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아와타 서비스

Hiawatha Service
히아와타 서비스
Hiawatha Service in Glenview, October 2018.jpg
2018년 글렌뷰 하이아와타 서비스 열차
개요
서비스형도시 간 철도
상태활동적인
로캘일리노이/위스콘신, 미국
전임자밀워키 도로 복도 열차
퍼스트 서비스1971년 5월 1일
현재 연산자암트랙, 일리노이 주 및 위스콘신 주 교통부와 제휴
라이더십일일 2,297개
838,355(전체)(FY12)[1]
경로
시작위스콘신 주 밀워키
스톱스5
일리노이 주 시카고
주행 거리86 mi (1968 km)
평균 이동 시간1시간 29분
서비스 빈도매일 7개씩 (월-토)
매일 6개씩 (일)
열차 번호329–344
온보드 서비스
클래스코치
좌석 배치항공사 스타일의 코치 좌석(예약되지 않음)
급식시설없음
수하물 설비위탁 수하물 이용 가능
시카고와 밀워키에서
기술
롤링 스톡Horizon FleetAmfleet 코치
트랙 게이지4ft 8+12 in (1,435 mm) 표준 게이지
작동 속도최대 시속 79mph(92km/h) 평균,
스톱스톱까지
노선도
86 mi
138km
밀워키
Milwaukee Streetcar
78 mi
126km
밀워키 공항
Milwaukee Mitchell International Airport
63 mi
101km
스터테반트
시카고 강(북쪽 분지)
MD-N 폭스 레이크까지
16 mi
26km
글렌뷰
Metra
0 mi
0km
시카고
Metra
암트랙 히아와타

히아와타 서비스(Hiawatha Service, 또는 단순히 Hiawatha)는 일리노이 주 시카고위스콘신 밀워키 사이의 미시건 호수 서쪽 해안에서 암트랙이 운행하는 86마일(138km)의 열차 노선이다. 그러나, 이 명칭은 역사적으로 중서부가로질러 태평양으로 확장된 몇몇 다른 항로에 적용되었다. 2007년 현재 시카고와 밀워키를 오가는 열차는 매일 14편(트립 7회, 일요일 6회)으로 일리노이 글렌뷰, 스터테반트, 위스콘신 주, 밀워키 미첼 국제공항에서 중간 정차한다.[2] 이 노선은 위스콘신 주와 일리노이 주 정부의 자금에 의해 부분적으로 지원된다.[3]

서비스는 2011 회계연도에 80만 명 이상의 승객을 실어 나르며, 2010 회계연도에 비해 4.7% 증가했다. 2011 회계연도의 매출은 총 14,953,873달러로 2010 회계연도에 비해 6.1% 증가했다.[1] 암트랙의 9번째로 붐비는 노선이며, 중서부에서 철도가 가장 붐비는 노선이다.[1] 2013년 현재 최근 9년 중 8년 동안 기수가 증가하는 등 기수가 꾸준히 늘고 있다.[4] 마일당 기수 또한 매우 높으며, 북동지역캐피톨 회랑만이 초과한다. 밀워키와 시카고의 일방통행은 90분 정도 걸린다. 1930년대에 같은 여행은 시카고, 밀워키, 세인트 폴, 퍼시픽 철도 히아와타에서 75분이 걸렸다.[5] 2014년에는 히아와타 서비스에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가 추가되었다.[6] 이 서비스는 특히 대중 교통을 이용한 야구 브루어스-쿠브스 경쟁과 관련된 경기에 참석한 팬들에게 인기가 있으며, 아메리칸 패밀리 필드 또는 리글리 필드에서 경기 전후의 열차는 종종 만원이다.[7][8]

이 노선은 그린베이, 애플턴, 오쉬코시, 폰드듀 라크와 밀워키, 매디슨, 제인스빌, 록포드와 시카고를 잇는 암트랙 스루웨이 모터코치 노선이 증설한다.

히아와타 서비스2019년 뉴헤이븐-스프링필드 셔틀 연장 이후 암트랙 계통에서 가장 짧은 노선이다.[9]

2020년 4월 24일, 히아와타COVID-19 대유행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버스 운행으로 대체되었다. 부분 서비스는 2020년 6월에 재개되었고, 완전 서비스는 2021년 5월에 재개되었다.

