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의 이슬람교
Islam in Italy이 글은 검증을 위해 인용구가 추가로 필요하다. – · · 책 · · (2009년 10월) (이 |
이슬람교는 이탈리아의 소수 종교다. 이탈리아에 이슬람교도가 주둔한 것은 시칠리아가 압바시드 칼리프하테의 지배를 받았던 9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827년(마자라의 첫 점령)[1]부터 12세기까지 이탈리아에는 대규모 이슬람교인이 주둔하였다. 노르만인의 시칠리아 정복은 이슬람교의 점진적인 쇠퇴로 이어졌는데, 이는 이슬람교도들이 북아프리카로 전향하고 이주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작은 이슬람 공동체는 적어도 1300년까지는 살아남았다(무슬림 정착촌인 루세라 파괴).
20세기 동안 소말리아에서 온 최초의 소말리아 이민자들이 도착하기 시작했다.[citation needed] 더 최근에는 파키스탄, 발칸, 방글라데시, 인도, 모로코, 이집트, 튀니지로부터 이주가 있었다.[2] 이탈리아에도 이슬람으로 개종한 사람이 있다.(특히 시칠리아 섬에서)
법적현황
이탈리아 주에서는 이슬람교를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이탈리아 정부를 대신하여 가톨릭과 다른 종교를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것은 사실상 제안된 종교계와 정부가 서명한 합의에 따라 이탈리아 내무부 장관의 요청에 따라 공화국 대통령에 의해 승인되는 것이다. 그러한 인식은 단순히 특정 종교의 추종자 수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며, 제안된 종교 원칙과 헌법 사이의 조화를 요구한다.[4] 공식적인 인정은 조직화된 종교가 천분의 팔로 알려진 국가적인 "종교세"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준다. 유대교와 하나님의 집회, 후일 예수 그리스도의 교회, 제7일 재림교도와 같은 소규모 단체들을 포함한 다른 종교들은 이미 이탈리아 정부와 협정을 맺는 형태로 공식적인 인정을 받고 있다. 2004년 말, 이탈리아 장관 주세페 피사누는 이슬람 공동체들 사이에 통일된 지도력을 만들기 위한 시도로 출발했다. 2005년에 L'Islam Italiano당 Consulta가 만들어졌다. 이 협의회는 내무부가 선출하는 무슬림 인구 16명으로 구성된다. 이 협의회의 목표는 이슬람 공동체가 이탈리아 정부와 빈번하고 조화로운 대화를 나누는 것이었다. 자문단은 구속력 있는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실질적인 힘을 가지고 있지 않다. 이슬람 공동체를 위한 플랫폼으로 존재한다.[5] 의회 구성원들 사이의 강한 의견 불일치가 그것의 일을 더디게 한다.[6]
역사
사라센스
이탈리아령 판텔레리아 섬(시칠리아 서쪽 끝과 북아프리카 사이에 있다)은 700년 아랍인에 의해 정복되었다. 아랍인들은 일찍이 서기 652, 667, 720년에 로마 시칠리아를 급습했고, 708년에 섬 동쪽 끝의 시라큐스는 처음으로 임시 점령되었으나, 771년까지 지속된 마그레브의 베르베르족의 반란과 740년까지 지속된 이프리키야에서의 내전으로 인해 740년에 계획된 침략은 실패했다.
사르디니아 섬에 대한 아랍의 공격은 로마 제국과의 분리를 유도하여 유대인 시대인 사르디니아 독립의 오랜 기간을 낳았지만 시칠리아에 비해 덜 의미 있고 결국 섬의 정복을 달성하지 못했다.
시칠리아 정복

일부 소식통에 따르면 이번 정복은 마이클 2세 황제의 성적 경솔함에 대한 처벌을 두려워한 비잔틴의 지휘관 유페미우스에 의해 추진됐다. 시라쿠스를 단기간에 정복한 후, 그는 황제로 선포되었으나 충성의 힘에 의해 아프리카의 지야다트 알라 궁정으로 피신하도록 강요당했다. 후작은 시칠리아 정복에 동의했고, 1년 치 공물을 바치는 대가로 유페미우스에게 맡긴다는 약속을 했다. 이프리키야의 아그라비드 총독은 군대의 끊임없는 반란을 종식시키기 위해 827년, 830년, 875년 아라비아, 베르베르, 안달루시아 반군을 파견하여 시칠리아를 정복하도록 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아사드 이븐 알 푸라트가 주도하였다. 팔레르모는 831년에 그들에게 넘어졌고, 메시나(843년), 시라큐스(878년)가 뒤를 이었다. 902년 이프리키안 치안판사 자신이 이 섬에 대항하여 군대를 이끌고 902년 타오르미나를 점령하였다. 본토에 있는 레지오 칼라브리아는 918년에 쓰러졌고, 964년 로메타에는 마지막으로 남은 비잔틴 토홀드가 시칠리아에 떨어졌다.
