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s a goo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정맥 요법

Intravenous therapy
정맥 요법
Photo of a person being administered fluid through an intravenous line or cannula in the arm
정맥주사(캐뉼라)를 통해 약물을 투여받는 사람
기타 이름링거 치료, 링거 치료
ICD-9-CM38.93

정맥내 요법(약칭 IV요법)은 체액, 약, 영양분을 사람의 정맥에 직접 투여하는 의학 기법이다.정맥주사 투여 경로는 정신 상태가 저하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입으로 음식이나 물을 섭취할 수 없거나 그렇지 않은 사람에게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또한 전해질 불균형을 교정하기 위해 약품이나 혈액제제나 전해질 같은 다른 치료에도 사용될 수 있다.정맥 요법을 제공하려는 시도는 1400년대부터 기록되어 왔으나, 안전하고 효과적인 사용을 위한 기법이 개발된 후 1900년대에 이르러서야 그 실천이 널리 퍼졌다.

정맥주사는 순환계에 직접 투입돼 빠르게 분포하는 만큼 약물과 수액교체를 몸 전체에 전달하는 가장 빠른 방법이다.이러한 이유로, 정맥 투여 경로는 일부 레크리에이션 약물의 소비에도 사용된다.많은 치료법이 '볼루스'나 일회용량으로 투여되지만, 장기 주입이나 투약으로도 투여될 수 있다.정맥으로 치료를 시행하거나 나중에 사용하기 위해 정맥주사("IV 라인")를 배치하는 행위는 숙련된 전문가만이 수행해야 하는 절차다.가장 기본적인 정맥 접근은 바늘이 피부를 뚫고 주사기나 외부 튜브에 연결된 정맥으로 들어가는 것이다.이것은 원하는 치료를 하기 위해 사용된다.환자가 단기간에 이러한 중재를 많이 받을 가능성이 있는 경우(결과적으로 정맥에 외상의 위험이 있는 경우), 한쪽 끝이 정맥에 남는 캐뉼러를 삽입하는 것이 정상적 실천이며, 이후 다른 쪽 끝에는 튜브를 통해 쉽게 치료할 수 있다.동일한 IV라인을 통해 여러 가지 약물이나 치료법을 투여하는 경우도 있다.

IV 선은 심장에 가까운 큰 정맥으로 끝나는 경우 "중심선"으로 분류되며, 출력이 팔과 같이 변방의 작은 정맥에 이르는 경우 "주변선"으로 분류된다.IV 선은 말초 정맥을 통해 심장 부근으로 끝날 수 있으며, 이를 "주변으로 삽입된 중심 카테터" 또는 PICC 선이라고 한다.장기정맥 요법이 필요할 것 같으면 반복적으로 정맥을 뚫지 않고도 쉽게 반복적으로 정맥에 접근할 수 있도록 의료용 포트를 이식할 수 있다.카테터를 가슴을 통해 중심정맥에 삽입할 수도 있는데, 이를 터널링선이라고 한다.사용되는 카테터의 특정 유형과 삽입 부위는 투여하고자 하는 물질과 원하는 삽입 부위의 정맥의 건강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링거 라인을 배치하면 반드시 피부를 뚫어야 하기 때문에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감염과 염증(말형 프레비티)도 IV 라인의 흔한 부작용이다.정맥 접근에 동일한 정맥이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플레비티스는 더 가능성이 있으며, 결국 IV 접근에 부적합한 하드 코드로 발전할 수 있다.정맥 바깥에서 의도치 않게 치료제를 투여하는 것은 다른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사용하다

의학적 용법

Photograph of an intravenous line inserted in the wrist.
Photograph of two intravenous solution bags hanging from a pole.
Left : 손목의 정맥 라인을 통해 수분을 공급받는 사람.오른쪽: IV 라인에 연결된 폴의 IV 백

정맥주사(IV) 접근은 특히 빠른 분배를 원할 때 몸 전체에 분포해야 하는 약물 및 수액 교체를 시행하기 위해 사용된다.IV 투여의 또 다른 용도는 에서 1차 통과 신진대사를 피하는 것이다.정맥내 주입될 수 있는 물질에는 볼륨 확장기, 혈액 기반 제품, 혈액 대체제, 약물 및 영양소가 포함된다.

유체 용액

유체는 정맥 경로를 통해 "볼륨 확장" 또는 유체 교체의 일부로 투여될 수 있다.체적 팽창은 더 많은 물을 필요로 하는 신체의 특정 영역을 목표로 설계된 유체 기반 솔루션 또는 서스펜션을 사용하는 것으로 구성된다.볼륨 확장기에는 결정체콜로이드의 두 가지 주요 유형이 있다.결정체는 미네랄 솔트 또는 다른 수용성 분자의 수용액이다.콜로이드에는 젤라틴과 같은 더 큰 불용성 분자가 들어 있다.혈액 자체는 콜로이드로 간주된다.[1]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결정액은 혈중 동위원소인 0.9% 농도의 염화나트륨용액일반 식염수다.락티드 링거(Ringer의 젖산이라고도 한다)와 밀접하게 연관된 링거의 아세테이트(Acetate)는 상당한 화상을 입은 사람들에게 종종 사용되는 경미한 저혈압 용액이다.콜로이드들은 혈액 속의 높은 콜로이드 삼투압은 보존하지만, 반면에 이 파라미터는 혈변화에 의해 결정체에 의해 감소된다.[2]결정체는 일반적으로 콜로이드보다 훨씬 싸다.[2]

산증이나 알칼리증을 교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완충 용액도 정맥내 접근을 통해 관리된다.유체 팽창기 또는 약물이 첨가되는 베이스 용액으로 사용되는 젖산 링거 용액도 완충 효과가 있다.완충용액으로 정맥에 투여되는 또 다른 용액은 중탄산나트륨이다.[3]

약물 및 치료

Photograph of two intravenous solution bags (containing glucose and levofloxacin, respectively) and a paper log sheet hanging from a pole.
식염수 및 5% 덱스트로스 용액(왼쪽), 레보플록사신 750mg(오른쪽), IV 폴에 매달린 로그 시트.

