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하네스 슈타인호프

Johannes Steinhoff
요하네스 슈타인호프
Bundesarchiv Bild 146-1997-041-03, Johannes Steinhoff.jpg
1966년 요하네스 스타인호프.
북대서양조약기구 군사위원회 위원장
재직중
1971–1974
선행나이젤 헨더슨 경
에 의해 성공자피터 힐-노튼 경
공군 감찰관
재직중
1966–1970
선행베르너 파니츠키
에 의해 성공자귄터 랄
개인 정보
태어난(1913-09-15) 1913년 9월 15일
독일 프로이센 작센주 보텐도르프
죽은1994년 2월 21일 (1994-02-21) (80세)
독일 노스라인베스트팔렌주 바흐트베르크페흐
휴식처바흐트베르크 빌립 묘지
배우자우르술라 슈타인호프
관계루드비히 한(처남)
마이클 버드 (사위)
어워드참나무 잎과 검이 있는 기사십자 철십자장
독일연방공화국공로훈장 대십자장
이탈리아 공화국 공로훈장 대훈장
아메리칸 레지옹 오브 메리트
레지옹 도뇌르
닉네임매키
군복무
얼리전스 나치 독일 (1945년까지)
서독
지점/서비스Balkenkreuz (Iron Cross) 루프트바페
Bundeswehrkreuz (Iron Cross) 독일 공군
근속 연수1934–45
1955–74
순위오버스트(Wehrmacht)
일반(Bundeswehr)
구성 단위JG 26, JG 52, JG 77, Kommando Nowotny, JG 7 및 JV 44
명령어II./JG 52, JG 77JG 7
전투/전투

요하네스 "마키" 슈타인호프(Johannes "Macky" Steinhuff, 1913년 9월 15일 ~ 1994년 2월 21일)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군 장군이자 나토군의 관료였다.그는 1939년부터 1945년까지의 모든 전쟁 기간 동안 작전 비행을 위해 살아남은 극소수의 루프트바페 조종사 중 한 명이었다.슈타인호프는 또한 176번의 승리를 거둔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조종사 중 한 명이었으며 아돌프 갈란드가 이끄는 야그드베르반트 44 비행대의 일원으로서 Messerschmitt Me 262 제트 전투기를 전투에서 조종한 최초의 조종사 중 한 명이었다.슈타인호프는 오크 잎과 검으로 기사십자 철십자장을 수여받았고 이후 독일연방공화국 공로훈장 대십자장미국 공로훈장, 프랑스 공로훈장 등 여러 해외 훈장을 받았다.그는 몇몇 공군 고위 장교들이 헤르만 괴링에 맞섰을 때 소위 전투기 조종사들의 반란에서 역할을 했다.

슈타인호프는 1952년 서독 정부 재무장국에 군용항공 자문위원으로 입사해 냉전을 통해 독일 공군을 재건하는 주요 관리 중 한 명이 됐다.은퇴 후, 슈타인호프는 제2차 세계대전 중 독일 군용 항공과 그 당시 독일 국민의 경험에 관한 책을 널리 읽은 작가가 되었다.

초년

요하네스 슈타인호프는 1913년 9월 15일 튀링겐 보텐도르프에서 농업 공장 노동자와 전통적인 주부의 아들로 태어났다.그에게는 베른드와 울프라는 두 명의 형제와 그레타와 [1]샬롯이라는 두 명의 자매가 있었다.그의 여동생 샬롯은 점령된 바르샤바의 시셰리츠폴라이제(보안경찰)와 시셰리츠디엔스트(보안국)의 수장인 루드비히 한과 결혼했는데, 바르샤바 [2]게토의 피난과 파괴에 참여했다.

부인 샬롯, 슈타인호프(가운데)와 함께 한.

슈타인호프는 "프랑스어, 영어, 라틴어,[3] 그리스어 등의 고전과 언어를 공부한 후 클로스터슐레 로슬레벤 수녀원 학교를 졸업했으며 1932년부터 1934년까지 [4]예나 대학에서 언어학을 전공했으며, 그곳에서 란즈만샤프트 수에비아 펜싱 협회와 남성 [5]협회의 회원이었다.자금 부족으로 대학 학업을 포기해야 했던 슈타인호프는 1936년 [3]새롭게 개혁된 루프트바페로 이적하기 전에 1년 동안 친구 디트리히 흐라박과 함께 해군 비행 사관후보생으로 복무했다.

슈타인호프는 1936년 [6]4월 1일 로이트넌트(소위)로 진급하였다.그는 1939년 4월 29일 그의 아내 우르술라와 결혼했고 그들은 아들 울프와 딸 우르술라를 낳았다.어슐라는 경제학 교수와 결혼했고 지금은 은퇴한 콜로라도주 상원의원 마이클 [1]버드와 결혼했다.1939년 1월 1일, 슈타인호프는 오베르뢰트난트(중위)[6]로 진급하였다.

1939년 초여름, Luftwaffe는 단일 엔진 항공기를 위한 야간 전투기 조종 실험을 시작했다.숙련된 비행사의 부족으로 저녁과 이른 아침 시간대의 운항이 제한되었다.8월 1일, 슈타인호프는 그리프스왈드에 본사를 둔 Lehrgeschwader 2 (JG 2)의 스쿼드론 (스쿼드론)의 스쿼들 (스쿼드론)로 임명되었다.처음에, 그 비행대는 메서슈미트 Bf 109 D-1을 다시 장착하기 전에 아라도 Ar 68 전투기를 장착했다.이 부대는 캄프게슈와더 2(JG 2)의 스탭(본부)[7]에 예속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유럽의 제2차 세계대전은 독일군이 폴란드를 침공한 1939년 9월 1일 금요일에 시작되었다.그 날, 스타인호프는 1939년 [8]5월 1일 알베르 레오 슐라게터의 이름을 딴 야그게슈바데르 26 "슐라게터" (JG 26 - 제26전투비행단)로 이적하였다.그는 생크트 아우구스틴 인근 본항겔라르에 주둔하고 Bf 109 [9]D를 갖춘 JG 26의 새로운 야간 전투기 부대인 10. (나흐트) 스태펠로 임명되었습니다.11월 12일, 부대는 제버 [10]비행장으로 이동했다.12월 18일, 영국 공군 폭격기 사령부는 헬리고랜드 만 전투로 알려진 빌헬름샤벤에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독일 군함에 대한 공격을 개시했다.영국 공군의 공격 부대는 요격되었고, 스타인호프는 57중대3그룹 소속 비커스 웰링턴 폭격기 2대를 격추시킨 공로를 인정받았으며, 그는 헬리고랜드 [11]남서쪽 25-35km 지점에 격추했다고 주장했다.

1940년 2월 3일, 제버 비행장에 3개의 독립된 단일 엔진 전투기 중대를 통합함으로써 새로운 야간 전투 부대가 창설되었다.이 부대는 야그제슈바더 2 "리치호펜"(JG 2 - 제2전투비행단)의 IV (나흐트) 그루페 (제4야간집단)로 명명되었고, 하우프트만 알버트 블루멘사트의 지휘하에 배치되었다.이에 따라 헤이지에 본사를 둔 스타인호프 감독이 이끄는 JG26의 10(나흐트)스태펠이 11명이 됐다.4월 23일, 11일(나흐트)과 12일(나흐트) JG 2의 참모진은 독일군의 덴마크와 노르웨이 공격인 베세뤼붕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올보르 비행장으로 보내졌다.두 중대는 [12]5월 9일 프랑스 전투를 준비하기 위해 독일로 돌아왔다.5월 10일 작전 개시 당시 (나흐트)스태펠은 네덜란드 [13]전투에서 B 집단군을 지원했던 쾰른 부츠바일레호프 비행장에 근거지를 두고 있었다.그날 스타인호프는 헤이그 근처에서 브리스톨 블렌하임 폭격기를, 뒤셀도르프 [14]근처에서 두 번째 폭격기를 찾았다.

