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산 모다레스
Hassan Modarres하산 모다레스 | |
---|---|
![]() | |
국회의원 | |
재직중 1926년 7월 11일 – 1928년 8월 13일 | |
모나크 | 레자 샤 |
선거구 | 테헤란 |
재직중 1924년 2월 11일 – 1926년 2월 11일 | |
모나크 | 레자 샤 아흐마드 샤 카자르 |
선거구 | 테헤란 |
다수 | 1위 |
재직중 1921년 6월 22일 – 1923년 6월 11일 | |
모나크 | 아흐마드 샤 카자르 |
선거구 | 테헤란 |
재직중 1914년 12월 6일 – 1915년 11월 13일 | |
모나크 | 아흐마드 샤 카자르 |
선거구 | 테헤란 |
개인내역 | |
태어난 | 세이예드 하산 타바타바이 아르데스타니 c. 1870 사라베, 아르데스탄, 페르시아 |
죽은 | 1937년 12월 1일 페르시아 후라산 카슈마르 | (67세)
국적 | 이란의 |
정당 | |
모교 | 나자프 신학교 |
직업 | 선생님 |
세이예드 하산 모다레스(페르시아어: سید حسنن مدن c c. 1870 – 사라베, 1937년 12월 1일, 카슈마르)는 이란의 트윌버 시아 성직자로 이란 헌법혁명의 주목할 만한 지지자였다. 그는 이란의 제4차 국가 마즐리스 시절 결성된 개혁당 헤즈볼-에슬라-탈랍의 압돌호세인 테임쿠르타시와 함께 창립 멤버 중 한 명이었다. 그는 "용맹하고 청렴한" 그리고 "아마도 진정한 헌법정권의 가장 열렬한 물라 지지자"[1]로 불려왔다.
전기
그의 출생지에 대해서는 출처가 다르다. 1870년경 아르데스탄에서 태어났다는 말도 있고,[citation needed] 1870년대 초 아르데스탄 근처의 사라베카쵸우(페르시아어: سرابکچچووووو)라는 마을에서 태어났으며, 6살 때 샤흐레자로 이주했다는 이야기도 있다.[2]
활동.
이스파한과 나자프에서 이슬람 과학을 공부한 모다레스는 이스파한의 마드라사에서 종교 교사가 되었다. '선생님'이라는 뜻의 모다레스라는 이름은 그곳의 직업 때문이다. 1910년 나자프의 성직자 공동체에 의해 선택되어 테헤란으로 파견되어 마즐리스가 통과시킨 법률을 감독하여 샤리아의 규칙을 위반하지 않도록 하였다. 이후 1914년 테헤란의 마즐리스 대표로 선출되었다.[3]
제1차 세계대전 중 1916년, 소수의 다른 정치인과 함께 이라크, 시리아, 터키로 이주했으며, 네잠 오스살타네가 망명하여 구성한 내각에서 법무장관을 지냈다. 이란으로 돌아온 뒤 마즐리스 선거에서 몇 차례 더 당선됐다. 모다레스는 페르시아에 영국군이 주둔하는 것에 맞서 싸웠으며, 이란을 영국의 보호국으로 변모시킬 1919년 협정에 강력히 반대했다.[4]
1920년대 초 그는 레자 칸(당시 총리)이 군주국(카자르 왕조)을 폐지하고 공화국을 선포하는 것을 막는 역할도 맡았고, 1925년 레자 칸이 카자르 왕조를 축적한 것에 대해 덜 성공적으로 반대했다. 세이예드 모다레스는 레자 샤의 통치에 대해 공개적으로 비판했으며, 그의 비판에 대한 보복으로 수감되었다. 모다레스는 1926년 11월 그에 대한 암살 시도가 있은 후 몇 년 후 카하프로 추방되고 이후 카슈마르로 추방되었다.[3]
이후 이란 혁명 이후 이란 최고지도자가 된 루홀라 호메이니는 그의 영향을 받았다.[5]
죽음
그는 1937년 12월에 감옥에서 죽었다. 그의 죽음은 순교로 간주되고 이란에서는 순교일(아자르 10일)이 마즐리스의 날(의회일)로 알려져 있다. 타스님에 따르면 그는 감옥에서 독살당했고 기도하다가 질식사했다고 한다.[6]
하산 모다레스의 무덤
세이이드 하산 모다레스의 묘는 이란의 전 총리인 세이이드 하산 모다레스의 묘지다. 카슈마르의 광활한 정원에서 카슈마르의 옛 무덤을 사용하는 것과는 반대로 1937년 이란 카슈마르에 세워졌다. 무덤 건물은 이슬람 건축양식과 사파비드 왕조의 양식으로 중앙 돔, 4개의 독, 터키석으로 만들어진 돔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산 모다레스 박물관
하산 모다레스 박물관은 21세기에 속한 박물관으로 이란 라자비 코라산 주 카슈마르에 위치해 있다.[7][8]
리셉션
모다레스는 이란 100 리알 지폐의 반대편에 묘사되어 있다.[9]
참고 항목
참조
- ^ 모타헤데, 로이, 예언자의 맨틀 : 이란의 종교와 정치, 원월드, 옥스포드, 1985, 2000, p.224
- ^ "درسهایی که از "مدرس" باید آموخت". isna.
- ^ a b "زندگی نامه و تصاویر آیت الله مدرس". irdc.
- ^ "درباره سیدحسن مدرس ندای حقطلبی و آزادیخواهی".
- ^ "شهید مدرس در نگاه امام خمینی(س)". imam-khomeini.
- ^ "شهادت آیتاللَّه "مدرس" به دستور "رضاخان" و روز مجلس شورای اسلامی/روز جهانی مبارزه با بیماری ایدز". Tasnimnews. Retrieved 1 December 2013.
- ^ "موزه شهید مدرس؛ نمایشگر بخشی از هویت تاریخی کاشمر". khorasan.iqna.ir. Retrieved 22 March 2021.
- ^ "200 اثر در موزه شهيد مدرس نگهداري مي شود". Islamic Republic News Agency. Retrieved 22 March 2021.
- ^ "Banknotes & Coins – 100 Rials". cbi.or. Retrieved 24 March 2009.
원천
- 모다레스에 대한 페르시아 백과사전.
- 모하마드 타기 바하르, 타아리크-에 모히카사르-에 아흐자압-에 시아아사시-에 이라안(이란의 짧은 정당 역사), 아미르카비르, 1978년.
- 야데가리, 아미르 호세인(2005년 11월). "Saasatmadar-e Dindar" , Hamshahri-e Mah, ""종교정치인" , Abann 1384 A.P. 4페이지.
- 아브라함, 에르반드, 이란, 두 번의 혁명 사이, 프린스턴 대학교 출판부, 1982년
- 모타헤데, 로이, 예언자의 맨틀 : 이란의 종교와 정치, 원 월드, 옥스포드, 1985, 2000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하산 모다레스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Seyed Hassan Modarress www.qajarpages.org
- irib.ir에서 모더리스.
- irib.ir에서 모다레스(modarres on irib.ir)
- Modarres Dar A'in-e Che'hel Sal Mobarzeh (40년 투쟁의 반영에 나타난 모델), Khanne-ye Mellat (Nation's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