훔볼트 포럼

Humboldt Forum
훔볼트 포럼
Logo of Humboldt Forum
Berlin Palace
재건된 베를린 궁전의 훔볼트 포럼(2020년) 보기
확립된2020
위치독일 베를린 궁전
좌표52°31′03″N 13°24′10″E / 52.51750°N 13.40278°E / 52.51750; 13.40278좌표: 52°31′03″N 13°24′10″E / 52.51750°N 13.40278°E / 52.51750; 13.40278
유형미술관
컬렉션비유럽 예술
감독하르트무트 도르게로
건축가프랑코 스텔라
대중교통접근U: 뮤지엄신젤()Berlin U5.svg
웹사이트www.humboldtforum.org/en/

훔볼트 포럼(Humboldt Forum)은 베를린의 역사적 중심지에 있는 박물관 섬에 있는 비유럽 미술관이다. 프러시아 학자 빌헬름알렉산더 훔볼트를 기리기 위해 이름 붙여진 이 건물은 옛 왕궁의 세 개의 재건된 바로크 파사드, 슈뢰 강이 내려다보이는 현대적인 외관과 프랑코 스텔라가 디자인한 현대적인 인테리어를 결합한 것이다. 대영박물관의 '독일 등가'로 꼽히는 [1]훔볼트 포럼에는 주로 베를린 주립박물관의 비유럽 소장품, 임시 전시, 공공 행사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COVID-19 대유행으로 2020년[2] 12월 16일 디지털 방식으로 문을 열었고 2021년 7월 20일 일반인이 접근할 수 있게 됐다.

험볼트 포럼이 있는 베를린 궁전 단지는 독일의 프러시아 군국주의 역사를 과소평가하려는 시도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뉴욕타임스 건축평론가 마이클 킴멜만은 "가짜 바로크 궁전... 20세기 흉년의 흔적을 지우고 가짜로 제조된 매력을 지닌 옛 수도의 무대 세트"[3]라고 평가했다.

역사

훔볼트 포럼에는 베를린 민족학 박물관아시아 미술관이라는 두 개의 이전 박물관이 통합되어 있다. 둘 다 고대 프러시아 미술관에 뿌리를 두고 있었다. 고대 프러시아 미술실은 원래 16세기 중엽 브란덴부르크의 엘렉터인 요아힘 2세에 의해 설립되었으나, 30년 전쟁(1618–1648) 동안 거의 파괴되었다. 미술실은 브란덴부르크의 일렉트로르인 프레데릭 윌리엄에 의해 웅장한 소장품으로 재건되었고, 18세기 초 프로이센의 프레데릭 1세에 의해 새롭게 확장된 베를린 궁전으로 옮겨졌다. 민족학 박물관은 1886년 고대 프러시아 미술 회의실의 후신으로 개관하였다. 아시아 미술관은 1904년 민족학 박물관의 인도 부서에서 출발하였다. 베를린 왕립박물관 소장 빌헬름 보데는 1906년 별도의 소장품으로 동아시아 미술관을 설립했다. 2006년 인도미술관과 동아시아미술관이 통합되어 아시아미술관이 되었다.

2020년부터 민족학 박물관과 아시아 미술관은 둘 다 베를린 궁전에서 열리는 훔볼트 포럼의 일부분이다.[4] 2019년까지 포럼의 전체 비용은 총 7억 달러였다.[5] 당시, 그것은 유럽에서 가장 비싼 문화 프로젝트로 여겨졌다.[6] 당초 2019년 가을 개통이 계획됐다가 에어컨 등 기술적 문제로[5] 2020년으로 연기됐다.[7] 독일의 COVID-19 대유행으로 인해 폐쇄된 기간 동안 배달이 지연되고 노동자들이 이용할 수 없게 되면서 몇 달 더 지연되었다.[8][9] 2020년 4월 공사현장에서 타르 조리사 2명이 폭발해 근로자 1명이 다쳤다.[7]

빌딩

험볼트 포럼의 북쪽과 동쪽 전면.