1940년 8월, 그는 4번으로 전근되었다.Jagdgeschwader 52(JG 52-제52전투비행단)의 참모진으로, 오버루트난트 하인츠 슈만의 후임으로 참모총장으로 취임했다.스태펠은 II에 종속되었다.Hauptmann [15]Wilhelm Enslen이 이끌었던 JG 52의 Gruppe.당시 그루페는 영국 해협 근처퓨플링에 근거지를 두고 영국 전투 [16]에 RAF와 싸우고 있었다.슈타인호프는 9월 30일 그의 5번째 공중승리를 주장했다.그는 도킹 [17]상공에서 Supermarine Spitfire 전투기를 파괴한 공로를 인정받았다.II. 그루페는 11월 2일 채널 전선에서 철수하고 11월 5일 휴식과 [18]보충을 위해 뮌헨 글라트바흐로 이동했다.그루페는 또한 11월 2일 전사한 지휘관 엔슬렌을 잃었다.Enslen은 Hauptmann Erich [15]Weitke로 대체되었다.12월 22일, 그루페네덜란드 북해 연안을 따라 전투기 순찰을 비행하라는 명령을 받았다.1941년 1월 15일 그루페는 2월 [19]10일까지 이펜부르크 비행장으로 이동했다. 후 그루페는 2월 14일 슈타인호프가 던게인 [20]근처에서 공중전에서 또 다른 스핏파이어를 격추했다고 주장한 Berck-sur-Mer로 이동했다.5월 17일 II일그루페는 영국 해협 근처의 마지막 비행장인 Raversijde에 도착했다.이틀 후, Steinhoff는 캔터베리 임무에서 두 발의 Spitfire를 더 격추했다고 주장했다.6월 9일, II의 공기 요소.그루페는 동쪽으로 [21]이동하기 시작했다.

바르바로사 작전

A map of Eastern Europe depicting the movement of military units and formations.
바르바로사 작전의 공격 계획을 나타내는 지도

바르바로사 작전의 준비로, JG 52의 2. 그루페는 독일에서 보충 기간 없이 독일-소련 경계선에 가까운 비행장으로 보내졌다.그루펜스탭(그룹본부)과 4명.스태펠은 폴란드 북동부 스와우키에 5, 6번지를 거점으로 하고 있었다.스태펠소볼레오의 전방 비행장으로 이동되었다.침략을 위해 JG 52의 II. 그루페는 JG 27의 게슈와데르스타브(JG 27 - 제27전투비행단)에 예속되었다.Geschwader VIII의 일부였다. Fliegerkorps는 육군 집단 [22]센터의 북쪽 날개를 지원하는 장군 볼프람 프레이허리히트호펜이 지휘했다.

슈타인호프는 첫 달 동안 소련 항공기 28대가 격추됐다고 주장했고, 8월까지 슈타인호프는 35번의 승리를 거뒀고, 이 공로로 그는 기사 철십자장(Ritterkrouz des Eisernen Kreuzes)을 받았다.

동부 전선

1942년 1월 24일, 동부 전선에서 철수한 후, 그루페는 회복과 [23]보충을 위해 쾨니히스베르크 근처의 예사우에 도착했다.그날 그루페의 사령관인 보이케가 전근되었다.3월 1일, 슈타인호프는 새로운 그루펜코만두르가 되었다.결과적으로, 4의 지휘.스태펠오버루트넌트 게르하르트 [24]바크혼에게 넘겨졌다.제소에서 그루페는 많은 공장 신작 Bf 109 F-4 항공기를 받았다.4월 14일 그루페는 동부 [25]전선으로 이동하기 위해 체코의 현재 플제슈 필센으로 이동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슈타인호프는 8월 31일 자신의 100번째 우승을 차지하였다.그는 세기의 [26]기록을 달성한 18번째 루프트바페 조종사였다. 공로로 9월 2일 그는 오크 잎사귀 철십자 기사장을 받았다.그는 독일군에서 115번째로 명예로운 [27]군인이었다.11월 4일, 슈타인호프는 알프레드 드루셸, 에른스트 빌헬름 레네르트, 귄터 랄, 막스 스토츠함께 [28]아돌프 히틀러로부터 오크 리프스를 개인적으로 받았다.12월 11일 스탈린그라드 전투 중 슈타인호프는 Bf 109 G-2 (베르크누머 13853)에서 대공포에 맞아 오블리즈카야 [29]근처강제 착륙했다.

윙 커맨더

슈타인호프는 1943년 3월 24일 JG 52를 떠나 II를 넘겨주었다.그루페에서 하우트만 헬무트 [30]퀼레까지4월 1일, 는 3월 [31]23일 요아힘 뮌헨 소령이 전사한 후 게슈바데르커머셜(날개 사령관)으로서 야그제슈바데르 77(JG 77-제77전투비행단)의 지휘권을 부여받았다.슈타인호프는 4월 3일에 JG 77을 지휘했다.당시 게슈와이더는 튀니지 스팍스 북쪽 비행장에 주둔하고 있었으며 북아프리카 [32]전역 중이었다.다음 날, 슈타인호프는 북아프리카에서의 유일한 공중승리를 주장했는데, 그가 엘 게타르에서 [33]임무를 수행하던 스핏파이어 전투기를 격추시켰을 때였다.4월 5일, 그는 스핏파이어 전투기에 의해 격추되었고, 그 결과 그의 Bf 109 G-6 (Werknummer 16492)[34]를 파괴한 라 파우코네리에 불시착했다.

갤런드와 뤼초,
1943년 6월[35] 25일 시칠리아

6월 25일 정오 전에 몬테에리스의 루프트바페 레이더가 시칠리아 북쪽에서 미 육군 항공군(USAF)의 대형 4엔진 폭격기를 포착했다.루프트바페는 처음에 폭격기가 나폴리로 향하고 있다고 추정했다.실제로 보잉 B-17 플라잉 포트리스 폭격기 124대가 메시나를 공격해 큰 피해를 입혔다.루프트바페 공중 방어는 아돌프 갈랑드 소장야그플리에거 장군(전투기군 총사령관)과 그의 야드플리에거 수트 오버스트 귄터 뤼조프가 개인적으로 조정했다.갤런드는 JG 77과 Jagdgeschwader 53(JG 53-제53전투비행단)의 전투기를 통합하고,[36] 전투기를 요격 지점까지 폐쇄 편대로 이동시킬 계획이었다.표적이 잘못되었기 때문에 폭격기는 귀환할 때만 요격할 수 있었다.갤런드는 12시 55분에 JG 77의 Stab, I., II. Gruppe와 JG 53의 Gruppe에서 약 80대의 전투기를 스크램블했다.흐릿한 날씨로 인해 독일군은 분산되어 폭격기를 빨리 찾지 못했다.폭격기들이 트라파니 북서쪽 약 150km 지점에서 발견되었을 때 연료는 이미 떨어져 있었다.B-17을 [37]격추한 슈타인호프를 포함해 소수의 루프트바페 전투기만이 폭격기에 도착했다.

슈타인호프는 1944년 [38]4월 1일 중령으로 진급했다.1944년 7월 28일 슈타인호프는 오크 있는 기사십자장받았다.

11월 7일, 스타인호프는 JG 77을 떠나 메이저 요하네스 위제로 교체되었다.슈타인호프는 JG [39]77에서 복무하는 동안 총 100회의 전투 임무를 수행했고 11번의 공중 승리를 거두었다.11월 11일, 독일 공군의 총사령관 헤르만 괴링은 야그드플리에거 갈란트와 슈타이뉴프를 포함한 독일 공군의 고위 장교 회의를 조직했다."아레오파그"라고도 불리는 이 회의는 베를린-가토프루프트크리에사카데미(공군사관학교)에서 열렸다.이 그리스판 아레오파거스 재판소는 독일 상공에서 악화되고 있는 공중전 상황에 [40]대한 해결책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이 자리에서 갈란드는 슈타인호프에게 제1전투기 [41]부대를 지휘할 의향이 있는지 물었다.