이슬람교도들 밑에서 시칠리아의 농업이 번창하고 수출 지향적이 되었다. 도시에서는 예술과 공예가 번창했다.[citation needed] 이 섬의 무슬림 수도인 팔레르모는 당시 독일 전체 도시를 합친 것보다 많은 30만 명의 주민이 살고 있었다. 무슬림이 정복한 지역 인구는 서 시칠리아 지방의 로마화된 가톨릭 시칠리아인, 그리고 부분적으로 그리스어를 쓰는 기독교인들이었는데, 주로 섬의 동쪽 절반에 위치했지만, 유태인도 상당히 많았다.[7] 이 정복당한 사람들은 이슬람교도들의 통치하에 dhimmis로서 종교의 자유가 주어졌다. dhimmi도 jizya, 즉 투표세, kharaj 또는 토지세를 내야 하지만 이슬람교도가 내야 하는 세금(Zakaat)은 면제되었다.지즈야의 지불은 외부와 내부의 침략에 대한 보호의 대가로 이슬람의 통치에 복종하는 표시다. 정복당한 인구는 단순히 이슬람으로 개종함으로써 이러한 복종적인 지위를 피할 수 있었다. 많은 수의 시칠리아 원주민들이 이슬람교로 개종했다. 그러나 100년의 이슬람 통치 후에도 수많은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기독교 공동체가 번창했고, 특히 시칠리아 북동부 지역에서는 dhimmis로 번창했다. 이것은 주로 공존을 허용한 지즈야 제도의 결과였다. 이러한 정복된 인구와의 공존은 특히 1189년 윌리엄 2세 시칠리아 국왕의 죽음 이후 시칠리아 재회전한 후 무너졌다. 11세기 중반까지 이슬람교도들은 시칠리아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에미레이트 항공
시칠리아에서 무슬림들은 본토에 대한 습격을 개시했고 칼라브리아를 황폐화시켰다. 835년, 그리고 837년 다시 나폴리 공작은 베네벤토 공작과 싸우고 있었고 시칠리아 이슬람교도들에게 도움을 호소했다. 840년 타란토와 바리가 이슬람교도에게 함락되었고 841년 브린디시에도 함락되었다.[8] 843, 846, 849년에 로마에 대한 무슬림들의 공격이 실패했다. 847년 타란토, 바리와 브린디시는 아그라비드로부터 독립한 에미리트임을 선포했다. 수십 년 동안 이슬람교도들은 지중해를 통치했고 이탈리아 해안 도시들을 공격했다. 이슬람교도들은 868년에서 870년 사이에 시칠리아에 있는 라구사를 점령했다.
870년 몰타가 함락된 후에야 서양 기독교인들은 이슬람교도들과 싸울 수 있는 군대를 세우는 데 성공했다. 그 후 20년 동안, 본토에 있는 이슬람교도들에 의해 소유된 대부분의 영토는 이슬람의 통치로부터 해방되었다. 프랑코-로마 황제 루이 2세는 브린디시를 정복하고 871년 바리에서 아랍인들을 물리쳤으나, 그 후 아그라비드에 포로로 쓰러졌다. 그의 대신 880년 비잔틴인들이 타란토를 정복했다. 882년, 이슬람교도들은 나폴리와 로마 사이의 가리글리아노 어귀에 가에타와 연합한 북쪽에 새로운 기지를 세워 라치오에 있는 사비니아뿐만 아니라 캄파니아도 공격했다. 100년 후, 비잔틴인들은 시칠리아 이슬람교도들에게 전화를 걸어 독일 황제 오토 2세의 운동에 대한 지지를 요청했다. 982년 스틸로 전투에서 오토를 이겼고, 이후 100년 동안 오토의 후계자들이 이탈리아 남부에 들어오는 것을 막는 데 크게 성공했다.
1002년 베네치아 함대가 바리를 포위한 무슬림들을 물리쳤다. 이프리키야에서도 아그라비드족이 패배한 후 시칠리아는 10세기에 그들의 파티미드 후계자로 전락했으나 칼비드 휘하의 수니파와 시아파 회교도들 간의 싸움으로 독립을 주장했다.
피에몬트의 습격
스페인 비시가트 왕국(729–765년)을 정복한 후, 셉티마니아와 나르본느 출신의 아랍인과 베르베르인이 이탈리아 북부로 급습을 감행하였고, 793년에는 다시 이탈리아 북서부(니케아 813, 859, 880)로 공세를 개시하였다. 888년 안달루시아 회교도들은 프랑스 프로방스의 프레주스 근처 프락시네트에 새로운 기지를 세웠고, 그곳에서 해안과 프랑스 내부를 따라 습격을 시작했다.