역사

밀워키 로드

밀워키 로드 시절의 히아와타 로고.
1956년에서 1963년 사이에 엽서에 그려진 오후의 히아와타.

역사적으로 히아와타스시카고, 밀워키, 세인트 폴, 퍼시픽 철도(일명 "밀워키 로드"라고도 한다)에 의해 운영되었고, 처음에는 시카고에서 트윈 시티로 이동했다. 최초의 히아와타 열차는 1935년에 운행되었다. 1948년까지 히아와타라는 이름을 가진 다섯 개의 노선이 있었다. 시카고-미네아폴리스, 시카고-오마하, 시카고-오마하Wausau-Minocqua, Chicago-Ontanogan, Chicago-Minneapolis-Sittle.

히아와타스 호는 1930년대와 1940년대에 세계에서 가장 빠른 열차에 속했고, 이 열차는 대략 평행 선로를 달리는 시카고와 북서부 철도의 열차들과 직접 경쟁하면서 이 구간에서 최고 속도의 일부에 도달했다. 시카고와 밀워키 사이의 90분짜리 논스톱 서비스는 1930년대 중반에 처음 도입되었고, 이후 몇 년 동안 75분으로 떨어졌다. 1950년대 초 주간상업위원회 규정이 시속 145km로 더 엄격한 제한을 부과하기 전까지 기관차 기술자들은 스스로 부과한 시속 100마일 제한속도를 일상적으로 초과했다. 글렌뷰의 추가 정차 역시 이동 시간을 더 길게 하는 요인이 되었지만, 열차는 80분이라는 일정까지 속도를 늦추었다. 결국 1968년 신호 변화로 제한속도가 시속 127km(79mph)로 떨어졌고, 예정된 지속시간은 종단간 90분으로 돌아갔다.[10]

암트랙

1971년 5월 1일 미국에서 대부분의 시외 여객철도 운항을 통제하게 된 암트랙 하에서는 히아와타라는 이름이 두 가지 형태로 존속되었다. 첫 번째 서비스는 시카고-밀워키-미니애폴리스로 단순히 히아와타라고 알려진 서비스였다. 이것은 트윈시티 히아와타로 개칭되고, 그 후 시애틀로 확장되어 노스 코스트 히아와타로 개칭된다. 이 서비스는 1979년에 끝났다.[11]: 30–31, 73

두 번째는 히아와타 서비스로 알려진 시카고-밀워키 복도 열차였다(히아와타와는 반대). 암트랙은 전환기에 시카고-밀워키 노선을 유지했지만 1972년 10월 29일까지는 이 열차의 명칭을 정하지 않았다. 이때 히아와타 서비스와 히아와타 서비스 모두 같은 시간표에서 찾을 수 있었다. 1976년 6월 15일 암트랙은 투르볼리네르를 이 노선에 소개했고 히아와타 서비스라는 이름은 1989년까지 돌아오지 않고 시간표를 남겼다. 시카고-밀워키 열차는 단순히 "터볼리너스"로 알려져 있었다(시카고 열차와 비교할 수 있듯이).디트로이트 및 시카고 – 세인트 1980년 10월 26일까지 (Louis circuites) Amtrak이 각 열차의 개별 이름을 소개할 때까지: 오소리, 라살레, 니콜렛, 라디슨. 이 관행은 1989년 10월 29일 히아와타 서비스라는 이름이 시카고-밀워키 서비스의 총칭으로 되돌아오면서 끝이 났다.[12]

94번 주간 고속도로에 대한 재포장 프로젝트는 1998년 4월 13일부터 밀워키 서쪽의 위스콘신주 워터타운까지 3개월간의 서비스 시험으로 이어졌다. 중간정류장으로는 와우워토사, 엘름 그로브, 페워키, 오코노미오웍 등이 있었다. 암트랙은 매일 히아와타스 6개 중 4개를 노선 위로 연장했다. 미국 자회사인 수라인철도를 통해 선로를 소유했던 캐나다 태평양철도는 이 노선이 영구적으로 확장된 서비스를 유치하기 위해서는 1,500만~3300만 달러의 자본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추정했다. 돈이 준비되지 않았고 서비스는 7월 11일에 끝났다. 3개월간의 재판에는 140만 달러의 비용이 들었고 3만 2천 명의 승객이 탑승했다.[13]: 184 [14][15]

