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의 역사

History of comics

만화의 역사 세계 각지에서 다른 길을 따라왔다.그것은 로마의 트라야누스 원주, 이집트 상형문자, 그리고 바이외 태피스트리 같은 초기 전조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초기 예술 서사시

이탈리아 로마 트라야누스 기둥에 대한 순차적 묘사

초기 순차 미술의 예는 이집트 상형 문자, 그리스 프리즈, 로마의 트라야누스 기둥 (서기 110년에 헌정), 마야 문자, 바이외 태피스트리 같은 중세 태피스트리 그리고 그림이 그려진 기독교 필사본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중세 그림에서, 같은 이야기의 여러 연속적인 장면들이 같은 그림에서 동시에 나타난다.

적어도 기원전 7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인도의 고대 전통에는 그림 쇼맨들이 동시에 그림으로 표현된 이야기들을 이야기했다.[1][2]

현대 인쇄 기술의 발명은 형태를 대중에게 제공하고 대중 [3]매체가 되기 위해 필요했습니다.

초기 인쇄 및 만화

기독교의 가르침을 문맹자에게 전하기 위해 많은 이미지와 텍스트가 결합된 널리 보급된 매체로서 성경의 조밀한 삽화가 있는 초기 인쇄물은 종교적 주제에 집중되었다.

17세기와 18세기를 거치면서 인쇄물은 정치와 사회생활의 양상을 다루기 시작했고 풍자희화화도 시작했다.때때로, 판화는 예를 들어 Frans Hogenberg의 스페인의 분노 (1576년)와 프랑스의 헨리 3세 살해 (1589년)[4]의 묘사처럼 이야기의 여러 장면과 관련된 여러 이미지를 포함하곤 했다.

Hogarth의 "결혼 알라 모드" 시리즈의 6개 플레이트 중 첫 번째 두 개.첫 번째 판은 부유한 스쿼더필드 경과 신부의 가난한 상인 [5]아버지 사이의 결혼 계약 체결을 묘사하고 있다.두 번째 판은 외박 후 부부의 집에서의 아침을 묘사하고 있다.개가 남편의 주머니에서 모자를 꺼내는 것은 아내가 [6]이미 모자를 쓰고 있기 때문에 불륜을 암시할 수 있다.

연속적인 풍자 예술 시리즈를 만든 최초의 영국인 중 한 명은 윌리엄 호가스였다.Hogarth는 "Modern Moral Subjects"[7]에서 7개의 연속 이미지를 만들었습니다.그의 작품 중 하나인 "A Rake's Progress"는 여러 개의 캔버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 인쇄물로 복제되었고, 8개의 판화가 함께 이야기를 만들어냈다.인쇄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산업 혁명의 기술적 진보로 잡지나 신문이 생겨났다.이 출판물들은 1842년 이후 "만화"로 알려지게 된 삽화와 같은 정치적, 사회적 이슈에 대한 논평 수단으로 삽화를 이용하기도 했다.

프란시스 바로우의 호리드 헬리쉬 포피쉬 플롯의 진실된 이야기 (1682년 경), 레무엘 걸리버의 처벌윌리엄 호가스 레이크의 진행 (1726년)과 같은 이 시기의 작품들은 19세기까지 수많은 이미지들에 대한 이야기를 확립하는 것을 볼 수 있다.연재만화에 결정적으로 그려넣을거야.

말풍선은 또한 중세 필락터의 기원에서 수세기에 걸쳐 진화했는데, 이것은 보통 두루마리 형태의 라벨로, 이름을 짓거나 그들의 목적을 설명하기 위해 짧은 텍스트를 사용하여 인물을 식별했다.조지 크루익상크와 같은 예술가들은 비록 이 당시에는 여전히 라벨로 불렸지만, 이러한 필락터두루마리보다는 풍선으로 성문화하는 것을 도왔다.그들은 이제 서사를 표현하지만 작품 내에서의 대화보다는 식별을 위한 목적으로 표현되었고, 예술가들은 곧 패널 아래에서 대화를 진행하기 위해 그것들을 버렸다.스피치 풍선은 리처드 F가 등장할 까지 그 형태에 다시 도입되지 않았다. 아웃코트[8]대화에 그들을 이용했다.

폼 확립

로돌페 토퍼의 한 페이지. 그의 작품은 만화 형태를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진다.

