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드 파크와 리젠트 파크의 폭탄 테러 사건

Hyde Park and Regent's Park bombings
하이드 파크와 리젠트 파크의 폭탄 테러 사건
문제의 일부
군인 4명과 말 7마리가 사망한 하이드파크 폭파사건의 여파
위치하이드 파크 앤 리젠츠 파크, 영국 런던
좌표
날짜.1982년 7월 20일 (1982-07-20)
오전 10:43 ~ 오후 12:55
대상영국군.
공격유형
폭탄 테러
죽음11 (하이드 파크 4개, 리젠트 파크 7개)
다친.최소 59명 부상(하이드파크 28명, 리젠츠파크 31명)
가해자임시 아일랜드 공화국군

하이드 파크와 리젠트 파크 폭탄 테러는 1982년 7월 20일 영국 런던에서 발생했습니다. 아일랜드 공화국군 임시부대원들이 런던 중심부 하이드 파크리젠츠 파크에서 열린 영국군 기념식에서 두 대의 즉석 폭발물을 터뜨렸습니다.

폭발로 11명의 군인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하이드 파크의 블루스 로열스의 4명의 군인과 리젠츠 파크의 로열 그린 재킷의 7명의 밴드맨. 블루스 앤 로열스의 말 7마리도 이 공격으로 목숨을 잃었습니다. 중상을 입은 한 마리의 말인 Sefton은 살아남았고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출연하여 "올해의 말" 상을 받았습니다.[2]

1987년 길버트 "대니" 맥네임은 하이드 파크 폭탄을 만든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25년 동안 수감되었습니다. 그는 성금요일 협정에 따라 석방되기 전까지 12년을 복역했습니다. 그의 유죄 판결은 나중에 기각되었습니다.[3] 2013년, IRA의 멤버 존 다우니는 하이드 파크 공격과 관련하여 4건의 살인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그의 재판은 2014년 1월에 시작되었지만, 그 다음 달에 북아일랜드 경찰국이 그에게 보낸 공격에 대해 기소되지 않을 것을 확언하는 편지에 대한 판결 후에 무너졌습니다. 2019년 12월 18일, 고등법원은 존 다우니가 폭탄 테러에 "적극적인 가담자"라고 민사 소송에서 판결했습니다.[4]

리젠트 공원 폭파 사건과 관련하여 기소된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3]

그 공격들은

하이드 파크 폭파

U-shaped hedge enclosure surrounding an oblong slate plaque on a wedge-shaped plinth, with flowers laid at the bottom
하이드 파크의 기념관
Oblong slate plaque with inscriptions in gold, set into a low wall
리젠츠 파크의 기념비

오전 10시 43분,[5] 하이드파크 사우스 캐리지 드라이브에 주차된 파란색 모리스 마리나의 부츠에서 손톱 폭탄이 터졌습니다.[6] 폭탄은 젤라이트 25파운드(11kg)와 못 30파운드(14kg)로 구성되었습니다.[6]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공식 경호 연대인 기병대 병사들이 지나가던 중 폭발했습니다. 그들은 나이츠브리지에 있는 그들의 막사에서 말 근위병 퍼레이드까지 매일의 '근위병 교대 행렬'에 참가하고 있었습니다.[7] 블루스 로열스의 세 명의 군인들이 즉시 목숨을 잃었고, 또 다른 한 명의 그들의 기수는 그의 상처로 3일 후에 죽었습니다.[6] 행렬에 있던 다른 군인들은 심하게 다쳤고, 다수의 민간인들이 다쳤습니다.[6] 연대의 말들 중 7마리도 부상 때문에 죽거나 안락사 되어야 했습니다.[6][8] 폭발물 전문가들은 하이드파크 폭탄이 공원 안에서 IRA 대원에 의해 원격으로 촉발된 것으로 믿고 있습니다.[6][8]

리젠트 공원 폭파 사건

두 번째 공격은 12시 55분에 리젠트 공원가판대 아래에서 폭탄이 터졌습니다.[5][3] 제1대대대30명의 군악대원들이 120명의 군중들에게 올리버의 음악을 연주하고 있었습니다.[8][3]

