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마무샤
Kagemusha가마무샤(影影者, Shadow Warrior)는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1980년 지다이게키 영화다. 가마무샤는 말 그대로 '그림자 전사'라는 뜻의 정치 미끼의 일본식 용어다. 일본사 센고쿠 시대를 배경으로, 죽어가는 다이묘를 사칭해 상대 영주들이 새롭게 취약한 일족을 공격하지 못하도록 만류하는 하급 범죄자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다이묘는 다케다 신겐을 원작으로 하고, 영화는 기후적인 1575년의 나가시노 전투로 끝난다.[5]
이 영화는 1980년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수상했다. 또한 아카데미 외국어 영화상 후보에 올랐고 다른 영예를 안았다. 2009년 이 영화는 일본 영화 전문지 키네마 준포가 선정한 '역대 최고의 일본 영화' 59위로 뽑혔다.[6]
플롯
일본 센고쿠 시대에는 다케다 일가의 다이묘인 다케다 신겐이 형 노부카도를 만나고, 도둑이 신겐과 괴상하게 닮아 우연히 만나 십자가형을 면한 이름 없는 도둑이 있다. 그러자 형제는 그가 이중으로 쓸모가 있다는 것을 증명할 것이라는 데 동의하고, 도둑을 정치적 미끼인 카마무샤로 이용하기로 결정한다. 이후 신겐의 군대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성을 포위했다. 어느 날 저녁 신겐이 전쟁터를 방문했을 때, 그는 신겐의 이전 움직임을 진지에서 지도화한 저격수의 총에 맞는다. 치명상을 입은 그는 철수를 명령하고 그의 장군들에게 3년 동안 그의 죽음을 비밀로 하라고 명령한다. 신겐은 곧 소수의 목격자만 데리고 죽는다. 한편 신겐의 라이벌 오다 노부나가와 도쿠가와 이에야스, 우에스기 겐신 등은 신겐의 죽음을 아직 모르고 있는 신겐의 철군에 따른 결과를 각각 숙고한다.
노부카도는 신겐의 장군들에게 도둑을 선물하면서, 이 카마무샤를 신겐의 전임자를 사칭하도록 하자고 제안한다. 처음에는 도둑도 신겐의 죽음을 모르고 있다가 보물이 들어 있다고 믿고 거대한 항아리에 침입하려 하고 대신 신겐의 보존된 시체를 발견한다. 그러자 장군들은 그 도둑을 믿을 수 없다고 판단하고 그를 풀어주었다. 이후 다케다 지도자들은 신겐의 시체가 든 항아리를 수와 호수에 몰래 떨어뜨린다. 도쿠가와와와 그의 동맹인 오다를 위해 일하는 스파이들은 항아리의 폐기를 목격하고 신겐이 죽었다고 의심하여 사망신고를 하러 간다. 그러나 그 도둑은 간첩들의 말을 엿듣고 신겐에게 죽음의 도움이 되기를 바라면서 그의 공로를 바치러 간다. 다케다 씨족은 호수의 신에게 사케를 제물로 바친다고 발표함으로써 그 기만감을 보존하고 있다. 간첩들은 포위망을 뚫고 집으로 진군하면서 다케다군을 따라간다. 신겐이 죽었다고 의심하고 있지만, 나중에 카마무샤의 활약에 납득한다.
귀국한 카마무샤는 신겐의 망언을 성공적으로 속인다. 신겐의 몸짓을 모방하고 그에 대해 더 많이 알게 됨으로써, 카마무샤는 신겐의 페르소나를 기분 나쁘게 모방하기 시작하고, 신겐과 매우 친했던 다케다 가쓰요리의 아들과 신겐의 손자를 설득하기도 한다. 가메무샤는 도쿠가와가 다케다 국경 성에 대해 벌인 도발적인 공격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를 계획하기 위해 씨족 협의회를 주재해야 할 때 노부카도로부터 노부카도가 장군들을 합의할 때까지 말을 하지 말라는 지시를 받고, 이에 따라 가메무샤는 장군들의 계획에 간단히 동의하고 협의회를 해산하게 된다. 그러나 가쓰요리는 아버지의 3년 후조(後朝)의 칙령에 격분하여 가쓰요리의 유산과 지도력을 늦춘다. 따라서 가쓰요리는 대다수의 수행원들이 신겐이 죽었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기 때문에 의회 앞에서 가쓰요리를 시험해 보기로 한다. 카츠요리는 「주군」이 어떤 행동을 취해야 할 것인가를 가마무샤에게 직접 묻는다. 카마무샤는 한참을 망설이다가 신겐의 태도로는 산이 움직이지 않는다고 설득력 있게 대답한다. 카마무샤의 효과적인 즉흥 연주는 장군들에게 더욱 깊은 인상을 준다.
