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소토의 건강

Health in Lesotho
산맥을 넘어 도보로 여행하는 전통의약녀

레소토의 2018년 인간개발지수(Human Development Index) 값은 0.518로 세계 189개국과 영토 중 164개국에 머물렀다.[1] 레소토의 건강관리 서비스는 주로 정부와 레소토의 기독교 건강협회에 의해 제공된다. 보건 서비스 이용은 특히 시골 지역에서 많은 사람들에게 어렵다. 에이즈가 초래하는 질병의 부담의 가차없는 증가와 전문지식과 인적 자원의 부족으로 한국의 보건 체계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심각한 비상사태는 종종 이웃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언급된다. 레소토의 사망률에 가장 큰 기여는 전염성 질병, 산모, 근위, 영양상태다.[2]

건강지표

조잡한 사망률과 기대 수명

2019년 레소토의 조잡한 사망률(1000명당)은 13.936명이었다.[3] 레소토에서 가장 최근(2019년) 출생 기대수명은 남성이 47명, 여성이 54명이다.[4] 2005년 기대수명은 42.5세로 지난 13년 동안 11년이 증가했다.[5]

헬스 이코노미

국내총생산(GDP) 대비 보건비 총지출은 10.6(2014년)이다.[6] 2014년 1인당 의료비 지출은 42.33달러였다. 같은 해 의료에 대한 공공 지출이 전체 의료 지출의 76.12%[7]로 나타났다.

아동 및 유아 사망률

5세 미만 사망률(U5MR), 유아 사망률(IMR), 신생아 사망률(NMR) 등 아동 사망률 지표는 아동 생존을 측정하는 추정치지만, 건강관리 등 국민이 가지고 있는 사회·경제·환경 조건도 반영한다.[8]

5세 미만 사망률은 정상출산 1000명(2019년)당 86명이다. 5세 미만 사망률은 출생과 정확히 5세 사이에 사망할 확률을 말하며, 1,000명당 사망률을 나타낸다.[9] 2019년 영아 사망률은 68.1명(실종출산 1,000명당)이었다.[10]

세계 평균과 비교한 레소토의 아동·영아 사망률
레소토 월드 평균 참조
1,000명의 신생아당 5명 미만 사망률(U5MR) 86.40 37.70 [11]

[12]

신생아 1,000명당 유아 사망률(IMR) 68.10 28.20 [13]

[14]

신생아 1,000명당 사망률(NMR) 42.80 17.50 [15]

[16]

영양

영양실조는 레소토의 주요 문제. 5세 이하 어린이의 33.4%가 적당히 또는 심하게 기절하고 있다. 저체중(<2500g)으로 태어난 아이는 2014년 14.6%로 나타났다.[10]

모성 건강과 가족계획

청소년 출산율은 15~19세(2019년) 여성 1000명당 92.7명이다. 피임약 유병률, 어떤 방법이든 60.2(기혼 여성이나 출산연령 여성의 비율, 15~49세)이다. 산전 관리 범위, (한 번 이상 방문) 95.2% 산모 사망률은 487명(생아 10만 명당 사망)으로 매우 높다. SDG 목표는 70 미만이다. 숙련된 보건인력이 참석하는 출생아 비율은 77.9%[6]이다.

건강 시스템

1997년부터 2010년 사이에 실시된 가장 최근의 조사에서는 의사가 5명, 인구 10만명당 간호사와 조산사가 62명이었다.[17]

레소타에는 2019년 117개의 의료시설이 있었다.[18]

주요 2차 진료센터인 마세루 소재 퀸 엘리자베스 2세 병원은 2011년 문을 닫고 민관협력 차원에서 건립된 425병상 규모의 신축 병원인 퀸 마모하토 기념병원으로 대체됐다. 이것은 이전에 이용 가능했던 것보다 훨씬 더 나은 건강 결과와 더 진보된 의료 기술을 만들어냈다. 1차 진료로 처리될 수 있었던 환자도 끌어들였다. 2015년에는 27,000명 이상의 입원환자와 35만 명에 가까운 외래환자가 치료를 받았다. 이 계획은 2012-15년 보건 부문에 대한 전체 정부 재추진 예산의 평균 34.8%를 흡수했다. 모든 침습적 심장 관리와 암 치료는 블로엠폰테인의 공립 병원에 언급된다.[19]

