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냐의 이슬람

Islam in Kenya

이슬람은 케냐 인구의 10.9%인 약 520만 [1]명을 대표하는 케냐의 소수 종교이다.케냐 해안에는 대부분 이슬람교도들이 거주하고 있다.나이로비에는 몇 의 모스크와 주목할 만한 무슬림 인구가 있다.신앙은 스와힐리 해안을 방문한 상인들에게서 소개되었고, 이는 현지 개종과 외국인 이슬람교도들의 동화로 이어졌다.이것은 나중에 [2][3]이 지역에서 몇몇 공식 무슬림 정치 단체들의 출현으로 이어질 것이다.

케냐의 무슬림 대부분은 수니파 무슬림으로 무슬림 인구의 81%를 차지하고 있으며, 7%[4]는 시아파로 알려져 있다.이바디즘, 쿠란주의자, 아마디 [5]신봉자들도 상당히 많다.시아파는 대부분 중동과 인도의 해양 무역상들의 후예이거나 영향을 받은 이스마일리스이다.이들 시아파 이슬람교도에는 [6]다우디 보흐라가 포함돼 있으며 이들은 약 6000-8000명에 달한다.케냐에서 정통적인 Twelver 시아파의 존재에 대해서는 20세기 파키스탄 학자 Khwaja Muhammad Latif Ansari가 주민 Khoja 공동체의 [7][8]개화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력 개요

스와힐리 해안에 이슬람교도들이 도착함

무슬림 상인들은 8세기 [2][3]스와힐리 해안에 도착했다.이슬람의 예언자인 모하마드의 사망에 따른 긴장감과 페르시아만과 스와힐리 해안 사이의 이미 확립된 무역 관계가 이러한 [2]발전을 이끈 요인들 중 일부였다.

고고학적 증거는 서기 [9]10세기에 만다 섬의 이슬람 마을이 번성했음을 증명한다.1331년 스와힐리 해안을 방문한 모로코 무슬림 여행자 이븐 바투타는 강력한 무슬림 존재를 보고했다.이븐 바투타는 말했다:주민들은 경건하고, 존경스럽고, 정직하며, 잘 지어진 나무 [10]사원을 가지고 있다.

도착하자마자 이슬람교도들은 해안을 따라 정착하여 무역에 종사했다.시라지족은 현지 반투족과 결혼하여 스와힐리족을 낳았고, 대부분은 이슬람으로 개종했다.구조적으로 아랍어를 많이 차용한 반투족 언어인 스와힐리가 [11]탄생했다.

주로, 이슬람은 개인의 상호작용을 통해 퍼져 나갔고, 소규모 집단에 정착한 아랍 이슬람교도들은 그들의 문화와 종교적 관행을 유지했다.지역 공동체를 만났음에도 불구하고, 이슬람은 지역 반투 공동체의 패턴에 따라 '유래화'되지 않았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슬람은 새로 설립된 아프로-아랍계 이슬람 공동체로의 개인들의 흡수를 통해 성장했다.이것은 이슬람화보다 더 많은 '스와힐화'[12]를 초래했다.

내지에 사는 대부분의 공동체는 이슬람에 대해 강한 저항을 했다.그 저항은 개종은 개인의 행동이었고,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공동체 [12]생활에 반하는 이슬람 공동체에 대한 귀속과 통합으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스와힐리 해안의 이슬람은 아프리카의 다른 지역과 달랐다.이슬람이 지역 사회에 통합되었던 서아프리카와 달리, 지역 이슬람은 '외국인'이었다; 아랍 이슬람교도들은 마치 중동에 있는 것처럼 살았다.

초기 이슬람교도들의 주된 관심사는 이슬람 전파에 관심이 있는 소수와의 무역이었다.15세기 포르투갈인의 도래로 진행 중인 작은 작업이 중단되었다.반면에, 이어진 국가 간 분쟁은 많은 [13]노력이 이슬람화가 아닌 정상화를 위해 이루어졌다는 것을 의미했다.

이슬람의 내륙으로의 확산

이슬람은 도시적이고 해안적인 현상으로 남아있었다.이슬람의 확산은 지역 비 스와힐리 아프리카 공동체 사이에 아무런 영향도 주지 않은 채 조용했다.몇몇 이슬람 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14]사회를 혼란시키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보여줄 매개체 아프리카인은 없었다.

이슬람의 내륙으로의 확산은 여러 요인에 의해 방해되었다.예를 들어, 반투 사회의 다양한 신앙의 본질과 산재한 정착촌이 내륙의 진보에 영향을 미쳤다.다른 요인으로는 혹독한 기후 조건, 마사이족과 같은 맹렬한 부족, 그들의 땅을 통과하는 것을 제한하는 부족법, 건강상의 요인, 그리고 쉬운 [15]교통수단의 부족이 있었다.트리밍엄에게는 이 지역에 소개된 이슬람 브랜드도 똑같이 비난받아 마땅하다.

