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S 이클립스(1894)

HMS Eclipse (1894)
HMS Eclipse (1894) IWM Q 021204 B.jpg
제1차 세계 대전 중 이클립스
역사
영국
이름.HMS 이클립스
빌더포츠머스 조선소
누웠다1893년 12월 11일
개시.1894년 7월 19일
완료된1897년 3월 23일
운명.1921년 8월 고철로 판매
일반적인 특징
종류 및 종류 이클립스급 보호 순양함
변위5,600톤 (5,690t)
길이350 피트 (152.7 m)
비임53피트(16.3m) 6인치
외풍20 피트 6 인치 (6.25 m)
설치된 전원
추진력축 2개, 역삼중팽창증기엔진 2개
속도18.5노트(34.3km/h, 21.3mph)
보완하다450
무장
갑옷

HMS 이클립스는 1890년대 중반 영국 해군을 위해 건조된 이클립스급 보호 순양함이다.

설계.

이클립스급 2등급 보호 순양함이 더 짧은 아스트레이아급 순양함보다 앞서 있었다.이클립스는 정상 하중을 가했을 때 배수량이 5,600톤(5,700톤; 6,300톤)이었다.총 길이는 373피트(114m), 은 53피트 6인치(16.31m), 메타센터 높이는 약 3m(9피트 10인치), 외풍은 20피트 6인치(6.25m)[1]였다.그것은 8개의 원통형 보일러에서 나오는 증기를 사용하는 두 개의 역삼중 팽창 증기 엔진에 의해 작동되었다.통상의 외풍을 사용하는 경우, 보일러는 엔진에게 8,000마력(6,000kW)을 발생시키고 18.5노트(34.3km/h; 21.3mph)의 속도에 도달할 수 있는 충분한 증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다. 강제 외풍을 사용하는 경우, 동등한 수치는 9,600마력(7,200kW; 22.4km/h)이었다.이클립스급 순양함은 최대 1,075톤의 석탄을 운반했으며,[2] 해상 시험에서 최고 속도 20노트(37km/h; 23mph)를 달성했다.

40구경 6인치 (152 mm) 속사포 5발을 포방패에 의해 보호되는 단일 받침대에 실었다.포탑에 한 자루, 4층 갑판에 두 자루, 그리고 [3]한 자루가 다리를 따라 나란히 놓여 있었다.그들은 총구 속도 2,205 피트/[4]초의 속도로 100 파운드 (45 kg)의 포탄을 발사했다.2차 무장은 40구경 4.7인치(120mm) 포 6문으로 구성됐으며, 각 측면에는 3문씩 있었다.그들의 45파운드 (20.4 kg)의 포탄은 총구 속도 2,125 피트/초의 [5]속도로 발사되었다.그것은 3개18인치 어뢰 튜브를 장착했고, 각 측면에는 1개의 수중 튜브가, 선미에 [6]1개의 수중 튜브가 장착되었다.탄약 공급은 6인치 포당 200발, 4.7인치 포당 250발, 76mm(3.0인치) 포당 300발, 3파운드 포당 500발로 구성됐다.이클립스는 10발의 어뢰를 가지고 있었는데, 아마도 각 측면 튜브에 4발, 선미 [7]튜브에 2발이었을 것이다.

서비스

HMS 이클립스는 1894년에 발사되어 1897년에 완성되었다.1899년 그녀는 동인도 함대[8]기함으로서 P. W. 부시 선장의 지휘 아래 인도양에서 복무했다.

1901년 5월 말, 그녀는 로버트 헨리 심슨 스톡스 선장의 지휘 하에 450명의 장교와 선원과 함께 중국 기지[9]HMS 헤르미온느를 구출하기 위해 채텀 선착장에 취역했다.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했을 때, 그녀는 영국 해협 서쪽 끝에서 순찰하는 제12순양함대의 일부를 결성하여 수상한 선박을 막고 위장 기뢰들이 해협을 건너는 [10][11]교통을 방해하는 것을 막는 특별한 임무를 맡았다.

각주

  1. ^ 맥브라이드, 138-39페이지
  2. ^ 맥브라이드, 137~39페이지
  3. ^ 맥브라이드, 137페이지
  4. ^ 프리드먼, 87-88페이지
  5. ^ 프리드먼, 페이지 92
  6. ^ Chesneau & Kolesnik, 78페이지
  7. ^ 맥브라이드, 139페이지
  8. ^ "Naval & Military intelligence". The Times. No. 36040. London. 16 January 1900. p. 9.
  9. ^ "Naval & Military intelligence". The Times. No. 36469. London. 31 May 1901. p. 4.
  10. ^ 해군참모본 제23호 1924-54-56페이지.
  11. ^ 코벳 1920, 페이지 31, 76

레퍼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