레소토의 병원
이름 위치 유형설비 소유권 좌표 참조
말루티 재림원 병원 베레아 미션 병원 신앙기반 29°06′21″S 27°57′20″E / 29.1059°S 27.95554°E / -29.1059; 27.95554 (말루티 재림원 병원) [18]
세보체 병원 부타부테 미션 병원 신앙기반 28°41′06″S 28°24′38″E / 28.6850393206467°S 28.4106506766422°E / -28.6850393206467; 28.4106506766422 (세보체 병원) [18][20]
마모하우 병원 레리베 미션 병원 신앙기반 29°06′28″S 28°29′25″E / 29.107792°S 28.490226°E / -29.107792; 28.490226 (마모하우 병원) [18][20]
스콧 병원 마세루 미션 병원 신앙기반 29°37′32″S 27°30′25″e / 29.625576°S 27.506883°E / -29.625576; 27.506883 (스콧 병원) [18][20]
세인트조셉 병원 마세루 미션 병원 신앙기반 29°27′04″s 27°43′23″E / 29.451059°S 27.723139°E / -29.451059; 27.723139 (성 요셉 병원) [18][20]
세인트 제임스 병원 목호롱 미션 병원 신앙기반 29°17′12″S 29°04′28″E / 29.2866026450759°S 29.0744239210947°E / -29.2866026450759; 29.0744239210947 (St James 병원) [18][20]
테벨롱 병원 카차네크 미션 병원 신앙기반 30°07′02″S 28°41′00″E / 30.117104°S 28.683294°E / -30.117104; 28.683294 (테벨롱 병원) [18][20]
파레이 병원 타바츠카 미션 병원 신앙기반 29°29′18″S 28°34′58″E / 29.48841°S 28.58269°E / -29.48841; 28.58269 (파리 병원) [18][20]
퀸마모하토기념병원 마세루 병원 공용/개인용 29°20′28″s 27°31′42″E / 29.3410696948855°S 27.5282299433817°E / -29.3410696948855; 27.5282299433817 (퀸 마모하토 기념병원) [18][20]
위리 병원 포소 병원 사설 29°16′18″S 27°31′39″e / 29.2716832293936°S 27.5276290996774°E / -29.2716832293936; 27.5276290996774 (와일 병원) [20]
균등한 건강접근 레소토 병원 센터 테야테야엥 병원 사설 29°07′12″S 27°45′40″E / 29.119953922775°S 27.7610883395368°E / -29.1199953922775; 27.7610883395368 (동일한 건강 접근 레소토 병원 센터) [20]
마코안야네 군사 병원 마세루 병원 군대 29°20′03″s 27°32′39″E / 29.3342197242532°S 27.5441083585756°E / -29.3342197242532; 27.5441083585756 (마코아냐네 군병원) [21]
몰로미 정신병원 마세루 정신병원 공공의 29°20′37″s 27°32′02″E / 29.3436109274556°S 27.533757952656°E / -29.3436109274556; 27.533757952656 (모흘로미 정신병원) [22]
다음을 사용하여 "레소토 건강"의 모든 좌표를 매핑하십시오. 오픈스트리트맵
좌표를 다른 이름으로 다운로드: KML

질병부담

질병의 부담은 사망률과 질병률(일반적인 질병)의 합을 말하며, 흔히 "장애 조정 수명년"(DALYs)이라고 불리는 지표에 의해 측정된다.[23] 이 측정기준은 사람들이 질병으로 사망하는지를 고려할 뿐만 아니라, 질병에 걸린 사람들에게 고통을 주는 것도 포함한다.

전염병

레소토의 질병 부담은 에이즈(HIV/AIDS)가 DALY의 주요 원인이 되는 전염성 질병(CD)을 중심으로 하고 있으며, 결핵과 하부 호흡기 감염이 그 뒤를 잇고 있다.[24]

인체 면역결핍 바이러스 및 에이즈(HIV/AIDS)

HIV/AIDS는 레소토에 있는 모든 DALY의 34.76%에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전체 DALY의 비율은 HIV/AIDS가 전체 DALY의 46.08%에 기여했던 2005년 이후 감소하고 있다.[24]

레소토는 에이즈로 인해 심각한 고통을 받고 있으며 세계에서 가장 높은 감염률을 보이고 있다.[25] 2016년 2만1000명보다 2005년에는 3만 명이 더 감염됐다.[26] 도시지역에서는 40세 미만 여성의 약 50%가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다.