2000년과 2001년 사이에 암트랙은 밀워키에서 북쪽으로 70마일(113km) 떨어진 위스콘신 폰드 뒤 라크까지 하이아와타 서비스 왕복 1회를 연장하는 방안을 고려했다. 잠재적 정차역으로는 엘름 그로브, 브룩필드, 슬링거, 로미라가 있었다. 이동 시간은 거의 두 시간 정도 될 것이다. 암트랙은 단명 레이크 컨트리 리미티드(Lake Country Limited)와 유사한 네트워크 성장 전략의 일환으로 노선에 우편물 및 익스프레스 사업을 유치하기를 희망했다. 암트랙은 2001년 9월 이 생각을 포기했다.[16]

2005년, 또 다른 역인 밀워키 미첼 국제 공항의 밀워키 공항 철도역이 개통되었다. 이 증축은 공항과 중앙 터미널 사이에 셔틀이 운행되는 등, 공항을 오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다. 새 역은 또한 마퀘트 인터체인지 완공 후 현재 충분히 접근할 수 있는 도심 중앙역 대안과 함께 밀워키 남쪽의 주민들에게 보다 쉽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해주었다. 이 역은 주로 자금 지원을 받았으며 위스콘신 교통부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citation needed]

히아와타 서비스엠파이어 빌더와 함께 일리노이 주 글렌뷰의 노스 글렌뷰로 한 정거장을 북쪽으로 이동할 것을 제안한다. 이 조치는 글렌뷰로의 교통을 차단하는 긴 정차역을 없앨 것이다. 이 조치는 추가 교통량을 처리하기 위한 노스 글렌뷰 역의 재구성을 수반할 것이며, 글렌뷰, 일리노이 총회, 메트라 등의 약속에 따라 달라진다.[17]

이 노선은 시카고에서 태평양 북서쪽으로 가는 암트랙의 장거리 노선인 엠파이어 빌더의 먼 남쪽 다리와 공동선로를 이룬다. 엠파이어 빌더는 글렌뷰와 밀워키에 정차하지만, 보통 두 경우 모두 북쪽으로 향하는 승객을 받고 남쪽으로 향하는 승객을 퇴원시키기 위해서만 그렇게 한다.

COVID-19 전염병

2020년 4월 24일 COVID-19 대유행으로 인해 열차 운행이 중단되었고, 밀워키와 시카고 사이의 암트랙 스루웨이 모터코치 노선으로 대체되었다.[18] 서비스 손실을 메우기 위해 엠파이어 빌더는 스터테반트와 밀워키 공항의 정차역을 추가했고 시카고와 밀워키 사이의 지역 여행을 임시로 허용했다.

히아와타는 2020년 6월 1일 시카고로 아침 출발, 밀워키로 저녁 귀환이라는 단 한 번의 왕복 여행을 하고 돌아왔다. 매일 왕복 3회, 주말 왕복 2회가 6월 29일 돌아왔다. 히아와타는 오랫동안 예약과 예약되지 않은 좌석이 뒤섞여 운행했지만, 암트랙, IDOT, 위즈닷은 사회적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멀티라이드 티켓이 없는 승객을 위해 임시로 예약을 요구했다. 암트랙은 또한 얼굴 가림막을 요구했고 현금 수령을 중단했다. 이 열차에 대해서는 최고 운임 할증 요금이 부과되지 않았다.[19]

2021년 5월 23일, 히아와타 서비스는 완전한 사전 준비 스케줄로 돌아왔다. 그린베이로 가는 스루웨이 버스도 이날 재개됐다.[20]

코리더 이름

이 표는 암트랙 아래의 시카고-밀워키 복도를 운행하는 열차에 주어진 이름을 보여준다. 지역 정차 패턴이 제한됐던 엠파이어 빌더, 노스 코스트 히아와타 등 장거리 열차는 제외한다. 아브라함 링컨프레리 주는 시카고-St. 1970년대 초 암트랙이 시카고를 거쳐 북쪽으로 확장한 루이 서비스.