메세지 날리기 미 262

Jagdgeschwader 7 "Nowotny"는 1944년 11월 8일 전사한 월터 노보트니의 이름을 딴 세계 최초의 전투비행단이다.노보트니는 Messerschmitt Me 262 제트기를 운용 조건에서 [42]평가해왔다.JG7은 중무장을 하고 어떤 연합군 전투기보다도 빠른 항공기인 Me 262를 장착했다.갈란드는 Me 262가 연합군의 수적 우위를 보상해주기를 바랐다.1944년 11월 12일, Oberkommando der Luftwaffe는 JG 7에 Me 262를 장착하도록 명령했다."아레오파그"에서 슈타인호프와의 교환 이후, 갈란드는 슈타인호프를 첫 번째 게슈바데르쿠테오레[43]임명하였다.

슈타인호프는 하인즈 베어와 게르하르트 바크혼포함한 몇몇 스태펠카피테인을 직접 선발할 수 있었다.보덴플라테 작전(Unternhmen Bodenplatte)에서 큰 손실을 입은 후, 슈타인호프와 다른 전투기 지도자들은 루프트바페 최고사령부, 특히 괴링의 무능력에 대한 소위 '전투기 조종사 반란' 이후 비호감을 갖게 되었다.몇몇 다른 선수들과 함께, 슈타인호프는 괴링의 지도력에 도전하여 지휘관직에서 해임되었다.그의 후임은 테오도르 [44]바이센버거 소령이었다.

슈타인호프는 1945년 초 절친한 친구이자 절친한 아돌프 갈란드가 창설한 제트 익스펙텐 부대 야그드베르반트 44(JV 44-제44전투부대)로 이적했다.슈타인호프는 처음에는 사실상의 신병 모집 장교로 활동하면서 많은 베테랑 루프트바페 에이스들을 설득했고, 일부는 그렇게 하기 위해 배드비시에 있는 전투기 조종사 휴게소에서 나왔다.슈타인호프는 유닛에서 [Note 1]6개의 확인된 킬을 기록했다.슈타인호프는 거의 1,000개의 전투 임무에서 살아남았지만, 그의 비행 경력이 지상에서 끝나는 것을 보았다.

JV 44의 멤버였던 슈타인호프는 이륙 실패 후 Me 262에 충돌해 전신에 큰 화상을 입고 영구적인 외모를 잃었다.1945년 4월 18일, 슈타인호프의 Me 262는 뮌헨-리엠 비행장을 이륙하던 중 추락했다.그의 비행 지도자의 왼쪽 바퀴가 폭발하여 그가 급좌회전을 하게 되었고, 스타인호프에게 돌진하여 활주로에서 도망치게 되었고 그의 앞, 아래, 뒤에 위치한 연료 탱크가 파열되었다.이날 슈타인호프와 함께 오르던 남자들은 실험용 언더윙 로켓으로 무장하고 있었는데, 슈타인호프가 소지하고 있던 대포 탄약과 함께 그의 주변에서 폭발하는 총기의 양 때문에 탈출이 더 어려웠다.에이스 전투기 조종사이자 JV 44의 멤버인 프란츠 스티글러는 "슈타이뉴프가 순식간에 인간의 횃불로 변했다"고 말했다.비록 그가 살아났지만 생존 가능성은 희박했지만, 심한 화상으로 그는 끔찍한 상처를 입었다.슈타인호프는 병원에서 2년을 보냈고, 전후 영국 외과의사에 의해 그의 눈꺼풀이 재건된 채 수년간의 재건 수술을 받았다.

그의 전시 기록은 176대의 비행기가 파괴되었다고 주장했는데, 그 중 152대는 동부 전선에, 12대는 서부 전선에, 12대는 지중해에 있었다.그는 또한 993번의 작전 출격 비행을 했다.슈타인호프는 12차례나 격추당했지만 단 한 차례만 퇴장당했다.슈타인호프는 파손된 항공기에 남아 있는 것을 선호한다며 딱 한 번 구제금융을 받았다.난 낙하산을 신뢰한 적이 없어.동력을 잃었을 때 추락하지 않기 위해 항상 파손된 비행기를 착륙시켰다고 말했다.[3]

만년의 생활과 서비스

독일 공군과 나토와 함께

나토 요하네스 슈타인호프

슈타인호프는 서독의 새 임시 정부의 초청을 받아 나토 루프트바페를 재건했고, 결국 대장 계급으로 올라섰다.슈타인호프는 1960년 나토 군사위원회의 독일군 대표가 되었고, 1965~1966년 나토 연합 공군 중앙유럽사령관 직무대행, 1966~1970년 공군 감찰관, 1971~1974년 나토 군사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슈타인호프는 전후 독일 공군의 구조와 독일 연방군의 나토 통합에 대한 그의 업적으로 다음과 같은 많은 영예를 얻었다.스타 훈장, 미국 공로 훈장, 프랑스 레지옹 도뇌르 훈장.

스타인호프의 기여 중 하나는 공군이 F-104 스타파이터를 가지고 있는 높은 사고율을 다루는 것이었다.이 문제를 연구한 후, 항상 좋은 선생님이었던 Steinhuff는 문제가 항공기가 아니라 특정 항공기의 조종사들에 대한 열악한 훈련이었다고 추론했다.그는 강도 높은 훈련 체제로 문제를 해결했고 사고율은 급격히 떨어졌다.

1974년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사령부에서 퇴역한 뒤 슈타이뉴프는 전쟁 중 독일 군용항공과 당시 독일 국민의 경험에 관한 책을 널리 읽은 작가가 됐다.그는 헤르만 괴링에 대한 전쟁 후반의 음모를 상세히 기록한 <최종 시간>을 썼고, 이탈리아에서의 그의 생생한 시간: 시칠리아 위의 메세르슈미츠: 루프트바페 전투 사령관의 일기 또한 출판했다.슈타인호프는 또한 수채화가가 되었고 독일의 도르니에 [1]항공의 회장이 되었다.

비트버그 묘지 논란

1985년 5월 슈타인호프는 비트버그 인근의 제2차 세계대전 콜메쇼에 군사묘지를 방문하는 동안 당시 미국 대통령이었던 로널드 레이건을 만났다.이 행사는 V-E-Day 40주년 기념일에 화해의 행위로 계획되었다.레이건과 서독 총리 헬무트 콜은 독일군 [45]묘지에 조문하기로 되어 있었다.그러나 2000여 개의 군묘지 가운데 22명의 무장친위대 대원이 매장된 사실이 알려지면서 오바마 대통령은 미국 유대인 단체와 제2차 세계대전 참전용사들의 방문을 취소하라는 국가적, 정치적 압력에 직면했다.뉘른베르크 재판에서 SS 전체가 범죄 조직으로 판정되었기 때문에 나치 군인의 존재가 논란을 일으켰다.당초 일정의 일부는 아니었지만 레이건과 콜은 화해 제스처의 일환으로 비트버그를 방문하기 전에 즉석에서 베르겐-벨센 강제수용소를 방문함으로써 레이건이 콜메쇼에 군사묘지에서 보내야 하는 시간을 8분으로 줄였다.그는 2차 세계대전에서 82공수부대를 지휘했던 90세의 매튜 리지웨이 미 육군 장군과 함께 했다.레이건 전 대통령이 묘지 추모식에 헌화한 뒤 짧은 트럼펫 경례를 하는 동안 모두 차렷 자세를 취했다.마지막에는 스타인호프가 갑자기 몸을 돌려 대본 없는 행동으로 리지웨이와 악수했다.놀란 콜은 나중에 슈타인호프의 행동에 감사했고, 슈타인호프는 나중에 그것이 [46][47][48]옳은 일인 것 같다고 말했다.

죽음.

바흐트베르크 빌립에 있는 우르술라와 요하네스 슈타인호프의 무덤.

1994년 2월 21일, 슈타인호프는 작년 12월 그가 겪은 심장마비로 인한 합병증으로 본 병원에서 사망했다.그는 80세였고 근처 Bad Godesberg[1]살았다.

경력 개요

공중승리 주장

미국의 역사학자 데이비드 T. 자베키에 따르면, 스타인호프는 176번의 공중승리를 [49]했다고 한다.Luftwaffe Aces - Biographics and Victory Claimes의 저자인 Matthews와 Foreman은 독일 연방 기록 보관소를 조사하여 168건의 공중 승소 주장과 9건의 확인되지 않은 주장에 대한 기록을 발견했습니다.확인된 이 수치는 4엔진 폭격기 3대, Me 262 [50]전투기 6대 등 동부전선에서 149대, 서부전선에서 19대의 공중승리를 포함한 것이다.

