수가 그들의 베스트 10 리스트에 37명의 전문가들에 의해 지명되었다. 그 후 잡지는 배정된 총점 수에 따라 내림차순으로 순위를 매겼다. 전체 포인트 1위 득표율 상위 8명은 로드 래버(9명), 존 매켄로(3명), 돈 버즈(4명), 잭 크레이머(5명), 비외른 보그(6명), 판초 곤잘레스(1명), 빌 틸든(6명), 르우호아드(1명) 순이었다. 맥켄로는 여전히 현역 선수였고, 라버와 보그는 최근에야 은퇴했다. 상상의 토너먼트에서, Laver는 결승전에서 5세트 만에 McEnroe를 이겼다.
더 최근에는 1999년에 실시된 AP통신의 여론조사가 Laver, Pete Sampras, Tilden, Borg에 이어 5위를 차지했다. 더욱 최근인 2006년, 전직 선수들과 전문가들로 구성된 패널들이 TennicWeek로부터 누가 역대 최고의 선수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판타지 토너먼트를 위한 무승부를 만들어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상위 8개 종자는 로저 페더러, 라버, 샘프라스, 보그, 틸든, 버즈, 크라머, 맥엔로였다.
메이저 결승전
그랜드 슬램 대회
싱글: 7개(6개 타이틀, 준우승 1개)
결과 | 연도 | 챔피언십 | 표면 | 상대 | 점수 |
---|---|---|---|---|---|
손실 | 1936 | 미국 선수권 대회 | 잔디 | ![]() | 2–6, 6–2, 8–6, 1–6, 10–8 |
이기다 | 1937 | 윔블던 | 잔디 | ![]() | 6–3, 6–4, 6–2 |
이기다 | 1937 | 미국 선수권 대회(2) | 잔디 | ![]() | 6–1, 7–9, 6–1, 3–6, 6–1 |
이기다 | 1938 | 오스트레일리아 선수권 대회 | 잔디 | ![]() | 6–4, 6–2, 6–1 |
이기다 | 1938 | 프랑스 선수권 대회 | 점토 | ![]() | 6–3, 6–2, 6–4 |
이기다 | 1938 | 윔블던 선수권 대회(2) | 잔디 | ![]() | 6–1, 6–0, 6–3 |
이기다 | 1938 | 미국 선수권 대회(3) | 잔디 | ![]() | 6–3, 6–8, 6–2, 6–1 |
복식: 7개(4개 타이틀, 3개 준우승)
결과 | 연도 | 챔피언십 | 표면 | 파트너 | 반대자 | 점수 |
---|---|---|---|---|---|---|
손실 | 1935 | 미국 선수권 대회 | 잔디 | ![]() | ![]() ![]() | 2–6, 3–6, 6–2, 6–3, 1–6 |
이기다 | 1936 | 미국 선수권 대회 | 잔디 | ![]() | ![]() ![]() | 6–4, 6–2, 6–4 |
이기다 | 1937 | 윔블던 | 잔디 | ![]() | ![]() ![]() | 6–0, 6–4, 6–8, 6–1 |
손실 | 1937 | 미국 선수권 대회 | 잔디 | ![]() | ![]() ![]() | 4–6, 5–7, 4–6 |
손실 | 1938 | 프랑스 선수권 대회 | 점토 | ![]() | ![]() ![]() | 6–3, 3–6, 7–9, 1–6 |
이기다 | 1938 | 윔블던 | 잔디 | ![]() | ![]() ![]() | 6–4, 6–3, 3–6, 8–6 |
이기다 | 1938 | 미국 선수권 대회 | 잔디 | ![]() | ![]() ![]() | 6–3, 6–2, 6–1 |
프로 슬램 대회
싱글: 8개(4개 타이틀, 준우승 4개)
결과 | 연도 | 챔피언십 | 상대 | 점수 |
---|---|---|---|---|
이기다 | 1939 | 웸블리 프로 | ![]() | 13–11, 2–6, 6–4 |
이기다 | 1939 | 프랑스 프로 선수권 대회 | ![]() | 6–2, 7–5, 6–3 |
이기다 | 1940 | US 프로 선수권 대회 | ![]() | 6–3, 5–7, 6–4, 6–3 |
이기다 | 1942 | US 프로 선수권 대회 | ![]() | 6–2, 6–2, 6–2 |
손실 | 1946 | US 프로 선수권 대회 | ![]() | 3–6, 1–6, 1–6 |
손실 | 1947 | US 프로 선수권 대회 | ![]() | 6–3, 3–6, 8–10, 6–4, 3–6 |
손실 | 1949 | US 프로 선수권 대회 | ![]() | 7–9, 6–3, 3–6, 5–7 |
손실 | 1953 | US 프로 선수권 대회 | ![]() | 6–4, 4–6, 5–7, 2–6 |
성능 타임라인
돈 버지는 1939년 프로테니스에 입단하여 그랜드 슬램 대회에 출전할 수 없었다.