그것은 그곳에서 일련의 광고된 점심 시간 콘서트 중 첫 번째였습니다.[3] 6명의 악단원이 사망하고 나머지는 부상당했으며, 7명은 8월 1일 부상으로 사망했습니다. 최소 8명의 민간인들도 부상을 입었습니다.[3] 폭탄은 얼마 전부터 스탠드 밑에 숨겨져 있었고 타이머에 의해 작동되었습니다.[8] 하이드파크 폭탄과 달리 못이 들어있지 않았고, 구경꾼들에게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설계된 것으로 보입니다.[3]

후폭풍

폭발로 최소 51명이 다쳤고,[5] 군인 18명, 경찰관 1명, 민간인 3명 등 모두 22명이 병원에 입원했습니다.[6] IRA는 영국이 포클랜드 전쟁에 참전하기 몇 달 전 마거릿 대처 총리가 "아일랜드 국민은 어떤 과업이나 직업군도 내려놓지 못하는 주권과 국가적 권리를 가지고 있다"고 선언한 말을 의도적으로 반영해 이번 공격이 자신들의 소행이라고 주장했습니다.[3] 대처 총리는 "이런 냉담하고 비겁한 범죄들은 민주주의를 전혀 모르는 사악하고 잔인한 사람들에 의해 자행되었습니다. 우리는 그들이 법의 심판을 받을 때까지 쉬지 않을 것입니다."[9]

이 폭탄 테러는 아일랜드 공화주의를 위한 미국 내 대중의 지지를 약화시켰습니다.[3] CIAFBI는 반(反) IRA 활동을 강화했고, 여론조사 결과 미국에서는 특히 IRA에 대한 동정심과 아일랜드의 재통일이 급감했습니다. 아일랜드의 총독 찰스 하우지는 "이러한 비인간적인 범죄에 책임이 있는 사람들은 아일랜드의 좋은 이름과 아일랜드의 통합의 대의에 회복할 수 없는 손상을 입힙니다."[10]라고 말했습니다.

하이드 파크에서의 공격에서 심각한 상처를 입었음에도 불구하고 살아남은 말인 Sefton은 많은 텔레비전 쇼에 출연한 후 유명해졌고 올해의 말 상을 받았습니다.[2] 폭격 당시 세프턴의 탑승자인 마이클 페데르센은 살아남았지만 의사에게 외상 스트레스 장애를 앓고 있다고 말했고, 아내와 헤어진 후 2012년 9월 두 자녀를 흉기로 찔러 살해한 후 자살했습니다.[11]

하이드 파크 폭파 현장을 기념하는 기념비가 있습니다. 그리고 부대는 매일 왼쪽 눈으로 기념하고 칼을 뽑은 채 경례합니다.[12] 리젠트 공원에는 두 번째 공격의 희생자를 기념하는 명패가 서 있습니다.[13]

이 사건은 1983년 핑크 플로이드의 곡 〈The Gunner's Dream〉(앨범 The Final Cut)에서 언급되었는데, 이 곡은 죽어가는 RAF 사수가 "매니악스가 리모콘으로 밴드맨에게 구멍을 내지 않는 세상"을 꿈꾸는 것입니다.

형사소송절차

1987년 10월, 아마그 카운티 출신의 27세의 길버트 "대니" 맥네임은 하이드 파크 폭파 사건과 다른 사건들에 대한 그의 역할로 올드 베일리에서 25년형을 선고 받았습니다. 1998년 12월, 메이즈 교도소에서 '성금요일 합의'에 따라 풀려난 직후, 항소법원 판사 3명은 다른 폭탄 제조자들이 연루된 지문 증거를 보류했기 때문에 "안전하지 않다"고 그의 유죄 판결을 기각했습니다. 그들은 유죄 판결이 안전하지는 않지만 맥나미가 반드시 무죄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말했습니다.[14]