에서 언급한 액체,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식염수 또는 덱스트로스 용액에 약물을 혼합할 수 있다.[4]경구용 의약품과 같은 다른 투여 경로와 비교해 볼 때 IV 경로는 체내에 유체와 약물을 전달하는 가장 빠른 방법이다.이러한 이유로 IV 루트는 일반적으로 응급 상황이나 빠른 조치 개시가 바람직한 경우에 선호된다.극도로 높은 혈압(고혈압 비상사태로 불림)에서는 장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조절된 방식으로 혈압을 빠르게 낮추기 위해 IV항고혈압제를 투여할 수 있다.[5]심방세동에서는 정상 심장 박동을 회복하기 위해 IV 아미오다론을 투여할 수 있다.[6]또한 암과 같은 만성적인 건강 상태에도 IV 약물을 사용할 수 있는데, 암은 화학요법 약물을 정맥주사로 복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반코마이신과 같은 경우에, 혈액 속의 약물 농도를 더 빨리 증가시키기 위해 투약 요법을 시작하기 전에 약을 싣거나 투여한다.[7]

IV 약물의 생체이용률은 약물이 완전히 흡수되지 않거나 혈류로 들어가기 전에 대사될 수 있는 경구 투여와 달리 정의상 100%이다.[4]어떤 약의 경우, 사실상 경구 생체이용률이 제로다.이러한 이유로 특정한 종류의 약은 다른 투여경로에 의한 섭취가 불충분하기 때문에 정맥주사로만 투여될 수 있다.[8]각기 다른 사람에서의 구강 생체이용률의 예측 불가능성은 푸로즈미드와 마찬가지로 IV를 투여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9]구강약은 또한 메스꺼움이나 구토, 심한 설사를 하는 경우 위장관으로부터 약물이 완전히 흡수되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이러한 경우 환자가 구강 형태의 약물을 허용할 때까지만 IV를 투여할 수 있다.일반적으로 IV 투여에 비해 비용과 시간이 절약되기 때문에 IV 투여에서 경구 투여로 전환은 가능한 한 빨리 수행된다.병원 환경에서 사용하기 위해 적절한 항생제 치료를 선택할 때 약물을 경구 형태로 잠재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지 여부는 때때로 고려된다. 왜냐하면 사람이 여전히 링거 치료를 필요로 한다면 퇴원할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다.[10]

약물과 같은 일부 약물은 화학적으로 수정되어 IV 투여에 더 적합하며, 포사프레피탄트와 같은 약물을 형성한다.이는 약동학상의 이유로 또는 활성 형태로 대사될 수 있을 때까지 약물의 효과를 지연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11]

혈액제제

혈액제제(또는 혈액 기반 제품)는 수혈에 사용하기 위해 기증자로부터 채취되는 혈액의 모든 구성 요소다.[12]수혈은 트라우마로 인한 대량 출혈에 쓰이거나 수술 중 잃어버린 피를 대신하는 데 쓰일 수 있다.수혈은 또한 혈액질환으로 인한 심각한 빈혈이나 혈소판감소증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초기 수혈은 전혈로 이루어졌으나 현대의학에서는 일반적으로 포장된 적혈구, 신선한 냉동 혈장, 극저온혈장 등 혈액의 성분만을 사용한다.[13]

영양

자궁내 영양은 정맥주사를 통해 사람에게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는 행위다.이것은 음식을 먹고 소화함으로써 영양분을 정상적으로 섭취할 수 없는 사람들에게 사용된다.소아 영양을 섭취하는 사람에게는 소금, 덱스트로스, 아미노산, 지질, 비타민을 함유할 수 있는 정맥주사 용액이 주어질 것이다.사용되는 종양 영양소의 정확한 제형은 그것이 주어지는 사람의 특정한 영양적 필요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사람이 정맥만 영양을 공급받는다면 총체적 자궁영양(TPN)이라고 하는 반면, 정맥만 일부 영양만 공급받는다면 부분적 자궁영양(또는 보충적 자궁영양)이라고 한다.[14]

이미징

의료용 영상촬영은 신체의 내부부위를 서로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는가에 달려 있다.이것이 달성되는 한 가지 방법은 조영제를 정맥으로 투여하는 것이다.[15]사용되는 특정 영상 기법은 혈관이나 다른 특징의 가시성을 높이기 위해 적절한 조영제의 특성을 결정할 것이다.공통 조영제는 주변 정맥에 투여되며, 주변 정맥은 이 정맥이 순환을 통해 영상 사이트로 분산된다.[16]

기타 용도

스포츠에 사용하다

IV 복수는 이전에 운동선수들에게 흔한 기술이었다.[17]세계반도핑기구(WADA)는 의료면제를 받지 않는 한 12시간당 100mL 이상의 정맥주사를 금지하고 있다.[17]미국반도핑기구(Anti-Doping Agency)는 IV 요법에 내재된 위험뿐만 아니라 "IV는 혈액 검사 결과(: EPO나 혈액 도핑이 사용되고 있는 헤마토크리트), 마스크 소변 검사 결과(희석) 또는 몸에서 더 빨리 제거되는 방식으로 금지 물질을 투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도핑 반대 테스트를 통과했다."[17]이런 치료를 제공하는 '부티크 IV 클리닉'에 참석한 뒤 중단된 선수로는 2017년[18] 축구선수 사미르 나스리와 2018년 수영선수 라이언 로치테가 있다.[19]

숙취해소 치료에 사용

1960년대에 존 마이어스는 숙취 해소와 일반적인 웰빙 치료제로 시판된 비타민과 미네랄의 비처방 IV 솔루션인 "Myers's 칵테일"을 개발했다.[20]이와 유사한 치료를 제공하는 최초의 "부티크 4" 클리닉은 2008년 도쿄에서 문을 열었다.[20]이 표적 시장을 '주정뱅이로 달달거리는 건강광'이라고 표현한 이들 클리닉은 2010년대 화려한 연예인 고객들에 의해 공개돼 왔다.[20]정맥주사 요법은 또한 알코올 소비로 인해 발생하는 전해질과 비타민 결핍을 교정하기 위해 에탄올에탄올의 급성 독성을 가진 사람들에게도 사용된다.[21]

다른이들

일부 국가에서는 처방전 없는 정맥주사 포도당이 사람의 에너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지만, 포도당 용액이 처방약인 미국과 같은 나라에서는 일상적인 의료 서비스의 일부가 아니다.[22]가게 앞쪽 진료소에서 비밀리에 투여되는 것과 같이 정맥 포도당("링거"라고 불림)을 부적절하게 투여하면 부적절한 기술과 감독으로 인해 위험이 증가한다.[22]정맥내 접근은 헤로인펜타닐, 코카인, 필로폰, DMT 등과 같은 오락성 약물의 자가 관리를 위해 의료 환경 밖에서 사용되기도 한다.[23]