1971-11-14 1972-10-29 1973-10-28 1975-11-30 1976-06-15 1980-10-26 1984-10-28 1985-04-28 1989-10-29 현재
에이브러햄 링컨
프레리 주
히아와타 서비스 히아와타 서비스
터볼리너
라살레
마켓
니콜렛
래디슨
오소리
앙코르

라이더십

회계연도별 교통량
승객용량 전년도변동 티켓 수익 전년도변동
2007[21] 595,336 $10,230,272
2008[21] 749,659 Increase025.92% $13,138,765 Increase028.43%
2009[21] 738,231 Decrease01.52% $13,300,511 Increase01.23%
2010[22] 783,060 Increase06.07% $14,092,803 Increase05.96%
2011[22] 819,493 Increase04.65% $14,953,873 Increase06.11%
2012[23] 838,355 Increase02.30% $15,963,261 Increase06.75%
2013[24][note 1] 778,469 Decrease07.14% $16,287,184 Increase02.03%
2014[24] 799,638 Increase02.72% $16,794,044 Increase03.10%
2015 799,271 Decrease00.05%
2016[25] 807,720 Increase01.06%
2017[26] 829,000 Increase02.63%
2018[27] 844,396 Increase01.86%
2019[28] 882,189 Increase04.48%
2020[29] 403,112 Decrease053.9% - -

주로 이 노선의 인기 때문에, 북부 종착지인 밀워키 인터모달 역은 암트랙이 전국적으로 18번째로 붐비는 역이며, 중서부에서 두 번째로 붐비는 역이다.[30]

주의:

  1. ^ 2013년 이후부터는 멀티라이드 항공권을 감안하여 번호를 조정하였다.

장비

이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두 대의 열차가 필요하다. 일반적인 히아와타 열차는 남쪽 끝의 지멘스 SC-44 기관차 1대, 북쪽 끝의 EMD F40PH 유도 "배추차" 1대, 그리고 6대의 Horizon Flatt 68인승 코치로 구성되어 있다. 이동 방향의 후미엔드 차량 1대가 휴대전화 사용과 요란한 보전에 한계가 있는 '조용한' 차량으로 지정돼 있다. 겨울 동안, 암플릿 코치는 보통 조용한 자동차 역할을 하기 위해 Horizon 코치 대신 양 끝에 사용된다.

2009년 7월 17일, 위스콘신 주는 2010년 초에 자금을 지원받은 향상된 속도 서비스에 대비하여 스페인 제조업체인 탈고로부터 두 개의 새로운 기차 세트를 구입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스콧 워커 주지사는 연방정부의 자금지원을 거부하고 이 사업을 취소했다. 탈고는 밀워키에 제조 공장을 열어 히아와타 서비스를 위한 열차 세트를 건설했으며, 회사는 이 공장이 이 지역에 미래의 고속 노선을 위한 열차도 건설하기를 희망했다.[31] 구축된 2세트는 암트랙이 인디애나주 인디애나폴리스 인근 정비시설로 옮기기 전까지 옛 탈고공장에 보관돼 있었다. 그것들은 다른 암트랙 노선에서 사용될 수 있을 때까지 그곳에 보관될 것이다. 무동력 틸팅 트레인세트는 택시차를 포함해 14대, 코치 11명(화장실 5대), 비스트로 승용차 1대, 자전거 거치대 등 엔드카 1대 등이다. 그 차들은 위스콘신 대학에 경의를 표하기 위해 빨간색과 흰색 옷을 입는다. 이 열차는 처음에는 최고속도가 시속 110마일의 GE 제네시스 기관차에 의해 견인되었을 것이다.[32] 두 열차는 이후 워싱턴주 DOT캐스케이드 서비스를 위해 인수됐으며 2021년 현재 밀워키 탈고 시설에서 개보수 작업을 진행 중이다.[33]