W | F | SF | QF | #R | RR | Q# | DNQ | A | NH |
토너먼트 | 아마추어 경력 | 직업 경력 | 제목 / 재생됨 | 경력상실 | 커리어 승리율(Career Win) | ||||||||||||||||||||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
그랜드 슬램 대회 | 6 / 11 | 58–5 | 92.06 | ||||||||||||||||||||||
오스트레일리아 선수권 대회 | A | A | A | A | W | A | A | 보류되지 않음 | A | A | A | A | A | A | A | A | A | A | 1 / 1 | 5–0 | 100.00 | ||||
프랑스 선수권 대회 | A | A | A | A | W | A | 보류되지 않음 | A | A | A | A | A | A | A | A | A | A | 1 / 1 | 6–0 | 100.00 | |||||
윔블던 | A | SF | SF | W | W | A | 보류되지 않음 | A | A | A | A | A | A | A | A | A | A | 2 / 4 | 24–2 | 92.31 | |||||
미국 선수권 대회 | 4R | QF | F | W | W | A | A | A | A | A | A | A | A | A | A | A | A | A | A | A | A | A | 2 / 5 | 23–3 | 88.46 |
프로 슬램 대회: | 4 / 17 | 37–13 | 74.00 | ||||||||||||||||||||||
유에스 프로 | A | A | A | A | A | A | W | 1R | W | A | NH | A | F | F | SF | F | A | A | SF | F | SF | QF | 2 / 11 | 24–9 | 72.73 |
프렌치 프로 | A | A | A | A | A | W | 보류되지 않음 | 1 / 1 | 3–0 | 100.00 | |||||||||||||||
웸블리 프로 | A | A | NH | A | NH | W | 보류되지 않음 | SF | SF | A | SF | SF | NH | 1 / 5 | 10–4 | 71.43 | |||||||||
합계: | 10 / 28 | 95–18 | 84.07 |
단일 제목
아마추어 시대
싱글 (1934–1938) : 26개 타이틀
날짜 | 이벤트 | 표면 | 준우승 | 점수 | |
1934 | 6월 18일 | 버클리 캘리포니아 주 | 딱딱한 | ![]() | 6–4, 5–7, 7–5, 3–6, 7–5 |
1935 | 3월 26일 | 팜스프링스 초청장 | 딱딱한 | ![]() | 6–2, 6–2 |
8월 12일 | 카지노 트로피, 뉴포트 | 잔디 | ![]() | 6–3, 5–7, 3–6, 8–6, 6–1 | |
9월 16일 | 퍼시픽 사우스웨스트, 로스앤젤레스 | 딱딱한 | ![]() | 1-6, 11–9, 6–3 ab. | |
9월 23일 | 퍼시픽 코스트, 버클리 | 딱딱한 | ![]() | 6–0, 6–2, 7–9, 6–4 | |
1936 | 1월 13일 | 샌프란시스코 북부 캘리포니아 | ![]() | 6–4, 6–1, 6–3 | |
4월 13일 | 파인허스트 남북 토너먼트 | ![]() | 6–0, 6–0, 6–1 | ||
6월 8일 | 런던 퀸스 클럽 잔디 코트 | 잔디 | ![]() | 6–4, 6–3 | |
8월 3일 | 동부 잔디 코트 선수권 대회, 호밀 | 잔디 | ![]() | 6–8, 6–2, 6–4, 6–3 | |
9월 13일 | 퍼시픽 사우스웨스트, 로스앤젤레스 | 딱딱한 | ![]() | 6–2, 4–6, 6–2, 6–3 | |
9월 18일 | 퍼시픽 코스트, 버클리 | 딱딱한 | ![]() | 6–1, 6–0, 6–3 | |