종류들

볼루스

어떤 약은 볼러스 투여로 투여될 수 있는데, 이를 "IV 푸시"라고 한다.약물이 들어 있는 주사기는 주 튜브의 접근 포트에 연결되며, 약물은 포트를 통해 관리된다.[24]볼러스는 몇 분 동안 빠르게(시린지 플런저의 빠른 압박으로) 투여하거나 천천히 투여할 수 있다.[24]정확한 투여 기법은 약물 및 기타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24]어떤 경우에는 조영제 직후에 일반 IV 용액 볼루스(즉, 약물을 첨가하지 않은 것)를 투여하여 약물을 혈류로 더욱 밀어 넣는다.이 절차를 "IV 플러시"라고 한다.칼륨과 같은 특정 약물은 극도로 빠른 작용의 시작과 높은 수준의 효과로 인해 IV 푸시에 의해 투여될 수 없다.[24]

주입

베타 락텀을 포함한 일부 항생제와 같이 약물의 혈중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때 약물 주입을 사용할 수 있다.[25]전자의 완료 직후 다음 주입이 시작되는 연속 주입은 혈액 내 약물 농도 변화(즉, 최고 약물 수준과 수조 약물 수준 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25]그것들은 또한 푸로즈미드와 같은 같은 이유로 간헐적인 볼러스 주사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26]또한 주입은 간헐적일 수 있는데, 이 경우 일정 기간 동안 약을 투여했다가 중단되고, 나중에 반복된다.간헐적 주입은 장기간(계속적인 주입과 공통적으로) 약물의 안정성에 대한 우려가 있거나(예: 밴코마이신) 같은 IV 라인에서 동시에 투여할 경우 양립할 수 없는 약물의 투여를 가능하게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27]

주입을 적절하게 계산하고 투여하지 않으면 주입 반응이라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이러한 이유로 많은 약물은 밴코마이신이나[27] 많은 단클론 항체와 같이 최대 권장 주입률을 가진다.[28]이러한 주입 반응은 반코마이신의 경우처럼 심할 수 있는데, 여기서 그 반응을 "붉은 남자 증후군"[27]이라고 부른다.

이차적

주입과 동시에 정맥으로 투여되는 모든 추가 약물은 1차 튜브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2차 IV 또는 IV 피기백이라고 한다.[24]이것은 동일한 사람에게 다수의 IV 접속 회선이 필요하지 않게 한다.2차 IV 약물을 투여할 때, 2차 약물이 2차 튜브로 흐르는 1차 가방에서 나오는 액체가 아니라 1차 튜브로 흐를 수 있도록 1차 가방이 2차 가방보다 낮게 고정되어 있다.2차 IV에서 남은 약물을 튜브에서 씻어내려면 기본 백의 액이 필요하다.[24]조영제 또는 2차 주입이 1차 주입과 동일한 라인에서 투여할 경우 용액의 분자 적합성을 고려해야 한다.[24]이차적 호환성은 일반적으로 "y-site 호환성"이라고 불리며, 볼러스 관리를 위한 포트가 있는 튜브의 형태에서 이름을 따왔다.[24]분자 안정성, 용해성 변화 또는 한 의약품의 분해 문제로 인해 두 액체 또는 약물의 비호환성이 발생할 수 있다.[24]

방법 및 장비

접근

18 게이지 IV 바늘을 캐뉼라와 함께 삽입하는 간호사
정맥주사 접근을 위한 바늘은 약 25도 각도로 삽입해야 한다.

정맥주사 접근의 가장 간단한 형태는 속이 빈 바늘을 피부를 통해 정맥으로 직접 전달하는 것이다.주사기는 이 바늘에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볼러스" 투여를 할 수 있다.또는 바늘을 놓고 관의 길이에 연결하여 주입을 할 수 있다.[29]: 344–348 정맥 접근의 유형과 위치(즉, 중심선 대 주변선, 그리고 그 선이 배치된 정맥)는 일부 약물이 말초 정맥으로의 순환을 제한하는 말초 혈관수축을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30]

말초 캐뉼라병원, 병원 전 진료, 외래 환자 의료에서 사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정맥내 접근 방법이다.이것은 팔 안에 놓일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손목이나 팔꿈치의 중앙 정맥이다.지혈대를 사용하여 사지의 정맥 배수를 제한하고 정맥을 불룩하게 하여 정맥에 선을 쉽게 위치시키고 배치할 수 있다.사용 시 투약 전 지혈대를 제거한 후 약물을 주입하여 여분의 발산을 방지해야 한다.피부 외부에 남아 있는 카테터 부분을 커넥팅 허브라고 한다. 주사기나 정맥 주입 라인에 연결하거나, 캡을 씌울 수 있다.헤플록 또는 식염수 잠금 장치, 카테터 사용 사이에 응고를 방지하기 위한 소량의 헤파린 또는 식염수 용액으로 채워진 바늘 없는 연결부.포티드 카눌레에는 약을 투여하는 데 자주 사용되는 주사 포트가 윗부분에 있다.[29]: 349–354

바늘과 카테터의 두께와 크기는 버밍엄 게이지 또는 프랑스 게이지로 지정할 수 있다.버밍엄 게이지 14는 매우 큰 캐뉼러(소생 설정에 사용됨)이며 24-26은 가장 작다.가장 일반적인 크기는 16 게이지(헌혈 및 수혈에 사용되는 중간 크기 라인), 18 게이지와 20 게이지(침입 및 혈류 추첨을 위한 만능 라인), 22 게이지(만능 소아 라인)이다.12번과 14번지 주변 라인은 다량의 액체를 매우 빠르게 전달할 수 있어 응급의학에서 그들의 인기를 반영한다.이 선들은 종종 "큰 보어" 또는 "트라우마 선"이라고 불린다.[29]: 188–191, 349

주변선

손, 발 또는 어린이의 무두엽 포사의 식인용 사지를 고정하는 데 팔 보드가 권장된다.[31]

