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 라플란체
Jean Laplanche장 라플란체 | |
---|---|
태어난 | 1924년 6월 21일 프랑스 파리 |
죽은 | 2012년 5월 6일(87) 프랑스 뷰네 |
국적 | 프랑스어 |
과학 경력 | |
필드 | 정신분석학, 유리학 |
영향 | 자크 라칸, 개스톤 바첼라르, 모리스 멀레우 폰티 |
영향받은 | 코넬리우스 카스토리아디스, 주디스 버틀러 |
장 라플란체(프랑스어: [laplɑ̃]; 1924년 6월 21일 – 2012년 5월 6일)는 프랑스의 작가, 정신분석학자, 와인메이커였다. 라플랑슈는 정신성 발달과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유혹 이론에 관한 연구로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십여 권이 넘는 정신분석학 이론에 관한 책을 저술했다. 학술지 '급진철학'은 그를 "그의 시대에 가장 독창적이고 철학적으로 알려진 정신분석 이론가"[1]라고 묘사했다.
1988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라플란체는 프로이트의 전집을 독일어로 번역하여 프랑스어로 번역한 과학 감독이었다(Oeuvres Confétes de Freud / Pychanalyse - OCF).P) 안드레 부르기뇽,[2] 피에르 코테, 프랑수아 로베르트와 함께 프랑스 프레스 유니버설 기고자들.
인생
일찍
라플랑슈는 프랑스의 Côte d'Or 지역에서 자랐다. 청소년기에 그는 좌파 사회 정의 단체인 카톨릭 활동에서 활동했다.[3] 라플랑슈는 1940년대에 에콜 노르말 수페리에 참석해 철학을 공부했다. 그는 장 히폴리테, 개스톤 바첼라르, 모리스 멜라우 폰티의 학생이었다. 1943년 비시 정권 때 라플란체는 프랑스 레지스탕스에 가담하여 파리와 부르고뉴에서 활동하였다. 1946-47년에 그는 하버드 대학을 1년 동안 방문했다. 그는 그 대학의 철학과에 들어가는 대신 사회관계학부에서 공부했고, 정신분석학 이론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프랑스로 돌아온 후 라플란체는 강의를 듣고 자크 라칸 밑에서 정신분석 치료를 받기 시작했다. 라플란체는 라칸의 조언을 받아 의학을 공부하기 시작했고, 결국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스스로 분석가가 되어 국제정신분석협회에 가입했고, 이 중 그는 죽을 때까지 회원으로 남아 있었다.
라플랑슈는 정치 활동을 계속했다. 1948년 라플랑슈는 트로츠키즘과 결별한 후 조직인 사회주의 오우 바바리(사회주의 또는 야만주의)의 창립 멤버 중 한 명이었으나, "저널에 헤게모니를 내세운 코넬리우스 카스토리아디스"의 영향으로 이 단체의 "극단권은 곧 불가능해졌다"는 점에 주목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라플랑슈는 1968년까지 "사회주의 오 바바리에의 논문에 찬성한다"는 입장을 유지했다.[1]
나중
포마드의 위네마킹
라플란체는 여러 해 동안 그의 아내 나딘과 함께 프랑스의 포도밭인 샤토 데 폼마드를 운영했다. 샤토 데 폼마드는 부르고뉴에 있는 50에이커(20만 m2)의 와이너리로, ô테-도르 지역에서 가장 긴 연속 포도밭을 가지고 있다. 라플랑슈족은 그 땅에 살면서 여러 해 동안 포도주를 만들었다. 2003년에 이 부부는 이 부동산을 새로운 소유주들에게 팔았다. 그 거래에는 라플랑슈가 그 땅에 남아 윈메이킹 과정에 참여하기 위해 일정 기간 동안 계속하기로 하는 합의가 포함되어 있었다.[4] 그들의 와인은 "라칸의 옛 제자가 재배하고 병에 담은 세계 유일의 포도주"[5]라고 광고되어 왔다.
라플랑슈와 그의 아내는 아그네스 바르다의 다큐멘터리 "The Gleaners and I"에서 와인과 정신분석에 관한 인터뷰를 했다.
Nadine Laplanche는 2010년 봄에 죽었다. 장 라플랑슈는 2년 뒤 죽을 때까지 포마드에서 독점적으로 사는 것 같았다.
