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네라 14
Venera 14![]() 베네라 14 우표 | |
미션 타입 | 비너스 플라이바이/착륙선 |
---|---|
교환입니다. | 소비에트 과학 아카데미 |
COSPAR ID | 1981-110a 1981-110D |
새캣 | 12939 15600 |
미션 기간 | 출장 : 4개월 1일 랜더: 57분 |
우주선 속성 | |
우주선 종류 | 4V-1 No. 761 |
제조원 | NPO 라보치킨 |
발사 질량 | 4,394.5 kg (9,688파운드) |
착륙 질량 | 760kg(1,680파운드) |
건조 질량 | 1,632.71kg (3,599.5파운드) |
치수 | 2.7 m × 2.3 m × 5.7 m (8.9 ft × 7.5 ft × 18.7 ft) |
임무 개시 | |
발매일 | 1981년 11월 4일( | 05:31:00 UTC
로켓 | 프로톤-K/D-1 |
발사장소 | 바이코누르 200/39 |
임무 종료 | |
마지막 연락처 | 착륙선: 1982년 3월 5일 / 운송선: 1983년 4월[1] 9일 |
궤도 파라미터 | |
레퍼런스 시스템 | 태양중심 |
편심 | 0.17 |
근일점 고도 | 0.71 천문단위 |
원일리온 고도 | 0.99 천문단위 |
기울기 | 2.3도 |
기간 | 286일 |
비너스의 플라이바이 | |
우주선 부품 | 베네라 14편 플랫폼 |
가장 가까운 접근법 | 1982년 3월 3일 |
거리 | 26,050 km (16,140 mi) |
금성 착륙선 | |
우주선 부품 | 베네라 14호 강하선 |
상륙 날짜 | 1982년 3월 5일, 07:00시 10분 협정 세계시. |
랜딩 사이트 | 13°15′S 310°0′E/13.250°S 310.000°E/-13.250, 310.000(피비 Regio의 동쪽). |
비너스의 탐험에 소비에트 베네라호 프로그램에 금성 14(러시아:Венера-14 금성 14의미) 탐사선.
베네라호 14세는 베네라호 13우주선, 1981년의 금성 발사 기회를 이용해서 분양 동일했습니다.5일 뒤에 금성 1310월 30일 1981년 06:04시 협정 세계시에서 쏘아 베네라호 1441981년 11월에 05:31시 협정 세계시에, 발사되었다.둘 다 760kg(배파운드)의on-orbit 건조했다.
설계.
각각의 임무는 크루즈 스테이지와 부속 하강선으로 구성되었다.
크루즈 스테이지
크루즈 스테이지가 금성을 통과하면서 버스는 태양중심 궤도로 계속 가기 전에 착륙선의 데이터 중계기 역할을 했다.베네라 14는 감마선 분광계, UV 그레이팅 단색계, 전자 및 양성자 분광계, 감마선 폭발 검출기, 태양풍 플라즈마 검출기, 금성 통과 전, 도중 및 이후에 측정을 수행한 2주파 송신기를 갖추고 있었다.
착륙선 디센트
하강 착륙선은 밀폐된 압력용기로 대부분의 계측기와 전자장치를 포함하고 있었다.착륙선은 링 모양의 착륙대에 설치됐고 상단에는 안테나가 달려 있었다.초기 베네라 9-12 착륙선과 유사하게 설계된 베네라 14 착륙선은 화학 및 동위원소 측정, 산란된 햇빛의 스펙트럼 감시, 금성 대기를 통과하는 하강 단계에서의 전기 방전을 기록하는 기구를 운반했다.이 우주선은 카메라 시스템, X선 형광 분광계, 나사 드릴과 표면 채취기, 동적 침투계, 지진계 등을 사용해 지표면 조사를 실시했다.