승리 주장은 지도 참조(PQ = Planquadrat)에 기록되었습니다(예: "PQ 95371").루프트바페 그리드 맵(예제르멜데네츠)은 유럽, 러시아 서부, 북아프리카 전역을 포함했으며 약 360평방마일(930km2)의 면적인 위도 15분, 경도 30분 크기의 직사각형으로 구성됐다.그런 다음 이 부문은 36개의 작은 단위로 세분되어 위치 면적이 3 × 4 km [51]크기이다.

공중전승사기

이와 ♠(스페이드 에이스)는 Steinhoff가 하루에 5대 이상의 비행기를 격추한 전투기 조종사를 가리키는 용어인 "하루 중 에이스"로 만든 공중 승리를 나타냅니다.
이것과 – (대시)는 Steinhoff가 신용을 받지 못한 무의식적인 공중승리 주장을 나타낸다.
이것은 * (아스터리스크)와 함께 헤라우스추스 (분리 사격)를 나타냅니다. 헤라우스추스는 공중전 승리로 간주된 전투함과 분리될 수밖에 없는 심각한 손상을 입은 중폭격기입니다.
이와 ?(물음표)는 Prien, Stemmer, Radeike, Bock, Matthews 및 Foreman이 나열한 정보의 불일치를 나타냅니다.