연방철도청은 2019년 8월 와이즈닷에게 노선 신규 코치 6명과 택시 3대를 구매해 NPCU 교체가 가능하도록 최대 2,520만 달러를 수여했다.[34] 지멘스차저 기관차용 신형 장비인 지멘스벤처(CALIDOT) 전차와 택시제어차가 2022년 운행에 들어갈 전망이다.[35]

제안된 확장명

2021년 암트랙은 2035년까지 히아와타 서비스 왕복 3회를 새로 추가할 것을 제안했다. 이것은 시카고와 밀워키 사이의 총 주파수를 일일 열차에 가져올 것이다. 모든 여행은 밀워키를 넘어 매디슨으로 가는 4개의 일일 열차, 세인트 폴로 가는 3개, 그린 베이로 가는 3개의 열차로 확장될 것이다.[36]

2021년 11월, 의회는 일리노이 주의 대중 교통에 40억 달러를 포함하는 인프라 투자일자리법을 통과시켰다. 이들 자금의 일부는 히아와타 서비스 개선에 쓰일 것으로 예상된다.[37]

매디슨

위스콘신주는 2009년 미국회생 및 재투자법시카고-밀워키-매디슨-미네아폴리스/St.에 따라 철도사업에 배정된 80억 달러 규모의 풀에서 자금지원을 신청했다. Paul 회랑에는 8억 2천 3백만 달러가 할당되었다.[38] 그 중 8억 1000만 달러는 1971년 이후 직접적인 시외 서비스를 보지 못했던 매디슨으로 암트랙 서비스를 확장하는 것을 지원하는 것이었다. 시카고와 밀워키 사이의 노선을 업그레이드하는데 1200만 달러가 더 사용되었을 것이고, 트윈 시티와의 향후 연계를 연구하기 위해 60만 달러가 추가로 주어졌을 것이다.[39][40]

매디슨 연장은 당초 브룩필드, 오코노보콕, 워터타운 등의 정류장을 포함할 계획이었으나,[38] 오코노보콕과 브룩필드는 비용 문제로 역 계획 추진을 꺼렸다. 위스콘신 교통부(WisDOT)는 2010년 8월 오코노오코노오코를 계획 노선에서 떨어뜨렸고,[41] 브룩필드는 11월 선거 결과를 지켜본 뒤 정거장 건설 여부를 결정짓고 있었다.[42] 하트랜드와우워토사 인근 도시들은 개최지에 관심을 표명했었다. 그 연장은 2013년에 서비스를 시작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2010년 위스콘신 주지사 선거에서 정치적 이슈가 되었다. 공화당 스콧 워커 후보는 이 프로젝트를 중단하고 당선되면 주정부가 받은 돈을 돌려주겠다고 약속했다.[43] 도일 지사는 작업을 중단하는 것이 현실적이냐는 질문에 비관적인 입장을 표명하며 부분적으로 이렇게 말했다.

이것은 미국의 주간 고속철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간 고속도로 시스템처럼 - 그것도 연방 시스템이지.] [...] 연방 정부 앞에 앉아 연방 정부를 거스르는 것 외에는, 이 프로젝트가 중단될 것이라고 말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고 생각한다.[44]

2010년 10월 말, 위스콘신 주지사 짐 도일과 연방정부는 2010년 도지사 선거 결과와 상관없이, 국가가 부여한 연방기금을 노선 건설에 지출하도록 하는 내용의 협약을 체결했다.[45] 그러나 스콧 워커가 도지사 선거에서 승리한 지 이틀 뒤인 11월 4일 도일은 노선에 대한 작업을 일시 중단하라고 명령했고,[46] 11월 9일에는 열차 운행 여부를 워커에게 맡길 계획이라고 밝혔다.[47]

2010년 12월 9일, 레이 라후드 미 교통장관은 위스콘신주가 받아야 할 8억 1천만 달러의 상당 부분이 캘리포니아, 플로리다, 워싱턴을 포함한 다른 주들로 재분배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트윈시티

밀워키에서 미네소타주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세인트폴로, 트윈시티-밀워키-시카고(TCMC) 회랑까지 히아와타 여행을 1회 이상 연장하자는 제안이 있다.

