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르미노네스

Irminones
그라코-로마 작가들이 보도한 일부 게르만 민족의 대략적인 입장. 붉은 옷을 입은 수이비아 민족과 보라색 옷을 입은 다른 이리미노네 민족.

헤르미노네스 또는 헤르미오네스(Ancient 그리스어: ἑρμίνεςςς)라고도 불리는 이르미노네스는 초기 게르만 부족들엘베 유역에 정착하여 AD 1세기경 바이에른, 스와비아, 보헤미아 등으로 확장된 대규모 집단이었다. 특히 이것은 수에비족의 큰 하위 집단을 포함했는데, 그 자체로 많은 다른 부족 집단을 포함하고 있었지만, 이르미노네스족 역시 예를 들면 채티족을 포함했다.

이리노닉(Irminonic)이라는 용어는 따라서 엘베 게르만어를 뜻하는 용어로도 쓰이고 있는데, 엘베 게르만어는 서 게르만어족, 특히 현대 표준 게르만어를 포함하는 하이 게르만어족에게 제안된(그러나 매력적이지 않은) 방언군 중 하나이다.[1]

사용내역

고전적인

이르미노네스(Irminones) 또는 헤르미오네스(Hermiones)라는 이름은 타키투스게르마니아(AD 98)에서 유래한 것으로, 그는 타키투스의 게르마니아(Ad 98)를 일부 사람들이 마누스의 후손이라고 말하는 부족 중 하나로 분류하고 게르마니아 내륙에 거주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다른 게르만족의 부족들은 해안가에 사는 잉그바에오네족과 나머지는 이스바에오네족이었다.[2] 타키투스는 또한 셈노네족, 쿼디족, 마르코만니족을 포함하는 큰 집단으로 수비를 언급했지만, 그들이 어느 나라(있는 경우)에 속하는지 정확하게 말하지 않았다.

Pomponius Mela, in his Description of the World (III.3.31) described the Hermiones as the farthest people of Germania, beyond both the Cimbri and Teutones who lived on the Codanus sinus, which is understood today to have been his name for the Baltic sea and Kattegat, though it was described by him as a very large bay filled with islands, east of thE Elbe 강. 여전히 동쪽 멜라는 그가 비슬라의 서쪽에 배치한 사르마티아인과 그가 비슬라의 동쪽에 배치한 스키타이인들을 묘사하고 있다.[3]

플리니 자연사(4.100)는 이르미노네스족에는 수비, 헤르문두리, 채티, 체루시 등이 포함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중세

소위 프랑크식 국가 테이블 (c. 520)에서는 아마도 비잔틴 창조물에서 이르미노네스의 조상이었던 마누스의 아들 이름이 에르미누스(또는 아르메니아, 에르메니우스, 에르메누스, 아르메논, 에르메노, 여러 필사본에 나타나듯이 에르메노)라고 되어 있다. 그는 오스트로고스, 비시가스, 반달스, 게피드, 색슨족을 살찌웠다고 한다. 히스토리아 브리토넘에 나타나는 표의 변형에서 반달족과 색슨족은 부르고뉴족랑고바드로 대체되었다.[4]

AD 1세기까지 그들은 알라만니, 헤르문두리, 마르코만니, 쿼디, 수에비 부족 등으로 분화했을지도 모른다. 그 무렵 수비, 마르코만니, 쿼디는 현대판 바이에른스와비아 지역으로 남서쪽으로 이동했다. 기원전 8년 마르코만니와 쿼디는 보헤미아에서 보이족을 몰아냈다.

수비라는 용어는 보통 이 지역으로 이주한 모든 집단에 적용되지만, 역사적으로 나중에 알라만니(Alamanni, AD 200년경)라는 용어가 집단에 더 흔하게 적용되었다.

지르문르는 바이킹 시대의 노르스형인 이르민(Irmin)이라는 이름으로 시적 에다(Poetic Edda)의 여러 곳에서 오딘별명으로 찾아볼 수 있다. 이르미노네스의 문화와 신념의 어떤 면은 로마 제국과의 관계, 위두킨드의 화성이나 헤르메스비견되는가에 대한 혼란, 그리고 산문 에다 초기의 스노리 스툴루손의 암시로부터, 독일에서 처음 등장했던 오딘의 컬트까지, 그리고 나서 확산되어 온 것으로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잉바에노스

메모들

  1. ^ 프리드리히 모레르(1942), 노르드게르맹 und 알레만넨: 스터디엔 수르 스프래흐슈치히테, 스탬스-폴크스쿤데, 스트라스부르: 휴넨버그.
  2. ^ Alfred John Church; William Jackson Brodribb (eds.). "Cornelius Tacitus, Germany and its Tribes, chapter 2". perseus.tufts.edu. Retrieved 16 April 2018.
  3. ^ Pomponius Mela, Pomponius Mela's description of the world, translated by Romer, F.E., pp. 109–117. 설명: Christensen 2002, 페이지 256 라틴어 텍스트: https://www.thelatinlibrary.com/pomponius3.html
  4. ^ Walter Goffart (1983), "The Supposedly 'Frankish' Table of Nations: An Edition and Study", Frühmittelalterliche Studien, 17 (1): 98–130, doi:10.1515/9783110242164.98, S2CID 201734002.

참조

  • 그림, 야곱(1835). 도이체 신화(독일 신화); 영어 버전 그림의 Teutonic 신화 (1888); Northvegr에 의해 온라인으로 이용 가능 : 2004-2007:15장, 2페이지, 3페이지. 파일이 09-26-2007을 검색했다.
  • 타키투스, 게르마니아 (AD1세기) (라틴어로)
  • 프리드리히 모레르(1942) 노르드게르맹 und 알레만넨: 스터디엔 수르 게르마니센 und Fruhdeutschen Sprachgeschichte, Strasbourg: 휴넨버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