주장하다 날짜. 시간을 유형 위치 주장하다 날짜. 시간을 유형 위치
– 10 (Nacht)Jagdgeschwader 26 "Schlageter"[52]의 직원 –
가짜 전쟁 1939년 9월 1일 1940년 5월 9일
1 1939년 12월 18일 14:30 웰링턴 헬리고랜드[53] 남서쪽 30km(19마일) 2 1939년 12월 18일 14:35 웰링턴 헬리고랜드[53] 남서쪽 30km(19마일)
– 11 (Nacht)Jagdgeschwader 2 "리치호펜"[52]의 직원 –
프랑스 전투 - 1940년 5월 10일 ~ 6월 25일
3 1940년 5월 10일
블렌하임 헤이그[14] 4 1940년 5월 10일
블렌하임 뒤셀도르프[14]
– 4. Jagdgeschwader [52]52의 직원
해협과 영국 상공에서의 행동 - 1940년 6월 26일 ~ 1941년 6월 9일
5 1940년 9월 30일 13:45 스핏파이어 도킹[54] 7 1941년 5월 19일 12:40 스핏파이어 도버[55] 북부
캔터베리
6 1941년 2월 14일 13:00 스핏파이어 둥게네에서[54] 북쪽으로 30km(19mi) 8 1941년 5월 19일 12:45 스핏파이어 도버[55] 북부
– 4. Jagdgeschwader [52]52의 직원
바르바로사 작전 - 1941년 6월 22일~12월 5일
9 1941년 6월 22일 10:00 I-15 바리나[56] 31 1941년 8월 26일 08:55 I-17(MiG-1) 말 브로니차[57]
10 1941년 6월 26일 09:32 DB-3 바리나[56] 남쪽 32 1941년 8월 26일 08:58 I-17(MiG-1) 류반[57] 남동쪽 15km(9.3mi)
11 1941년 7월 1일 18:26 I-16 바리소우[56] 북쪽 33 1941년 8월 27일 15:38 R-5 Lesja[57] 북동쪽 6km(3.7mi)
12 1941년 7월 2일 17:22 DB-3 바리소우[56] 34 1941년 8월 27일 15:39 R-5 Lesja[57] 북동쪽 3km(1.9mi)
열세 [Note 2]살? 1941년 7월 2일
DB-3 바리소우[56] 남쪽 35 1941년 8월 29일 15:10 I-15 콜피노[59] 남동쪽
14 1941년 7월 2일 17:34 DB-3 스말리아비치[56] 남쪽 36 1941년 9월 1일 15:15 DB-3 류반[59] 북동쪽 30km(19마일)
15 1941년 7월 3일 18:19 DB-3 바리소우[56] 북동쪽 37 1941년 9월 6일 11:55 I-18(MiG-1) Mga[59] 철도 북서쪽 1km(0.62mi)
16 1941년 7월 3일 18:30 DB-3 바리소우[56] 북동쪽 38 1941년 9월 6일 16:47 I-18(MiG-1) 마코보[59]
17 1941년 7월 4일 12:02 DB-3 비테브스크[56] 서쪽 39 1941년 9월 26일 07:55 I-18(MiG-1) Wolchowstroj[59] 서쪽 10km(6.2mi)
18 1941년 7월 5일 06:28 DB-3 울라[56] 북부 40 1941년 10월 3일 14:17 I-153 [60] 북동쪽 10km(6.2mi)
19 1941년 7월 6일 12:40 DB-3 지스[61] 북쪽 41 1941년 10월 5일 07:10 I-18(MiG-1) 비아즈마[60] 북서쪽 30km(19마일)
20 1941년 7월 7일 12:15 DB-3 폴로츠크[61] 서쪽 42 1941년 10월 6일 06시 [Note 3]25분? I-16 [60] 남동쪽 10km(6.2mi)
21살?[Note 2] 1941년 7월 9일
Pe-2 베스벤코위치[61] 북서쪽 43 1941년 10월 18일 15:17 Pe-2 칼리닌[60] 북쪽
22 1941년 7월 22일 11:05 I-16 위소카자[61] 남쪽 44 1941년 10월 18일 15:18 Pe-2 칼리닌[60]
23 1941년 7월 26일 05:12 V-11 (Il-2) 야르세보[62] 북동쪽 45 1941년 10월 24일 15:55 Pe-2 칼리닌[60] 남서쪽
24 1941년 7월 27일 18:05 I-18(MiG-1) 비아즈마[62] 북쪽 46 1941년 11월 14일 15시 [Note 4]55분? I-18(MiG-1) 비아즈마[60] 남쪽 5km(3.1mi)
25 1941년 7월 28일 17:35 I-18(MiG-1) 고리키[62] 동쪽 6km(3.7mi) 47 1941년 11월 26일 13시 [Note 5]20분? I-26(Yak-1) Stolnetschnogorst[60] 남쪽 10km(6.2mi)
26 1941년 7월 29일 17:28 DB-3 츠추체[62] 호 북서쪽 48 1941년 11월 28일 09:20 Il-2 이스라[60] 동쪽 10km(6.2mi)
27 1941년 7월 29일 17:34 DB-3 체르나야[62] 남서쪽 49 1941년 11월 28일 14:50 BB-22 (Seversky) Stolnetschnogorst[60] 남서쪽 10km(6.2mi)
28 1941년 8월 10일 13시 [Note 6]35분? I-16 심스크[62] 북쪽 8km(5.0mi) 50 1941년 12월 2일 08:25 BB-22 (Seversky) 벨지라스트[63]
29 1941년 8월 25일 12:10 I-16 토스노[57] 북서쪽 10km(6.2mi) 51 1941년 12월 2일 14:30 BB-22 (Seversky) 모스크바 서쪽[63] 10km(6.2mi)
30 1941년 8월 26일 08:50 I-17(MiG-1) 류반[57] 남서쪽 10km(6.2mi)
– II. 야그제슈바더그루페 52 –[64]
동부전선 - 1942년 5월 7일 ~ 1943년 2월 3일
52 1942년 5월 9일 04:00 I-153 아크모나즈[65] 서쪽 5km(3.1mi) 102 1942년 9월 8일 14:40 LaGG-3 말고베크[66] 북동쪽 5km(3.1mi)
53 1942년 5월 9일 12:43 I-153 세센트에서[65] 서쪽으로 2km(1.2mi) 103 1942년 9월 8일 14:42 LaGG-3 말고베크[66] 북동쪽 5km(3.1mi)
54 1942년 5월 15일 04:17 MiG-1 스타리[65] 살티브 104 1942년 9월 10일 14:25 LaGG-3 말고베크[66] 남동쪽 10km(6.2mi)
55 1942년 5월 17일 09:34 MiG-1 보로고디츠노제[65] 105 1942년 9월 16일 16:20 LaGG-3 칼리노프스카야[66] 북쪽 5km(3.1mi)
56 1942년 5월 19일 08:35 MiG-1 Jaskow[65] 서쪽 3km(1.9mi) 106 1942년 9월 17일 14:40 Su-2 메켄스카야[66] 북서쪽 5km(3.1mi)
57 1942년 5월 19일 14:55 Il-2 이지움[65] 남쪽 20km(12mi) 107 1942년 9월 17일 16:40 LaGG-3 칼라우스[66] 강 서쪽 2km(1.2mi)
58 1942년 5월 23일 05:45 MiG-1 페트로베르카[65] 남쪽 2km(1.2mi) 108 1942년 9월 20일 09:40 I-16 PQ 95371, 겔렌지크[67]
59 1942년 5월 23일 14:26 V-11 (Il-2) Odjanyi[65] 북서쪽 6km(3.7mi) 109 1942년 9월 26일 15:39 야크-1 겔렌지크[67] 북동쪽 10km(6.2mi)
60 1942년 5월 26일 11:30 Il-2 페트로스카야[65] 북쪽 4km(2.5mi) 110 1942년 9월 26일 15:40 야크-1 겔렌지크[67] 북동쪽 10km(6.2mi)
61 1942년 5월 26일 17:24 Il-2 이와노우카[68] 동쪽 1km(0.62mi) 111 1942년 11월 11일 08:10 야크-1 PQ 94161, 라자렙스코예[69]
62 1942년 6월 2일 12:38 I-16 그라코우[68] 동쪽 5km(3.1mi) 112 1942년 11월 11일 14:18 LaGG-3 라자렙스코예[69] 북쪽 10km(6.2mi)
63 1942년 6월 4일 18:45 Il-2 그라코우[68] 동쪽 4km(2.5mi) 113 1942년 11월 28일 07:50 P-40 Pitomnik[70] 비행장 남쪽 5km(3.1mi)
64 1942년 6월 14일 16:10 LaGG-3 코소르샤[68] 서쪽 5km(3.1mi) 114 1942년 11월 28일 10:40 야크-1 PQ 49184, 피톰닉[70] 비행장
65 1942년 6월 22일 17:55 허리케인 쿠피안스크[71] 북서쪽 5km(3.1mi) 115 1942년 11월 30일 07:45 야크-1 모로조프스크 북서쪽 25km(16마일)[70]
66 1942년 6월 23일 19:21 Su-2 쿠피안스크[71] 북쪽 5km(3.1mi) 116 1942년 11월 30일 7시 [Note 7]47분? 야크-1 모로소스카야[70] 북쪽 25km(16마일)
67 1942년 7월 1일 10:05 Il-2 크라소우카[73] 117 1942년 11월 30일 10:15 야크-1 PQ 39424, 마리노우카[70]
68 1942년 7월 1일 10:10 보스턴 크라소우카[73] 118 1942년 11월 30일 10:30 P-40 PQ 40754, 쉬르코우[70]
69 1942년 7월 3일 13:15 허리케인 Novy Oskol[74] 동쪽 8km(5.0mi) 119 1942년 12월 1일 08:20 야크-1 스파르타크[70] 남쪽 5km(3.1mi)
70 1942년 7월 4일 10:32 LaGG-3 오스트로호스크[74] 남서쪽 1km(0.62mi) 120 1942년 12월 2일 12:15 야크-1 바사르게우[70] 남쪽 5km(3.1mi)
71 1942년 7월 10일 10:30 LaGG-3[74] 121 1942년 12월 7일 13:23 P-40 브라트키[75] 남동쪽 10km(6.2mi)
72 1942년 7월 17일 07:55 I-16[74] 122 1942년 12월 8일 09:10 보스턴 PQ 29253, Slepichin[75]
73 1942년 7월 19일 13:50 I-153 코이수그[74] 남서쪽 5km(3.1mi) 123 1942년 12월 8일 12:30 보스턴 카라초프[75] 서쪽 10km(6.2마일)
74 1942년 7월 20일 16:15 LaGG-3 바타스크[76] 남동쪽 5km(3.1mi) 124 1942년 12월 8일 12:40 MiG-1 니시네쿠반스키즈[75] 동쪽 3km(1.9mi)
75 1942년 7월 23일 18:10 I-16 카스토라[76] 남쪽 2km(1.2mi) 125 1942년 12월 8일 12:50 MiG-1 니시네쿠반스키즈[75] 동쪽 3km(1.9mi)
76 1942년 7월 24일 16:23 Il-2 와이즐리[76] 남쪽 4km(2.5mi) 126 1942년 12월 10일 11:40 LaGG-3 Pitomnik[75] 비행장 서쪽 8km(5.0mi)
77 1942년 7월 25일 17:40 I-153 마르티노프스카야[76] 서쪽 5km(3.1마일) 127 1942년 12월 11일 09:23 야크-1 PQ 29633, 그로나하[75] 남서쪽
78 1942년 8월 21일 16:00 I-180(Yak-7) PQ 49411, 스탈린그라드[77]
스탈린그라드 동쪽 5km(3.1mi)
128 1942년 12월 11일 09:26 야크-1 PQ 2949, Ostrowskoj[78]
79 1942년 8월 22일 10:20 LaGG-3 세렙타[77] 남쪽 1km(0.62mi) 129 1942년 12월 12일 12:22 Pe-2 코텔니코우[78] 서쪽 PQ 38342
80 1942년 8월 22일 10:55 허리케인 PQ 49411, 스탈린그라드[77] 130 1942년 12월 13일 12:15 Pe-2 PQ 38282, 쌈친[78]
81♠ 1942년 8월 23일 05:40 LaGG-3 Semenk[77] 남쪽 4km(2.5mi) 131 1942년 12월 13일 12:16 야크-1 아크세이[78] 남쪽 5km(3.1mi)
82♠ 1942년 8월 23일 05:50 LaGG-3 자류[77] 북쪽 2km(1.2mi) 132 1942년 12월 17일 07:10 P-40 Shutow[78] 2에서 북쪽으로 5km(3.1mi)
83♠ 1942년 8월 23일 12:20 I-153 고로디슈체[77] 서쪽 10km(6.2마일) 133 1942년 12월 17일 13:15 야크-1 슈토우[78] 2에서 북동쪽으로 10km(6.2mi)
84♠ 1942년 8월 23일 15:10 I-180(Yak-7) PQ 49413, 크라스나야 슬로보다[77] 134 1942년 12월 18일 10:33 야크-1 그로모슬라카[78] 동쪽 6km(3.7mi)
85♠ 1942년 8월 23일 17:25 LaGG-3 PQ 49411, 스탈린그라드[77] 135 1942년 12월 20일 10:53 야크-1 바실리예프카[79] 남서쪽 5km(3.1mi)
86 1942년 8월 24일 06:20 I-180(Yak-7) PQ 59323, Leninsk[80] 136 1942년 12월 25일 13:00 야크-1 PQ 38241, 슈토우[79] 남쪽
87 1942년 8월 25일 11:05 LaGG-3 스탈린그라드[80] 북쪽 1km(0.62mi) 137 1942년 12월 25일 13:30 Pe-2 PQ 38334, Tschernj[79] 북쪽
88 1942년 8월 25일 11:07 LaGG-3 아크투바[80] 북서쪽 10km(6.2mi) 138 1942년 12월 28일 10시 [Note 8]37분? La-5 코텔니코우[79] 북쪽 5km(3.1mi)
89 1942년 8월 25일 14:45 I-180(Yak-7) 사플로노제[80] 북쪽 2km(1.2mi) 139 1942년 12월 28일 12:55 La-5 코텔니코우[79] 동쪽 10km(6.2마일)
90 1942년 8월 25일 17:37 I-180(Yak-7) 스탈린그라드[80] 동쪽 5km(3.1mi) 140 1943년 1월 9일 12:43 야크-1 PQ 28782, 쿠베르케[79] 역 북쪽 2km(1.2mi)
91 1942년 8월 27일 05:35 I-180(Yak-7) PQ 49431, 스레드냐야 아크투바[80] 141 1943년 1월 9일 12:50 야크-1 PQ 28872, 마첸코우[79] 동쪽 2km(1.2mi)
92 1942년 8월 27일 11:34 I-180(Yak-7) 크라스나야 슬로보다[81] 동쪽 1km(0.62mi) 142 1월 14일 1943년 14:32 Il-2 PQ 17263, 이간드[79] 동쪽
93 1942년 8월 28일 14:50 LaGG-3 PQ 49223, 베르체네[81] 143 1월 14일 1943년 14:33 La-5 PQ 17263, 이간드[79] 동쪽
94 1942년 8월 28일 14:57 LaGG-3 라칭카[81] 동쪽 10km(6.2mi) 144 1월 14일 1943년 14:33 La-5 PQ 27242, 이간드[79] 동쪽
95♠ 1942년 8월 30일 13:10 LaGG-3 곤노자 역에서[81] 북쪽으로 5km(3.1마일) 145 1943년 1월 25일 11:50 La-5 PQ 9865, 로스토프[79] 동쪽
96♠ 1942년 8월 30일 13:12 LaGG-3 두보브카[81] 서쪽 30km(19마일) 146 1943년 1월 26일 10:15 보스턴 PQ 08521, Nowo Tscherkassk[79]
97♠ 1942년 8월 30일 17:00 LaGG-3 PQ 49362, 베케토우카[81] 147 1943년 1월 31일 13:00 보스턴 PQ 09871, 로스토프[79] 동쪽
98♠ 1942년 8월 30일 17:10 LaGG-3 안드레예브카[81] 남쪽 5km(3.1mi) 148 1943년 2월 1일 14:25 야크-1 PQ 9962, 로스토프[82] 동쪽
99♠ 1942년 8월 30일 17:12 LaGG-3 안드레예브카[81] 남쪽 5km(3.1mi) 149 1943년 2월 2일 09:25 야크-1 PQ 9962, 로스토프[82] 동쪽
100 1942년 8월 31일 05:20 LaGG-3 쿠르프족[66] 남쪽 1km(0.62mi) 150 1943년 2월 2일 09:28 야크-1 PQ 99622, 로스토프[82] 동쪽
101 1942년 8월 31일 17:05 LaGG-3 크라스노아르메이스크[66] 북쪽 10km(6.2mi)
– II. 야그제슈바더그루페 52 –[64]
동부 전선 - 1943년 2월
151 1943년 2월 12일 12:02 야크-1 PQ 34 Ost 8659 플라만스카야[83] 154 1943년 2월 23일 12:47 야크-1 PQ 34 Ost 8656, Staromyschastowskaja[84] 북쪽 10km(6.2mi)
152 1943년 2월 23일 09:02 Il-2 PQ 34 Ost 76664, 플라얀스카야[84] 서쪽 155 1943년 2월 25일 08:40 야크-1 PQ 34 Ost 7523, 크림스카야[84]
크림스크
153 1943년 2월 23일 12:45 야크-1 PQ 34 Ost 8656[84]
Jagdgeschwader [85]77의 찌르기 –
북아프리카 - 1943년 4월
156 1943년 4월 4일
스핏파이어 라 포코네리[86] 남서쪽
Jagdgeschwader [85]77의 찌르기 –
이탈리아 - 1943년 6월 ~ 12월 31일
157 1943년 6월 25일 13:25 B-17 PQ 03 Ost 19154, 트라파니[86] 서쪽 161 1943년 8월 25일 09:59 P-38 San[86] Severo 남쪽 8km(5.0mi)
158 1943년 7월 7일 17:25 마틀렛 마르살라[86] 남서쪽 20km(12마일) 162?[Note 2] 1943년 8월 25일 10:00 P-38 산세베로[86] 남서쪽 10km(6.2mi)
159년?[Note 9] 1943년 7월 8일
P-40 트라파니[86] 163 1943년 8월 25일 10:01 P-38 산세베로[86] 남서쪽 15km(9.3mi)
160 1943년 8월 25일 09:58 P-38 San[86] Severo 남쪽 5km(3.1mi) 164 1943년 12월 1일 10:59 모기 피아첸차[86] 남서쪽
Jagdgeschwader [85]77의 찌르기 –
이탈리아 - 1943년 6월 ~ 12월 31일
165?[Note 2] 1944년 2월 25일
B-17*[87] 클라겐푸르트 근방 167 1944년 6월 9일 11:45 B-24[88] 풀라 남쪽
166 1944년 5월 10일 12:50 P-38[88] 자그레브 남동쪽 60km(37마일)
1944년 7월 14일
B-25[89]
Jagdgeschwader [90]77의 찌르기 –
동부 전선 - 1944년 9월
1944년 9월 22일
야크-9
1944년 9월 24일
야크-9
1944년 9월 24일
Il-2
1944년 9월 25일
Bf 109 클라우젠베르크 근방
Jagdgeschwader [90]7의 칼부림 –
동부 전선 — 1945년 2월 ~ 3월
169 1945년 2월 27일
야크-9 171 1945년 3월 20일
Il-2
170 1945년 2월 27일
야크-9
Jagdverband 44 –[90]
제국 방위 - 1945년 4월
172 1945년 4월 3일
B-17 174 1945년 4월 9일
P-51
173 1945년 4월 5일
P-51 리엠