정신분석학자, 과학자와 학자는
장 라플란체(Jean Laplanche)는 프랑스 파키아날리티크(Psychanalytique de France)(1964)의 창립자 중 한 명이며, 1969~1971년 사장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그는 후에 장베르트랑 폰탈리스와 가이 로솔라토와 함께 이 협회의 명예 회원이 되었다.
라플랑슈는 로잔 대학(1986년),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 아테네 대학으로부터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Mary S의 우승자였다. 시고니상(1995) 라플란체 또한 1990년에 예술과 편지의 기사 작위가 되었다.[3]
장 라플란체(Jean Laplanche)는 파리 대학의 명예교수로 1970년부터 1993년까지 가르쳤다: 그는 파리 7세의 "U.F.R. des Science Humaines Clinique"에서 정신분석의 가르침을 소개하여 연구수준으로 끌어올렸다. 그는 현재 프랑스와 세계 다른 곳(특히 중남미)에서 "대학에서의 심리분석"(Jean Laplanche가 창시한 연구검토의 제목: 1975–1994)을 가르치고 있는 학생들의 논문을 감독했다.
일
라플랑슈는 1961년에 그의 첫 번째 책을 출판했다. 이듬해 대니얼 라고체로부터 소르본느에 초빙되었다. 이후 라플란체는 정기 간행 일정을 유지했다. 동료인 장 베르트랑 폰탈리스와 함께 1967년 라플란체는 정신분석에 관한 표준 백과사전이 된 <정신분석의 언어>를 출간했다. 1973년에 영어로 번역되었고, 1997년에 13번째 프랑스판이 출판되었다. 라플랑슈는 1969년부터 1971년까지 프랑스 사이코아날리티크 협회의 회장을 맡아 폰탈리스의 뒤를 이었다. 그의 세미나는 7권의 프로블레마티크 시리즈로 출판되었고 그의 가장 중요한 에세이들은 라 레볼루션 코페르니치엔(1992년)에서 많이 발견되었다.
유혹 이론
정신분석에 대한 그의 주요한 공헌 중 하나는 세리 드 라 세로드 게네랄리제(theri de la séruction généralisée, 1987년 일반적인 유혹의 이론)로 구성되어 있다. 프로이트의 유혹 이론에 대한 그의 연구 중, 그는 말했다.
[M]y의 일은 왜 프로이트가 이 이론에서 아주 중요한 몇 가지 요점을 놓쳤는지를 보여주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 이론을 수정해야 한다고 말하기 전에 우리는 그것을 알아야 한다. 그리고 나는 유혹 이론에 대한 무지가 사람들로 하여금 사전 분석적인 것으로 돌아가게 한다고 생각한다. 유혹 이론을 논함으로써 우리는 프로이트에게 정의를 행하고, 어쩌면 프로이트가 자기 자신보다 더 나은 정의를 행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그는 자신의 이론의 중요성과 그 바로 그 의미를 잊어버렸는데, 그것은 외부 사건의 중요성만이 아니었다.[6]
라플랑슈는 '신경증상에 대한 단순한 식이론적 가설이라기보다는 억압된 무의식의 기원에 대한 진정한 일반 이론으로 프로이트의 유혹 이론의 개혁을 제안했다.[7] 그 이론의 목적은 인간의 무의식의 "정상적인" 발달에 대한 설명인 반면, ... 그것은 일반적으로 정신분석적 과정과 전이의 이론을 수반한다.[8]
라플랑슈는 무의식 생성의 핵심 요소로서 부모의 메시지를 통해 상대방에게 전달되는 '에니그마 서명자'를 강조한다: 라플랑슈의 말에서 '에니그마는 그 자체가 유혹이고 그 메커니즘은 무의식이다.'[9] 따라서 '라플랑슈는 프로이트에서 성인의 다른 한편에 대한 침입적 영향과 다른 한편에 대한 외상적 등록, 표현 또는 비문 사이의 연관성을 만든다.'[10]
미완성 코페르니쿠스 혁명
일반화된 유혹 이론의 도입에 이어 라플란체는 정신분석학의 "목적" 즉 무의식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언급하는 "미완성 코페르니쿠스 혁명"이라는 제목으로 수필집을 발표했는데, 일반화된 유혹 이론은 그러한 혁명이 "완전하지 않다"고 강조한다.
