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텐(우주선)

Hiten (spacecraft)
히텐하고로모
Hiten.gif
히텐 우주선
이름MUSES-A (출시 전)
교환입니다.ISAS
COSPAR ID1990-007a Edit this at Wikidata
새캣20448
웹 사이트ISAS Hiten 페이지
미션 기간3년 2개월 17일
우주선 속성
발사 질량197.4 kg (435파운드)
임무 개시
발매일1990년 1월 24일 (UTC) 11:46 (1990-01-24T11:46Z)
로켓Mu-3S-II(5호)
발사장소우치노우라 우주 센터
임무 종료
붕괴일자1993년 4월 10일(UTC) 18:03:25.7(1993-04-10T18:03:25.7Z)
플라이바이 오브
가장 가까운 접근법1990년 3월 18일 20:04:09
거리16,472.4 km (10,235.5 mi)
궤도선
궤도 삽입1993년 2월 15일 13:33
궤도 파라미터
페리셀렌 고도6.52 달의 반지름
아포셀렌 고도29.42 달의 반지름
기울기34.7°
임팩터
영향일자1993년 4월 10일 18:03:25.7
영향 부위34°18ºS 55°36°E/34.3°S 55.6°E/ -34.3, 55.6

The Hiten spacecraft (ひてん, Japanese pronunciation: [çiteɴ]), given the English name Celestial Maiden[1] and known before launch as MUSES-A (Mu Space Engineering Spacecraft A), part of the MUSES Program, was built by the Institute of Space and Astronautical Science of Japan and launched on January 24, 1990.이것은 일본의 첫 탐사선이며, 1976년 소련의 루나 24호 이후 최초의 로봇 달 탐사선이며, 소련이나 [2]미국이 아닌 다른 나라에 의해 발사된 최초의 달 탐사선이다.그 우주선은 [3]불교에서 하늘을 나는 천체의 이름을 따서 붙여졌다.

히텐은 476,000km의 원점을 가진 매우 타원형의 지구 궤도에 배치될 예정이었고, 이 궤도는 달을 지나게 될 것이다.그러나, 이 주입은 델타-v 적자가 50m/s인 상태에서 이루어졌고, 그 결과 원점은 [4]290,000km에 불과했다.결함이 시정되어 탐사선은 임무를 계속 수행했다.

히텐은 첫 달에서 작은 궤도선인 하고로모(はomo (, 히텐의 깃털 맨틀에서 따온 이름)를 달 궤도에 쏘아 올렸다.하기로모호의 송신기가 고장나 지상 관측에 의해 감속로켓의 발화가 확인되었지만, 달 궤도에 성공적으로 진입했는지, 포착에 실패했는지, 태양중심 [5]궤도에 진입했는지의 여부는 결코 확인할 수 없었다.히텐은 8번째 스윙바이 후 1991년 3월 19일 11.0km/s로 태평양 상공 125.5km 상공에서 지구를 지나 비행하는 에어로브레이크 기술을 성공적으로 시연했다.대기 항력은 속도를 1.712m/s, 원점 고도는 8665km [6]낮췄다.이것은 심우주 [7]: 2 탐사선에 의한 최초의 공중 제동 기술이었다.1991년 3월 30일 9차 달 회전과 2차 공중제동 기동 이후, 탐사선의 1차 임무는 종료되었다.

달 궤도에 진입하는 첫 번째 탄도 포착

제트추진연구소의 에드워드 벨브루노와 제임스 밀러는 하기로모 궤도선의 고장을 듣고 소위 탄도포착궤도를 개발하여 달 궤도에 진입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임무를 구조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Belbruno는 저에너지 궤적을 수치적으로 모델링하는 작업을 해왔고 탐사선의 문제에 대해 들었다.그는 궤도 해결책을[8] 개발했고 1990년 6월 22일 일본 우주국에 요청하지 않은 제안서를 보냈다.그들은 호의적인 반응을 보였고 나중에 그 제안을 [9]실행했다.

Belbruno와 Miller가 히텐을 위해 개발한 궤도는 약한 안정성 경계 이론을 사용했으며, 우주선 [10]추진기로 달성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작은 타원형 스윙바이 궤도에 약간의 섭동만 필요로 했다.이 코스는 탐사선이 제로 델타-v(탄도 이동이라고 함)를 사용하여 임시 달 궤도로 포착되는 결과를 가져올 이지만, 호만 이동 [11]궤도의 경우 통상적인 3일이 아닌 5개월이 걸렸다.위성이 달 [4]궤도로 이동하기 위해 저에너지 전달을 사용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1991년 10월 2일, 히텐은 일시적으로 달 궤도에 올랐다.

그 후, 히텐은 L5 L 라그랑주 지점4 통과하는 루프 궤도에 진입하여 갇힌 먼지 입자(당시 관측된 코딜레프스키 구름)를 찾습니다.히텐에 대한 유일한 과학 장비는 뮌헨 먼지 계수기(MDC)였고, 배경 수치보다 상승한 것은 발견되지 않았다.1993년 2월 15일, 히텐은 영구적인 달 궤도에 진입하여 1993년 4월 10일 의도적으로 표면충돌할 때까지 남아있었다.°S 55.6°E / -34.3; 55.6, 분화구 스테비누스푸네리우스 [2][12]사이.궤도가 불안정하고 우주선이 달의 반대편에 충돌할 수 있었기 때문에,[13] 그것은 마지막 연료를 사용하여 충돌 위치를 달의 앞면으로 이동시켜 관측하기로 결정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Uesugi, K. T. (2003). "Space Engineering Spacecraft (MUSES) Program in ISAS Featuring Its Latest Mission 'HAYABUSA'".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ecent Advances in Space Technologies, 2003. pp. 464–471. doi:10.1109/RAST.2003.1303961. ISBN 0-7803-8142-4. S2CID 37293909.
  2. ^ a b "Hiten/Hagoromo". NASA. Retrieved May 29, 2019.
  3. ^ "Hiten".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Retrieved May 4, 2021.
  4. ^ a b "Hiten". NASA. Retrieved September 14, 2007.
  5. ^ "Hagoromo". NASA. Retrieved April 30, 2022.
  6. ^ "Muses A (Hiten)". space.skyrocket.de.
  7. ^ Asif A가 2008년 9월 25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한 "딥 스페이스 크로니클: 딥 스페이스와 행성 탐사 1958–2000년 연대기"입니다. 시디키, NASA의 항공우주사 24호 논문.
  8. ^ Foust, Jeff (March 6, 2006). "From chaos, a new order". The Space Review. Retrieved March 3, 2012.
  9. ^ Belbruno, Edward (2007). Fly me to the moon: an insider's guide to the new science of space travel.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978-0-691-12822-1.
  10. ^ Belbruno, Edward (2004). Capture Dynamics and Chaotic Motions in Celestial Mechanics: With Applications to the Construction of Low Energy Transfers.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224. ISBN 978-0-691-09480-9.
  11. ^ Frank, Adam (September 1994). "Gravity's Rim". Discover.
  12. ^ Hall, James A., III (September 19, 2015). Moons of the Solar System: From Giant Ganymede to Dainty Dactyl. Springer. p. 267. ISBN 9783319206363. Retrieved January 23, 2018.
  13. ^ Uesugi, K. (1996). "Results of the MUSES-A "HITEN" mission". Advances in Space Research. 18 (11): 69–72. doi:10.1016/0273-1177(96)00090-7. Retrieved December 17,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