상과 명예

1990년, 베를린 가토우에 있는 전 영국 공군 가토우는 독일 연방군에 의해 점령되면서 슈타인호프 카세른 장군에 임명되었습니다.그리고 1997년 9월 18일, 독일 공군의 야그제슈바데르 73(전투 날개 73)은 장군을 기리는 의미에서 "슈타인호프"로 명명되었다.슈타인호프는 만프레드리히토펜, 막스 이멜만과 함께 이런 방식으로 명예로운 소수의 조종사 중 한 명이다.

출판물

슈타인호프는 다음과 같은 책을 썼다.

  • Die Straße von Messina. Tagebuch des Kommodore (in German). Kulbach & Munich: List. 1969. ISBN 978-3-47178-822-6. 영어 번역:Messerschmitts Over Silicia: 2004년 루프트바페 전투 사령관의 일기.ISBN 978-0-81174-150-7.
  • In letzter Stunde. Verschwörung der Jagdflieger. Vom Widerstand der Jagdflieger gegen Reichsmarschall Göring [In the last hour. Conspiracy of the fighter pilots. On the resistance of the fighter pilots against Reichsmarschall Göring] (in German). Flechsig. 1974. ISBN 978-3-88189-592-7.
  • Wohin treibt die NATO? Probleme der Verteidigung Westeuropas [Where is NATO going? Defence Problems of Western Europe] (in German). Hamburg: Hoffmann und Campe. 1976. ISBN 978-3-455-08986-8.
  • The Last Chance - The Pilots' Plot Against Goering 1944–1945. London: Hutchinson & Co. 1977. ISBN 978-0-09-129620-9.

메모들

  1. ^ 루프트바페 제트 에이스 목록은 독일 제2차 세계 대전 제트 에이스 목록을 참조하십시오.
  2. ^ a b c d Matthews와 Foreman에 따르면 이 주장은 [58]확인되지 않았다.
  3. ^ 매튜와 포먼에 따르면 06시 15분에 주장했다.[52]
  4. ^ 매튜와 포먼이 14시 [52]55분에 주장한 바에 따르면
  5. ^ 매튜와 포먼이 13시 [52]30분에 주장한 바에 따르면
  6. ^ 매튜와 포먼이 19시 [52]55분에 주장한 바에 따르면
  7. ^ 매튜와 포먼이 7시 [72]46분에 주장한 바에 따르면
  8. ^ 매튜와 포먼이 10시 [72]27분에 주장했다고 합니다
  9. ^ 이 주장은 Matthews와 [50]Foreman에 의해 나열되지 않았습니다.