암트랙의 2015년 타당성 보고서는 라크로스를 경유하는 엠파이어 빌더의 노선을 따라 왕복 1회를 '제2열차'로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했다. 세인트 유니언 디포에서 서비스가 종료되면 11만7,800명에서 15만5,500명 사이, 타깃 필드, 프리들리 또는 세인트로 확장될 경우 더 높은 수치로 예상되었다. 구름.[48]

세인트 폴 왕복 1회 연장 비용은 총 5,300만 달러에 달했다.[49] 2020년 5월, 첫 3년간의 운영 기간을 상쇄하기 위해 1,260만 달러의 연방 보조금이 수여되었다. 2020년 9월 최종 설계 작업과 건설에 3,180만 달러의 보조금이 뒤따랐다. 암트랙은 500만 달러를 매칭 펀드로 제공했고 위스콘신주는 620만 달러, 미네소타는 1000만 달러를 약속했다.[50]

2021년 현재, 세인트 폴에 대한 이 연장은 2024년에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49]

암트랙은 2020~2035년 확장 비전에서 밀워키에서 트윈시티로 히아와타 3회 여행을 연장하자고 제안했다. 하나는 엠파이어 빌더를 칭찬하고, 다른 하나는 캠프 더글러스, 어 클레어, 메노모니, 허드슨에 정차하는 새로운 길을 택할 것이다. 밀워키-세인트 폴의 여행 시간은 6시간 45분으로 추정된다.[51]

그린베이

암트랙은 2035년까지 3번의 히아와타 여행을 밀워키에서 그린베이까지 연장할 것을 제안했으며 폰두 라크, 오슈코시, 애플턴을 경유할 계획이다. 밀워키-그린베이 여행 시간은 2시간 50분으로 추정된다.[52][53]

스테이션 스톱

타운/시티 연결
일리노이 주 시카고 시카고 유니언 역 AmtrakAmtrak:Blue Water, Capitol Limited, Cardinal, Carl Sandburg, California Zephyr, City of New Orleans, Empire Builder, Hoosier State, Illini, Illinois Zephyr, Lake Shore Limited, Lincoln Service, Pere Marquette, Saluki, Southwest Chief, Texas Eagle, Wolverine, Thruway Motorcoach
Metra메트라:북중앙 서비스, 밀워키 구/북선, 밀워키 구/서선, BNSF 철도, 헤리티지 코리더, 남서 서비스
Chicago Transit Authority Logo.svgCTA 버스: 1, 7, J14, 19, 20, 56, 60,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5, 128, 129, 130, 151, 157, 192
Megabus (North America)메가버스: M1, M2, M3, M4, M5, M6, M7
글렌뷰 글렌뷰 역 Amtrak암트랙:엠파이어 빌더
Metra메트라:밀워키 구/북선
Pace (transit)속도: 210, 422, 423
위스콘신 주 스터테반트 스터테반트 암트랙 역 Ryde Racine 라이드: 7, 27
밀워키 밀워키 공항철도역 밀워키 미첼 국제공항으로 가는 공항 셔틀
밀워키 인터모달 역 Amtrak암트랙:엠파이어 빌더
The Hop (streetcar)더 홉
Coach USA미국 코치:위스콘신 주 코치 라인스
Greyhound Lines그레이하운드 라인스
Jefferson Lines제퍼슨 라인스
Lamers Bus Lines레이머스 버스 노선
Indian Trails인디안 트레일
Milwaukee County Transit System MCTS: 12, 31, 57

참고 항목

참조

경로 지도:

KML은 위키다타에서 왔다.
  1. ^ a b c "Amtrak Ridership Rolls Up Best-Ever Records" (PDF). Amtrak. October 10, 2012.
  2. ^ Wisconsin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May 1, 2007). "Rail Transportation in Wisconsin". Retrieved December 11, 2007.
  3. ^ "Amtrak Hiawatha Service breaks ridership record" (Press release). Wisconsin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January 11, 2007. Retrieved December 11, 2007.
  4. ^ Mulvany, Lydia (August 15, 2013). "Amtrak's Hiawatha route tops monthly ridership record". Milwaukee Journal Sentinel.
  5. ^ "Official Guide". September 1938.
  6. ^ Docter, Cary (February 10, 2014). "Free Wi-Fi now available on Amtrak's Hiawatha Service". Fox6 News Milwaukee.
  7. ^ Jones, Meg (September 20, 2017). "Amtrak adds late-night Milwaukee-Chicago trains just in time for Cubs series at Miller Park". Milwaukee Journal Sentinel. Retrieved September 26, 2021.
  8. ^ Gallagher, Shaun (October 1, 2018). "Milwaukee Brewers fans pack Amtrak trains to Chicago for crucial Game 163 tiebreaker against Cubs". WTMJ-TV. Retrieved September 26, 2021.
  9. ^ "Amtrak System Timetable" (PDF). Amtrak. January 2018. Retrieved February 21, 2018.
  10. ^ Scribbins, Jim (2007) [1970]. The Hiawatha Story. Minneapolis, M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ISBN 0-8166-5003-9. OCLC 191732983.
  11. ^ Goldberg, Bruce (1981). Amtrak--the first decade. Silver Spring, MD: Alan Books. OCLC 7925036.
  12. ^ James Sponholz. "Timeline of Hiawatha Corridor Timetabl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18, 2011. Retrieved January 8, 2010.
  13. ^ Sanders, Craig (2006). Amtrak in the Heartland. Bloomington, Indiana: Indiana University Press. ISBN 978-0-253-34705-3.
  14. ^ "Amtrak temporary service extension approved". Telegraph-Herald. February 28, 1998. Retrieved June 29, 2012.
  15. ^ Sandler, Larry (July 14, 1998). "Madison-Chicago rail link discussed". Milwaukee Journal-Sentinel. Retrieved June 29, 2012.
  16. ^ "AMTRAK DROPS FOND DU LAC PLAN". Capital Times – via HighBeam Research (subscription required). September 11, 200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6, 2013. Retrieved December 17, 2012.
  17. ^ "Amtrak eyes moving Ill. station". Railway Track and Structures. November 11,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15, 2011. Retrieved January 8, 2010.
  18. ^ Varon, Roz (April 24, 2020). "Busses replace trains on Amtrak Hiawatha line between Chicago and Milwaukee during coronavirus pandemic". ABC7 Chicago. Retrieved August 9, 2021.
  19. ^ "Amtrak to restore Amtrak Hiawatha Service from Milwaukee to Chicago on June 1". The Milwaukee Independent. May 30, 2020. Retrieved August 9, 2021.
  20. ^ Teixeira, Gunner (May 25, 2021). "Amtrak Hiawatha returns to full-service bus routes". WFRV Local 5 - Green Bay, Appleton. Retrieved August 9, 2021.
  21. ^ a b c "Amtrak Fiscal Year 2009, October 2008–September 2009 (compared with Fiscal Years 2008 and 2007)" (PDF).
  22. ^ a b Amtrak (October 13, 2011). "Amtrak Ridership Rolls Up Best-Ever Records" (PDF) (Press release).
  23. ^ "Amtrak Fiscal Year 2013 Ridership and Revenue (10/01/12-9/30/13)"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August 24, 2020. Retrieved August 24, 2020.
  24. ^ a b Amtrak (October 27, 2014). "Amtrak Ridership and Revenues Continue Strong Growth in FY 2014" (PDF) (Press release). Retrieved March 28, 2015.
  25. ^ 이름="암트랙">"Amtrak Delivers Strong FY 2016 Financial Results". November 17, 2016. Retrieved November 21, 2016.
  26. ^ "Amtrak Route Ridership" (PDF). Retrieved November 27, 2017.
  27. ^ "Passenger traffic on Amtrak's Milwaukee to Chicago line hits new high".
  28. ^ "Amtrak FY19 Ridership"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April 7, 2020. Retrieved August 24, 2020.