12월 26일 | 로스앤젤레스 남캘리포니아 주 | ![]() | 6–4, 6–4 | ||
1937 | 2월 1일 | 마이애미 서프 클럽 | ![]() | 6–3, 2–6, 6–4, 6–4 | |
6월 14일 | 런던 퀸스 클럽 잔디 코트 | 잔디 | ![]() | 6–1, 6–2 | |
6월 22일 | 런던 윔블던 | 잔디 | ![]() | 6–3, 6–4, 6–2 | |
8월 16일 | 카지노 트로피, 뉴포트 | 잔디 | ![]() | 6–4, 6–8, 6–1, 6–2 | |
9월 2일 | 미국 선수권 대회, 포레스트 힐스 | 잔디 | ![]() | 6–1, 7–9, 6–1, 3–6, 6–1 | |
9월 20일 | 퍼시픽 사우스웨스트, 로스앤젤레스 | 딱딱한 | ![]() | 2–6, 7–5, 6–4, 7–5 | |
10월 4일 | 퍼시픽 코스트, 버클리 | 딱딱한 | ![]() | 4–6, 6–3, 6–2, 6–4 | |
12월 6일 | 멜버른 빅토리아 선수권 대회 | 잔디 | ![]() | 8–6, 6–3, 9–7 | |
1938 | 1월 21일 | 오스트레일리아 선수권 대회, 애들레이드 | 잔디 | ![]() | 6–4, 6–2, 6–1 |
6월 2일 | 프랑스 선수권 대회, 파리 | 점토 | ![]() | 6–3, 6–2, 6–4 | |
6월 20일 | 런던 윔블던 | 잔디 | ![]() | 6–1, 6–0, 6–3 | |
7월 5일 | 프라하 인터내셔널, 프라하 | ![]() | 6–1, 6–4, 6–4 | ||
8월 15일 | 카지노 트로피, 뉴포트 | 잔디 | ![]() | 6–3, 6–3, 6–2 | |
9월 8일 | 미국 선수권 대회, 포레스트 힐스 | 잔디 | ![]() | 6–3, 6–8, 6–2, 6–1 |
기록.
- 이 기록은 테니스 오픈 전 시대에 달성되었다.
- 굵은 글씨로 된 기록은 비길 데 없는 업적을 나타낸다.
챔피언십 | 몇 해 | 기록 완료 | 동점 선수 | 참조 |
그랜드 슬램 대회 | 1938 | 캘린더 해 그랜드 슬램이 4개의 메이저 단식 타이틀을 모두 거머쥐었다. | 로드 레이버 | [54] |
그랜드 슬램 대회 | 1937–38 | 그랜드 슬램 단식 6회 연속 우승 | 홀로 서 있다 | |
그랜드 슬램 대회 | 1938 | 테니스 사상 최연소 남자 그랜드슬램 달성(23세 3개월) | 홀로 서 있다 | |
그랜드 슬램 대회 | 1937–38 | 테니스 사상 최연소 커리어 그랜드슬램 달성(22세11개월) | 홀로 서 있다 | |
그랜드 슬램 대회 | 1937–38 | 그랜드 슬램 대회 윔블던(1937–38) 미국 선수권 대회(1938) 1회 우승컵에서 "트리플 크라운" 단식, 복식, 혼합 복식 우승을 3회 달성했다. | 홀로 서 있다 | |
그랜드 슬램 대회 | 1937–38 | 37경기 연속 우승 | 홀로 서 있다 | [64] |
그랜드 슬램 대회 | 1934–38 | 92.0%(58~5) 경력 승률 | 홀로 서 있다 | |
그랜드 슬램 대회 | 1938 | 싱글 시즌 100%(24-0) 승률 | 로드 레이버 지미 코너스 | |
그랜드 슬램 대회 | 1934–38 | 91.22%(52–5) 경력 잔디 코트 승소율 | 홀로 서 있다 | |
모든 토너먼트 | 1937–38 | 토너먼트 14연승 | 홀로 서 있다 | [65] |
참고 항목
참조
- ^ a b "Don Budge: Career match record". thetennisbase.com. Tennis Base. Retrieved September 22, 2021.
- ^ 미국 잔디 테니스 협회 (1972년) 테니스 공식 백과사전, 425페이지.
- ^ Larry Schwartz. "In big matches, he wouldn't budge". ESPN. Retrieved January 17, 2017.