레퍼런스

인용문

  1. ^ a b c d 색슨 1994년
  2. ^ 슈피겔 제1권 / 1973.
  3. ^ a b c 히튼 2000
  4. ^ 톨리버 & 컨스터블 1996, 페이지 85
  5. ^ 페트릭 2010, 페이지 151
  6. ^ a b Stockert 2012, 페이지 43
  7. ^ 프리엔 등 2000a, 페이지 313
  8. ^ 콜드웰 1996, 페이지 6, 10
  9. ^ 콜드웰 1996, 10페이지
  10. ^ 콜드웰 1996, 페이지 329
  11. ^ Caldwell 1996, 페이지 14-17, 21.
  12. ^ Prien et al. 2001, 94페이지
  13. ^ 프리엔 등 2000b, 페이지 139
  14. ^ a b c 프리엔 등 2000b, 페이지 140
  15. ^ a b Prien et al. 2002, 페이지 151
  16. ^ Prien et al. 2002, 페이지 144
  17. ^ Barbas 2005, 페이지 37
  18. ^ Barbas 2005, 38-39페이지.
  19. ^ Prien et al. 2002, 페이지 149
  20. ^ Barbas 2005, 페이지 40
  21. ^ Barbas 2005, 페이지 41, 76.
  22. ^ Prien et al. 2003, 페이지 26
  23. ^ Prien et al. 2006, 페이지 446
  24. ^ Prien et al. 2006, 페이지 475
  25. ^ Prien et al. 2006, 페이지 447
  26. ^ 오버마이어 1989, 페이지 244
  27. ^ Stockert 2012, 페이지 45
  28. ^ Stockert 2012, 페이지 98
  29. ^ Prien et al. 2006, 페이지 506
  30. ^ Prien et al. 2012, 374페이지
  31. ^ 1995년 이전 페이지 2370
  32. ^ 1994년 이전 페이지 1504
  33. ^ 1994년 제1506-1507쪽
  34. ^ 1994년 이전 페이지 1510
  35. ^ 1994년 이전 페이지 1606
  36. ^ 1994년 이전 페이지 1601
  37. ^ 1994년 이전 페이지 1605
  38. ^ Stockert 2012, 페이지 46
  39. ^ 1995년 이전 페이지 2191
  40. ^ 2010년 이하, 페이지 220
  41. ^ 2008년 포스, 페이지 17
  42. ^ 포스 2008, 페이지 6-10.
  43. ^ 2008년 포스, 페이지 15
  44. ^ 2008년 포스, 페이지 27
  45. ^ Hannaford & Hobbs 2000, 페이지 113.
  46. ^ Skelton, George (12 April 1985). "Reagan to Honor German War Dead on V-E Day Trip". Los Angeles Times.
  47. ^ "Ronald Reagan: Remarks at a Joint German-American Military Ceremony at Bitburg Air Base in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5 May 1985.
  48. ^ "Reagan joins Kohl in brief memorial at Bitburg graves". The New York Times. 6 May 1985.
  49. ^ 자베키 2019, 페이지 329
  50. ^ a b Matthews & Foreman 2015, 페이지 1257–1260.
  51. ^ 플랜쿼드랫
  52. ^ a b c d e f g h Matthews & Foreman 2015, 페이지 1257
  53. ^ a b Prien et al. 2001, 페이지 226
  54. ^ a b Prien et al. 2002, 페이지 155
  55. ^ a b Prien et al. 2002, 페이지 156
  56. ^ a b c d e f g h i j Prien et al. 2003, 페이지 41
  57. ^ a b c d e f Prien et al. 2003, 페이지 44
  58. ^ Matthews & Foreman 2015, 페이지 1257, 1259.
  59. ^ a b c d e Prien et al. 2003, 페이지 45
  60. ^ a b c d e f g h i j Prien et al. 2003, 페이지 46
  61. ^ a b c d Prien et al. 2003, 페이지 42
  62. ^ a b c d e f Prien et al. 2003, 페이지 43
  63. ^ a b Prien et al. 2003, 페이지 47
  64. ^ a b Matthews & Foreman 2015, 페이지 1257–1259.
  65. ^ a b c d e f g h i Prien et al. 2006, 페이지 481
  66. ^ a b c d e f g h Prien et al. 2006, 페이지 490
  67. ^ a b c Prien et al. 2006, 페이지 491
  68. ^ a b c d Prien et al. 2006, 페이지 482
  69. ^ a b Prien et al. 2006, 페이지 494
  70. ^ a b c d e f g h Prien et al. 2006, 페이지 495
  71. ^ a b Prien et al. 2006, 페이지 483
  72. ^ a b Matthews & Foreman 2015, 1259페이지
  73. ^ a b Prien et al. 2006, 페이지 484
  74. ^ a b c d e Prien et al. 2006, 페이지 485
  75. ^ a b c d e f g Prien et al. 2006, 페이지 496
  76. ^ a b c d Prien et al. 2006, 페이지 486
  77. ^ a b c d e f g h Prien et al. 2006, 페이지 487
  78. ^ a b c d e f g Prien et al. 2006, 페이지 497
  79. ^ a b c d e f g h i j k l m Prien et al. 2006, 페이지 498
  80. ^ a b c d e f Prien et al. 2006, 페이지 488
  81. ^ a b c d e f g h Prien et al. 2006, 페이지 489
  82. ^ a b c Prien et al. 2006, 페이지 499
  83. ^ Prien et al. 2012, 378페이지
  84. ^ a b c d Prien et al. 2012, 379페이지
  85. ^ a b c Matthews & Foreman 2015, 1259–1260페이지.
  86. ^ a b c d e f g h i Prien et al. 2011, 페이지 302
  87. ^ 1995년 이전 페이지 2433
  88. ^ a b 1995년 이전 페이지 2434
  89. ^ 1995년 이전 페이지 2435
  90. ^ a b c Matthews & Foreman 2015, 페이지 1260.
  91. ^ 오버마이어 1989, 37페이지
  92. ^ a b c Scherzer 2007, 페이지 721
  93. ^ 펠기벨 2000, 페이지 410
  94. ^ 펠기벨 2000, 페이지 61
  95. ^ 펠기벨 2000, 페이지 44

