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로프로센스팔리
Holoprosencephaly홀로프로센스팔리 | |
---|---|
![]() | |
배아 척추동물 뇌의 주요 분열을 나타낸 도표. | |
전문 | 의학유전학 |
홀로프로센스팔리(HPE)는 프로센스팔론(배아의 전뇌)이 두 개의 반구로 발전하지 못하는 두상성 질환이다. 보통 전뇌가 형성되고 인간의 임신 5주, 6주부터 얼굴이 발달하기 시작한다. 이 질환은 다른 종에서도 발생한다.
상태는 온화하거나 심각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는 생명에 맞지 않아 자궁에서 태아 사망에 이르게 된다.[1]
배아의 전뇌가 분열되어 양뇌 대뇌반구(뇌의 좌우 반구)가 형성되지 않을 때 얼굴 발달과 뇌 구조 및 기능에 하자가 발생한다.
덜 심각한 경우, 아기는 눈, 코, 윗입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정상 또는 거의 정상인 뇌 발달과 안면 기형을 가지고 태어난다.
징후 및 증상
홀로프로센스증의 증상은 경증(얼굴/장기 결함 없음, 음낭 또는 단 하나의 중심 근막)에서 보통에서 심각(사이클로피아)까지 다양하다.
홀로프로센스팔리에는 네 가지 분류가 있다.

- 뇌가 분리되지 않는 가장 심각한 형태인 알로바르 홀로프로센스증은 대개 코가 없고 눈이 하나의 중앙분리대 구조로 병합되는 등 심각한 얼굴 이상과 관련이 있다(사이클로피아 참조).
- 뇌의 반구가 어느 정도 분열되어 있는 반밀로바 홀로프로센스증은 그 질병의 중간 형태다.
- 분리된 뇌반구의 상당한 증거가 있는 로바 홀로프로센스증은 가장 덜 심각한 형태다. 일부 로바 홀로프로센스증의 경우 환자의 뇌는 거의 정상일 수 있다.
- 후전두엽과 두정엽이 제대로 분리되지 않고 로스트로 기저전뇌가 적절하게 분리되어 있는 홀로프로센스팔리(MIHV)의 중간대뇌변종인 싱텔렌스팔리(Syntelencephaly) 또는 중간대뇌변종인 MIHV; 이것은 HPE의 변종이 전혀 아닐 가능성이 있으나, 현재 이와 같이 분류되고 있다.[2]
- 말뭉치의 아게네시스(Agenesis of the corpus callosum), 말뭉치의 완전 또는 부분 부재가 있다. 뇌의 두 반구를 연결하는 백색 물질의 띠인 말뭉치가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못할 때, 전형적으로 임신 중에 발생한다. 그렇지 않으면 말뭉치를 형성할 섬유는 각 반구 내에서 종방향으로 되어 프로브스트 다발이라고 불리는 구조를 형성한다.
홀로프로센스팔리는 뇌와 얼굴의 결함 또는 기형의 스펙트럼으로 구성된다. 이 스펙트럼의 가장 심각한 끝에는 뇌의 심각한 기형, 너무 심한 기형이 포함되어 있어서 종종 유산이나 사산을 유발하는 경우가 있다. 스펙트럼의 다른 쪽 끝에는 눈, 코, 윗입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얼굴 결함과 정상 또는 거의 정상인 뇌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얼굴 결함을 가진 사람들이 있다. 발작과 지적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안면결함(또는 이상) 중 가장 심한 것은 사이클로피아(cyclopia)로, 일반적으로 코의 뿌리가 점유하고 있는 부위에 단일눈이 발달해 있는 것이 특징이며, 눈 위쪽에 위치한 주근(관절부착) 형태의 코나 코가 없어진 것이다. 이 질환은 사이클로체팔리증 또는 시노프탈리아라고도 하며 매우 드물다.