915년 가리글리아노 전투 이후 무슬림들은 남부 라치오에서 근거지를 잃었다. 926년 이탈리아의 휴 왕은 그의 북부 이탈리아 경쟁자들과 싸우기 위해 이슬람교도들을 불렀다. 934년과 935년 제노바와 라 스피지아가 공격을 받았고, 942년 니케아가 그 뒤를 이었다. 피에몬트에서 이슬람교도들은 아스티와 노비까지 갔고, 또한 론 계곡과 알프스의 서쪽 측면을 따라 북쪽으로 이동했다.[citation needed] 부르고뉴 군대를[citation needed] 물리친 후, 942–964년에 그들은 사보이를 정복하고 스위스 일부(952–960)를 점령했다.[citation needed] 아랍인들과 싸우기 위해 휴의 라이벌인 베렝가르 1세는 헝가리인들을 불렀고, 그들은 차례가 되어 이탈리아 북부를 황폐화시켰다. 투르투르 전투에서 무슬림들이 패배한 결과, 프락시네트는 972년 기독교인들에 의해 패배하고 파괴되었다. 30년 후인 1002년에 제노아가 침략을 당했고, 1004년에는 피사였다.[citation needed]
피사와 제노아가 힘을 합쳐 코르시카(이슬람 810/850-930/1020)와 사르디니아에 대한 무슬림 통치를 종식시켰다. 1015년 사르디니아에서는 안달루시아의 데니아 영주 선단이 스페인에서 와서 티레니아 해와 이탈리아 반도를 관할하기 위한 로지스틱 기지로 임시 군영을 정착시켰으나, 1016년에는 제노바와 피사의 군사 개입으로 기지를 떠날 수밖에 없었다.
노르만족의 치실리


칼비드 족 밑에서 시작된 시칠리아의 문화경제적 개화는 내부 싸움으로 중단되었고 튀니지 지리드(1027년), 피사(1030년–1035년), 로마인(1027년 이후)의 침략이 이어졌다. 동부 시칠리아(메시나, 시라쿠스, 타오르미나)는 1038–1042년에 비잔틴인들에게 붙잡혔다. 1059년 로저 1세가 이끄는 남부 이탈리아 출신의 노르만인들이 섬을 침략했다. 노르만족은 1060년(로마닌 1027년)에 레지오를 정복했다. 메시나는 1061년 노르만족에게 함락되었다; 이슬람의 지배를 보존하기 위한 알제리 함마드족의 침입은 1063년 제노바와 피사의 함대에 의해 좌절되었다. 1072년 팔레르모의 상실과 1088년 시라큐스의 상실을 막을 수 없었다. 노토와 시칠리아의 마지막 무슬림 거점이 1091년에 무너졌다. 1090-91년에 노르만인들도 몰타를 정복했고, 1123년에 판텔레리아가 멸망했다.
소수의 이슬람교도 인구가 노르만인의 통치하에 시칠리아에 남아 있었다.[9][10] 로저 2세는 그의 궁정, 그 중에서도 유명한 지리학자 무함마드 알 이드리시와 시인 무함마드 이븐 자파르가 사회를 보았다. 처음에, 이슬람교도들은 노르만인들에게 용인되었지만, 곧 교황들의 압력으로 인해 차별이 심해졌다; 대부분의 모스크는 파괴되거나 교회로 만들어졌다.[citation needed] 최초의 시칠리아 노르만인들은 십자군에 참가하지 않았지만 1157년 알모하드족에게 패배하기 전에 이프리키야에서 여러 차례의 침략과 습격을 감행하였다.
시칠리아에서의 이 평화로운 공존은 마침내 1189년 윌리엄 2세의 죽음으로 끝이 났다. 그 당시 이슬람 엘리트들은 이민을 갔다. 그들의 의학 지식은 스콜라 메디카 살레르니타나에 보존되었다; 예술과 건축에 있어서의 아라비아-로마-노르만 종합은 시칠리아 로마네스크로 살아남았다. 남아 있는 무슬림들은 예를 들어 시칠리아에 있는 칼타기론(Caltagirone)으로 도망치거나, 산 속에 숨어서 1194년부터 섬을 지배하는 호엔슈타우펜 왕조에 대항하여 계속 저항하였다. 섬의 심장부에서 이슬람교도들은 Ibn Abbad를 시칠리아의 마지막 에미르로 선포했다.