이 정신분석학적 발견을 거듭 코페르니쿠스식 혁명에 비유한 프로이트는 라플란체에게 "그 자신의 코페르니쿠스뿐만 아니라 자신의 프톨레마이오스"를 둘 다 바쳤다. 코페르니쿠스 쪽에는 무의식의 결합 발견과 유혹 이론이 있어 '기타성'의 감각을 유지하고 있으며, 프톨레마이오스 쪽에는 (라플란체에게) 프로이트의 '자기중심화 이론으로 회귀'하는 잘못된 방향이 있다. 따라서 '라플랑슈가 프로이트의 "탈선"이라고 부르는 것은 코페르니칸에서 프톨레마이오스 정신의 개념으로 처참한 전환이다... 프로이트가 초기 유혹 이론인 성리학을 개인을 중심으로 1센트짜리 "알리엔 네스"[11]로 대체했을 때 일어났다. '라플랑슈가 프톨레마이크(Ptolemaic)로 특징지을 만한 우주의 환상'은 자아가 중심 위치를 프롤레마이크(Ptolemaic)로 묘사할 것이다.[12]
성별
Jean Laplanche는 프로이트에서 성별의 범주는 종종 "부적절하거나 눈에 띄지 않는다"고 말한다. 어른들 앞에 있는 것은 아이인데, 이것은 어른들에게 존재하는 이 차이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성별 배정은 "아이의 중요한 다른 사람, 그 수행자의 언어와 행동에까지 확장되는 복잡한 행동 과정"이다. 아이는 "명시적"이라는 메시지를 통해 "폭언"을 받게 되는데, 이 메시지를 번역하고 이해해야 한다. - '성별 배정 메시지' - 아이와 가까운 어른들이 제공하는 모든 메시지 - 부모, 조부모, 형제, 자매들. 그들의 환상, 무의식적 또는 의식적인 기대.[13] 따라서 장 라플란체에게는 "그래, 성별이 섹스에 앞선다. 그러나 그것을 정리하는 대신 후자에 의해 조직된다."[13] 어른들의 유아적인 성생활이 아이 앞에서 재활성화되기 때문에 "성별적응에서 소란을 일으키는 것은 주로 부모의 "성적" 요소다.
드라이브 또는 객체?
정신분석에 대한 라플랑슈의 접근방식과 영어권 세계의 대부분의 접근방식들 - 목적관계 이론, 에고 심리학, 클라인 사고 - 라플랑슈는 드라이브(트리브)와 본능(인스턴트)의 구별을 주장하는 것이다. 영어를 사용하는 학교들과 대조적으로, 라플란체(Laplanche)는 어떤 면에서 라칸에 이어, 인간의 성감각으로부터 생물학적으로 환원적인 기초를 제거한다.[1]
참고 문헌 목록
장 라플랑슈의 작품
- Hölderlin et la question duére, Paris, PUF, 1961;[14]Hölderlin과 아버지 Victoria의 ELS 에디션 n° 97, 2007, ISBN978-1-55058-379-3[15][16]
- Vocabular de la sychanalyse (정신분석 언어), 파리, PUF, 1967.
- Vie et mort en sychanalyse (정신분석학의 삶과 죽음), 파리, Flammarion, 1970.
- 프로블레마티크 I: L'angoisse, 파리, PUF, 1980.
- 프로블레마티크 II: 거세-기억, 파리, PUF, 1980.
- 프로블레마티크 3: 파리, PUF, 1980.
- Problématique IV: L'inconsistent et le le le es ca, 파리, PUF, 1981.
- 판타지 종이접기. 판타지 드 오리지널, 오리지널 드 판타지(Fantasy and the Origins of Sexuality), 파리, 하셰트 1985.
- 프로블레마티크 V: Le baquet-transcendence du transferert, 파리, PUF, 1987.
- Nouveaux ponditions는 la sychanalyse (정신분석을 위한 새로운 기초), 파리, PUF, 1987년에 쏟아져 나온다.
- Traduire Freud, 파리, PUF, 1989.
- 라 레볼루션 코페르니치엔 인카체베(Travau 1967–1992), 파리, 오비에르 1992 ISBN 2-7007-2166-7. Réédition : Le Primat de l'autre en psychanalyse, Paris, Flammarion, 1997, ISBN 2-08-081390-0; rééd. sous le titre La Révolution copernicienne inachevée: PUF / Quadrige, 2008. (La pulsion pour quoi faire (Paris, APF, 1984) and "Le mur et l'arcade" are now in the book: La révolution copernicienne inachevée.)