2013년 5월 19일, 도네갈 카운티 출신의 61세 존 앤서니 다우니(John Anthony Downey)는 하이드 파크 폭탄과 관련하여 살인 혐의로 기소되었으며 생명을 위험에 빠뜨릴 수 있는 폭발을 일으키려고 의도했습니다. 그는 지난 5월 24일 올드 베일리에서 열린 보석 심리를 위해 벨마쉬 교도소에서 비디오링크로 출두해 보석 신청을 하지 않아 구류 상태로 재소환됐습니다.[15] 2013년 8월 1일 청문회에서 다우니는 조건부 보석을 허가받았고 2014년 1월에 재판이 예정되어 있었습니다.[16]

2014년 1월 24일, 다우니는 올드 베일리에 출석하여 4건의 살인 혐의와 폭발을 의도한 혐의에 대해 무죄를 주장했습니다.[17] 2014년 2월 25일, 재판장이 2007년 북아일랜드 경찰청이 다우니에게 보낸 편지에 대해 판결을 내린 후 다우니의 재판이 무너졌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비록 그 보증이 착오로 이루어졌고 경찰이 그 실수를 깨달았지만, 그것은 결코 철회되지 않았고, 판사는 따라서 피고인이 오도되어 그를 기소하는 것은 집행권 남용에 해당한다고 판결했습니다.[18] 다우니는 IRA 용의자 187명 중 한 명으로 비공식적인 기소 면제를 보장하는 비밀 편지를 받은 사람입니다.[18][19] 2019년 12월 고등법원은 피해자 가족이 다우니를 상대로 낸 민사소송에서 그가 하이드파크 폭격에 "적극적인 가담자"였다고 판결해 손해배상 청구의 대상이 됐습니다.[20]

참고문헌

  1. ^ "Terrorist Incidents". Hansard: parliamentary debates. © UK Parliament. 4 March 1996. Retrieved 21 July 2023.
  2. ^ a b "Sefton, Battle of a War Horse". Horse Show Centra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October 2009. Retrieved 25 January 2014.
  3. ^ a b c d e f g h i 분필, 피터. 테러 백과사전. ABC-CLIO, 2012. pp.614–615. ISBN 0313308950
  4. ^ "John Downey 'active participant' in Hyde Park bombing". BBC News. 18 December 2019. Retrieved 31 May 2021.
  5. ^ a b c Pallister, David (21 July 1982). "IRA terror bombs kill eight soldiers in London parks". The Guardian. London. Retrieved 19 July 2019.
  6. ^ a b c d e f g 맥키트릭, 데이비드. 잃어버린 생명: 북아일랜드 분쟁의 결과로 사망한 남자, 여자, 아이들의 이야기. Random House, 2001. pp.908–909
  7. ^ 2006. ASIN 140505574X.
  8. ^ a b c d "1982: IRA bombs cause carnage in London". BBC News. 20 July 1982. Retrieved 25 January 2014.
  9. ^ Rattner, Steven (21 July 1982). "I.R.A. Bomb Attacks in London Kill 8". The New York Times. ISSN 0362-4331. Retrieved 18 December 2019.
  10. ^ Rattner, Steven (21 July 1982). "I.R.A. Bomb attacks in London kill 8". The New York Times.
  11. ^ "Pedersen deaths: Father killed children and himself". BBC News. 5 December 2012. Retrieved 25 January 2014.
  12. ^ "Hyde Park bomb". London Remembers. Retrieved 25 December 2019.
  13. ^ "Memorials, fountains and statues". The Royal Parks. Retrieved 20 December 2019.
  14. ^ "Man wins IRA bomb appeal". BBC News. 17 December 1998. Retrieved 25 January 2014.
  15. ^ "John Anthony Downey charged over 1982 Hyde Park bombings". BBC News. 22 May 2013. Retrieved 25 January 2014.
  16. ^ "IRA Hyde Park bomb: John Downey granted bail". BBC News. 1 August 2013. Retrieved 25 January 2014.
  17. ^ "IRA Hyde Park bomb: John Downey denies murder". BBC News. 24 January 2014. Retrieved 25 January 2014.
  18. ^ a b "Alleged IRA Hyde Park bomber goes free after 'no trial' guarantee". BBC News. 25 February 2014.
  19. ^ "Peter Robinson quit threat over IRA Hyde Park bomb case". BBC News. 26 February 2014. Retrieved 29 April 2014.
  20. ^ "John Downey 'active participant' in Hyde Park bombing". BBC News. 18 December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