이 격변을 종식시키기 위해 스스로 십자군원정이었던 프레데릭 2세는 시칠리아에 남아 있는 몇 안 되는 무슬림들을 없애기 위한 정책을 선동했다. 이 청소는 교황의 영향 아래 소규모로 이루어졌지만 대부분 기독교인이 아닌 침투자들에게 영향을 받지 않는 충실한 군대를 만들기 위해 이루어졌다. 1224–1239년에 그는 시칠리아에서 모든 이슬람교도들을 엄격한 군사적 통제하에 (무슬림 이외의 지역에 침투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해) 자치 식민지로 추방했다. 그러나 이슬람교도들은 프레드릭의 정치적 경쟁자들과 아무런 관련이 없기 때문에 군대에 의해 모집되었고 그의 충실한 개인 경호원이 되었다. 1249년, 그는 몰타에서도 이슬람교도들을 쫓아냈다. 루세라는 1300년 나폴리 왕 샤를 2세의 선동으로 기독교인들에게 복위되었다. 이슬람교도들은 강제 개종, 살해 또는 유럽에서 추방되었다. 그러나 1336년[11] 아풀리아에서 무슬림 공동체가 여전히 기록되었고 매우 최근인 2009년에, 한 유전자 연구는 루세라 지역 근처의 오늘날의 주민들 사이에서 작은 유전적 북아프리카의 기여를 밝혀냈다.[12]
시칠리아의 스페인 통치 기간 중
스페인 시칠리아 통치 기간 동안, 그리고 이베리아 반도에 있는 모리스코스(기독교로 개종한 무슬림)의 스페인 종교재판에서 벗어나기 위해 몇몇 모리스코스가 시칠리아로 이주했다. 이 기간 동안 시칠리아의 광범위한 무슬림 '무어' 인구를 제거하려는 시도가 여러 차례 있었다. 이 공격은 또한 16세기와 17세기 동안 이슬람을 부정하는 것을 거부한 암호 이슬람 노예들과 시칠리아 반역자들에 대한 것이었다.[13] 그러나 실제로 지시가 이뤄졌는지는 의문이다. 일부 전 무슬림들이 시칠리아에 잔류할 수 있었던 주된 이유는 모리스코스가 시칠리아에 머물 수 있도록 허용했다는 이유로 현재 팔레르모에 공식적으로 총독으로 설치된 오수나 공작이 마드리드의 스페인 군주에게 주창했기 때문이다. [14][15]
15세기: 오트란토의 오스만
이 세기 동안 오스만 제국은 남동유럽에서 강력하게 팽창하고 있었다. 1453년 술탄 메흐메트 2세 휘하에서 콘스탄티노플과 갈라타를 정복하여 비잔틴 제국의 흡수를 완료하였다. 1475년 흑해에서 제노아의 마지막 보루, 1479년 베니스의 그리스 식민지 에우보에아를 점령했다. 터키군은 1479년 이탈리아 북동부의 프리울리 지역을 침공했고 1499–1503년에 다시 침공했다. 브린디시에서 남동쪽으로 약 100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오트란토 아풀리안 항구도시는 1480년(오토만 침공)에 점령당했으나, 1481년 나폴리 알폰소 2세가 이끄는 여러 이탈리아 도시국가, 헝가리, 프랑스가 연합하여 터키군은 그곳에서 패망하였는데, 이때 메흐메트가 죽고 후계전쟁이 발발하였다. 오스만 왕위 계승자인 젬 술탄은 교황의 지원에도 불구하고 패배했고, 그는 가족과 함께 나폴리 왕국으로 도망쳤다. 그는 1492년 그의 남자 후손들에게 교황으로부터 프린시페 드 세이드라는 칭호를 수여받았다. 이들은 17세기까지 나폴리에서 살았고 1668년까지 시칠리아에서 살다가 몰타로 이주했다.
16세기의 공격
오트란토가 추가 정복을 위한 거점이 될 의도였는지는 논쟁의 대상이다. 어쨌든 오스만 술탄들은 이탈리아 반도를 점령하고 콘스탄티노플 정복 이후 마침내 이슬람 주권을 설치하겠다는 야심을 버리지 않았었다. 1526년 라구사(두브로브니크)와 헝가리를 정복하고 1529년 비엔나에서 터키군이 패배한 후 터키 함대는 다시 이탈리아 남부 지역을 공격했다. 레지오는 1512년 바르바로사라는 별명으로 더 잘 알려진 터키의 유명한 코르사르 카이르 알딘에 의해 해고되었다. 1526년 터키인들은 다시 레지오를 공격했지만, 이번에는 좌절을 겪었고 다른 곳으로 시선을 돌릴 수밖에 없었다. 1538년에 그들은 베네치아 함대를 격파했다. 1539년 니스호는 바바리 해적(시게 오브 니스)의 습격을 받았으나, 1553년 판텔레리아 정복 시도와 1565년 몰타 공성처럼 시칠리아에 대한 터키 상륙 시도가 실패했다.
스페인 다음으로 1571년 레판토 전투에서 기독교 '홀리 리그'가 승리한 데 가장 큰 공헌은 베네치아 공화국에 의해 이루어졌는데, 1423년에서 1718년 사이에 오스만 제국과 8개의 값비싼 전쟁을 치렀다. 1594년, 레지오 시는 이슬람으로 개종한 반역자 유수프 시난 파샤에 의해 다시 경질되었다.
현재.