착륙선 실험 및 장비 목록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2]
- 가속도계, 영향 분석– Bison-M
- 온도계, 기압계 – ITD
- 분광계/방향 광도계 – IOAV-2
- 자외선 광도계
- 질량분석계 – MKh-6411
- 침투계/토양 저항계 – PrOP-V
- 화학적 산화 환원 표시기 – Kontrast
- 2컬러 텔레포토미터 카메라– TFZL-077
-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 Sigma-2
- 라디오/마이크/지진계– 그로자-2
- Nephelometer – MNV-78-2
- 비중계 – VM-3R
- X선 형광 분광계(에어로솔)– BDRA-1V
- X선 형광 분광계(토양) – 아라키스-2
- 토양 굴착 장치 – GZU VB-02
- 안정화 발진기/도플러 무선
- 소형 태양 전지 – MSB
랜딩
베네라 14는 베네라 13에서 남서쪽으로 약 950km(590mi) 떨어진 현무암 평야에서 피비 레지오 동쪽 옆구리에 위치한 13°15µS 310°00µE/13.25에 착륙했다.
발사 후 4개월간의 금성 순항 후, 하강 차량은 버스에서 떨어져 1982년 3월 5일 금성 대기로 추락했다.착륙선이 대기권에 진입한 후 낙하산이 전개되었다.착륙선이 약 50km(31mi)의 고도에 도달하자 낙하산이 풀렸다. 마지막 강하에서는 간단한 공중제동이 사용됐다.
착륙선은 지상의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카메라와 토양의 압축성을 측정하기 위해 스프링으로 장착된 팔을 가지고 있었다.석영 카메라 창문은 하강 후 튀어나온 렌즈 캡으로 덮여 있었다.우연히도 Venera 14는 탐침이 토양을 측정하기 위해 크랜다운된 정확한 위치에 렌즈 캡이 정지된 후 토양 대신 렌즈 캡의 압축성을 측정했다.
지표면 토양 조성 샘플은 X선 형광 분광계에 의해 결정되었으며 해양성 톨레이아이트 현무암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베네라 14 랜더는 대기 소음을 녹음하도록 설계된 음향 마이크를 갖추고 있었다.이 기록들은 나중에 금성 표면의 평균 풍속을 계산하는데 사용되었다.후속 분석 결과 평균 표면 풍속은 초속 0.3~0.5m(0.98~1.64ft/[3]s)로 파악됐다.
Venera 14 착륙선은 465°C(869°F)의 온도와 94개의 지구 대기압(9.5MPa)의 환경에서 최소 57분(착륙선의 계획된 수명은 32분) 동안 작동했다.원격 측정 기능은 착륙선의 업링크 [4]안테나로부터 신호를 전달하는 버스를 통해 유지되었습니다.
조우 후
우주선 버스는 X선과 감마선 [5]스펙트럼을 계속 관측하는 태양중심 궤도에 도달했다.이 버스는 1982년 11월 14일 이후 베가 프로그램 [5]임무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엔진을 작동시켰다.마지막으로 발표된 탐사 데이터는 1983년 [5]3월 16일이었다.
허구의 레퍼런스
이미지 처리
미국인 연구원 돈 P. Mitchell은 [6]원본 데이터를 사용하여 Venera 13과 14의 컬러 이미지를 처리했습니다.새로운 이미지는 원래 9비트 로그 픽셀 인코딩의 보다 정확한 선형화를 기반으로 합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Siddiqi, Asif A. (2018). Beyond Earth: A Chronicle of Deep Space Exploration, 1958–2016 (PDF). The NASA history series (second ed.). Washington, DC: NASA History Program Office. p. 157. ISBN 978-1-62683-042-4. LCCN 2017059404. SP2018-4041.
- ^ Mitchell, Don P. "Drilling into the Surface of Venus". Mental Landscape. Retrieved 13 April 2013.
- ^ Ksanfomaliti, L. V.; Goroshkova, N. V.; Naraeva, M. K.; Suvorov, A. P.; Khondryev, V. K. & Yabrova, L. V. (1982-05-17). "Acoustic Measurements of the Wind Velocity at the Venera-13 and Venera-14 Landing Sites". Soviet Astronomy Letters. 8: 227–229. Bibcode:1982SvAL....8..227K.
- ^ "Venera 14 Descent Craft". NASA Space Science Data Coordinated Archive.
- ^ a b c Ulivi, Paolo; Harland, David M (2007). Robotic Exploration of the Solar System Part I: The Golden Age 1957-1982. Springer. p. 289. ISBN 9780387493268.
- ^ Mitchell, Don. "Soviet Space Image Catalog". Mental Landsca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