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외선 장미
Infrared Roses적외선 장미 | ||||
---|---|---|---|---|
![]() | ||||
라이브 앨범 기준 | ||||
방출된 | 1991년 11월 1일 | |||
장르. | 사이키델릭 록, 잼, 전자제품 | |||
길이 | 58:18 | |||
라벨 | 그레이트풀 데드 | |||
프로듀서 | 밥 브랄로브 | |||
감사하는 죽음 연대기 | ||||
|
점수 검토 | |
---|---|
출처 | 순위 |
올뮤직 | ![]() ![]() ![]() ![]() ![]() |
적외선 장미는 감사하는 데드의 라이브 컴파일 앨범이다.그것은 그들의 유명한 즉흥적인 부분인 "드럼"과 "스페이스"를 합친 것이다.
감사하는 죽음 콘서트의 두 번째 세트 중간쯤에는 보통 5분에서 15분 정도, 때로는 더 긴 음악 즉흥 연주 기간이 있었다.공연의 이 부분은 흔히 "스페이스"라고 부르는데, 드럼 솔로나 듀엣 직후에 나온 것이다.적외선 장미는 이러한 공연들을 편집한 것이다.이번 발매에서는 밴드 레퍼토리에서 알아볼 수 있는 곡은 없다(리버사이드 랩소디의 시작에 '존스 아저씨 밴드'의 테마가 등장하지만, '인프라드 로즈'는 밴드가 '기적이 필요해'를 연주하기 시작하고, '마그네슘 나이트 라이트'는 '다크스타'의 오프닝 테마를 인용한 것이 포함되어 있다.감사하는 죽음과 함께 작사가인 로버트 헌터는 앨범의 트랙 이름을 만들었다.앨범 표지는 당시 디지털 아트를 창작하던 제리 가르시아가 맡았다.
적외선 장미의 음악은 18분짜리 감사 영상 적외선 목격의 사운드 트랙으로 사용되었다.
트랙리스트
음악가들은 각 트랙에 출연 순서대로 나열했다.
- "크라운 조각상"(브랄로브) – 2:21
- 데드헤드
- "병렬로그램"(Hart, Kreutzmann) – 5:06
- Bill Kreutzmann - 트랩 드럼 왼쪽, 미키 하트 - 트랩 드럼 오른쪽
- 미키 하트 - 비스트(대북) 및 빔
- 빌 크루츠만 - 팀발레스
- "나이트랜드의 작은 네모"(브랄로브, 가르시아, 레쉬, 위어) – 6:16
- 밥 위어 - 기타
- 제리 가르시아 - 기타
- 필 레쉬 - 베이스
- "리버사이드 랩소디"(Garcia, Heart, Kreutzmann, Lesh, Mydland, Weir) – 3:55
- 제리 가르시아 - 기타
- 밥 위어 - 기타
- 필 레쉬 - 베이스
- Brent Mydland - 키보드
- Bill Kreutzmann - 드럼
- 미키 하트 - 드럼 및 전자 타악기
- "Post-Modern Highlies Table Top Stormp"(Garcia, Green, Heart, Kreutzmann, Lesh, Mydland, Weir) – 4:23
- 스테레오 좌측 ← 스테레오 센터 ↓ 스테레오 우측→
- 윌리 그린 3세 - 킥 올가미 모자 ↓
- 빌 크뢰츠만 - 로토 톰스 ←
- 미키 하트 - 말하는 북 →
- Jerry Garcia - 전자 타악기 (Cow Bells, Shakaker, 드럼) ↓,→
- 밥 위어 - 미디 기타:마림바 ←, ↓
- 필 레쉬 - 베이스 ↓
- 브렌트 미들랜드 - 미디 키보드(래틀, 셰이커, 톰스) ↓
- "Infrared Roses"(브랄로브, 가르시아, 레쉬, 미들랜드, 위어) – 5:36
- Brent Mydland - Keys and Synth("Outerspace FX", Voice, Piano)
- Phil Lesh - Bass 및 Synth(트롬본, FilterSweeps, French Horn, String, Bells)
- Bob Weir - 기타 및 신스(Bells, Glockenspiel, Vibes)
- 제리 가르시아 - 기타와 신스(트럼펫, 만돌린, 목소리, 현)
- "달의 은사과"(Hornsby, Welnick) – 5:41
- 브루스 혼스비 - 피아노 및 신스(스트링, 진동)
- 빈스 웰닉 - 신스(목소리, 현, 래틀, 오르간, 벨)
- "Speaking in Swords"(브랄로브, 하트, 크로이츠만) – 3:29
- 미키 하트 - 빔과 전자 타악기
- Bill Kreutzmann - 전자 타악기