팔, 손, 다리, 발의 정맥과 같은 말초 정맥에 말초 정맥이 삽입된다.이렇게 투여된 약물은 정맥을 통해 심장으로 이동하는데, 그 곳에서 순환계를 통해 몸의 나머지 부분으로 분산된다.말초맥의 크기는 안전하게 투여할 수 있는 약물의 양과 비율을 제한한다.[32]말초선은 피부를 통해 말초 정맥에 삽입된 짧은 카테터로 구성된다.이것은 보통 금속 트로카 위에 유연한 플라스틱 캐뉼라가 장착되는 캐뉼러 오버 니들 장치 형태다.바늘과 캐뉼라의 끝이 놓이면 캐뉼라는 트로카 위의 정맥 안에서 적절한 위치로 전진하여 고정시킨다.그리고 트로카는 회수되어 버려진다.초기 IV 캐뉼라 삽입 직후 라인에서 혈액 샘플을 채취할 수도 있다.[29]: 344–348

Labelled computer-drawn illustration of parts of an inserted non-tunneled central intravenous line
비터널 중앙 정맥 액세스 장치 그림

중앙선

중심선은 카테터가 더 크고 더 중심적인 정맥(몸통 내의 정맥)으로 비우는 접근 방법이며, 대개는 상위 정맥, 하대 정맥 또는 심장의 우심방이다.카테터가 체외에서 중앙 정맥 출력에 이르는 경로를 기준으로 분류한 중앙 IV 액세스에는 몇 가지 유형이 있다.[33]: 17–22

주변으로 삽입된 중앙 카테터

주변으로 삽입된 중앙 카테터(PICC 라인이라고도 함)는 중심 IV 접근의 일종으로, 캐뉼라가 피막을 통해 말초 정맥에 삽입된 다음 심장을 향해 조심스럽게 공급되어 상부 정맥이나 우심방에서 종료된다.이 선들은 보통 팔의 말초 정맥에 배치되며, 초음파 지침에 따라 셀딩거 기법을 사용하여 배치될 수 있다.삽입하는 동안 형광 투시법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 캐뉼라의 끝이 올바른 위치에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X선을 사용한다.또한 어떤 경우에는 ECG를 사용하여 캐뉼라의 끝이 올바른 위치에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34]: Ch.1, 5, 6

터널링된 선
Photograph of an inserted Hickman line, which is a type of tunneled catheter, inserted in the chest.
터널이 뚫린 카테터의 일종인 힉먼 라인이 가슴의 피부를 통해 삽입되고, 목의 경정맥에 삽입하기 위해 터널을 뚫었다.

터널이 뚫린 선은 피부 아래에 삽입된 후, 중심 정맥에 도달하여 침투하기 전에 주변 조직을 통해 상당한 거리를 이동하는 중앙 접근의 일종이다.터널을 뚫은 선을 사용하면 피부 표면의 세균이 정맥으로 직접 이동하지 못하기 때문에 다른 형태의 접근에 비해 감염 위험을 줄일 수 있다.[35]이러한 카테터는 종종 감염과 응고에 저항하는 물질로 만들어진다.터널이 뚫린 중심선의 종류로는 힉먼 선이나 브로비아카테터가 있다.튠라인(tunnenelated line)은 신장 기능이 떨어지는 사람들의 혈액투석에 필요한 장기 정맥 접근을 위한 옵션이다.[36]

이식 가능한 포트

이식된 포트는 약물 투여를 위해 피부에서 외부 커넥터가 돌출되지 않은 중심선이다.대신, 항구는 실리콘 고무로 덮인 작은 저장소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것은 피부 아래에 이식되어 저장소를 덮는다.약물은 피부와 실리콘 포트 커버를 통해 저장소에 약물을 주입하여 투여한다.바늘이 빠지면 저수지 덮개가 저절로 다시 뚫린다.포트 커버는 일생 동안 수백 개의 바늘 막대기들을 위해 기능하도록 설계되었다.포트는 팔 또는 가슴 부위에 배치할 수 있다.[37]

주입스

주입을 위해 IV 라인을 배치하고 투여하는 데 사용되는 장비는 보통 사람 키 위에 매달린 가방과 약을 투여하는 멸균 튜브로 구성된다.기본 "중력" IV에서는 가방을 단순히 사람의 키 위에 걸어놓고 정맥에 삽입된 바늘에 부착된 관을 통해 중력을 통해 용액을 당긴다.별도의 장비가 없으면 행정 속도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없다.이러한 이유로, 설정은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클램프를 포함할 수도 있다.일부 IV 라인은 동일한 라인(피기백킹이라고도 함)을 통해 보조 솔루션을 관리할 수 있는 장치인 "Y-site"와 함께 배치할 수 있다.일부 시스템은 드립 챔버를 채용하여 공기가 혈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공기 색전증을 유발함), 용액의 유량을 시각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29]: 316–321, 344–348

Photograph of a simple, single infusion IV pump
단일 IV 라인에 적합한 주입 펌프

또는 주입 펌프를 사용하여 유량과 전달된 총량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펌프는 주입 횟수와 크기를 기반으로 프로그램되어 모든 의약품이 완전히 투여되도록 보장하며, 액세스 라인이 마르지 않도록 한다.펌프는 일정 유량이 중요하거나 관리 속도의 변화가 결과를 초래할 때 주로 사용된다.[29]: 316–321, 344–348

기술

시술과 관련된 통증을 줄이기 위해 의료진은 약 45분 전에 선택된 정맥 부위의 피부에 국소 마취제(EMLA 또는 Ametop 등)를 적용할 수 있다.[29]: 344–348

캐뉼라가 올바르게 삽입되지 않았거나 혈관이 특히 연약하고 파열된 경우 혈액이 주변 조직으로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끊어진 정맥 또는 "발작"이라고 알려져 있다.이 캐뉼라를 사용하여 약을 투여하면 약물이 추가되어 부종이 일어나며, 약물에 따라 통증 및 조직 손상이 발생하고 심지어 괴사까지 일으킬 수 있다.접근 권한을 얻으려는 사람은 손상된 혈관을 통한 의약품의 추가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확장" 구역에 근접한 새로운 접근 사이트를 찾아야 한다.이러한 이유로 가장 원위적인 적절한 정맥에 첫 번째 캐뉼라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29]: 355–359