이 나라는 HIV를 가장 중요한 개발 이슈 중 하나로 간주하고 있으며, 정부는 HIV/AIDS 국가 전략 계획을 통해 전염병을 다루고 있다. 산모 간 전염 예방과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 등 일부 주요 HIV/AIDS 개입에 대한 보장이 개선됐다. 산모 간 전염 예방은 2005년 약 5%에서 2007년 31%로 증가했다.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의 롤아웃은 2008년까지 38,586명이 치료를 받는 등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27]

'자신의 상태를 알라' 캠페인은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 감염 검사 대상자를 2007년 말까지 22만9092명으로, 인구의 12%, 2005년 검사 대상자의 3배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이 프로그램은 클린턴 재단이 후원하고 있으며 2006년 6월에 시작되었다. 빌 클린턴과 마이크로 소프트사의 회장 빌 게이츠는 2006년 7월 그 결과 AIDS.[28]에 대한 투쟁을 평가하기 위한, 26,000에서 21,5에 새로운 감염의 예상 연간을 낮추레소토는 것은 음성 반응이 HIV가 인구에 어른들 2.9%2005년 2.3퍼센트로 2007년 하락세를 나타내연율을 방문했다.60. 이것은 HIV 전염병의 첫 번째 감소 신호다.[27]

AIDS 퇴치를 위한 의류레소토동맹은 레소토 의류산업 종사자 4만6000여명을 대상으로 ARV가 필요할 때 등 예방과 치료를 제공하는 산업 전반의 프로그램이다. 2006년 5월에 발사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HIV/AIDS 전염병의 두 가지 주요 요인인 빈곤과 성 불평등을 퇴치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ALAFA의 업계 내 조사에 따르면 직원의 43%가 HIV를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9]

영국의 해리 왕자는 Lesotho에서 HIV/AIDS를 가진 아이들을 위한 자선단체 Sentebale을 공동 설립했다. 다른 공동 창업자는 레소토의 왕자다.

결핵(TB)

결핵은 레소토(2019년)에서 총 DALY의 7.1%에 기인한다.[24] 레소토는 인구 10만 명(2017년) 665건으로 결핵 발생률이 매우 높다. 치료 성공률은 77%(2016년)이다. 사망률은 10만명당 46명(2017년)이다.[30] 레소토에서 결핵환자의 약 70%가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에 공동 감염되어 있다.[31]

COVID-19

COVID-19에 대한 DALY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지만, COVID-19의 증가와 함께 레소토의 인도주의적 상황은 악화되었다.[32] 국가는 델타 변종사례를 확인하고 새로운 사례가 세계보건기구(WHO) 부활 문턱 >20%를 초과했음을 확인했다. 2021년 8월 28일th 현재 백신 투여량은 201만795명이다.[33] 레소토는 2021년 9월 15일까지th 누적 COVID-19 환자 14,395명과 403명의 사망자를 냈다.

전염되지 않는 질병

스트로크

뇌졸중은 비공통성 질환(NCD) 중 DALY의 주요 원인이지만 레소토 전체 DALY의 2.65%에 불과하다.[24]

당뇨병

당뇨병은 NCD 중 DALY의 두 번째 주요 원인으로 전체 DALY의 2.3%를 차지한다.[24]

부상

도로 부상

도로 교통 부상은 총 3.06% DALY를 차지한다.[24] 이러한 부상은 개인과 가족들에게 큰 경제적 손실을 줄 수 있다.[34] 경제적 손실은 치료비 및 부상으로 인해 사망·장애인의 생산성 저하, 부상자를 돌보는 동안 직장이나 학교에 다니지 못할 경우 가족의 소득 손실로 발생한다.

대인 폭력

신체적, 성적, 심리적(감정적) 폭력, 박탈, 방임 등 대인관계 폭력이 전체 DALY의 2.7%를 차지한다.[24] 대인관계 폭력은 개인들로 하여금 광범위한 감정적, 행동적, 그리고 신체적인 건강 문제를 일으키게 할 수 있다.[35]

레소토인구 피라미드는 인구의 나이와 성 구조를 보여주고 있으며, 경제적 발전뿐만 아니라 정치적, 사회적 안정성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인구는 수평축을 따라 분포하고 있으며, 왼쪽에는 수컷이, 오른쪽에는 암컷이 보인다. 남녀 인구는 수직축을 따라 가로막대로 대표되는 5세 연령대로 나뉘는데, 가장 어린 연령층은 최하위, 가장 나이가 많은 연령층은 상위에 있다. 인구 피라미드의 모양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적으로 다산성, 사망률, 국제이주 추세에 기초하여 진화한다.

