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세 디르슈

José Dirceu
호세 디르슈
José Dirceu.jpg
대통령 비서실장
재직중
2003년 1월 1일 – 2005년 6월 21일
대통령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선행자페드로 파렌테
성공자딜마 호세프
상파울루 연방차관
재직중
1999년 2월 1일 – 2005년 12월 1일
재직중
1991년 2월 1일 – 1995년 2월 1일
전국노동당 총재
재직중
1995년 10월 29일 – 2002년 12월 7일
선행자루이 팔캉
성공자호세 제노
상파울루 주정부 차관보
재직중
1987년 2월 1일 – 1991년 2월 1일
개인내역
태어난
호세 디르체 데 올리베이라 에 실바

(1946-03-16) 1946년 3월 16일 (76세)
브라질 미나스제라이스 파사 콰트로
정당PT (현재)
기타정치
소속.
PCB (1961-1966)
모교상파울루 가톨릭 대학교

호세 디르체(포르투갈어 발음: [ [oˈzɛ dʒiɾsew]; 1946년 3월 16일 출생)는 전 브라질 정치인 호세 디르체 올리베이라 에 실바(José Dirceu de Olivira e Silva)이다.그의 정치적 권리는 브라질 하원에 의해 정지되었고, 그는 두 번의 개별 소송에서 적극적인 부패와 음모로 브라질 대법원에서 유죄 판결을 받았다.[1]

1964년 브라질 쿠데타 이후 무장 혁명단체에 참여하였고, 1969년 망명하였다.1980년 귀국해 2003년부터 부패 혐의로 사임할 때까지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시우바 정권에서 최고 책임자 자리에 오르는 등 정치적으로 활동했다.[2]

초년기

1968년 디르슈

디르슈는 1961년 상파울루로 이주했고 1966년 알라 마리겔라에 가입했으며, 이후 브라질 공산당과 연계된 혁명 무장 단체인 ALN으로 불렸다.1968년에 "다니엘"로 알려진 더르슈는 전국학생연합(UEE)의 리더였다.그 결과, 디르슈는 1968년 10월 12일, 제30차 전국학생연합(UNE) 총회에서 이비우나에서 체포되었다.

1969년 마르크스주의 혁명 단체 MR8과 ALN은 주브라질 미국 대사 찰스 버크 엘브릭을 납치했다.혁명가들은 조제 디르슈를 포함한 15명의 포로의 해방을 요구했다.이 사건은 영화 '9월4일'의 기본이다.

그 후 그는 쿠바를 여행했다.망명을 하는 동안, 디르슈는 일했고, 군사 훈련을 받았고, 섬에서 공부했다.그에 따르면 그는 성형수술을 통해 외모를 바꿨다고 한다.더슈는 1975년 "칼로스 헨리케 고베야 데 멜로"라는 가명으로 브라질로 돌아왔다.그는 첫 번째 아내와 결혼하여 완전한 비밀리에 파라나에서 살았는데, 그의 진짜 신원은 아내에게도 알려지지 않은 채 쿠바로 돌아온 1979년까지 살았다.

그의 공식 유배는 사면을 거쳐 1980년에 끝났다.첫 번째 아내와 헤어진 그는 심리학자 엥겔라 사라고사와 다시 결혼하여 자신의 진짜 신분을 자처했다.사라고사와의 결혼은 1990년에 끝이 났다.1991년 그는 호전적인 시절의 오랜 친구였던 현재의 아내 마리아 리타 가르시아 앤드라드와 결혼했다.그에게는 아이가 셋 있다.

디르슈는 1984년 대통령 직선제를 지지하는 데레타스 자 선거 운동과 정치 활동으로 재판받고 유죄 판결을 받은 사람들에 대한 사면을 허용하는 운동에 적극적인 역할을 했다.

정치 경력

상파울루 가톨릭대에서 법학 학위를 받은 그는 1987년부터 1991년(SP-PT), 1991년부터 1995년(SP-PT), 1999년부터 2003년(SP-PT)까지 국회의원을 지냈다.1995년 PT 사장에 선출되었고 1997년 재선되었다.[3]

디르슈는 파르티도 도스 트라발하도레스(PT)에서 수많은 직책을 맡았으며, 그 중 1995년부터 1997년까지 국가 행정원장을 역임했다.1989년에 그는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실바의 첫 대통령 선거운동을 조정했다.