1826년에 발행된 글래스고 룩잉 글라스는 거의 틀림없이 최초의 만화 잡지였다.나중에 The Northern Looking Glass로 알려진 풍자 출판물은 [9][10][11]그 시대의 패션과 정치를 풍자했다.그것은 현대 만화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요소들을 가지고 있었는데, 여기에는 종종 연재되는 연속적인 이야기를 보여주는 캡션이 있는 그림, 그리고 말풍선, 풍자,[12] 캐리커처의 사용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스위스 프랑스어 화가인 로돌페 토퍼는 19세기 초의 주요 인물이었다.19세기 중엽 말풍선이 인기를 잃었지만, Töpffer의 연속적인 삽화가 담긴 이야기들은 아래 이미지로 구분되어 유럽과 미국 전역에서 전재되었다.당시 저작권법의 부족해적판이 급증했다는 것을 의미했고, 번역본은 양 대륙에서 비슷한 [13]작품을 위한 시장을 만들었다.

1843년, Töpffer는 그의 관상학 에세이에서 그림 이야기에 대한 그의 생각을 공식화했다: "그림 이야기를 짓는다는 것은 당신이 장인으로 자신을 세워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당신의 재료로부터, 종종 쓰레기까지 모든 가능성을 끌어내기 위해서!그것은 단지 연필로 경박한 그림을 구상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또한 그것은 단순히 속담을 극화하거나 말장난하는 것이 아니다.당신은 실제로 어떤 놀이를 발명해야 합니다.여기서 부품들은 계획에 따라 배열되어 만족스러운 전체를 형성해야 합니다.당신은 단지 농담을 쓰거나 커플링에 후렴구를 넣는 것이 아니다.당신은 책을 만듭니다.좋든 나쁘든, 냉정하든 어리석든, 미쳤든, 건전한 [14][15][16]의미입니다."

Ali Sloper(1867)가 등장하는, 삽화가 들어간 이야기대출과 할인의 수수께끼」의 패널.

1845년, 정기적으로 신문과 잡지에 실렸던 풍자 그림은 만화라는 이름을 얻었다.(미술에서 만화는 덧칠하는 연필이나 숯 스케치입니다.)1841년에 창간된 영국 잡지 펀치는 당시 만화 전시회 또는 준비 그림을 기획하고 있던 당대 의회를 풍자적으로 언급하면서 '유머러스 펜슬링'을 만화라고 언급했다.이 용법은 오늘날까지 [17]지속되면서 일반적인 용어가 되었다.유럽 대륙에서 만화를 실은 비슷한 잡지로는 Fliegende BlétterLe Charivari가 포함되었고,[18] 미국에서는 Judy와 Puck이 인기가 있었다.

1865년 독일 신문에서 빌헬름 부쉬막스와 모리츠를 출판했다.Busch는 순차 미술의 관습을 다듬었고, 그의 작품은 형식에서 중요한 영향을 끼쳤습니다,[19] Rudolph Dirks는 1897년에 The Katzenjammer Kids를 만든 스트립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대중을 대상으로 한 최초의 연재 만화

정규 캐릭터가 등장하는 첫 번째 주간 만화는 1867년 영국 유머잡지 주디(Judy)에 소개된 앨리 슬로퍼의 하프 홀리데이(Half Holiday)였다. H. Ross와 [20][21]그의 프랑스 아내 Emilie de Tessier가 그림을 그렸다.1884년 당시 매우 인기 있었던 이 캐릭터는 달지엘 브라더스에 의해 출판된 그의 만화 "앨리 슬로퍼의 하프 홀리데이"로 8페이지 길이로 타블로이드 크기로 흑백으로 인쇄되었다.그 잡지는 노동자 계층에게 매우 인기가 있었고 35만 [22]부까지 발행되었을지도 모른다.1890년, 두 개의 만화 잡지인 Comic Cuts와 Illustrated Chips가 영국 대중들에게 소개되었고, 영국 만화의 전통을 [23]연재 만화를 포함한 정기간행물로 확립하였다.

미국에서는 R.F. 아웃코트의 말풍선과 Hogan's Alley와 The Yellow Kid의 이미지를 조합한 작업은 비록 학계에서는 말풍선과 다중 이미지를 조합한 이전 작품들을 발견했지만 [24]만화의 형태와 관습을 확립한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하지만 아웃칼트 작품의 인기와 신문에서 스트립의 위치는 그 [25][26]형태의 원동력으로 인정받고 있다.