- ^ Joel Drucker (September 1, 2013). "Oakland's Tennis Revolutionary". Jim McLennan - Essential Tennis Instruction. Retrieved January 17, 2017.
- ^ Michael Gray (January 27, 2000). "Don Budge (Obituary)". The Guardian. Retrieved January 17, 2017.
- ^ 크레이그, 짐: 2005년 에든버러, 버린, 스코틀랜드의 스포츠 호기심
- ^ a b "Budge's legacy lives on". SFGATE. January 27, 2000. Retrieved September 11, 2021.
- ^ Bob Oats (May 29, 1988). "The Best Ever? : Strong Case Made for Don Budge, Who Won Tennis Grand Slam 50 Years Ago". Los Angeles Times. Retrieved January 24, 2017.
- ^ "The Province (Vancouver)". July 9, 1932 – via newspapers.com.
- ^ "The Los Angeles Evening Post". May 31, 1933 – via newspapers.com.
- ^ "Oakland Tribune". July 3, 1933 – via newspapers.com.
- ^ "The Los Angeles Times". July 23, 1933 – via newspapers.com.
- ^ "Oakland Tribune". June 25, 1934 – via newspapers.com.
- ^ "The Courier-Journal (Louisville)". April 2, 1935 – via newspapers.com.
- ^ "Star Press (Muncie)". August 18, 1935 – via newspapers.com.
- ^ "Pomona Progress Bulletin". September 24, 1935 – via newspapers.com.
- ^ "Oakland Tribune". October 7, 1935 – via newspapers.com.
- ^ "The San Francisco Examiner". January 27, 1936 – via newspapers.com.
- ^ "The Los Angeles Times". April 18, 1936 – via newspapers.com.
- ^ "The Observer". June 21, 1936 – via newspapers.com.
- ^ "Belvidere Daily Republican". August 18, 1936 – via newspapers.com.
- ^ "Charlotte Observer". September 28, 1936 – via newspapers.com.
- ^ "Oakland Tribune". October 12, 1936 – via newspapers.com.
- ^ "The Los Angeles Times". January 3, 1937 – via newspapers.com.
- ^ "The Santa Maria Times". February 8, 1937 – via newspapers.com.
- ^ "The Baltimore Sun". June 20, 1937 – via newspapers.com.
- ^ "Journal and Courier (Lafayette)". August 23, 1937 – via newspapers.com.
- ^ "Honolulu Star Bulletin". September 13, 1937 – via newspapers.com.
- ^ "The Richmond Item". September 26, 1937 – via newspapers.com.
- ^ "The Boston Globe". October 5, 1937 – via newspapers.com.
- ^ "The Age (Melbourne)". December 13, 1937 – via newspapers.com.
- ^ "The Daily Item (Sunbury)". July 11, 1938 – via newspapers.com.
- ^ "Asheville Citizen Times". August 21, 1938 – via newspapers.com.
- ^ "Budge Wins, 6–2, 6–2, 6–3; Don Beats Vines in Montreal and Will Arrive Here Today". The New York Times. March 7, 1939. Retrieved March 18, 2012.
- ^ "Budge Triumphs, 8–6, 6–2; Don Beats Perry for 28th Time at White Plains". The New York Times. May 9, 1939. Retrieved March 18, 2012.
- ^ Collins, Bud (2008). The Bud Collins History of Tennis: An Authoritative Encyclopedia and Record Book. New Chapter Press. p. 66. ISBN 978-0-942257-41-0.
- ^ 1940년 2월 26일 마이애미 헤럴드
- ^ 네브라스카 주 저널, 1940년 4월 22일
- ^ 링컨 스타, 1940년 4월 29일
- ^ thetennisbase.com
- ^ "The Chicago Tribune, 28 May 1941". newspapers.com.
- ^ "The Brooklyn Daily Eagle, 5 July 1942". newspapers.com.
- ^ a b Riggs, Bobby (1949). Tennis Is My Racket. New York. pp. 166–167.
- ^ "The Philadelphia Inquirer, 17 June 1946". newspapers.com.
- ^ "Valley Times (North Hollywood), 24 June 1946". newspapers.com.
- ^ "The Philadelphia Inquirer, 8 July 1946". newspapers.com.
- ^ "The Fort Worth Star-Telegram, 21 October 1946". newspapers.com.