원인들
HPE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중추신경계(CNS) 발달에 관여하는 SHI 단백질을 인코딩하는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홀로프로센스증을 유발할 수 있다.[3][4][5] 다른 경우에는 전혀 특별한 원인이 없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가 많다.[6]
유전학
아르망 마리 로리는 사이클로피아의 원인을 배아 뇌가 둘로 나뉘는 과정 중 유전적 오작동이라고 설명한다.[7] 나중에야 시각피질이 알아볼 수 있는 형태를 띠게 되고, 이 시점에서 전뇌 부위가 하나 있는 개인은 아마도 다소 큰 하나의 눈을 갖게 될 것이다(그러한 시기에, 분리된 대뇌반구를 가진 개인은 두 개의 눈을 형성하게 된다).
팍스-2와 같은 유전자의 발현 증가와 노토코드로부터의 팍스-6의 억제는 세팔릭 중간선 구조의 정상적인 분화에 관련되어 있다. 이러한 유전자의 부적절한 표현은 경미하거나 심각한 형태의 홀로프로센스를 유발할 수 있다.[citation needed] 다른 후보 유전자는 SHI(홀로프로센스phaly type 3 a.k.a. HPE3), TGIF, ZIC2, SIX3[8], BOC 유전자를 포함하여 발견되었다.[9]
홀로프로센스증후군(holoprosencephaly)을 가진 많은 어린이들이 정상적인 염색체를 가지고 있지만, 일부 환자들에서는 특정한 염색체 이상이 확인되었다(파타우 증후군이라고도 한다). 일부 가정에서는 HPE가 유전된다는 증거가 있다(자체 지배적 뿐만 아니라 자가 지배적 또는 X-연계 열성 상속).[10][11][12] 질병의 가족 전염과 일치하는 특징(예: 단일 중앙 맥세관 근위축)은 부모와 가족 구성원에서 신중하게 평가해야 한다.[13]
비유전인자
임신성 당뇨, 이식성 감염("토치 복합체"), 첫 3회 출혈, 유산 이력 등 수많은 가능한 위험 요인이 확인되었다.[6][14] 또한, 이 장애는 여자 아기들에게서 두 배 더 자주 발견된다.[14] 그러나 HPE와 산모 나이 사이에는 아무런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14]
HPE와 임산부와 수유 중인 산모에게 잠재적으로 안전하지 않은 것으로 분류된 다양한 약물의 사용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다는 증거가 있다. 여기에는 인슐린, 피임약, 아스피린, 리튬, 토라진, 레티노산, 항경련제가 포함된다.[14] 또한 알코올 소비와 HPE 사이에는 니코틴, 담배의 독소, 임신 중 사용 시 담배 연기 속의 독소 등이 연관되어 있다.[14]
예후
HPE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뇌가 악화되는 상태가 아니다. 심각한 발작 장애, 자율 기능 장애, 복잡한 내분비 장애 및 기타 생명을 위협하는 조건들이 HPE와 가끔 연관되어 있을 수 있지만, HPE가 존재한다고 해서 이러한 심각한 문제들이 이전의 어떠한 지시나 경고 없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생하거나 발전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이상들은 보통 출생 직후나 출생 초기에 인식되며, 그러한 기능을 제어하는 뇌의 영역이 융합되거나 기형적이거나 없는 경우에만 발생한다.
예후는 있을 수 있는 다른 건강상의 합병증뿐만 아니라 뇌의 융합과 기형의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더 심각한 형태의 뇌병증은 보통 치명적이다. 이 장애는 일련의 결함, 기형 및 관련 이상들로 구성된다. 장애는 뇌가 영향을 받는 정도에 근거한다. 적당한 정도에서 심각한 결함은 지적 장애, 경미한 4중력 장애, 무신론 운동, 내분비 장애, 간질 및 기타 심각한 상태를 야기할 수 있다. 가벼운 뇌 결함은 운동 장애가 거의 없는 학습이나 행동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발작은 2세 이전과 사춘기가 시작되기 전에 가장 높은 위험과 함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병할 수 있다. 대부분은 한 가지 약물이나 복합 약물로 관리된다. 일반적으로 조절이 어려운 발작은 출생 직후에 나타나기 때문에 보다 적극적인 약물 조합/ 투여가 필요하다.
