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아와타(열차)

Hiawatha (train)
스타일리시한 1939년 광고로 유선형 4-6-4급 F7 증기 기관차가 특징입니다.

히아와타스(Hiawathas)는 시카고, 밀워키, 세인트 폴, 퍼시픽 철도(밀워키 도로라고도 함)가 시카고와 미국 중서부 및 서부 지역의 다양한 목적지를 운행하는 명명된 여객 열차이다.이 열차들 중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미네소타의 트윈 시티에 서비스를 제공했던 원래의 트윈 시티 히아와타이다.이 기차의 이름은 헨리 워즈워스 롱펠로서사시 '히아와타노래'에서 따왔다.

역사

1943년 유니언 스테이션(시카고)의 1935년 비버 꼬리 관측차
1939년 히아와타호 식당차 내부
밀워키 철도의 슈퍼차량 중 하나죠
유니언 퍼시픽 페인트 도안의 스카이탑 자동차 "Priest Rapids" 189번.

최초의 히아와타 열차는 1935년에 운행되었다.1948년까지 5개의 노선에 히아와타라는 이름이 붙었다.

트윈시티 히아와타

1935년 5월 29일 시카고와 트윈시티 사이를 운행하기 시작한 트윈시티 히아와타(Hiawatha)는 원조 히아와타(Hiawatha)였다.HiawathaAmerican Locotive Company에 의해 제작된 유선형 A급 4-4-2 증기 기관차를 사용했으며 시카고, 벌링턴, 퀸시 철도(Bullington Route)의 트윈 시티 제퍼스와 [1][2]: 35 시카고 및 노스웨스턴 철도트윈 시티 400과 직접 경쟁하기 위한 것이었다.

밀워키 로드는 1939년 1월 21일 노선에 두 번째 열차를 추가했고, 두 열차는 트윈 시티 히아와타라는 브랜드가 종종 사용되었지만 모닝 히아와타와 애프터눈 히아와타로 알려져 있었다.1947~1948년 밀워키 도로는 다시 주요 여객 노선을 새로운 경량 장비로 재장착했다.모닝 히아워타 (5호 및 6호 열차)와 애프터눈 히아워타 (3호 및 2호 열차)는 1970년 1월 23일 열차가 중단될 때까지 시카고와 미니애폴리스 사이를 계속 운행했다.Morning Hiawatha의 마지막 공연은 Amtrak[3]: 174 소개되기 직전인 1971년 4월 30일에 있었다.

히아와타 주

1938년식 열차 세트가 인도되면서, 원래 1935년식 히아와타 장비는 시카고에서 오마하/수우 시티로 가는 노선으로 재배치되었고, 그곳에서 중서부 히아와타로 운행되었습니다.서비스는 1940년 [4]12월 11일에 시작되었습니다.1955년 10월 29일 모든 터미널에서 중서부 히아와타행 마지막 여행이 이루어졌다.다음 날인 1955년 10월 30일 밀워키 도로유니언 퍼시픽 철도의 샌프란시스코 시, 로스앤젤레스 시, 덴버 , 포틀랜드 시 챌린저 열차운행을 인계받았다.중서부 히아와타는 마닐라의 챌린저와 결합된 두 명의 수 폴스-시카고 코치가 되었다.밀워키 로드는 1956년 [5]: 91–92 4월에 그 이름을 완전히 없앴다.

노스우즈 히아와타

노스 우즈 히아워타는 1936년 6월 위스콘신주 뉴 리스본히아워타 주요 항로에서 위스콘신주 미노쿠아로 분기했다.밀워키 로드는 1956년에 히아와타 호를 취항시켰으며 [5]: 91 1970년에 서비스를 전면 중단했다.

올림피아 히아와타

시카고에서 태평양 북서쪽으로 가는 올림피아 히아와타라는 새로운 장거리 히아와타가 1947년에 출범했습니다.침목차와 스카이탑 침목차는 1948년 말과 1949년 초까지 납품되지 않았기 때문에, 열차는 새로운 차량이 인도될 때까지 풀먼 헤비급과 함께 뒷좌석을 달렸습니다.이 열차는 밀워키의 유명한 디자이너 브룩스 스티븐스에 의해 디자인되었다.6개의 크릭 시리즈 8개의 침실이 있는 스카이탑 라운지 침대가 만들어졌는데, 이 침대는 모닝 히아워타와 애프터눈 히아워타의 래피즈 시리즈 홀인 스카이탑보다 더 많은 창문과 더 넓은 뒷부분을 가지고 있었다.이 열차는 1961년 5월 22일 운행을 중단했고 잉여 장비는 캐나다 국영철도에 팔렸다.올림피아 히아와타의 #15 커피 크릭 차량 한 대가 복구 중입니다.

치페와히아와타

치페와 강은 1937년 5월 밀워키와 그린베이를 통해 북쪽으로 미시간 주 채닝까지 운행되었다.1948-1957년 사이에 히아와타라는 별명이 붙었고 1960년에 단종되었다.

암트랙

1971년 5월 1일 미국의 대부분의 도시간 여객철도 서비스를 통제한 암트랙 에서 히아와타라는 이름은 두 가지 형태로 존속했다.첫 번째는 간단히 히아와타라고 알려진 시카고-밀워키-미니애폴리스 서비스였다.이곳은 트윈 시티 히아워타로 개명되고 시애틀로 확장되어 노스 코스트 히아워타로 개명될 것이다.이 서비스는 [6]: 30–31, 73 1979년에 종료되었습니다.

두 번째는 히아와타 서비스(Hiawatha Service)로 알려진 시카고-밀워키 회랑이었다.암트랙은 전환 기간 동안 시카고-밀워키 서비스를 유지했지만 1972년 10월 29일까지 이 열차들의 이름을 짓지 않았다.이때 히아와타히아와타 서비스는 같은 시간표에서 찾을 수 있었다.Amtrak은 1976-1989년 사이 히아와타 서비스 브랜드로 돌아가기 전에 이 서비스의 다양한 이름을 사용했습니다.이 브랜드는 오늘날에도 남아 있으며 시카고와 밀워키 사이의 밀워키 로드(현 캐나다 태평양 및 이름뿐인 자회사 Soo Line Railway) 노선을 계속 사용하고 있습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Mann, Charles F.A. (September 17, 1935). "Most Powerful Diesel Ready for Rail Service". The Meriden Daily Journal. Retrieved March 28, 2012.
  2. ^ Solomon, Brian (2003). Railway Masterpieces. Newton Abbot: David & Charles. ISBN 9780715317433. OCLC 52695896.
  3. ^ Sanders, Craig (2006). Amtrak in the Heartland. Bloomington, Indiana: Indiana University Press. ISBN 978-0-253-34705-3.
  4. ^ "'Hiawatha': Milwaukee Road Adds New Speed Train". Pittsburgh Press. December 15, 1940. Retrieved 2012-07-04.
  5. ^ a b Murray, Tom (2005). The Milwaukee Road. Voyageur Press. ISBN 9780760320723.
  6. ^ Goldberg, Bruce (1981). Amtrak--the first decade. Silver Spring, MD: Alan Books. OCLC 7925036.

참고 문헌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