20세기와 대중매체

1920년대와 1930년대는 산업 내에서 더 큰 호황을 누렸다.영국의 만화 앤솔로지 시장은 더 댄디 베아노와 함께 청소년 유머를 통해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전환되었다.벨기에에서 Hergé만화 부록을 위해 The Adventures of Tintin 신문 연재를 만들었습니다; 이것은 성공적으로 제본된 앨범에 수집되었고 그러한 작품들을 위한 시장을 만들었습니다.미국에서는 같은 시기에 신문 연재물이 유머를 넘어 액션, 모험, 미스터리 연재물로 주제를 확장했다.이러한 자료의 수집은 1929년에 타블로이드판 크기로 출판된 신문 스트립의 전재물인 The Funies와 함께 시작되었다.

곧 그런 만화책 시장이 열렸고 1938년 출판사들은 원본 자료를 인쇄했다.슈퍼맨을 표지로 한 액션 코믹스 #1출시된 것은 이 시점이었다.캐릭터의 인기는 순식간에 슈퍼히어로를 미국 만화책을 대표하는 장르로 부각시켰다.이 장르는 1950년대에 인기를 잃었지만 1960년대부터 20세기 후반까지 그 형태를 다시 지배하게 되었다.

일러스트레이션의 오랜 전통을 가진 일본에서 만화는 큰 인기를 끌었다.만화라고 불리는 일본판은 제2차 세계대전 후 데즈카 오사무가 책 페이지 수를 수백 장으로 늘리고 당시의 디즈니 애니메이션에 크게 영향을 받아 영화 스타일을 발전시킨 것에 의해 확립되었다.일본 시장은 청소년 판타지부터 로맨스, 성인 판타지까지 다양한 장르의 작품으로 영역을 넓혔다.일본 만화는 일반적으로 수백 페이지 분량의 대형 앤솔러지로 출판되며, 이 이야기들은 오랫동안 애니메이션 영화로 각색되기 위한 소스로 사용되어 왔다.일본에서는 이러한 영화를 애니메이션이라고 부르고 있으며, 많은 크리에이터가 동시에 두 가지 형태로 작업하고 있기 때문에 두 가지 형태가 본질적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20세기 후반 동안 만화는 수집가들에게 매우 인기 있는 아이템이 되었고 1970년대부터 미국 만화 출판사들은 적극적으로 수집을 장려하고 만화 출판과 제작의 많은 부분을 수집가 커뮤니티에 직접 어필하도록 전환했다.

1972년에 글을 쓰면서, 에른스트 곰브리치 경은 Töpffer가 새로운 그림 언어를 발전시켰다고 느꼈는데, 그것은 청중들로 하여금 그들의 [27][page needed]상상력으로 공백을 메우도록 했다.

한 장르를 설명하는 형용사와 전체 매체를 가리키는 명사로서 코믹이라는 용어를 현대적으로 이중으로 사용하는 것은 혼란스럽고 오해의 소지가 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1960년대와 1970년대에, 지하 만화가들은 그들의 작품을 주류 신문 연재물이나 청소년 만화책과 구별하기 위해 철자 혼용어를 사용했다.그들의 작품은 성인 관객들을 위해 쓰여졌지만, 대개 희극적이기 때문에, "만화"라는 명칭은 여전히 적절했다.그래픽 소설이라는 용어는 1970년대 후반에 대중화되었는데, 적어도 20년 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이러한 [28]혼란으로부터 소재를 멀어지게 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1980년대 미국에서 만화장학금이 꽃을 피우기 시작하면서 앨런 무어와 프랭크 밀러가 주목할 만한 슈퍼히어로 작품을 제작하고 빌 워터슨의 캘빈앤홉스, 게리 라슨의 더 파사이드신디케이션되는 등 만화계의 인기가 되살아났다.[29]