역효과

통증

정맥주사를 배치하면 피부가 부러질 때 통증이 생기며 의학적으로 침습적으로 간주된다.이러한 이유로, 다른 형태의 투여가 충분할 때, 정맥주사 요법은 일반적으로 선호되지 않는다.여기에는 IV 라인을 통한 종양 재수화와는 반대로 옵션인 경구 재수화 요법으로 경증 또는 중간 정도의 탈수 치료를 포함한다.[38][39]탈수 치료를 받고 있는 응급실 아동들은 정맥주사의 통증과 합병증으로 정맥주사보다 구강주사로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38]차가운 스프레이는 링거주사를 놓는 고통을 줄일 수 있다.[40]

어떤 약은 또한 IV 투여와 관련된 특정한 통증의 감각을 가지고 있다.이것은 칼륨을 포함한다. 칼륨은 IV를 투여했을 때 화끈거리거나 고통스러운 느낌을 유발할 수 있다.[41]의약품에 특정한 부작용의 발생은 접근 유형(주변 대 중심), 투여율 또는 투여된 약물의 양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링거 라인을 통해 약물을 너무 빨리 투여하면 발진이나 발진, 발열 등 일련의 막연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를 '유입반응'이라고 하며 약의 투여율을 낮춰 예방한다.밴코마이신이 관련되었을 때, 이것은 빠른 투여 후 발생하는 급속 플러싱의 뒤에 흔히 "붉은 남자 증후군"이라고 불린다.[42]

감염 및 염증

정맥주사를 배치하려면 피부가 부러져야 하기 때문에 감염의 위험이 있다.코아굴라제 음성 포도상구균 또는 칸디다 알비칸과 같은 피부용 생물은 카테터 주위의 삽입 부위를 통해 유입되거나 오염된 장비에서 카테터 내부에 박테리아가 우연히 유입될 수 있다.IV 접속 사이트의 감염은 대개 국소적이어서 쉽게 눈에 보이는 붓기, 붉어짐, 열을 유발한다.그러나 병원균도 혈류로 유입되어 패혈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급작스럽고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중앙 IV 라인은 중앙 순환으로 직접 박테리아를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패혈증의 위험이 더 높다.더 오랜 기간 유지된 라인도 감염 위험을 높인다.[29]: 358, 373

정맥에 염증이 생기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혈우병 또는 단순히 혈우병이라고 한다.이것은 감염, 카테터 자체 또는 주어진 특정 액체나 약물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페레비티 증상이 반복되면 정맥을 따라 흉터 조직이 쌓일 수 있다.말초 IV선은 다른 잠재적 합병증들 중에서도 감염과 골수염의 위험을 우려하여 무한정 정맥에 방치할 수 없다.그러나 최근 연구에서는 임상적으로 IV가 교체된 경우와 일상적으로 교체된 경우에서 합병증의 위험이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43]적절한 무균 기법으로 배치되는 경우 주변 IV 라인을 72~96시간마다 자주 변경하지 않는 것이 좋다.[44]

플레비티스는 특히 정맥주사 약물 복용자와 [45]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사람들에게 흔하게 나타나는데,[46] 그 정맥이 경련되어 시간이 지나면서 접근이 어려워질 수 있으며, 때로는 딱딱하고 고통스러운 '정맥주'를 형성하기도 한다.코드의 존재는 IV 치료와 관련된 불편함과 고통의 원인이며, 코드가 있는 부위에 라인을 배치할 수 없어 IV 라인을 배치하는 것이 더욱 어려워진다.[47]

침투 및 가압

침윤은 원하는 정맥과 반대로 비용기 IV액이나 약물이 주변 조직에 들어갈 때 발생한다.정맥 자체가 파열되거나 혈관내 접근장치 삽입 중 정맥이 손상되거나 정맥 다공성이 증가해 발생할 수 있다.또한 바늘에 의한 정맥의 구멍이 삽입된 캐뉼러와 같이 최소 저항의 경로가 되어 정맥에 흉터가 생기는 경우에도 침투가 발생할 수 있다.또한 Turniquet을 즉시 제거하지 않을 경우 IV 라인을 삽입할 때 발생할 수 있다.침투는 피부에 시원함과 창백함은 물론 부종이나 부종이 국소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정맥 라인을 제거하고 영향을 받는 사지를 상승시켜 수집된 액체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치료한다.그 지역 주위에 히알루로니다아제를 주입하면 유체/약물의 분산을 빠르게 할 수 있다.[48]침투는 IV 치료의[49] 가장 흔한 부작용 중 하나이며, 침투한 액체가 주변 조직에 손상을 주는 약물이 아니면 보통 심각한 것이 아니며, 가장 일반적으로는 방뇨제나 화학 요법제다.이 경우 침투를 엑스트라바스라고 하며 괴사를 일으킬 수 있다.[50]

다른이들

투여한 용액이 체온보다 차가우면 유도 저체온증이 발생할 수 있다.심장에 대한 온도 변화가 빠른 경우 심실세동이 발생할 수 있다.[51]게다가, 집중력에서 균형이 잡히지 않는 용액을 투여한다면, 사람의 전해질은 불균형이 될 수 있다.병원에서는 전해질 수치를 능동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해 정기적인 혈액 검사를 사용할 수 있다.[52]

역사

IV 주사를 통해 치료제를 투여하려는 첫 번째 시도는 1492년이었는데, 이때 교황 인노첸시오 8세가 병에 걸려 건강한 사람들로부터 혈액을 투여받았다.[53]이렇게 되면 치료법이 통하지 않아 교황을 치유하지 못한 채 기증자들이 사망하는 결과를 낳았다.[53]이 이야기는 일부 사람들에 의해 논란이 되고 있는데, 그들은 수혈에 대한 아이디어가 당시 의료진들에 의해 고려될 수 없었을 수도 있었다고 주장하거나, 100년이 지나서야 혈액 순환에 대한 완전한 묘사가 출판되었다고 주장한다.이 이야기는 그 당시부터 문서 번역의 잠재적인 오류와 의도적인 조작에 의한 것일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은 여전히 이 이야기가 정확하다고 여긴다.[54]의대생과 간호대생을 위한 대표적인 의학사 교과서 중 한 권은 이 이야기의 전모가 반유대적 조작이라고 주장했다.[55]

1656년 크리스토퍼 렌 경과 로버트 보일 경은 이 주제에 대해 연구했다.렌이 말한 바와 같이, "나는 살아 있는 개에 포도주와 에일을 베인 한 마리에 의해 혈액 덩어리에 대량으로 주입했다. 그가 극도로 취하게 할 때까지, 그러나 곧 그는 그것을 다 먹어 치웠다."그 개는 살아남아 살찌고 나중에 주인으로부터 도둑맞았다.보일은 작가 지명을 렌의 탓으로 돌렸다.[56]