HPE에 걸린 대부분의 어린이들은 당뇨나트륨혈증 진단을 받지 않았더라도 중증의 질병 동안 혈중 나트륨 수치가 상승할 위험이 있으며, 이것은 수분의 섭취/출력을 변화시킨다.
참고 항목
참조
- ^ "Holoprosencephaly Information Page National Institute of Neurological Disorders and Stroke". www.ninds.nih.gov.
- ^ Totori-Donati P, Rossi A, Biancheri R (2005). "Brain Malformations". In Totori-Donati P, Rossi A, Raybaud C (eds.). Pediatric Neuroradiology: Brain, Head, Neck and Spine. Vol. 1. Springer. pp. 92–95. ISBN 978-3-540-41077-5.
- ^ Chiang C, Litingtung Y, Lee E, Young KE, Corden JL, Westphal H, Beachy PA (October 1996). "Cyclopia and defective axial patterning in mice lacking Sonic hedgehog gene function". Nature. 383 (6599): 407–13. Bibcode:1996Natur.383..407C. doi:10.1038/383407a0. PMID 8837770. S2CID 4339131.
- ^ Muenke M, Beachy PA (June 2000). "Genetics of ventral forebrain development and holoprosencephaly". Current Opinion in Genetics & Development. 10 (3): 262–9. doi:10.1016/s0959-437x(00)00084-8. PMID 10826992.
- ^ Rash BG, Grove EA (October 2007). "Patterning the dorsal telencephalon: a role for sonic hedgehog?". The Journal of Neuroscience. 27 (43): 11595–603. doi:10.1523/jneurosci.3204-07.2007. PMC 6673221. PMID 17959802.
- ^ a b The Carter Centers for Brain Research in Holoprosencephaly and Related Malformations. "About Holoprosencephal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05-14.
- ^ 아르망 마리 레로이, 돌연변이들: 2003년 런던 하퍼 퍼니얼리 인체의 형태, 품종 및 오류에 관하여 ISBN 0-00-653164-4
- ^ [1] 및 [2] 웨이백 기계에 보관된 2008-11-21
- ^ Hong M, Srivastava K, Kim S, Allen BL, Leahy DJ, Hu P, Roessler E, Krauss RS, Muenke M(2017) BOC는 홀로프로센스팔리의 수식어 유전자다. 훔 무타트
- ^ Singh S, Tokhunts R, Baubet V, Goetz JA, Huang ZJ, Schilling NS, et al. (February 2009). "Sonic hedgehog mutations identified in holoprosencephaly patients can act in a dominant negative manner". Human Genetics. 125 (1): 95–103. doi:10.1007/s00439-008-0599-0. PMC 2692056. PMID 19057928.
- ^ Tekendo-Ngongang C, Muenke M, Kruszka P (1993). "Holoprosencephaly Overview". In Adam MP, Ardinger HH, Pagon RA, Wallace SE (eds.). GeneReviews®. Seattle (WA):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PMID 20301702. Retrieved 2020-09-01.
- ^ Nanni L, Ming JE, Bocian M, Steinhaus K, Bianchi DW, Die-Smulders C, et al. (December 1999). "The mutational spectrum of the sonic hedgehog gene in holoprosencephaly: SHH mutations cause a significant proportion of autosomal dominant holoprosencephaly". Human Molecular Genetics. 8 (13): 2479–88. doi:10.1093/hmg/8.13.2479. PMID 10556296.
- ^ Nanni L, Ming JE, Du Y, Hall RK, Aldred M, Bankier A, Muenke M (July 2001). "SHH mutation is associated with solitary median maxillary central incisor: a study of 13 patient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American Journal of Medical Genetics. 102 (1): 1–10. doi:10.1002/1096-8628(20010722)102:1<1::aid-ajmg1336>3.0.co;2-u. PMID 11471164.
- ^ a b c d e Croen LA, Shaw GM, Lammer EJ (February 2000). "Risk factors for cytogenetically normal holoprosencephaly in California: a population-based case-control study". American Journal of Medical Genetics. 90 (4): 320–5. doi:10.1002/(SICI)1096-8628(20000214)90:4<320::AID-AJMG11>3.0.CO;2-8. PMID 10710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