- "Magnesium Night Light" (Garcia, Lesh, Mydland, Weir) – 5:28
- 제리 가르시아 - 기타와 신스(트럼펫, 스트링스)
- Bob Weir - 기타 및 신스(벨, 마림바, 바이브스, Vibes)
- Phil Lesh - Bass 및 Synths(Bass Fuzz, 필터 스윕, 벨)
- Brent Mydland - 키 및 신스(FX, 피아노, 전기 피아노)
- "스파로 호크 로우"(브랄로브, 가르시아, 힐리, 하트, 크뢰츠만, 레쉬, 미들랜드, 위어) – 3:23
- Dan Haly - 처리
그리고 특별한 순서는 없다. - 제리 가르시아 - 기타
- 밥 위어 - 기타
- 필 레쉬 - 베이스
- Brent Mydland - 키
- 미키 하트 & 빌 크뢰츠만 - 드럼
- Dan Haly - 처리
- "9가지 슬픔의 강"(브랄로브, 하트, 크루츠만) – 4:25
- 미키 하트 - 전자식 타악기, 신스(버드 휘슬, 목판, 로그 드럼)
- Bill Kreutzmann - 드럼, 전자 타악기, 신스(Kongs, Congas, Woodblock, Electronic Toms)
- Bob Bralove - 드럼 머신 시퀀싱
- "아폴로 앳 더 리츠"(Garcia, Hart, Kreutzmann, Lesh, Marsalis, Mydland, Weir) – 8:15
- Jerry Garcia - 기타 및 신스(Church Bell, Flut, Double Reed 등)
- Phil Lesh - Bass 및 Synths (Bass Flut)
- 브랜포드 마르살리스 - 테너와 소프라노 색스
- 밥 위어 - 기타 및 신스(트럼펫 섹션)
- Brent Mydland - 키
- 미키 하트 & 빌 크뢰츠만 - 드럼
인원
그레이트풀 데드
- 제리 가르시아 – 드럼, 기타, 신디사이저
- Bob Weir – 기타, 마림바, 신시사이저
- Phil Lesh – 베이스 기타, 신디사이저
- Brent Mydland – 키보드, 래틀, 신디사이저, 톰-톰
- 빈스 웰닉 – 신시사이저
- 브루스 혼스비 – 피아노, 키보드
- Bill Kreutzmann – 드럼
- 미키 하트 – 드럼
추가 음악가
- "크라운 조각상"의 막다른 골목
- 윌리 그린 III – "포스트 모던 하이라이즈 테이블 상단 스텀프"에 킥, 덫, 모자
- Dan Haly – "Sparrow Haw"에 대한 처리
- 밥 브랄로브 – "나인 슬픔의 강"의 드럼 머신
- Branford Marsalis – "Apollo At The Ritz"의 색소폰
생산
- 밥 브랄로브 제작
- 믹싱 엔지니어: 제프리 노먼
- 멀티 트랙 레코딩 엔지니어: 존 커틀러
- 2트랙 녹음: 댄 힐리, 밥 브랄로브
- 디지털 마스터링: Joe Gastwirt
- 신디사이저 프로그래밍: 밥 브랄로브
- 커버 아트: 제리 가르시아
- 아트 방향:에이미 F.
날짜 기록
비록 이 앨범에 사용된 편집 기술로 인해 사용된 모든 콘서트의 신원을 확인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지만, 몇몇 날짜는 확인할 수 있다.일부 트랙은 목록에 있는 것 외에 다른 콘서트의 자료를 포함할 수 있다.
- 1989년 7월 7일 JFK 스타디움에서 녹음된 "병렬문자"
- 1989년 7월 10일 자이언츠 스타디움에서 녹음된 "리버사이드 랩소디"
- 1989년 12월 28일 오클랜드 콜로세움에서 녹음된 「포스트 모던 하이라이즈 테이블 탑 스텀프」
- 1990년 3월 30일 나소콜리세움에서 녹음한 「적외 장미」(1990년 봄 완결 쇼)
- 1989년 10월 9일 햄프턴 콜리세움에서 녹음한 「마그네슘 나이트 라이트」(이후 《이전 더 워록》에서 발매된 완결 쇼.비디오 백스테이지 패스)에도 사용됨
- 1990년 3월 29일 나소 콜리세움에서 녹음한 「나인슬픔의 강」과 「리츠에서 아폴로 앳 더 리츠」(나중에 웨이크업으로 발매된 완전 쇼)
참조
- ^ Planer, Lindsay. "Infrared Roses". AllMusic. Retrieved September 30,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