그는 시의회, 주 입법회, 연방구의회 의원실에서 다양한 의정 활동을 했다.이 가운데 재정예산위원회 위원과 국민안전위원회 부위원장을 지냈다.

2003년 1월 1일부터 2005년 6월 16일까지 더슈는 룰라 대통령의 비서실장이었다.브라질에서는 참모총장이 영국 내각관방과 비슷한 장관직을 갖고 있는데, 룰라 대통령이 모든 정부 인사를 그에게 맡기는 대통령령으로 인해 여전히 그에게 더 많은 권한이 주어졌다.[4]

멘살랑 비리 사건

더슈가 룰라 대통령의 비서실장으로 자리를 떠난 것은 입법부 내 대규모 부패 계획인 멘살랑 스캔들에 기인한다.정부를 떠나자 더슈는 상파울루 주의 선출된 하원의원으로서 그의 역할을 재개했다.그는 2005년 11월 30일, 멘살랑 스캔들에 연루되어 의회 예의를 어긴 혐의로 의회에서 제명되었고, 2015년까지 어떤 임원이나 입법부 직책을 겸직할 수 없게 되었다.2006년 현재, 그는 리우데자네이루의 한 로펌에서 연습하고 있다.

그는 법무장관으로부터 기소되어 유죄판결을[when?] 받았고, 멘살랑의 우두머리라는 죄목으로 기소되었다.그는 2012년 8월 연방대법원에 의해 부패, 횡령, 공갈, 돈세탁 등의 혐의로 기소돼 2012년 10월 유죄 판결을 받았다.[5]그는 현재[when?] 파푸다 감옥에서 7년 형을 살고 있다.

페트로브라스의 부패 스캔들

2015년 8월 3일, 카워시 작전 수사 결과 부패돈세탁 혐의로 다시 체포되었다.[6]2016년 5월 18일 유죄 판결을 받고 징역 23년 3개월을 선고받았다.[7]그는 이전에 멘살랑 스캔들과 관련하여 10년 이상의 징역형을 선고받은 적이 있었다.[8]2017년 5월 3일, 항소법원은 그에게 이전에 기각되었던 항소심 중 보석을 허가했다.[9]수사를 담당한 검사는 이 결정을 "논리적"이라며 "더슈의 자유가 "사회에 실질적인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검찰은 같은 날 더슈가 엥게빅스 UTC와의 페트로브라스 계약에서 R240만원을 빼돌린 혐의로 기소했다.[10]

참조

  1. ^ Veja, Revista. "O resultado do Mensalão".
  2. ^ Barrionuevo, Alexei (2007-08-29). "Close Political Ally of Brazilian President to Face Corruption Trial".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2007-09-23.
  3. ^ Wendy Hunter (2010). The Transformation of the Workers' Party in Brazil, 1989–2009.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127. ISBN 978-1139492669 – via Google Books.
  4. ^ John Crocitti (2012). John Crocitti; Monique Vallance (eds.). Brazil Today: An Encyclopedia of Life in the Republic. Vol. 1. ABC-CLIO. p. 191. ISBN 978-0313346729 – via Google Books.
  5. ^ Bento, Lucas (2012-10-09). "Brazil's Trial of the Century". Yale Journal of International Affairs.
  6. ^ "Brazilian Police Arrest José Dirceu, Ex-Chief of Staff, in Petrobras Probe". The Wall Street Journal.
  7. ^ "Moro Condena Dirceu a 23 anos de Prisão". Folha de São Paulo.
  8. ^ "Former Brazil presidential chief of staff sentenced to 23 years for corruption". The Guardian. May 18, 2016. Retrieved July 25, 2017.
  9. ^ "Brazil's former Lula aide Jose Dirceu freed to await corruption appeal result". BBC. May 3, 2017. Retrieved July 25, 2017.
  10. ^ "Dirceu's release by STF is "incoherent," says Lava Jato's coordinator" (in Portuguese). UOL. May 2, 2017. Retrieved July 25, 2017.

추가 읽기

정당정치국
선행자 전국노동당 총재
1995–2002
성공자
정치국
선행자 대통령 비서실장
2003–2005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