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AS Barcoo(K375)

HMAS Barcoo (K375)
HMAS Barcoo (300353).jpg
1944년 HMAS 바르쿠
역사
호주.
네임스케이크바르쿠 강
빌더시드니 코카투 부두 & 엔지니어링 회사
눕다1942년 10월 21일
시작됨1943년 8월 26일
커미셔닝됨1944년 1월 17일
해체됨1964년 2월 21일
좌우명"We Clear the Way"[1]
명예와
상을 주다
운명1972년 2월 15일 벤쿠버의 N.W. 케네디 주식회사에 고철용으로 판매되었다. 대만에서 폐기되었다.
일반적 특성
클래스 및 유형리버급 프리깃함
변위
  • 1,210톤의 장량(1,510t; 1,590t)
  • 2,020톤의 길이 (2,050t; 2,050t의 짧은 톤) (깊이 하중)
길이301.3피트(91.85m)
36.7피트(11.18m)
드라우트12.0피트(3.66m)
추진2 × 해군 3드럼 보일러, 왕복 수직 3중 팽창 엔진, 5,500마력(4,100kW), 2축
속도20노트(37km/h; 23mph)
범위12노트(22km/h; 14mph)에서 5,180해리(9,593km)
보완140
무장을

HMAS 바르쿠(K375/F375/A245)는 호주 왕립 해군(LAN)의 리버급 호위함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호주에 건설된 12척의 프리깃 중 하나인 바르쿠(Barcoo River의 이름)는 1942년 시드니 코카투 부두&엔지니어링 컴퍼니의해 함락되어 1944년 초에 임관되었다.

이 배의 전시 임무의 대부분은 뉴기니 해역에서 보내졌다; 순찰, 호송 호위, 병력 수송, 그리고 일본군의 포격을 포함한 주요 임무와 함께. 1945년 4월 보르네오 캠페인에 바르쿠가 애착을 갖게 되었다. 그녀는 지난 5월 타라칸 상륙작전의 상륙함 지휘함이었으며, 6월에는 북보르네오 상륙작전을 직접 지원했다가 일반 호위 및 화재지원 임무를 맡았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바르쿠측량선으로 개조되었다. 1948년, 그 배는 폭풍에 의해 해안으로 쫓겨난 후, 호주 남부의 웨스트 비치에서 좌초되어 일주일 이상을 보냈다. 바르코는 1949년부터 1951년까지, 1956년부터 1959년까지의 불활성화 기간을 제외한 나머지 경력을 호주와 뉴기니 해역을 조사하는 데 보냈다. 그녀는 1964년에 마지막으로 퇴역당했고, 폐기 처분으로 팔렸다.

설계 및 시공

바르코는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호주에 건설된 12개의 프리스트 중 한 명이었다.[1] 그녀와 다른 7척의 선박들은 영국 리버급 디자인에 맞춰 건조되었다.[1] 바쿠는 길이가 301.3피트(91.85m)로 빔이 36.7피트(11.18m)로, 빗줄기는 12.0피트(3.66m)로 나타났다.[1] 이 프리깃함은 표준 부하에서 1,340톤, 최대 부하에서 1,923톤을 대체했다.[1] 추진기계는 해군 3드럼 보일러 2대로 구성돼 수직 3중 팽창엔진 왕복용 증기를 공급해 프로펠러축 2개를 구동하는 데 5,500마력(4,100kW)을 공급했다.[1] 최대 속도는 20노트(37km/h; 23mph)로, 최대 사거리는 12노트(22km/h; 14mph)로 5,180해리(9,593km)로 나타났다.[1] 그 배의 회사는 140명의 인원으로 구성되어 있었다.[1]

프리깃함의 주 무장은 단일 HA/LA Mark XX 마운트에 2개의 QF 4인치(102mm)/45 calibre Mark 16세로 구성되었다.[1][citation needed] 이것은 단일 Mark VII 마운트에서는 2 QF 40 mm Bofors, 단일 Mark III 마운트에서는 6 QF 20 mm Oerlikons로 보완되었다.[1][citation needed] 이 배에는 대잠수함 박격포 3척(고슴도치 1척, 오징어 2척)은 물론 깊이 충전 투척기도 실려 있었다.[1]

바르쿠는 1942년 10월 21일 시드니 코카투 부두&엔지니어링 컴퍼니에 의해 함락되었고, 1943년 8월 26일 무역관세부 장관 리처드 킨의 부인에 의해 발사되어 1944년 1월 17일에 임관되었다.[2]

운영이력

제2차 세계 대전

몇 주간의 작업 끝에 바르코는 1944년 3월 호송 임무를 위해 뉴기니로 파견되었다.[1] 바르쿠코르벳 HMAS 카푼다는 카르카 섬바나분 항구에 있는 일본군의 진지를 포격했다.[1][when?] 6월부터 8월까지 호위함은 호위 호위함과 병력 수송 임무에 크게 관여했다.[1] 8월 28일 바르쿠P-47 썬더볼트를 바다에 버려야 했던 미 육군 공군 조종사 2명을 구출했다.[1] 9월과 10월, 바쿠는 유지보수 계약을 위해 시드니로 돌아왔다.[1] 뉴기니 작전지역으로 복귀한 바르쿠는 11월 와일드베이 포격 등 뉴기니 내 일본 진지를 상대로 작전을 펼쳤다.[1] 호위함 호위 및 순찰 임무는 호위함이 호주로 돌아온 1945년 1월 말까지 계속되었다.[1]