Richard Lower는 피가 동물에서 동물로 그리고 동물에서 사람으로 정맥주사로 수혈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그는 에드먼드 킹과 함께 정신질환이 있는 사람에게 양의 피를 수혈하기 위해 일했다.로어는 과학의 진보에 관심이 있었지만 또한 신선한 피를 주입하거나 오래된 피를 제거함으로써 그 남자가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믿었다.수혈에 동의할 사람을 찾기는 어려웠지만 괴팍한 학자 아서 코가가 동의하여 1667년 11월 23일 왕립 학회에서 로워와 킹에 의해 수혈 절차가 진행되었다.[57]수혈은 프랑스와 이탈리아에서 어느 정도 인기를 모았으나 의학적, 신학적 논쟁이 일어나면서 프랑스에서는 수혈이 금지되었다.

1831년 토마스 라타콜레라 치료를 위한 IV 유체 대체제의 사용을 연구한 1800년대까지는 주사 치료의 어떤 시도에서도 사실상 기록된 성공은 없었다.[53][58]IV 주사에 널리 사용되는 첫 번째 해결책은 간단한 "살린과 같은 해결책"이었고, 우유, 설탕, 꿀, 계란 노른자를 포함한 다양한 다른 액체를 사용한 실험이 뒤따랐다.[53]1830년대에 영국의 산부인과 의사인 제임스 블런델은 출산 중이나 출산 후에 피를 많이 흘리는 여성들을 치료하기 위해 정맥주사를 사용했다.[53]이는 혈액형에 대한 이해보다 앞서서 예측할 수 없는 결과를 낳았다.

정맥주사 요법은[59] 1890년대 후반 이탈리아 의사 귀도 바첼리에 의해 확장되었고 1930년대에 사무엘 허쉬펠드, 해롤드 T에 의해 더욱 발전되었다.Hyman과 Justine Johnstone Wanger[60][61] 1950년대까지 널리 보급되지 않았다.[62]대략 1910년대에서 1920년대까지, 오늘날 정맥주사로 수행될 수 있는 액체를 교체하는 것이 직장내 주입인 머피 드립을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을 것 같았고, IV 치료는 ROA를 점점 대체하는데 수년이 걸렸다.1960년대에는 IV 용액을 통해 한 사람의 완전한 영양 요구를 제공한다는 개념이 심각하게 고려되기 시작했다.첫 번째 자궁 영양 보충제는 가수 분해 단백질과 덱스트로스(덱스트로스)로 구성되었다.[53]이는 1975년 정맥 지방 유화물과 비타민이 첨가되어 "전체 종양 영양" 또는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을 포함하는 비타민을 도입하면서 이어졌다.[53]