- ^ 프로 테니스의 역사, Joe McCauley(2003년 재인쇄), 페이지 43
- ^ "Nashville Banner, 18 April 1955". newspapers.com.
- ^ "The Courier-Journal (Louisville), 12 October 1961". newspapers.com.
- ^ "Don Budge". IMDb. Retrieved September 11, 2021.
- ^ a b "Nancy Snider Is Betrothed to Jeffrey Budge". The New York Times. January 14, 1979. ISSN 0362-4331. Retrieved September 11, 2021.
- ^ "Donald Budge, Plaintiff-appellee, v. Troy v. Post, Defendant-appellant, 643 F.2d 372 (5th Cir. 1981)". Justia Law. Retrieved September 11, 2021.
- ^ a b Finn, Robin (January 27, 2000). "Don Budge, First to Win Tennis's Grand Slam, Dies at 84".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October 31, 2015.
- ^ Dragin, Burt (March 10, 2000). "Budge (Who?) Leaves His Legacy on Oakland Tennis Courts". SFGATE. Retrieved September 11, 2021.
- ^ "I Think I'm Gonna Like it Here lyrics by from Annie soundtrack". www.stlyrics.com. Retrieved September 11, 2021.
- ^ "HD Stock Video Footage - Tennis player Don Budge weds Deirdre Conselman at Chrysostom Church in Chicago, Illinois". www.criticalpast.com. Retrieved September 11, 2021.
- ^ Silverman, Al (January 27, 2004). It's Not Over 'Til It's Over: The Stories Behind Most Magnificent Heart-Stopping Sports Miracles of Our Time. ABRAMS. ISBN 978-1-4683-0431-2.
- ^ a b Finn, Robin (January 27, 2000). "Don Budge, First to Win Tennis's Grand Slam, Dies at 84". The New York Times. ISSN 0362-4331. Retrieved September 11, 2021.
- ^ Baltzell, E. Digby: 스포츠 신사: 명예의 시대부터 슈퍼스타의 컬트까지 남자 테니스
- ^ 그림슬리, 윌: 테니스: 그것의 역사, 사람들, 그리고 사건
- ^ 메츨러, 폴: 테니스 스타일과 스타일리스트
- ^ 크레이머는 1979년 자서전에서 돈 버짓(일관적인 플레이를 위해)이나 엘즈워스 넝쿨(경기 정점에 있는 선수)을 이긴 최고의 선수를 꼽았다. 그 다음 네 가지 최고는 연대기적으로 빌 틸든, 프레드 페리, 바비 리그스, 판초 곤잘레스였다. After these six came the "second echelon" of Rod Laver, Lew Hoad, Ken Rosewall, Gottfried von Cramm, Ted Schroeder, Jack Crawford, Pancho Segura, Frank Sedgman, Tony Trabert, John Newcombe, Arthur Ashe, Stan Smith, Björn Borg, and Jimmy Connors. 그는 앙리 코체트와 르네 라코스테의 순위를 정확히 매길 수 없다고 느꼈지만 그들이 최고 중 하나라고 느꼈다.
- ^ "Djokovic Begins Historic Quest At Wimbledon". Association of Tennis Professionals. June 27, 2016. Retrieved June 27, 2016.
- ^ Robrish, Dan (January 27, 2000). "Tennis Great Budge Dies First Grand Slam Winner Dead at 84". The Washington Post. Retrieved October 29, 2015.
원천
- 스포츠 신사: 명예의 시대부터 슈퍼스타 컬트까지 남자 테니스, (1994년), E. 디그비 발첼
- 테니스: 그 역사, 사람과 사건, (1971년), 윌 그림슬리
- 테니스 스타일 및 스타일리스트, (1969), 폴 메츨러
- The Game, My 40 Years in Tenney (1979년), 잭 크레이머 with Frank Deford (ISBN 0-399-12336-9)
- 테니스는 나의 라켓, (1949), 바비 릭스
추가 읽기
- 피셔, 마샬 존 (2009년). 끔찍한 화려함: 세 명의 비범한 남자, 전쟁 태세, 역대 최고의 테니스 시합. ISBN 978-0-307-39394-4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돈 버즈 관련 미디어가 있다. |
- 테니스 전문가 협회의 돈 버즈
- 국제 테니스 연맹 돈 버즈
- 데이비스컵에서 돈 버즈
- 국제 테니스 명예의 전당 돈 버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