참고 문헌

  • Barbas, Bernd (2005). Die Geschichte der II. Gruppe des Jagdgeschwaders 52 [The History of 2nd Group of Fighter Wing 52] (in German). ISBN 978-3-923457-71-7.
  • von Below, Nicolaus (2010). At Hitler's Side: The Memoirs of Hitler's Luftwaffe Adjutant. Pen and Sword Books. ISBN 978-1-84832-585-2.
  • Bergström, Christer. "Bergström Black Cross/Red Star website". Identifying a Luftwaffe Planquadra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December 2018. Retrieved 17 February 2018.
  • Boehme, Manfred (1992). JG 7 The World's First Jet Fighter Unit 1944/1945. Atglen, PA: Schiffer Publishing. ISBN 978-0-88740-395-8.
  • Caldwell, Donald L. (1996). The JG 26 War Diary: Volume One 1939–1942. London, UK: Grubstreet. ISBN 978-1-898697-52-7.
  • Fellgiebel, Walther-Peer (2000) [1986]. Die Träger des Ritterkreuzes des Eisernen Kreuzes 1939–1945 — Die Inhaber der höchsten Auszeichnung des Zweiten Weltkrieges aller Wehrmachtteile [The Bearers of the Knight's Cross of the Iron Cross 1939–1945 — The Owners of the Highest Award of the Second World War of all Wehrmacht Branches] (in German). Friedberg, Germany: Podzun-Pallas. ISBN 978-3-7909-0284-6.
  • Forsyth, Robert (2008). Jagdgeschwader 7 'Nowotny. Oxford, UK: Osprey Publishing. ISBN 978-1-84603-320-9.
  • Hannaford, Peter D.; Hobbs, Charles D. (2000). Remembering Reagan. Regnery Publishing. ISBN 978-0-89526-514-2.
  • Heaton, Colin D. (February 2000). "Interview: Luftwaffe Eagle Johannes Steinhoff". Military History Magazine. Retrieved 13 July 2013.
  • Matthews, Andrew Johannes; Foreman, John (2015). Luftwaffe Aces — Biographies and Victory Claims — Volume 4 S–Z. Walton on Thames: Red Kite. ISBN 978-1-906592-21-9.
  • Obermaier, Ernst (1989). Die Ritterkreuzträger der Luftwaffe Jagdflieger 1939 – 1945 [The Knight's Cross Bearers of the Luftwaffe Fighter Force 1939 – 1945] (in German). Mainz, Germany: Verlag Dieter Hoffmann. ISBN 978-3-87341-065-7.
  • Petrick, Jörn (2010). Gedenkbuch der Landsmannschaft im Coburger Convent Saxo-Suevia zu Erlangen. Zur Erinnerung an unsere verstorbenen Bundesbrüder (1878-2010). Erlangen.
  • Prien, Jochen (1994). Geschichte des Jagdgeschwaders 77—Teil 3—1942–1943 [History of Jagdgeschwader 77—Volume 3—1942–1943] (in German). Eutin, Germany: Struve-Druck. ISBN 978-3-923457-26-7.
  • Prien, Jochen (1995). Geschichte des Jagdgeschwaders 77—Teil 4—1944–1945 [History of Jagdgeschwader 77—Volume 4—1944–1945] (in German). Eutin, Germany: Struve-Druck. ISBN 978-3-923457-29-8.
  • Prien, Jochen; Stemmer, Gerhard; Rodeike, Peter; Bock, Winfried (2000a). Die Jagdfliegerverbände der Deutschen Luftwaffe 1934 bis 1945—Teil 1—Vorkriegszeit und Einsatz über Polen—1934 bis 1939 [The Fighter Units of the German Air Force 1934 to 1945—Part 1—Pre-War Period and Action over Poland—1934 to 1939] (in German). Eutin, Germany: Struve-Druck. ISBN 978-3-923457-54-0.
  • Prien, Jochen; Stemmer, Gerhard; Rodeike, Peter; Bock, Winfried (2001). Die Jagdfliegerverbände der Deutschen Luftwaffe 1934 bis 1945—Teil 2—Der "Sitzkrieg"—1.9.1939 bis 9.5.1941 [The Fighter Units of the German Air Force 1934 to 1945—Part 2—The "Phoney War"—1 September 1939 to 9 May 1940] (in German). Eutin, Germany: Struve-Druck. ISBN 978-3-923457-59-5.
  • Prien, Jochen; Stemmer, Gerhard; Rodeike, Peter; Bock, Winfried (2000b). Die Jagdfliegerverbände der deutschen Luftwaffe 1934 bis 1945 Teil 3—Einsatz in Dänemark und Norwegen 9.4. bis 30.11.1940—Der Feldzug im Westen 10.5. bis 25.6.1940 [Fighter Pilot Association of the German Luftwaffe 1934 to 1945 Part 3—Assignments in Denmark and Norway 9 April to 30 November 1940—The campaign in the West 10 May to 25 June 1940] (in German). Struve-Druck. ISBN 978-3-923457-61-8.
  • Prien, Jochen; Stemmer, Gerhard; Rodeike, Peter; Bock, Winfried (2002). Die Jagdfliegerverbände der Deutschen Luftwaffe 1934 bis 1945—Teil 4/II—Einsatz am Kanal und über England—26.6.1940 bis 21.6.1941 [The Fighter Units of the German Air Force 1934 to 1945—Part 4/II—Action at the Channel and over England—26 June 1940 to 21 June 1941] (in German). Eutin, Germany: Struve-Druck. ISBN 978-3-923457-64-9.
  • Prien, Jochen; Stemmer, Gerhard; Rodeike, Peter; Bock, Winfried (2003). Die Jagdfliegerverbände der Deutschen Luftwaffe 1934 bis 1945—Teil 6/II—Unternehmen "BARBAROSSA"—Einsatz im Osten—22.6. bis 5.12.1941 [The Fighter Units of the German Air Force 1934 to 1945—Part 6/II—Operation "BARBAROSSA"—Action in the East—22 June to 5 December 1941] (in German). Eutin, Germany: Struve-Druck. ISBN 978-3-923457-70-0.
  • Prien, Jochen; Stemmer, Gerhard; Rodeike, Peter; Bock, Winfried (2006). Die Jagdfliegerverbände der Deutschen Luftwaffe 1934 bis 1945—Teil 9/II—Vom Sommerfeldzug 1942 bis zur Niederlage von Stalingrad—1.5.1942 bis 3.2.1943 [The Fighter Units of the German Air Force 1934 to 1945—Part 9/II—From the 1942 Summer Campaign to the Defeat at Stalingrad—1 May 1942 to 3 February 1943] (in German). Eutin, Germany: Struve-Druck. ISBN 978-3-923457-77-9.
  • Prien, Jochen; Stemmer, Gerhard; Rodeike, Peter; Bock, Winfried (2011). Die Jagdfliegerverbände der Deutschen Luftwaffe 1934 bis 1945—Teil 11/II—Einsatz im Mittelmeerraum—1.1 bis 31.12.1943 [The Fighter Units of the German Air Force 1934 to 1945—Part 11/II—Action in the Mediterranean Theater—1 January to 31 December 1943] (in German). Eutin, Germany: Struve-Druck. ISBN 978-3-942943-00-0.
  • Prien, Jochen; Stemmer, Gerhard; Rodeike, Peter; Bock, Winfried (2012). Die Jagdfliegerverbände der Deutschen Luftwaffe 1934 bis 1945—Teil 12/II—Einsatz im Osten—4.2. bis 31.12.1943 [The Fighter Units of the German Air Force 1934 to 1945—Part 12/II—Action in the East—4 February to 31 December 1943] (in German). Eutin, Germany: Buchverlag Rogge. ISBN 978-3-942943-05-5.
  • Saxon, Wolfgang (23 February 1994). "Gen. Johannes Steinhoff, 80, Dies; Helped Rebuild German Air Force". New York Times. Retrieved 13 July 2013.
  • Scherzer, Veit (2007). Die Ritterkreuzträger 1939–1945 Die Inhaber des Ritterkreuzes des Eisernen Kreuzes 1939 von Heer, Luftwaffe, Kriegsmarine, Waffen-SS, Volkssturm sowie mit Deutschland verbündeter Streitkräfte nach den Unterlagen des Bundesarchives [The Knight's Cross Bearers 1939–1945 The Holders of the Knight's Cross of the Iron Cross 1939 by Army, Air Force, Navy, Waffen-SS, Volkssturm and Allied Forces with Germany According to the Documents of the Federal Archives] (in German). Jena, Germany: Scherzers Militaer-Verlag. ISBN 978-3-938845-17-2.
  • Stockert, Peter (2012) [1997]. Die Eichenlaubträger 1939–1945 Band 2 [The Oak Leaves Bearers 1939–1945 Volume 2] (in German) (4th ed.). Bad Friedrichshall, Germany: Friedrichshaller Rundblick. ISBN 978-3-9802222-9-7.
  • Thomas, Franz (1998). Die Eichenlaubträger 1939–1945 Band 2: L–Z [The Oak Leaves Bearers 1939–1945 Volume 2: L–Z] (in German). Osnabrück, Germany: Biblio-Verlag. ISBN 978-3-7648-2300-9.
  • Toliver, Raymond F.; Constable, Trevor J. (1996). Fighter Aces of the Luftwaffe. Schiffer Publishing. ISBN 978-0887409097.
  • Zabecki, David T., ed. (2019). The German War Machine in World War II. Santa Barbara, California: ABC-Clio. ISBN 978-1-44-086918-1.
  • "Bis zum letzten". Der Spiegel (in German). No. 1. 1973. Retrieved 29 January 2015.

외부 링크

군청
선행 Jagdgeschwader 77 Herz As 지휘관
1943년 4월 1일 - 1944년 12월 1일
에 의해 성공자
요하네스 위제 소령
선행
없음.
야그제슈바데르 7 노보트니 사령관
1944년 12월 1일 ~ 1944년 12월 26일
에 의해 성공자
선행
4번 지휘관입니다. 루프트바펜디비전 (번데슈베어)
1963년 12월 4일 ~ 1965년 4월 14일
에 의해 성공자
선행 연합 공군 중부 유럽 사령관
연기

1965 – 1966
편대 해체
선행 공군 감찰관
1966년 9월 2일 ~ 1970년 12월 31일
에 의해 성공자
제너럴루트넌트 귄터랄
선행
나이젤 헨더슨 제독
북대서양조약기구 군사위원회 위원장
1971 – 1974
에 의해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