- Le 4voenment Biologicalisant de la sexité chez Freud, Paris, Les Empeceurs de peners en lond, 1993.
- Entre sérodion et inspiration: l'homme, paris, PUF, 1999.
- "마조히즘과 성" 자크 안드레와의 인터뷰, 유럽 정신분석 저널, 16, 2003, http://www.psychomedia.it/jep/number16/laplanche.htm
- Problématique VI: L'apres-coup - La "Nachtréglickeit" 단스 L'apres-coup (1990–1991), 파리, PUF, 2006. ("Nachtréglickeit"의 더 나은 영어 번역은 그 이후다; 오래된 번역은 연기되었다.
- 프로블레마티크 7세: Le 4voiment Biologicalisant de la sexualité chez Froud suivi de Biologicalisme et Biologicalie, 파리, PUF, 2006.
- 성적인. La sexieté élargie au senses froudien. 라 성적 취향 2000-2006, 파리, PUF, 2007. 영어 번역: 존 플레처가 편집한 프로이트와 성, 존 플레처, 조나단 하우스와 니콜라스 레이, 뉴욕, 번역의 무의식, 2011.
2010년부터 장 라플란체 전집 영문 번역이 시작됐다.[17]
장 라플랑슈의 작품에서
- 국제정신분석사전, ecd. 알랭 드 미졸라, 3권, 디트로이트, 톰슨/게일, 2005(MacMillan Reference Books) ISBN978-0028659244
- Thori de la séruction généralisée (Jean Laplanche의 기사)
- 이본 브레즈, « 장 라플란체 (1924년 - 6 mai 2012년) », 레뷰 철학 de la France et de l'étranger, n° 137, 2012/3, 페이지 441-442.
- Jean Laplanche, Travail de reve, travail du rreve (dir. Jean-Louis Brenot), © 프랑스 연구소 - Fornation Jean Laplanche, 2012.
- C의 서류. Dejours, J C. C. Calich, J-M Dupeu, M. Rezende Cardoso, J-P Marnier, M T. De Melo Carvalho et P C. 드 카르발호 리바이로, U. Hock, L. Maia, A. 루체티, H. Arcoverde Melo, F. 안드라데 외 H. 아르커브데, H. 마갈량스.
- La séradion ar l'origine. 라 세전도(La ser L'œuvre de Jean Laplanche, Actes Colloque de Cerisy (juillet 2014), ouvrage coordonné par Christophe Dejours et Felipe Votadoro, publié avec le concours de la Fondation Jean Laplanche — Institut de France et de l'Association Psychanalytique de France, Paris, P.U.F. 2016, ISBN 978-2-13-073326-3
- Laplanche 등 거래: 르 신화-기호: 보좌관, 장애물, 무역관? (dir. Christophe Dejours et Hélène Tessier), Actes des Journées internationales Jean Laplanche à Tutzing (Germany) juin 2016, publiés avec le concours de la Fondation Jean Laplanche — Institut de France, Paris, P.U.F./Humensis, janvier 2018, ISBN978-2-13-080020-0
- M.-T. de Melo Carvalho (브라질), G. 자레이트 게레로 (멕시코), D. Golergant (Peru), F. Bézerra de Andrade, H. Arcoverde de Melo (Brazil), A. Cinello (Spain), I. Gernet (France), F. Martens (Belgium), M. Rezende Cardoso, G. de Araujo Abrantes (Brazil), G. Diebold (France), C. 데주르스(프랑스), R. 보넬리어(프랑스).
- S. 벤베누토 "아페르-쿠프, 아페르 쿠데타: 장 라플란체 프로블레마티크 6세에 대하여. L'Aprés-Coup', 언어 및 정신분석, 제7권, 제2, 2018, 페이지 72-87. ISSN 2049-324X.
참고 항목
메모들
- ^ a b c 플레처와 오스본
- ^ Roudinesco, Élisabeth. "Mort du psychanalyste Jean Laplanche" (in French). Le Monde. Retrieved 7 May 2012.