참조

  1. ^ "Inequalities in Human Development in the 21st Century" (PDF). UNDP. Retrieved 22 September 2020.
  2. ^ "Health systems in Lesotho". Commonwealth Health. Commonwealth Health. Retrieved 22 September 2020.
  3. ^ "Death rate, crude (per 1,000 people) - Lesotho Data". data.worldbank.org. Retrieved 2021-09-15.
  4. ^ "Lesotho Country Overview World Health Organization". www.who.int. Retrieved 2021-09-15.
  5. ^ "Life expectancy at birth, Lesotho". Data Worldbank. Retrieved 22 September 2020.
  6. ^ a b "Countries: Lesotho". WHO. World Health Organisation. Retrieved 22 September 2020.
  7. ^ "Lesotho Our World in Data". Our World in Data. Our World in Data. Retrieved 22 September 2020.
  8. ^ "Indicator Metadata Registry Details". www.who.int. Retrieved 2021-09-15.
  9. ^ "Key demographic indicators: Lesotho". Unicef. Retrieved 22 September 2020.
  10. ^ a b "NLiS Country Profile: Lesotho". WHO. Retrieved 22 September 2020.
  11. ^ "Mortality rate, under-5 (per 1,000 live births) - Lesotho Data". data.worldbank.org. Retrieved 2021-09-15.
  12. ^ "Mortality rate, under-5 (per 1,000 live births) Data". data.worldbank.org. Retrieved 2021-09-15.
  13. ^ "Mortality rate, infant (per 1,000 live births) - Lesotho Data". data.worldbank.org. Retrieved 2021-09-15.
  14. ^ "Mortality rate, infant (per 1,000 live births) Data". data.worldbank.org. Retrieved 2021-09-15.
  15. ^ "Mortality rate, neonatal (per 1,000 live births) - Lesotho Data". data.worldbank.org. Retrieved 2021-09-15.
  16. ^ "Mortality rate, neonatal (per 1,000 live births) Data". data.worldbank.org. Retrieved 2021-09-15.
  17. ^ "Health systems in Lesotho". Commonwealth Health. Commonwealth Health. Retrieved 22 September 2020.
  18. ^ a b c d e f g h i j "A spatial database of health facilities managed by the public health sector in sub-Saharan Africa". World Health Organization. February 11, 2019. Retrieved May 8, 2020.
  19. ^ "Lesotho Health Network Public-Private Partnership (PPP)". World Bank. 19 February 2016. Retrieved 19 November 2018.
  20. ^ a b c d e f g h i j "List of doctors and medical facilities in Lesotho" (PDF). US Embassy, Lesotho. Retrieved January 12, 2021.
  21. ^ "Military hospital in botched delivery". The Post. Retrieved January 12, 2021.
  22. ^ "mental hospital grapples with- overcrowding". Lethoso Times. Retrieved January 12, 2021.
  23. ^ Roser, Max; Ritchie, Hannah (2016-01-25). "Burden of Disease". Our World in Data.
  24. ^ a b c d e f g "GBD Compare IHME Viz Hub". vizhub.healthdata.org. Retrieved 2021-09-15.
  25. ^ "The World Factbook" 2009년 7월 27일 웨이백 머신보관. cia.gov
  26. ^ "HIV and AIDS in Lesotho". AVERT. 21 July 201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October 2018. Retrieved 1 October 2018.
  27. ^ a b "World bank Lesotho: Country Brief".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1 March 2014. Retrieved 3 March 2012.
  28. ^ Julian Rademeyer (16 July 2006). "Lesotho praised for fight against Aids". Sunday Times of South Afric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March 2012. Retrieved 27 January 2011.
  29. ^ "Apparel Lesotho Alliance to Fight AIDS (ALAF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February 2011. Retrieved 4 February 2012.
  30. ^ "Lesotho Country Profil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31. ^ "CDC Division of Global HIV & TB – Country Profile – Lesotho" (PDF). CDC. Retrieved 22 September 2020.
  32. ^ "Lesotho situation reports". www.unicef.org. Retrieved 2021-09-15.
  33. ^ "Lesotho: WHO Coronavirus Disease (COVID-19) Dashboard With Vaccination Data". covid19.who.int. Retrieved 2021-09-15.
  34. ^ "Road traffic injuries". www.who.int. Retrieved 2021-09-15.
  35. ^ Mercy, James A.; Hillis, Susan D.; Butchart, Alexander; Bellis, Mark A.; Ward, Catherine L.; Fang, Xiangming; Rosenberg, Mark L. (2017), Mock, Charles N.; Nugent, Rachel; Kobusingye, Olive; Smith, Kirk R. (eds.), "Interpersonal Violence: Global Impact and Paths to Prevention", Injury Prevention and Environmental Health (3rd ed.), Washington (DC): The International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 The World Bank, ISBN 978-1-4648-0522-6, PMID 30212109, retrieved 2021-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