웹툰1990년대 중반부터 인기를 끌었다.월드 와이드 웹이 시작된 이래로, 작가들은 저렴한 비용으로 인터넷에서 만화를 직접 출판할 수 있었다.Keenspot이나 Modern Tales와 같이 웹툰용으로 특별히 설계된 호스팅 프로바이더는 웹툰의 신디케이션 유형을 허용합니다.스콧 맥클라우드는 2000년 온라인 만화 제작자들이 디지털 공간을 수용하고 무한 캔버스와 같은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어떻게 미디어를 혁신할 수 있는지를 설명했습니다.2000년대 초반에는 독수리상, 아이스너상 등 존경받는 만화상 수상작들이 디지털 [30]만화에 대한 카테고리를 추가하기 시작하면서 웹툰이 더욱 번성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판펜첸(2003년), 세계 그림자극장, 아시아민속학, 제6권, 제1호(2003년), 25-64페이지
  2. ^ Orr, Inge C. (1974). "Puppet Theatre in Asia". Asian Folklore Studies. Nanzan University. 33 (1): 69–84. doi:10.2307/1177504. JSTOR 1177504.
  3. ^ Perry & Aldridge 1989, 페이지 11 오류: CITEREFerry Aldridge 도움말 McCloud 1993, 페이지 11-14 오류:: 1993 Sabin 1993, 페이지 13-14.
  4. ^ "Frans Hogenberg". lambiek.net. Retrieved 2021-04-22.
  5. ^ Scotin, Gérard. "Marriage à la Mode". Savannah College of Art and Desig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19, 2012. Retrieved Feb 4, 2013.
  6. ^ Baron, Bernard. "Marriage à la Mode Plate 2 (Early in the Morning)". Savannah College of Art and Desig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26, 2013. Retrieved Feb 4, 2013.
  7. ^ Duncan, Randy; Matthew J. Smith (2009). The Power of Comics: History, Form and Culture.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p. 20. ISBN 9780826429360.
  8. ^ Smolderen 2006.
  9. ^ Dennis Gifford (2013). Peter Hunt (ed.). International Companion Encyclopedia of Children's Literature. Routledge. pp. 239–241.
  10. ^ Robert Crawford (2013). On Glasgow and Edinburgh. Harvard University Press. p. 258.
  11. ^ "Have I got old news for you: Glasgow is home to world's oldest comic". Retrieved 2012-12-17.
  12. ^ "Did you know that the first ever comic book was created in Glasgow?".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12-27. Retrieved 2012-12-17.
  13. ^ 2003년식 맥주집
  14. ^ Weiss 번역자, E. 입력: The Comics,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링컨, 4페이지 (1969)
  15. ^ "Original French, extract". Amazon.fr. Retrieved 2012-06-17.
  16. ^ "Original French, extract". Lekti-ecriture.com. Retrieved 2012-06-17.
  17. ^ Varnum & Gibbons, 2001. 페이지 77-78
  18. ^ Gordon, Ian (2002). "Comics". St James Encyclopedia of pop culture (2002). Retrieved May 30, 2005.
  19. ^ "comic strip". The Columbia Encyclopedia, Sixth Edition. 200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28, 2005. Retrieved June 22, 2005.
  20. ^ Roger Sabin (2013). Adult Comics. Routledge. pp. 16–18.
  21. ^ Andrew Edgar, Peter Sedgwick, ed. (2007). Cultural Theory: The Key Concepts. Routledge. p. 54.
  22. ^ Lita Sorensen (2005). Bryan Talbot. The Rosen Publishing Group. pp. 15–18.
  23. ^ 사빈 1993, 페이지 17-21
  24. ^ 사빈 1993, 페이지 133-134.
  25. ^ Marschall, Richard(1989년 2월).'오유키드'코믹스 저널 127, 페이지 72-7
  26. ^ Walker, Brian (2004)만화: 1945년 이전.해리 N 에이브럼스 주식회사(미국)ISBN 978-0-8109-4970-6
  27. ^ 곰브리치 1972년
  28. ^ 버전 (2003-4)
  29. ^ Taylor, Laurie; Martin, Cathlena; & Houp, Trena (2004) "Introduction". ImageTexT Exhibit 1 (Fall 2004). Retrieved June 26, 2005.
  30. ^ Atchison, Lee (2008-01-07). "A Brief History of Webcomics – The Third Age of Webcomics, Part One". Sequential Tart.

인용된 작품

  • Beerbohm, Robert (2003). "The Adventures of Obadiah Oldbuck Part III". The Search For Töpffer In America. Retrieved 2012-07-23.
  • Gombrich, E.H. (1972). Art and illusion: A study in the psychology of pictorial representation. Phaidon Press. ISBN 0-691-01750-6.
  • Sabin, Roger (1993). Adult Comics: An Introduction. Routledge. ISBN 0-415-04419-7.
  • Smolderen, Thierry (Summer 2006). "Of Labels, Loops, and Bubbles: Solving the Historical Puzzle of the Speech Balloon". Comic Art (8): 9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