- ^ a b 장 라플란체
- ^ "부르쿤디 샤토 드 포마드 커플"
- ^ 2001년 9월 29일 토요일
- ^ 장 라플란체와의 인터뷰
- ^ E. S. Person 외, 정신분석 미국 정신과학 출판 교과서(2005) 페이지 431
- ^ 사람, 정신의학 페이지 431
- ^ 앤서니 엘리엇, 컨텍스트의 정신분석학 (London 1995) 페이지 44
- ^ 앤서니 엘리엇, 프로이트 이후 사회 이론 (런던 2004) 페이지 64
- ^ 래리 오캐롤, A. 가이타니다스/P. 커크 에드, 나르시시즘 (London 2007) 페이지 94
- ^ 레슬리 콜드웰 , 섹스 앤 섹스 앤 섹스: 윈니코트 관점 (London 2005) 페이지 37
- ^ a b Laplanche, Jean. "Gender, Sex, and the Sexual". Studies in Gender and Sexuality. 8: 201–219.
- ^ 홀더린과 정신분석학, 즉 장 라플란체 책에 관한 이야기, cf. Roseline Bonnellier : « De Hölderlin et la question du pére ar la séruction généralisée de Jean Laplanche : 아반체 파라독소데일 데 라 trad디페 엔 싸이차날리 » 뷔르템베르지슈 란데스비블리오테크 ö데를린아치브. Internationale Hölderlin-Bibliographie online Id.-Nr.: 26088052007.0170-1.2. 2007.0171-1/3- Elektronische Ressource. - Paris : [Bonnellier], 2007. - 1 CD-ROM (1041 S.) + Exposé [Ausdr., 18 S.] Zugl.: 파리, 유니브. 파리 III, Diss, 2007. - Systemvoraussetzungen: MS Word Textdatei. - Im HA auch als Papierausdruck (3 Bénde) [HA2007.0171-1/3]테세 에갈레네이션 복제품 파 라틀리에 국립 재생산 데스 세데스 (Diffusion ANRT) 59046 릴레 세덱스 프랑스, ISBN 978-2-7295-70-5; 로셀린 보넬리어, 솔레틸 드 헵덜린: Oedipe en 질문 - Au 프리미어 temps du complexe était la fille, Paris, L'Harmattan, Collection "études sychanalyques", Février 2010, 358페이지, ISBN 978-2-2-296-10411-2
- ^ 레이너 네겔레의 소개로 루크 카슨에 의해 편집되고 번역되었다.
- ^ 홀데를린아치브
- ^ 1. Repéres 전기기법: "Au Seuil de l'anée 2010, la "Fondation Jean Laplanche - Nouvau Fonditions pour la psychanaly", 자동차도 붓지만 traduire in anglais les ouvre de Je Laplanlanche. Référence sur le site de l'Institut de France : la "Fondation Jean Laplanche - Nouveaux fondements pour la psychanalyse" a pour but général de contribuer, dans l'esprit qui a inspiré la vie scientifique du Fondateur, au développement de la psychanalyse en France et à l'étranger." www.institut-de-france.fr/rubrique_-fondation_jean_laplanche.html Ar웨이백머신에서 2011-05-14로 꺾었다.
참조
- John Fletcher; Peter Osborne (2000). "The other within: Rethinking psychoanalysis". Radical Philosophy (102).
- 플로리다 대학 영어학부의 조교수인 테리 하폴드는 이것을 "그 종류의 영어에서 가장 좋은 참고 자료"라고 언급한다. "Interdisciplinary topics in literature: the book as technology & trop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10, 2005. Retrieved November 21, 2005.
- Laplanche, J.; Pontalis, J.-B. (1973). The Language of Psycho-Analysis. W. W. Norton and Company. ISBN 978-0-393-01105-0.
- Scarfone, D. (2015). Laplanche, An Introduction. The Unconscious in Translation. ISBN 978-1-942254-02-7.
- Caruth, Cathy. "An Interview with Jean Laplanche". Retrieved November 21, 2005.
- "Burgundy's Château de Pommard to Be Sold to Bordeaux Couple". Wine Spectator Onli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20, 2004. Retrieved November 21, 2005.
- "Jean Laplanch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18, 2005. Retrieved November 22, 2005.
- Dominique Scarfone (2013). "A brief introduction to the work of Jean Laplanche".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analysis. 94 (3): 545–566. doi:10.1111/1745-8315.12063. PMID 23781835. S2CID 36749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