험볼트 포럼은 재건된 베를린 궁전에 자리를 잡고 있다.[10][11] 초석은 요아힘 가우크 대통령이 2013년 6월 12일 기념식에서 세운 것이다.[12]

박물관

2020년 완공된 시티 팰리스에는 베를린 민족박물관, 아시아미술관 등 2개 식당을 비롯해 극장, 영화관, 강당 등이 들어섰다.[13] 이 프로젝트는 닐 맥그리거 창업감독이 위원장을 맡고 공동지휘자, 고고학자 헤르만 파징거, 미술사학자 호르스트 브레데캄프 등이 참여하는 3인 경영위원회가 주도한다. 베를린 궁전의 훔볼트 포럼 재단은 이 박물관을 만들기 위해 설립되었다.[14]

맥그리거는 대영박물관의 모델을 바탕으로 박물관의 입장료를 무료로 만들자고 제안했다.[15]

논란

이 박물관은 아프리카아시아에서 독일 식민지 제국에서 얻은 약탈 미술품과 다른 유물들을 소유했다는 논란에 휩싸였다.[16][17] 2018년에는 독일의 옛 식민지에서 온 문화유산의 합법성에 대한 논쟁의 중심에 서서, 베네딕테 사보이 같은 미술사학자들과 활동가들로부터 이 박물관이 그 입증된 것을 충분히 연구하지 못했고, 소장품에 민족적 사물을 비판적으로 제시하지 못했다고 주장하면서 항의를 받았다.[18][19]

갤러리

훔볼트 포럼에 표시된 하이라이트 이미지.

참고 항목

참조

  1. ^ "Neil MacGregor: 'Britain forgets its past. Germany confronts it'". the Guardian. April 17, 2016.
  2. ^ "Berlin's newest landmark is ready and waiting". Humboldt Forum.
  3. ^ Michael Kimmelman. "Rebuilding a Palace May Become a Grand Blunder". New York Times. Retrieved 2021-09-23.
  4. ^ "THE HUMBOLDT FORUM WILL OPEN IN PHASES BEGINNING IN SEPTEMBER 2020". Humboldt Forum. Retrieved 2019-07-03.
  5. ^ Jump up to: a b 토머스 로저스(2019년 6월 13일~) 베를린의 문제성 험볼트 포럼, 뉴욕 타임즈 오프닝 뒤로 밀다.
  6. ^ 베를린의 마이클 스캇투로(2015년 5월 18일)는 오랫동안 묵인식민지 잔학 행위를 다루기 위해 프러시아 궁전을 재건했다.
  7. ^ Jump up to: a b 크리스토퍼 F. 슈에체와 알렉스 마샬(2020년 4월 8일), 베를린 훔볼트 포럼의 폭발인해 뉴욕 타임즈에서 개장이 지연되었다.
  8. ^ 세계적인 유행병이 지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올해 문을 베를린 훔볼트 포럼 캐서린 히클리(2020년 6월 16일~)가 문을 열었다.
  9. ^ 캐서린 힉리(2020년 10월 7일), 베를린 훔볼트 포럼이 12월 <아트 신문>을 시작으로 단계적으로 문을 연다.
  10. ^ Scaturro, Michael. "Berlin's rebuilt Prussian palace to address long-ignored colonial atrocities". the Guardian. Retrieved 2015-10-30.
  11. ^ "So verlief das Richtfest am Berliner Schloss (Topping-out wreath ceremony at the Palace, German article)". Tagesspiegel. Retrieved 13 June 2015.
  12. ^ Harriet Alexander (12 Jun 2013). "Berlin begins reconstruction of King Frederick the Great's palace". The Telegraph. Retrieved 14 June 2013.
  13. ^ Hickley, Catherine. "Berlin Palace Rebuilding Begins 63 Years After Explosion". Bloomberg.com. Retrieved 2015-10-30.
  14. ^ Bowley, Graham (2018-10-12). "A New Museum Opens Old Wounds in Germany". Retrieved 2018-11-04.
  15. ^ "Neil MacGregor unveils plans for Berlin's ambitious Humboldt Forum".
  16. ^ "english No Humboldt 21" (in German). Retrieved 2020-12-31.
  17. ^ BBC (16 December 2020). "Humboldt Forum: Berlin museum opens despite criticism over looted art". BBC News.
  18. ^ "Black Lives Matter movement is speeding up repatriation efforts, leading French art historian says". www.theartnewspaper.com. Retrieved 2021-08-29.
  19. ^ 크리스토퍼 F. 슈에체(2019년 3월 15일), 독일 식민지 시대의 유물 송환 지침 뉴욕 타임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