2016년 퓨 리서치센터(Pew Research Center) 전망과 브루킹스에 따르면 이탈리아에는 140만 명의 이슬람교도(이탈리아 인구의 2.3%)가 있으며, 이는 이탈리아 외국인 인구의 거의 3분의 1(25만 명이 이탈리아 시민권을 취득했다)이다.[18][19] 이탈리아 내 무슬림 대다수는 시아파 소수민족인 수니파다. 이 나라에는 또한 소수의 아마디 이슬람교도들이 있다.[17] 이러한 다양성은 이탈리아 이슬람 공동체 전체에 조직의 부족을 초래했다. 이에 따라 지역사회도 응집력 있는 리더십이 부족하다.[20]
이탈리아에서 소수 무슬림들을 대표하는 불법 이민자들에도 불구하고, 불법 이민자들과 난민들이 주로 이슬람 국가들에서 온다는 점을 고려하면, 현대 이탈리아에서의 이슬람 문제는 일부 정당들(특히 레가 노르드)과 이민, 그리고 더 구체적으로 불법 이민에 의해 연계되어 왔다. 이민은 특히 여름철에 불법 이민자들의 보트에 대한 보도가 뉴스 프로그램을 지배하면서 두드러진 정치적 이슈가 되었다. 경찰이 이탈리아 해변에 상륙하는 수천 명의 은둔자 중 상당수를 저지하는데 큰 성공을 거두지 못한 것은 주로 EU가 이 문제를 다루기 위해 육성하고 있는 정치적 불감증 때문이었다. 그러나 이탈리아가 독일, 프랑스, 영국보다 경제적 기회와 사회복지 서비스를 더 적게 제공한다는 사실 때문에, 이탈리아에 상륙하는 대부분의 은밀한 나라들은 다른 EU 국가들에 대한 관문으로만 이 나라를 이용하고 있다.
중세에는 무슬림 인구가 거의 완전히 인슐라 시칠리아와 아풀리아 루체라 시에 집중되어 있었지만 오늘날에는 이탈리아 북부에서 거의 60%, 중앙에서 25%, 남부에서만 15%에 가까운 무슬림 인구가 거주하면서 더욱 고르게 분포하고 있다. 이탈리아 내무부와 카리타스의 최근 통계 보고서에 따르면 이슬람교도들은 1990년대 초 50% 이상(주로 알바니아인과 모로코인)에서 이후 10년 동안 25% 미만으로 감소해 예년에 비해 이민자 비율이 낮아졌다.e 동유럽으로부터의 대량 입국
최근 이탈리아 민족과 무슬림 이민자 사이의 논쟁점에는 학교 교실, 관공서, 병원 병동 등 공공건물에 십자가형이 강하게 존재한다는 점 등이 있다. 아델 스미스는 공공시설에서 십자가형을 없애줄 것을 요구해 상당한 언론의 관심을 끌었다. 이탈리아 국가평의회는 2006년 2월 13일, 556호에서 정부 후원 공간에 십자가형을 전시하는 것을 확인했다. 스미스는 그 후 2006년에 가톨릭의 명예를 훼손한 혐의로 기소되었다.[21]
2016년 11월 안젤리노 알파노 내무장관은 이탈리아가 인종 폭력을 선동한 혐의로 9명의 이맘을 추방했다고 보고했다.[22]
2017년 1월 이탈리아 내 무슬림 커뮤니티 70% 정도를 대표하는 커뮤니티 단체들은 정부와 '모든 형태의 폭력과 테러를 거부한다'는 내용의 협약을 맺고 이탈리아어로 된 모스크에서 기도하거나 최소한 번역하도록 했다.[23]
이탈리아의 무슬림 교도소 인구
2013년 현재 이탈리아에 억류된 총 6만4760명 중 약 1만3500명(20.8%)이 주로 모로코와 튀니지를 비롯한 이슬람 주요국 출신이다.[24]
로마에서는, 이탈리아 죄수들의 적어도 35%가 이슬람 다수를 가진 국가 출신이고, 이탈리아 교도소의 거의 4분의 1은 전용 이슬람 기도 지역을 가지고 있다.[24]
모스크
이탈리아에는 총 8개의 모스크가 있다. 이탈리아는 유럽에서 네 번째로 많은 이슬람교 인구가 살고 있는 반면, 이슬람 사원의 수는 프랑스(2,200개 이상의 모스크가 있는 나라)와 1,500개 이상의 모스크가 있는 영국(사원의 본거지)에 비하면 아주 적다.[25] 이탈리아에서 이슬람 사원의 부족은 이탈리아가 이슬람교를 공식적으로 종교로 인정하지 않는 데 기인한다.[25] 공식적인 국가 인정은 예배 장소를 보장하고 보호하며, 종교적인 휴일을 인정하고, 공공 기금에 대한 접근을 허용할 것이다.