이슬람 무역업자들은 사회구조에서 환영받지 못했기 때문에 유럽의 점령이 시작될 때까지 어떠한 의미 있는 진보도 방해했다.

이슬람 내부로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들로는 노예 거래 중에 자행된 잔학 행위들이 포함되었는데,[16] 이는 이슬람의 확산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게다가 19세기에는 많은 해안 부족들이 이슬람을 받아들인 것이 이슬람의 확산에 일조했다.

게다가, 지역 이슬람 설교자들과 선생님들은 이슬람 [17]사원에 부속된 코란 학교와 마드라사에서 종교와 코란을 가르치는데 주요한 역할을 했다.

19세기에 유럽인들의 제2의 물결은 해안 이슬람교도들에게 복합적인 행운을 가져다 주었고, 그들의 강한 자부심과 소속감은 크게 약화되었고, 노력은 자기 [18]적응으로 옮겨졌다.

라무 섬의 모스크.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럽인들이 식민지 관리 센터 설립을 돕기 위해 하급 노동자로 배치한 이슬람 요원들은 전국에 유리하게 배치되어 이슬람의 영향력을 내부로 가져왔다.유럽인들이 자신을 세운 각 장소, 군사 캠프, 정부 센터, 또는 농장은 이슬람 [16]영향의 중심지였다.

내부에서는 이슬람교도들이 지역 사회와 통합되거나 섞이지 않았지만, 비 스와힐리계 아프리카인들은 스와힐리족의 무역 추세에 동참하기 시작했고, 일부는 이슬람교도로 돌아왔다.스와힐리는 무역과 종교 언어가 되었다.대인관계와 더불어, 혼인은 또한 약간의 변화를 가져왔다.

비록 해안 통치자들이 선교사를 내륙으로 보내지 않았지만, 지역 아프리카인들은 이슬람교도들의 종교 생활에 끌려서 이슬람교를 자유롭게 받아들였습니다.지역 주민과의 긴밀한 통합은 좋은 관계를 조성하는 데 도움을 주었고, 그 결과 이슬람은 개인의 [19]노력을 바탕으로 소수의 개종자를 얻었다.

주관적으로, 주변 반투 커뮤니티의 대부분은 긴밀한 종교적 유산을 가지고 있었고, 강한 힘을 필요로 했다.유럽 강대국들의 평화화 및 통합은 권력과 종교적 표현의 새로운 구조를 위해 지역사회를 개방하기 위해 절실히 필요한 힘을 제공했다.

기본적으로 케냐의 이슬람 확산은 1880년에서 1930년 사이에 진전되었다.이것은 대부분의 사회 구조와 아프리카 세계관이 산산조각 나면서 경험했던 변화를 포괄하거나 다루는 새롭고 넓은 세계관이 필요하게 된 시기였다.

그 결과 이슬람은 외부의 의례적 표현과 의식적 표현을 통해 새로운 종교적 가치를 도입했고, 그 중 일부는 어렵지 않게 따를 수 있었다.

사회문화적으로 무슬림들은 자신들에게 자부심과 우월감을 표현했다.이슬람 문명은 '바리안주의'(우센지)와는 반대로 아랍의 생활 방식(우스타라부)으로 확인되었고,[20] 따라서 이슬람의 지역 다양성에 대한 아랍주의의 지배가 이루어졌다.

이슬람이 채택될 수 있는 용이함은 아프리카 방식에 원주민의 관습, 새로운 종교의식, 의식을 추가하는 것을 의미하며, 새로운 형태의 표현으로 정체성을 정의하는 새로운 방법을 의미한다.무슬림과 어울리면 외계인이 [20]아닌 무슬림으로 귀국한다는 의미로 개종했다.라쿤자-발다는 이슬람이 쉽게 채택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대부분의 개종은 개인에 의한 것이었지만, 이슬람을 완전히 수용하는 공동체가 있었다.그 중에는 하타나 지방의 디고족과 포코모족이 있었다.이들 공동체로부터 이슬람은 서서히 내륙으로 침투했다.

조직화된 선교 활동

내륙의 개척자 무슬림 선교사들은 대부분 그들의 선교와 무역을 결합한 탕가니칸인들이었고, 키베지, 마킨두, 나이로비 같은 철도 노선을 따라 시작되었다.