참고 항목

참조

  1. ^ Noonpradej S, Akaraborworn O (3 August 2020). "Intravenous Fluid of Choice in Major Abdominal Surgery: A Systematic Review". Critical Care Research and Practice. 2020: 1–19. doi:10.1155/2020/2170828. PMC 7421038. PMID 32832150.
  2. ^ a b Martin GS. "An Update on Intravenous Fluids". Medscape. WebMD. Retrieved 25 August 2020.
  3. ^ Fujii T, Udy A, Licari E, Romero L, Bellomo R (June 2019). "Sodium bicarbonate therapy for critically ill patients with metabolic acidosis: A scoping and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Critical Care. 51: 184–191. doi:10.1016/j.jcrc.2019.02.027. PMID 30852347. S2CID 73725286.
  4. ^ a b Flynn E (2007). "Pharmacokinetic Parameters". xPharm: The Comprehensive Pharmacology Reference. Elsevier. pp. 1–3. doi:10.1016/b978-008055232-3.60034-0. ISBN 978-0-08-055232-3.
  5. ^ Peacock WF, Hilleman DE, Levy PD, Rhoney DH, Varon J (July 2012). "A systematic review of nicardipine vs labetalol for the management of hypertensive crises". The American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30 (6): 981–993. doi:10.1016/j.ajem.2011.06.040. PMID 21908132.
  6. ^ Vardas PE, Kochiadakis GE (September 2003). "Amiodarone for the Restoration of Sinus Rhythm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Cardiac Electrophysiology Review. 7 (3): 297–299. doi:10.1023/B:CEPR.0000012400.34597.00. PMID 14739732.
  7. ^ Álvarez R, López Cortés LE, Molina J, Cisneros JM, Pachón J (May 2016). "Optimizing the Clinical Use of Vancomycin". Antimicrobial Agents and Chemotherapy. 60 (5): 2601–2609. doi:10.1128/AAC.03147-14. PMC 4862470. PMID 26856841. S2CID 9560849.
  8. ^ Doyle, GR; McCutcheon, JA (13 November 2015). "7.5". Clinical Procedures for Safer Patient Care. Victoria, BC: BCcampus.
  9. ^ Boles Ponto LL, Schoenwald RD (1 May 1990). "Furosemide (Frusemide) A Pharmacokinetic/Pharmacodynamic Review (Part I)". Clinical Pharmacokinetics. 18 (5): 381–408. doi:10.2165/00003088-199018050-00004. PMID 2185908. S2CID 32352501.
  10. ^ Wetzstein GA (March 2000). "Intravenous to oral (iv:po) anti-infective conversion therapy". Cancer Control : Journal of the Moffitt Cancer Center. 7 (2): 170–6. doi:10.1177/107327480000700211. PMID 10783821.
  11. ^ Patel P, Leeder JS, Piquette-Miller M, Dupuis LL (October 2017). "Aprepitant and fosaprepitant drug interactions: a systematic review".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harmacology. 83 (10): 2148–2162. doi:10.1111/bcp.13322. PMC 5595939. PMID 28470980.
  12. ^ "Blood Transfusion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NHLBI)". www.nhlbi.nih.gov. Retrieved 2019-06-16.
  13. ^ Avery P, Morton S, Tucker H, Green L, Weaver A, Davenport R (June 2020). "Whole blood transfusion versus component therapy in adult trauma patients with acute major haemorrhage". Emergency Medicine Journal. 37 (6): 370–378. doi:10.1136/emermed-2019-209040. PMID 32376677. S2CID 218532376.
  14. ^ Halter JB, Ouslander JG, Studenski S, High KP, Asthana S, Supiano MA, et al. (23 December 2016). "Chapter 35". In Edmonson KG, Davis KJ (eds.). Hazzard's geriatric medicine and gerontology (Seventh ed.). New York: McGraw Hill. ISBN 978-0-07-183345-5.
  15. ^ Runge VM, Ai T, Hao D, Hu X (December 2011). "The developmental history of the gadolinium chelates as intravenous contrast media for magnetic resonance". Investigative Radiology. 46 (12): 807–16. doi:10.1097/RLI.0b013e318237913b. PMID 22094366. S2CID 8425664.
  16. ^ Rawson, JV; Pelletier, AL (1 September 2013). "When to Order a Contrast-Enhanced CT". American Family Physician. 88 (5): 312–6. PMID 24010394.
  17. ^ a b c "IV Infusion: Explanatory Note". U.S. Anti-Doping Agency (USADA). 5 January 2018. Retrieved 24 July 2018.
  18. ^ Press Association (1 August 2018). "Samir Nasri's doping ban extended from six to 18 months after appeal by Uefa". The Guardian. Retrieved 2 August 2018.
  19. ^ Caron E (23 July 2018). "Ryan Lochte suspended 14 months for anti-doping violation". Sports Illustrated. Retrieved 24 July 2018.
  20. ^ a b c Hess A (23 April 2014). "The Party Girl Drip". Elle. Retrieved 24 July 2018.
  21. ^ Flannery AH, Adkins DA, Cook AM (August 2016). "Unpeeling the Evidence for the Banana Bag: Evidence-Based Recommendations for the Management of Alcohol-Associated Vitamin and Electrolyte Deficiencies in the ICU". Critical Care Medicine. 44 (8): 1545–1552. doi:10.1097/CCM.0000000000001659. PMID 27002274. S2CID 22431890.
  22. ^ a b Jiha Ham (March 20, 2015). "A Life Upended After an IV Glucose Treatment Popular Among Asian Immigrants".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March 21, 2015. Although many doctors warn Asian immigrants in New York that the effects of injecting glucose differ little from drinking sugary water, many Asians, especially of older generations, still use the intravenous solution. In their homelands, it is commonly prescribed by doctors as a method to cure colds, fevers and sometimes an upset stomach.
  23. ^ Han Y, Yan W, Zheng Y, Khan MZ, Yuan K, Lu L (11 November 2019). "The rising crisis of illicit fentanyl use, overdose, and potential therapeutic strategies". Translational Psychiatry. 9 (1): 282. doi:10.1038/s41398-019-0625-0. PMC 6848196. PMID 31712552.
  24. ^ a b c d e f g h i Kanji S, Lam J, Johanson C, Singh A, Goddard R, Fairbairn J, et al. (September 2010). "Systematic review of physical and chemical compatibility of commonly used medications administered by continuous infusion in intensive care units". Critical Care Medicine. 38 (9): 1890–1898. doi:10.1097/CCM.0b013e3181e8adcc. PMID 20562698. S2CID 205539703.
  25. ^ a b Dhaese S, Heffernan A, Liu D, Abdul-Aziz MH, Stove V, Tam VH, et al. (25 July 2020). "Prolonged Versus Intermittent Infusion of β-Lactam Antibiotic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Regression of Bacterial Killing in Preclinical Infection Models". Clinical Pharmacokinetics. 59 (10): 1237–1250. doi:10.1007/s40262-020-00919-6. PMID 32710435. S2CID 220732187.
  26. ^ Chan JS, Kot TK, Ng M, Harky A (November 2019). "Continuous Infusion Versus Intermittent Boluses of Furosemide in Acute Heart Failur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Cardiac Failure. 26 (9): 786–793. doi:10.1016/j.cardfail.2019.11.013. PMID 31730917. S2CID 208063606.
  27. ^ a b c Elbarbry F (June 2018). "Vancomycin Dosing and Monitoring: Critical Evaluation of the Current Practice". European Journal of Drug Metabolism and Pharmacokinetics. 43 (3): 259–268. doi:10.1007/s13318-017-0456-4. PMID 29260505. S2CID 13071392.
  28. ^ Bylsma LC, Dean R, Lowe K, Sangaré L, Alexander DD, Fryzek JP (September 2019). "The incidence of infusion reactions associated with monoclonal antibody drugs targeting th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in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patient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of patient and study characteristics". Cancer Medicine. 8 (12): 5800–5809. doi:10.1002/cam4.2413. PMC 6745824. PMID 31376243.
  29. ^ a b c d e f g h i Lippincott's nursing procedures (5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9. ISBN 978-0781786898.