과거 정부가 이슬람 사원을 폐쇄하려는 시도뿐만 아니라 이슬람 운동가들을 특별하게 석방한 사례도 여러 건 있었다.[26] 많은 모스크 건설이 지역 주민들의 반대로 막히고 있다.[26] 2008년 9월, 레가 노르드 정당은 이슬람교도들이 어디에서든 기도할 수 있고, 모스크가 필요하지 않다고 주장하며, 이 나라의 많은 지역에 새로운 모스크의 건설을 막았을 새로운 법안을 도입했다고 보고되었다. 밀라노에서는 이미 모스크 건설이 막혔었다.[27] 그 법안은 승인되지 않았다.
극단주의
2007년 페루자 폰테 펠치노의 모스크에 있는 모로코 이맘은 극단주의적인 견해 때문에 이탈리아 정부에 의해 추방되었다.[28]
외국인 용의자의 추방(유출)은 이탈리아가 과격파 의심자들에 대한 예방 대테러 싸움의 초석이 되어 왔다.[29] 모든 추방자들은 5년 동안 이탈리아와 첸겐 지역 전체에 재입국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다. 이탈리아는 급진화된 많은 이슬람교도들이 이민 1세대여서 아직 이탈리아 시민권을 획득하지 못했기 때문에 이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탈리아에서도 유럽의 다른 곳과 마찬가지로 교도소 수감자들이 수감 중에 과격화 조짐을 보이고 있으며 2018년에는 석방과 동시에 41명이 추방되었다.[29] 2015~2017년 이탈리아 정부에 의해 추방된 147명 중 12명은 모두 지하드, 12명은 이맘이었다.[30] 2015년 1월부터 2018년 4월까지 300명이 이탈리아 땅에서 추방됐다.[31] 대부분의 추방자들은 북아프리카 출신이고, 더 작은 집단은 발칸 반도 출신이다.[30]
2010년대 중후반, 이탈리아에서는 이슬람교도들이 온라인 콘텐츠를 이탈리아어로 쓰면서 '자생적인' 이슬람주의 운동이 일어나기 시작했다.[32] 급진적인 개인들은 이슬람 사원에서 동료 극단주의자들과 접촉할 수 있지만, 세뇌와 폭력의 계획은 다른 곳에서 일어난다.[32]
2016년 8월 1일부터 2017년 7월 31일까지 총 8개의 이맘이 추방됐다. 그 후 12개월 동안, 두 명이 추방되었다.[33]
2016년 7월, 노벤타 비센티나의 아소나 센터에 있는 모로코 이맘은 극단주의적인 견해를 표명하고 보안 위협을 가했다는 이유로 추방되었다. 대부분의 극단주의자들은 5년에서 10년 동안 금지되어 있는 반면, 무하마드 마다드는 15년 동안 귀환하는 것이 금지되었다.[34]
경찰은 2018년 3월 포기아에서 철도역 인근에 위치한 알다와 무허가 기도원을 상대로 테러방지 작전을 펼쳤다. 이집트인 압델 라흐만 모히가 이슬람국가 선전을 이용해 아이들에게 설교했다.[32]
이탈리아 교도소에 따르면 2018년 10월 테러 범죄로 실형을 선고받거나 재판을 기다리고 있는 무슬림 수감자는 66명이었다.[35]
이슬람 공포증
이탈리아 내 무슬림 인구는 프랑스, 독일, 영국, 스페인 등에 비해 매우 적지만 과거 이탈리아 원주민과 이슬람교도 사이의 긴장으로 이탈리아 내 반이슬람 감정이 고조되고 있는데, 이는 9.11 테러와 2005년 7월 7일 런던 폭탄 테러 이후 뚜렷해졌다.[36] 퓨 리서치센터가 2019년 발간한 설문조사 결과 이탈리아인의 55%가 무슬림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37] 이탈리아 현지 언론의 상당 부분은 간접적으로 이슬람과 테러리즘 전체를 연관시킨다. 이것은 이러한 불리한 의견에 기여한다.[38]
이슬람교 예배 장소에 대한 폭력 행위
최근 몇 년 동안 이탈리아에서는 이슬람교 예배 장소에 대한 폭력 행위가 있었다.
- 1994년 4월 24일 알벤가의 옛 사원에 있는 작은 사원에서 화염병이 불을 일으켰다.
- 2001년 9월 시칠리아·남이탈리아 폭탄테러 이후 반 이슬람 테러
- 2004년 1월 24일, 차에서 던진 바위가 세그레이트 모스크 입구 창문을 통해 침입했다.
- 2004년 4월 사보나에 있는 자비사원은 문 위에 스와스티카를 포함한 차별적인 스프레이 글씨를 쓰는 대상이었다.
- 2010년 8월 3-4일 밤 볼로냐의 루체 모스크 사무실에서 전단으로 울타리를 뚫고 들어간 무명의 사람들이 방화를 감행했다. 이 행위는 볼로냐의 유대인 사회와 여러 정치세력에 의해 비난 받아왔다.
단체들
소수의 이탈리아 이슬람교도들은 종교단체에 속하며, 그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다음과 같다.