그들 중 눈에 띄는 사람은 나이로비 최초의 이슬람 선교사로 알려진 탕가니칸인 마알림 문돈도였다.19세기 말 나이로비에 도착한 그는 다른 이슬람교도들과 해안에서 온 열성적인 선교사들을 이끌고 오늘날의 품와니에 '스와힐리 마을'을 세웠다.

작은 모스크가 건설되어 출발점이 되었고 그는 본격적으로 이슬람을 설교하기 시작했다.그는 곧 자신의 [19]제자가 된 키쿠유스와 와캄바를 끌어들였다.

지역 남성들이 개종하여 선생님에게 배운 후 종교 문제를 주도적으로 다루었다.Khamis Ngige는 초기 아웃리치의 두드러진 지역 개종자였다.마알림 문돈도에게서 배운 그는 나중에 품와니 사원의 이맘이 되었다.1900년부터 1920년까지 다른 설교자들이 시골에 흩어져 케냐, 무랑가, 엠부, 메루, 니에리, 키투이 등 주변 지역에 이슬람을 전파했다.이 진지한 선교사 인테리어는 매우 현지화된 영향과 함께 개인적인 열정으로 이루어졌다.소수의 아프리카인들만이 개종했고, 그 영향은 [21]오래가지 못했다.

케냐에서 시아파 선교 활동의 한 예는 20세기 파키스탄 학자 무함마드 라티프 안사리의 작품이다.안사리는 1950년대에 남아시아를 떠나 케냐로 향했으며, 먼 곳의 시아파 [8][22]사회에 설교하는 꿈을 이뤘다.그는 그 무렵 이미 유명한 성직자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아시아에서 비교적 유례가 없는 케냐의 [7]시아파 공동체로 들어오는 많은 학자들과 합류했다.안사리는 그곳에서 거주하게 된 후 오늘날과 같이 지역사회가 크고 번영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그는 1958년 12월 아루샤 회의에서 태블리[8][23]필요성을 강조한 연설로 오늘날까지 기억되고 있다.그의 많은 노력은 코자 [8]공동체에 집중되었다.

케냐 서부의 이슬람

이슬람 무역상들은 1870년과 1885년 사이에 이슬람을 서부 지역에 소개했습니다.나봉고의 무미아 족장은 스와힐리 상인들에게 따뜻한 환영을 보냈다.이슬람교도들은 민족 간 전쟁 동안 무미아 추장을 도와 그의 적들을 물리쳤다.그 대가로, 어느 날, 무미아 추장과 그의 가족, 그리고 그의 궁정 관리들이 이슬람교로 개종했다.이후 이슬람은 가카메가, 키수무, 키시, 분고마 등 주변 지역으로 전파됐다.

영향력과 이슬람 봉사활동의 새로운 경향 케냐에서의 독립을 위한 투쟁은 모든 케냐인들에게 매우 중요한 시기였지만, 이슬람교도들의 참여에 대해서는 거의 문서화되어 있지 않습니다.독립 케냐 헌법에 카디 법원을 포함시키기 위한 협상에 이슬람교도들이 참여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슬람교도들의 주요 관여를 지적하고 있다.

1990년대 이슬람 세계에서의 사건들, 위기와 실패의 경험들, 권력과 성공이 진정한 이슬람으로 돌아오라는 요구를 통해 공공과 사적인 세계에서의 이슬람 재주장을 위한 촉매제가 되었다.존 에스포지토는 부활주의의 목표가 풀뿌리에서의 이슬람적 개인 형성을 통한 사회 변혁이라고 본다(1999:20).

개인적이고 공공적인 이슬람 생활에서 증가하는 종교 부흥주의는 이슬람 신앙에 대한 인식을 불러일으켰고, 결국 종교적 준수, 모스크 건설, 기도 및 단식, 종교적 프로그램, 출판물의 확산, 그리고 이슬람 의상과 가치에 대한 강조로 이어졌다.최근 케냐의 카디 법원 업그레이드와 같은 공공 생활에서의 이슬람의 재주장은 간과되지 않고 있다(Esposito:1999:9).

현대 이슬람 활동은 하산 알-반나와 세이이드 쿠트가 이끄는 이집트 무슬림 형제단 (이크환)과 마울라나 아불 알 마우디가 이끄는 이슬람 협회 자마트-이슬람의 이념과 조직 모델 덕분이다.그들의 사상과 부활주의 방법은 오늘날 세계 각지에서 관찰되고 있다.그들은 서방세계가 무슬림 지도자들과 유럽의 방식을 맹목적으로 따르는 무슬림 지도자들을 오도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코란과 하디스는 근대의 요구와 도전에 대처하는 데 기본적이지만 부활 운동은 진정한 이슬람을 전파하고 복원하는 데 중요하다.이슬람 의식이 길어지면서 이슬람에 끌리면서 개종자들에게 자부심을 심어주고 있다.