  30. ^ Raehl CL (July 1986). "Endotracheal drug therapy i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linical Pharmacy. 5 (7): 572–9. PMID 3527527.
  31. ^ Roberts JR, Hedges JR (2013). Roberts and Hedges' Clinical Procedures in Emergency Medicine E-Book (6th ed.). Elsevier Health Sciences. p. 349. ISBN 9781455748594.
  32. ^ Rivera AM, Strauss KW, van Zundert A, Mortier E (2005). "The history of peripheral intravenous catheters: how little plastic tubes revolutionized medicine". Acta Anaesthesiologica Belgica. 56 (3): 271–82. PMID 16265830.
  33. ^ Marino PL (2014). "2. Central Venous Access". Marino's the ICU book (Fourth ed.). Philadelphia: LWW. ISBN 978-1451121186.
  34. ^ Sandrucci S, Mussa B, eds. (5 July 2014).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venous catheters. Milan: Springer. ISBN 978-88-470-5665-7.
  35. ^ Agarwal AK, Haddad N, Boubes K (November 2019). "Avoiding problems in tunneled dialysis catheter placement". Seminars in Dialysis. 32 (6): 535–540. doi:10.1111/sdi.12845. PMID 31710156. S2CID 207955194.
  36. ^ Roca-Tey R (March 2016). "Permanent Arteriovenous Fistula or Catheter Dialysis for Heart Failure Patients". The Journal of Vascular Access. 17 (1_suppl): S23–S29. doi:10.5301/jva.5000511. PMID 26951899. S2CID 44524962.
  37. ^ Li G, Zhang Y, Ma H, Zheng J (3 July 2019). "Arm port vs chest por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ancer Management and Research. 11: 6099–6112. doi:10.2147/CMAR.S205988. PMC 6613605. PMID 31308748. S2CID 196610436.
  38. ^ a b American College of Emergency Physicians, "Five Things Physicians and Patients Should Question", Choosing Wisely: an initiative of the ABIM Foundation, American College of Emergency Physicians, retrieved January 24, 2014
  39. ^ Hartling L, Bellemare S, Wiebe N, Russell K, Klassen TP, Craig W (July 2006). "Oral versus intravenous rehydration for treating dehydration due to gastroenteritis in children".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3): CD004390. doi:10.1002/14651858.CD004390.pub2. PMC 6532593. PMID 16856044.
  40. ^ Griffith RJ, Jordan V, Herd D, Reed PW, Dalziel SR (April 2016). "Vapocoolants (cold spray) for pain treatment during intravenous cannulation" (PDF).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4: CD009484. doi:10.1002/14651858.CD009484.pub2. PMID 27113639.
  41. ^ Heng SY, Yap RT, Tie J, McGrouther DA (April 2020). "Peripheral Vein Thrombophlebitis in the Upper Extremity: A Systematic Review of a Frequent and Important Problem".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133 (4): 473–484.e3. doi:10.1016/j.amjmed.2019.08.054. PMID 31606488. S2CID 204545798.
  42. ^ Bruniera FR, Ferreira FM, Saviolli LR, Bacci MR, Feder D, da Luz Gonçalves Pedreira M, et al. (February 2015). "The use of vancomycin with its therapeutic and adverse effects: a review". European Review for Medical and Pharmacological Sciences. 19 (4): 694–700. PMID 25753888.
  43. ^ Webster J, Osborne S, Rickard CM, Marsh N (23 January 2019). "Clinically-indicated replacement versus routine replacement of peripheral venous catheters".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 CD007798. doi:10.1002/14651858.CD007798.pub5. ISSN 1469-493X. PMC 6353131. PMID 30671926.
  44. ^ O'Grady NP, Alexander M, Burns LA, Dellinger EP, Garland J, Heard SO, et al. (May 2011).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of intravascular catheter-related infections".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52 (9): e162-93. doi:10.1093/cid/cir257. PMC 3106269. PMID 21460264.
  45. ^ Jaffe RB (July 1983). "Cardiac and vascular involvement in drug abuse". Seminars in Roentgenology. 18 (3): 207–212. doi:10.1016/0037-198x(83)90024-x. PMID 6137064.
  46. ^ Lv L, Zhang J (May 2020). "The incidence and risk of infusion phlebitis with peripheral intravenous catheters: A meta-analysis". The Journal of Vascular Access. 21 (3): 342–349. doi:10.1177/1129729819877323. PMID 31547791. S2CID 202745746.
  47. ^ Mihala G, Ray-Barruel G, Chopra V, Webster J, Wallis M, Marsh N, et al. (2018). "Phlebitis Signs and Symptoms With Peripheral Intravenous Catheters: Incidence and Correlation Study". Journal of Infusion Nursing. 41 (4): 260–263. doi:10.1097/NAN.0000000000000288. PMID 29958263. S2CID 49613143.
  48. ^ Reynolds PM, MacLaren R, Mueller SW, Fish DN, Kiser TH (June 2014). "Management of extravasation injuries: a focused evaluation of noncytotoxic medications". Pharmacotherapy. 34 (6): 617–32. doi:10.1002/phar.1396. PMID 24420913. S2CID 25278254.
  49. ^ Schwamburger NT, Hancock RH, Chong CH, Hartup GR, Vandewalle KS (2012). "The rate of adverse events during IV conscious sedation". General Dentistry. 60 (5): e341-4. PMID 23032244.
  50. ^ Hadaway L (August 2007). "Infiltration and extravasation". Th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107 (8): 64–72. doi:10.1097/01.NAJ.0000282299.03441.c7. PMID 17667395.
  51. ^ Campbell G, Alderson P, Smith AF, Warttig S (13 April 2015). "Warming of intravenous and irrigation fluids for preventing inadvertent perioperative hypothermia".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4): CD009891. doi:10.1002/14651858.CD009891.pub2. PMC 6769178. PMID 25866139.
  52. ^ Wang W (25 July 2015). "Tolerability of hypertonic injectables".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s. 490 (1–2): 308–15. doi:10.1016/j.ijpharm.2015.05.069. PMID 26027488.
  53. ^ a b c d e f g Millam D (January 1996). "The history of intravenous therapy". Journal of Intravenous Nursing. 19 (1): 5–14. PMID 8708844.
  54. ^ Lindeboom GA (1954). "The Story of a Blood Transfusion to a Pope". Journal of the History of Medicine and Allied Sciences. IX (4): 455–459. doi:10.1093/jhmas/IX.4.455. PMID 13212030.
  55. ^ Duffin J (2010). History of medicine : a scandalously short introduction (2nd ed.). Toronto [Ont.]: University of Toronto Press. pp. 198–199. ISBN 9780802098252.
  56. ^ 호르헤 다니노; 렌, 보일, 그리고 정맥주사의 기원과 런던 왕립학회.마취과 2009; 111:923–924 https://doi.org/10.1097/ALN.0b013e3181b56163
  57. ^ 펠츠, J. H. (2000년)Richard Lower: 해부학자 및 생리학자내과 연보, 133(6), 485.
  58. ^ MacGillivray N (2009). "Dr Thomas Latta: the father of intravenous infusion therapy". Journal of Infection Prevention. 10 (Suppl. 1): 3–6. doi:10.1177/1757177409342141.
  59. ^ 예를 들어, 노벨상 후보 지명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십시오. https://www.nobelprize.org/nomination/redirector/?redir=redir=reder/
  60. ^ Stanley A (1995). Mothers and daughters of invention: notes for a revised history of technology. Rutgers University Press. pp. 141–142. ISBN 978-0-8135-2197-8. Retrieved 2011-06-05. Wanger and colleagues had in effect invented the modern I.V.-drip method of drug delivery [...]
  61. ^ Hirschfeld S, Hyman HT, Wanger JJ (February 1931). "Influence of velocity on the response to intravenous injections".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47 (2): 259–287. doi:10.1001/archinte.1931.00140200095007.
  62. ^ Geggel L (3 December 2012). "A Royal Spotlight on a Rare Condition". The New York Times.

추가 읽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