- UCOII Unione delle Comunita d'Italia(이탈리아의 이슬람 공동체 및 단체 연합)
- 창립 이후 전교조는 최근 제1차 이슬람 연락처가 되려고 시도하는 등 정치현장에서 활발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20]
- 유럽에서[citation needed] 가장 큰 모스크로 [39]정평이 나 있는 로마 모스크에 자리를 잡은 CICI, 센트로 이슬람교 문화원 d'Italia.
- 밀라노에 자리 잡고 있지만 로마에도 지사를 두고 있는 코리스, 코뮌타 종교이슬람이탈리아.[40]
- 이탈리아 이슬람 학생 연합, USMI
- 1970년대에 페루지아에서 설립되어 요르단, 시리아, 팔레스타인 학생들로 주로 구성된 이 단체의 이념은 1920년대 이집트의 초국가 이슬람 운동인 무슬림 형제단과 상당히 유사하다.[20]
저명한 이슬람교도
- 비니 파즈, 작사가 겸 가수.
- 시인이자 출판사인 레다 라파넬리.
- 아델 스미스, 활동가.
- 아흐마드 지안피에로 빈첸초, 활동가.
- 스테판 엘 샤라위 축구선수
- 수피족 인물인 압드 알 와히드 팔라비치니 이탈리아 이슬람 종교 공동체(COREIS)와 종교 간 학술원(아카다비아 ISA) 설립자
참고 항목
- 이탈리아 남부 이슬람의 역사
- 노르만-아랍-바이잔틴 문화
- 무어
- 이탈리아의 종교
- 이탈리아의 기독교
- 이탈리아의 시크교
- 이탈리아의 유대인
- 이탈리아의 힌두교
- 이탈리아의 불교
- 이탈리아의 종교계 소수민족 정치인 목록
- 유럽의 이슬람 복장
참고 및 참조
- ^ "Assessment of the status, development and diversification of fisheries-dependent communities: Mazara del Vallo Case study report" (PDF). European Commission. 2010. p. 2.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14 November 2012. Retrieved 28 September 2012.
In the year 827, Mazara was occupied by the Arabs, who made the city an important commercial harbour. That period was probably the most prosperous in the history of Mazara.
- ^ "Statistiche demografiche ISTAT". demo.istat.i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June 2013. Retrieved 10 April 2018.
- ^ "La comunità islamica più numerosa in Italia? Quella Italiana Migranti Torino" (in Italian). Retrieved 2021-04-14.
- ^ 이탈리아 내무부 - 2012-02-26년 웨이백 기계에 보관된 이탈리아 정부와 다른 종교 사이의 규정
- ^ Vidino, Lorenzo. "Islam, Islamism and Jihadism in Italy". Current Trends in Islamist Ideology. 7: 7–27 – via Hudson.
- ^ "Archivio Corriere della Sera". archiviostorico.corriere.i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September 2015. Retrieved 10 April 2018.
- ^ 보관된 링크: 이슬람에서 기독교로: 시칠리아의 사례, 찰스 댈리, 153쪽. 종교에서 의식과 신화 : 유럽에서의 정체성 형성의 측면 / 2006년 요아킴 카르발호 편집, ISBN 88-8492-404-9
- ^ 비잔티움, 로밀리 제임스 헤알드 젠킨스: 제국 세기, AD 610-1071 (토론토 대학 출판부, 1987), 186.
- ^ Inturrisi, Louis. "TRACING THE NORMAN RULERS OF SICILY". nytimes.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March 2009. Retrieved 10 April 2018.
- ^ "The Administration of the Norman Kingdom of Sicily" (PDF).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008-02-27. Retrieved 2007-12-18.
- ^ 노먼 대니얼스, 아랍과 중세 유럽, 런던, 롱만 그룹 리미티드, 1975년
- ^ "표 1의 검사 결과 이탈리아 반도의 남서부 아프리카 유형의 비랜덤 분포가 밝혀졌는데, 남부 아펜니 산(이스트 캄파니아, 노스웨스트 아풀리아, 루세라)의 지리적으로 가까운 3개 표본에서 이탈리아 평균 추정치보다 적어도 2배 이상 증가했다. 이 세 개의 이탈리아 표본을 합치면 4.7%의 국지 주파수를 나타냈는데, 북부와 남이탈리아의 나머지 부분(...)과는 현저하게 차이가 있었다. 유럽의 무어스와 사라센스는 2009년 1월 21일 카펠리 등 웨이백머신, 카펠리 등 유럽 저널 휴먼유전학(European Journal of Human Genetics)에서 2009-04-20년 중세의 북아프리카 남성 유산을 추정했다.
- ^ Messana, Maria Sofia (2007). "Muslim resistance and Islamic martyrs: "moriscos", slaves and Christian renegades facing the Spanish Inquisition in Sicily". Quaderni storici (3/2007). doi:10.1408/25918. ISSN 0301-6307.