최근의 이슬람화 경향에서 사용되는 방법은 두 가지이며, 일부는 무슬림에게, 다른 일부는 비무슬림에게 전달된다.사회적 행동, 학교 건립, 보건 시설, 구호 식량 배급이 증가했다.또, 인쇄 매체, 방송, 선교 단체 구성 확대, 공론화 조직(미하다라)을 통해서도 개화한다.조지프 M.케냐 세인트폴 대학교 무테이

시아파 이슬람

케냐의 시아파 이슬람은 주로 많은 종파로 대표되는데, 이들은 주로 중동과 인도에서 온 이슬람 무역상들의 후손이거나 영향을 받은 종파들이다. 이들은 계약 노동자로 또는 무역을 목적으로 동아프리카 해안으로 왔다.시아파 이트나 아셰리파는 인도계 코하스와 케냐 원주민들로 구성되어 있다.시아파 이스마일리 종파는 인도계 다우디 보흐라, 무스타알리 이스마일리 종파, 니자리 이스마일리스 종파로 대표된다.인도계 시아파의 대부분은 19세기에 동아프리카에 도착했는데, 주로 잔지바르와 라무에 상륙했다.처음에는 트레이더로 활동하다가, 나중에는 하드웨어와 유리, 그리고 부동산과 건설업으로 진출했습니다.오늘날 이들 국가는 통신, 정보기술, 제조업, 물류, 수출입 분야에서 케냐 경제의 활력 있는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Khoja Shia IthnaAsheris의 수는 약 2천 명(맘바사 & 나이로비)이고, 원주민 시아파는 3만 명(나이로비, 몸바사, 나쿠루 & 라무)이며, 그들 중 가장 유명한 사람은 수니에서 몸바사, 알 아이다로사에 기반을 둔 시아파로 개종한 케냐인 Shayk Abdillah Nassi Nassirhi이다.Khoja Ismailia 커뮤니티는 매우 소수이며, Dawoodi Bohra는 케냐 전체에서 약 6,500-8,000명, 나이로비에서는 약 2,500명, 몸바사에서는 3,000명 미만이다.나이로비에는 200여 명의 탈당파 진보다우디 보흐라 당원이 있다.

저명한 이슬람교도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2019 Kenya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Volume IV: Distribution of Population by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Kenya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Retrieved 24 March 2020.
  2. ^ a b c Nkirote., Maingi, Anne. The diversity factor in the history of Islam in Nairobi, 1900-1963. OCLC 61571423.
  3. ^ a b Ayubi, Shaheen; Mohyuddin, Sakina (1994-01-01). "Muslims in Kenya: an overview". Institute of Muslim Minority Affairs Journal. 15 (1–2): 144–156. doi:10.1080/02666959408716313. ISSN 0266-6952.
  4. ^ "Chapter 1: Religious Affiliation". The World’s Muslims: Unity and Diversity. Pew Research Center's Religion & Public Life Project. August 9, 2012. Retrieved 4 September 2013.
  5. ^ "The World's Muslims: Unity and Diversity" (PDF). Pew Forum on Religious & Public life. August 9, 2012. Retrieved August 14, 2012.
  6. ^ 헬레네 샤튼-비고, 데이지 로드리게스-토레스입니다나이로비 투데이 조각난 도시의 역설아프리카 북스 콜렉티브, 2010.ISBN 9987-08-093-6, ISBN 978-9987-08-093-9.페이지 239
  7. ^ a b "E-Book of 12 Personalities" (PDF). dewani.ca.
  8. ^ a b c d "Synopsis of the Khoja Shia Ithna Asheri - BILAL OF AFRICA". coej.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4-02.
  9. ^ Salim : 1973
  10. ^ 이븐 바투타 : 5
  11. ^ 큐라이시: 1987:154
  12. ^ a b 트리밍엄: 1983:53
  13. ^ Lodhi:1994:1
  14. ^ 트리밍엄: 1983:54
  15. ^ 홀웨이: 1970:25
  16. ^ a b 트리밍엄: 1983:57
  17. ^ 큐라이시: 1987:174-275
  18. ^ 라쿤자-발다:1989:94
  19. ^ a b 큐라이시: 1987:182
  20. ^ a b 트리밍엄: 1983:59
  21. ^ 큐라이시: 1987:193
  22. ^ Rieck, Andreas (2015). The Shias of Pakistan: An Assertive and Beleaguered Minority (First ed.). p. 83. ISBN 978-0190240967.
  23. ^ 탄자니아 빌랄 무슬림 선교단 하이라이트(1965-86), 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