  29. ^ Luczak, Marybeth (November 23, 2020). "Amtrak Releases FY 2020 Data". Railway Age. New York: Simmons-Boardman Publishing Inc. Retrieved February 18, 2020.
  30. ^ Amtrak 국가 자료표 FY
  31. ^ "Doyle enters Midwest pact to pursue high-speed rail funds". The Business Journal of Milwaukee. July 27, 2009. Retrieved February 2, 2010.
  32. ^ Kay Nolan (September 9, 2010). "Talgo trains to sport Badger colors, traditional locomotives". WisBusiness.com. Retrieved September 26, 2010.
  33. ^ Federal Railroad Administration (February 1, 2018). "Petition for Waiver of Compliance" (PDF). Federal Register. Government Publishing Office. 83 (22): 4728.
  34. ^ "U.S. Transportation Secretary Elaine L. Chao Announces $272 Million in 'State of Good Repair' Program Grants" (Press release). Federal Railroad Administration. August 21, 2019.
  35. ^ Sapién, Josephine (February 1, 2021). "Amtrak Tests New Siemens Mobility Venture Railcars". Railway-News. Retrieved November 9, 2021.
  36. ^ "Amtrak's Vision for Improving Transportation Across America" (PDF). Amtrak. June 2021. p. 46,47. Retrieved November 9, 2021.
  37. ^ Price, Shepard (November 9, 2021). "New infrastructure bill could help Amtrak expand". Alton Telegraph. Retrieved November 9, 2021.
  38. ^ a b "Fact Sheet: High Speed Intercity Passenger Rail Program: Minneapolis/St. Paul - Madison - Milwaukee - Chicago". whitehouse.gov. January 27,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21, 2017. Retrieved January 28, 2010 – via National Archives.
  39. ^ "Wis to get $822 million for rail". Chicago Tribune. Associated Press. January 28, 2010. Retrieved February 2, 2010.
  40. ^ "Minnesota receives federal stimulus funds to study high-speed rail". Minnesot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January 29,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6, 2010. Retrieved February 2, 2010.
  41. ^ Sean Ryan (August 19, 2010). "WisDOT nixes Oconomowoc high-speed rail stop". The Business Journal of Milwaukee. Retrieved September 26, 2010.
  42. ^ "Brookfield station decision delayed until after election". The Business Journal of Milwaukee. September 24, 2010. Retrieved September 26, 2010.
  43. ^ "Walker would give back $810M for high-speed rail". Associated Press/WLUK-TV. August 16, 2010. Retrieved September 26, 2010.
  44. ^ "Madison high speed rail station Q+A". Learfield News. YouTube. July 1, 2010. Retrieved September 26, 2010.
  45. ^ "Wisconsin high-speed rail project "locked in"". Trains Magazine. November 2, 2010. Retrieved November 3, 2010.
  46. ^ "State halts work on high speed rail line". Milwaukee Journal-Sentinel. November 4, 2010. Retrieved November 5, 2010.
  47. ^ "Anti-rail Wisconsin Governor-elect will decide on fast-train plan". Trains Magazine. November 9, 2010. Retrieved November 9, 2010.
  48. ^ "Feasibility Report on Proposed Amtrak Service Chicago-Milwaukee-LaCrosse-Twin Cities-(St. Cloud)" (PDF). Amtrak. May 6, 2015. Retrieved November 9, 2021.
  49. ^ a b "Twin Cities-Milwaukee-Chicago Intercity Passenger Rail Service". wisconsindot.gov. Wisconsin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Retrieved November 9, 2021.
  50. ^ Weniger, Deanna (September 22, 2020). "Ramsey County commissioner announces $31.8 million federal grant for second Amtrak train". Twin Cities Pioneer Press. Retrieved September 23, 2020.
  51. ^ "Amtrak's Vision for Improving Transportation Across America" (PDF). Amtrak. June 2021. p. 47,49,50. Retrieved November 9, 2021.
  52. ^ "Amtrak's Vision for Improving Transportation Across America" (PDF). Amtrak. June 2021. p. 46,49,50. Retrieved November 9, 2021.
  53. ^ "Amtrak in Green Bay? Company announces vision plan for new routes". WBAY News. April 1, 2021. Retrieved November 9, 2021.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