바르쿠는 1945년 3월 말 뉴기니에 다시 배치되었고, 4월에는 미국 해군 기동대 78.1에 배치되어 보르네오 캠페인을 지원하게 되었다.[1] 지난 5월 1일 타라칸 상륙작전의 경우 바르쿠가 공격대의 상륙함 탱크 사단을 담당하는 함정으로 지정됐다.[1] 바르쿠는 지난 6월에도 북보르네오 상륙작전에 투입된 뒤 나머지 선거운동 기간 동안 일반 호위 및 화재 지원 임무에 투입됐다.[1] 1945년 8월 3일 보르네오에 있는 소엔가이파텐 마을을 폭격하는 동안, 호위함은 마지막으로 화가 나서 발포했다.[2]

바르쿠는 전시 복무로 "태평양 1944-45", "뉴기니 1944", "보노 1945"의 세 가지 전투 영예를 받았다.[3][4] 이 배는 8월 15일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날 때까지 7만2000해리(133,000km, 8만3000mi)를 항해했다.[1]

전후

전쟁 직후 바르쿠는 재점령 지역 순찰과 함께 군인과 포로 송환 임무를 맡았다.[1] 그 후, 프리깃함은 그녀를 조사선으로 개조하기 위해 윌리엄스타운 선착장에서 8개월 동안 재장착을 위해 정박되었다.[2][5] 1946년 7월에 개조 작업이 완료되었고, 배는 1946년 8월에 측량 작업을 시작했다.[2][5] 남은 선수 생활 동안 그녀는 여러 차례 페넌트 번호 F375와 A245를 가지고 다녔다.[5]

HMAS Barcoo는 1948년 4월 웨스트 비치에서 좌초했다.

그 배는 이후 3년 동안 호주와 뉴기니 해역의 측량 작업에 거의 끊임없이 투입되었다.[5] 1947년 바르쿠포르투갈 (동)티모르 총독과 서티모르에 있는 네덜란드 식민 행정센터를 방문하기 위해 호주 관리들을 티모르에 전달했다.[6] 1948년 4월, 바쿠슬루프 HMAS 워레고가 함께 배치되어 남호주 근해에서 측량 작전을 수행하였다.[2] 1948년 4월 11일, 바코는 사나운 폭풍에 의해 해변으로 쫓겨난 호주 남부의 웨스트 비치에서 좌초되었다.[2][7] 군수품과 상점을 제거하여 프리깃함을 가볍게 하려는 시도에도 불구하고, 세 척의 예인선이 합심하여 바르쿠를 해변에서 끌어낼 수 없었다.[2] 아델라이드에서 준설기가 한 대 날아와 좌초된 프리깃함 뒤쪽의 통로가 뚫렸다.[2] 4월 20일 저녁, 처음 해변에 간 지 일주일 남짓 지난 바쿠는 다시 빌릴 수 있었다.[7] 와레고는 검사와 수리를 위해 바쿠애들레이드 항구로 견인했다.[7]

바르코는 1949년 5월에 예비역에 배치되었다.[1] 그녀는 1951년 3월 대잠수함 훈련을 위한 훈련선으로 사용하기 위해 재위임되었다.[1] 이 배는 1952년 7월부터 1956년 4월까지 호주 연안의 측량 업무를 재개한 뒤 시드니로 돌아와 9월 25일에 결항했다.[1] 그 배는 1959년 12월 7일 추가 조사 작업을 위해 재가동되었다.[1] 이쯤 되자 함선의 무장은 40㎜ 보퍼스 단발총으로 축소되어 있었다.[8] 그녀가 재활성화할 무렵의 다른 수정에는 전방 삼각대 마스트의 강화와 후부 데크에 데크하우스를 추가하는 것이 포함되었다.[8]

해체와 운명

호주 수도 리네햄모르스헤드 전쟁 참전용사 집에 있는 '게이트 가드'인 HMAS 바르쿠의 앵커.

바르코는 1964년 2월 21일에 해직되었다.[1] 그 호위함은 그녀의 경력 동안 342,579해리(634,456km; 394,233mi)를 여행했다.[1] 이 배는 1972년 2월 15일 벤쿠버의 N. W. 케네디 주식회사에 폐기용으로 팔렸다.[1] 이 호위함은 지난 3월 시드니에서 홍콩으로 예인된 뒤 대만으로 끌려가 해체됐다.[1]

인용구

  1.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오스트레일리아 해군, HMAS 바르쿠
  2. ^ a b c d e f g h 몰리, 폭풍이 몰아치는 해변
  3. ^ "Navy Marks 109th Birthday With Historic Changes To Battle Honours". Royal Australian Navy. 1 March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June 2011. Retrieved 23 December 2012.
  4. ^ "Royal Australian Navy Ship/Unit Battle Honours" (PDF). Royal Australian Navy. 1 March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4 June 2011. Retrieved 23 December 2012.
  5. ^ a b c d Gillett, 1946년 이후 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 군함, 페이지 51
  6. ^ 프레임, 노 레크리에이션 크루즈, 페이지 199–200
  7. ^ a b c 질렛, 호주 선박, 페이지 117
  8. ^ a b 1946년 이후 호주와 뉴질랜드 군함 Gillett, 페이지 50

참조

책들

뉴스 기사

웹사이트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