- ^ The James Blair Historical Review (2015-10-15). "Volume 6". James Blair Historical Review. 6 (1).
- ^ Salah, Asher. "Moriscos in Sicily in the Years of the Expulsion (1609–1614), Journal of Levantine Studies, Vol. 6, Summer/Winter 2016, pp. 333-355". Cite 저널은 필요로 한다.
journal=
(도움말) - ^ Merelli, Annalisa. "There are over 1.6 million Muslims in Italy—and only eight mosques — Quartz". qz.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December 2017. Retrieved 10 April 2018.
- ^ Jump up to: a b "Immigrazione in Italia 2016: i numeri dell'appartenenza religiosa". ismu.org. 18 July 201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July 2018. Retrieved 10 April 2018.
- ^ "Table: Muslim Population by Country". Pew Research Center's Religion & Public Life Project. 2011-01-2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9-10-29. Retrieved 2019-11-05.
- ^ Caiani, Manuela (24 July 2019). "Muslims in the West and the rise of the new populists: The case of Italy". Brooking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9-11-10. Retrieved 2019-11-10.
- ^ Jump up to: a b c "Italy The World Almanac of Islamism". almanac.afpc.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9-11-06. Retrieved 2019-11-06.
- ^ 촉매 매거진
- ^ "From mafia to terror, the Italian way". Politico.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November 2016. Retrieved 4 November 2016.
- ^ "Italian Muslims sign anti-extremism pact". The Local. 2 February 20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December 2017. Retrieved 20 December 2017.
- ^ Jump up to: a b "Italy: 13,000 prison inmates from Muslim countries - General news - ANSAMed.it". www.ansamed.info.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9-11-06. Retrieved 2019-11-06.
- ^ Jump up to: a b Merelli, Annalisa. "There are over 1.6 million Muslims in Italy—and only eight mosques". Quartz.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9-11-06. Retrieved 2019-11-05.
- ^ Jump up to: a b "Milan mosque 'to be closed down'". 7 July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December 2017. Retrieved 10 April 2018 – via news.bbc.co.uk.
- ^ Brown, Stephen. "Italy's right to curb Islam with mosque law". reuters.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September 2008. Retrieved 10 April 2018.
- ^ "Terrorismo, espulso un altro Imam: predicava a Perugia e Corciano". PerugiaToda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8-08-25. Retrieved 2018-08-25.
- ^ Jump up to: a b ispisito (2018-12-14). "The measure of expulsions for extremism". ISPI.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8-12-21. Retrieved 2018-12-21.
- ^ Jump up to: a b Marone, Dr Francesco (2017-03-13). "The Use of Deportation in Counter-Terrorism: Insights from the Italian Ca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8-12-21. Retrieved 2018-12-21. Cite 저널은 필요로 한다.
journal=
(도움말) - ^ Vidino; et al. (2018). DE-RADICALIZATION IN THE MEDITERRANEAN - Comparing Challenges and Approaches (PDF). Milano: ISPI. pp. 13–15, 24, 26, 35–36. ISBN 9788867058198.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018-08-24. Retrieved 2018-12-21.
- ^ Jump up to: a b c "Jihadist Madrasat in Italy: A Background ISPI". www.ispionline.i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8-08-25. Retrieved 2018-08-25.
- ^ DOSSIER VIMINALE (PDF). Ministerio dell'Interno. 2018. p. 10.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018-08-25. Retrieved 2018-08-25.
- ^ "Predicava la "guerra santa", espulso l'imam: ha chiamato la figlia Jiha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8-08-25. Retrieved 2018-08-25.
- ^ ispisito (2019-02-28). "Jihadist Radicalization in Italian Prisons: A Primer". ISPI.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9-03-09. Retrieved 2019-03-20.
- ^ Cere, Rinella (2002). ""Islamophobia" and the Media in Italy". Feminist Media Studies. 2: 133–136. doi:10.1080/146807702753745392. S2CID 143907923.
- ^ "European Public Opinion Three Decades After the Fall of Communism — 6. Minority groups". Pew Research Center. 14 October 201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October 2019. Retrieved 2 November 2019.
- ^ Momigliano, Anna. "In Italy, Islam doesn't officially exist. Here's what Muslims must accept to change that". Washington Pos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9-11-10.
- ^ "The Grand Mosque of Rome and Islamic Cultural Centre".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7 September 2007. Retrieved 2018-03-02.
- ^ "CO.RE.IS (Comunità Religiosa Islamica) Italiana" (in Itali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8-03-03. Retrieved 2018-03-02.
-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8-04-28. Retrieved 2018-04-24.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추가 읽기
- Allievi, Stefano (July 2003). "Sociology of a Newcomer: Muslim Migration to Italy - Religious Visibility, Cultural and Political Reactions". Immigrants and Minorities. 22 (2–3): 141–154. doi:10.1080/0261928042000244790. S2CID 144179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