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노토리(위성)

Hinotori (satellite)
히노토리
이름아스트로-A
미션형천문학
연산자ISAS
COSPAR1981-017a
새캣12307
우주선 속성
볼 질량185kg(408lb)
미션의 시작
출시일자1981년 2월 21일 00:30:00 (1981-02-21)UTC00:30Z) UTC[1]
로켓Mu-3S
발사장가고시마시 무파드
계약자ISAS
미션 종료
붕괴일자1991년 7월 11일(1991-07-12)
궤도 매개변수
참조 시스템지리학
정권로우 어스
편심성0.00395
페리기 고도548km(341mi)
아포기 고도603km(375mi)
기울기31.3도
기간96.2분
신기루1981년 2월 21일 04:30:00 UTC[2]

히노토리는 발사 전 ASTRO-A로도 알려진 일본X선 천문학 위성이었다. 그것은 우주 과학 연구소에 의해 개발되었다. 그것의 주요 임무는 태양 최대치 동안 태양으로부터 방출되는 태양 플레어를 연구하는 것이었다.[3] 1981년 2월 21일 우치노우라 우주센터(당시 가고시마로 알려져 있다)에서 출발한 차량으로 M-3S 로켓을 이용해 성공적으로 발사되었다. 정상운전이 시작된 뒤 대형 태양 플레어를 관측했고, 한 달 뒤 태양으로부터 많은 크기의 41개의 플레어를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1991년 7월 11일 대기권에 재진입했다.[4] 히노토리라는 이름은 피닉스를 뜻하는 일본어다.

계기

  • 태양 플레어 X선 이미저(SXT)
  • 태양열 소프트 X선 광선 스펙트럼 분석기(SOx)
  • 태양열 소프트 X선 모니터(HXM)
  • 태양 플레어 모니터(FLM)
  • 태양 감마선 모니터(SGR)
  • 입자선 모니터(PXM)
  • 플라즈마 전자 밀도 측정기(IMP)
  • 플라스마 전자 온도 측정기(TEL)

하이라이트

  • 태양활동 최대주기의 관측자료
  • 최대 5000만 °C에 이르는 고온 현상과 태양의 코로나에 떠 있는 광속 전자 구름의 발견

참조

  1. ^ JAXA, "ISAS 미션의 카탈로그" 웨이백 머신에 2014-12-31 보관, 2014-12-23 검색.
  2. ^ "NASA - NSSDCA - Spacecraft - Trajectory Details". nssdc.gsfc.nasa.gov. Retrieved 1 May 2018.
  3. ^ 건터의 스페이스 페이지 "아스트로 A(히노토리)" 2014-12-23을 검색했다.
  4. ^ ISAS, "Solar Observation HINOTORI (ASTRO-A)"; 2014-12-23.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