곧, 1573년 오다 노부나가는 아자이 나가마사를 공격하기 위해 병력을 동원하고, 커져가는 반대에 맞서 교토에 대한 통제를 유지하기 위해 혼슈 중심부에서 캠페인을 계속하고 있다. 도쿠가와 가문과 오다 가문이 다케다 영토에 대한 공격을 개시하자, 가쓰요리는 다른 장군들의 조언에 반격하기 시작한다. 가마무샤는 1574년 다카텐진 전투로 증원군을 이끌어야 하며, 부대를 승리로 이끄는 데 도움을 준다. 과신해서 카마무샤는 신겐의 씩씩한 말을 타려고 한다. 그가 떨어졌을 때, 그를 돕기 위해 달려드는 사람들은 그가 그들의 영주의 전투 흉터가 없음을 보고, 그는 사기꾼으로 드러난다. 도둑은 불명예스럽게 궁에서 쫓겨나고, 가쓰요리는 일족을 대신한다. 다케다 일족 지도부의 약점을 감지한 오다와 도쿠가와가 대담해져 다케다 본국으로의 본격적인 공세에 들어간다.
이제 다케다군을 완전히 장악하고 있는 가쓰요리는 노부나가에 대한 반격을 주도하여 나가시노 전투가 일어난다. 그들의 공격에는 용기가 있지만, 다케다 기병과 보병의 파도에 이은 파도는 나무로 만든 스타카데 뒤에 배치된 오다 군대의 타네가시마 화력에 의해 진압되어 다케다 군은 사실상 제거된다. 다케다군을 따라온 추방된 카마무샤는 당황하여 마지막 충성의 표시로 창을 들고 오다 선에 대해 절망적인 전하를 한다. 치명상을 입은 카마무샤는 강물에 빠진 푸린카잔 현수막을 되찾으려다 물 속에서 입은 상처에 굴복한다. 영화가 버려진 푸린카잔의 긴 촬영으로 마무리되면서 그의 몸은 그것을 지나쳐 떠다닌다.
생산
조지 루카스와 프란시스 포드 코폴라는 이 영화의 마지막 부분에서 국제판의 중역 프로듀서로 인정받고 있다. 원작자인 토호스튜디오가 영화를 완성할 여력이 없자 20세기폭스를 설득해 영화 예산 부족분을 메웠기 때문이다. 그 대가로, 20세기 폭스는 이 영화의 국제 배급권을 받았다.
구로사와는 원래 배우 신타로 카츠를 주인공으로 캐스팅했다. 그러나 카츠는 촬영 첫날 촬영이 끝나기 전에 제작을 떠났다; Criteria Collection DVD의 인터뷰에서, 카츠가 쿠로사와의 영화 제작 방법을 녹화하기 위해 자신의 카메라 제작진과 함께 도착함으로써 쿠로사와를 화나게 했다고 말한다. 가쓰가 해고된 것인지, 아니면 스스로 탈퇴한 것인지는 분명치 않지만, 구로사와의 이전 영화에 다수 출연했던 유명한 배우 나카다이 다쓰야로 대체되었다. 나카다이는 자신이 사칭한 가마무샤와 영주를 모두 연기했다.
구로사와는 오랜 정규 배우 시무라 다카시 역을 맡았으며, 가메무샤는 시무라가 출연한 마지막 구로사와 영화였다. 그러나 그가 신겐과의 만남에 서양 의사와 동행하는 하인 역을 맡은 장면은 이 영화의 해외 개봉에서 제외되었다. 이 영화의 기준 컬렉션 DVD 발매는 이 장면뿐만 아니라 영화 속 약 18분을 더 복원시켰다.
루카스에 따르면 쿠로사와는 하루 종일 촬영을 하면서 마지막 전투 시퀀스에 5000개의 엑스트라를 사용하다가 최종 발매에서 90초로 줄였다고 한다. 많은 아름다운 특수효과와 이야기의 구멍을 메운 많은 장면들이 "커팅룸 바닥"에 떨어졌다.
캐스트
- 다케다 신겐(太田神天) 역의 나카다이 다쓰야(中田中太郞)와 가마무샤(影馬ush) 역의 나카다이다.
- 신겐의 동생인 다케다 노부카도(太田信道) 역의 야마자키 쓰토무.
- 신겐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다케다 카츠요리(太田 katsuori) 역의 하기와라 겐이치.
- 츠치야 소하치로 역의 진파치 네즈, 다케다 신겐과 가메무샤의 수석 경호원.
- 타케다에서 가장 경험이 많은 장군인 야마가타 마사카게(山田 山 mas) 역의 오타키 히데지.
- 류다이스케는 신겐의 일본 지배의 최대 라이벌 중의 하나인 오다 노부나가(大田信長)로 출연한다.
- 노부나가의 가장 강력한 동맹인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川 ieyasu康) 역의 유이 마사유키.
- 신겐의 후궁 중 한 사람인 오쓰야노카타(おsu弥方) 역의 모모이 가오리.
- 신겐의 또 다른 후궁인 오유노카타(五於 oyok) 역의 바이쇼 미쓰코.
- 무로타 히데오는 다케다 씨족의 군대의 최고 장군 중 한 명인 바바 노부하루(馬場 nobu, 馬春)로 활약했다.
- 시호 다카유키는 다케다 씨족의 군대에서 또 다른 중요한 장군인 마사토요 나오토(明藤正義) 역을 맡았다.
- 아토베 가쓰스케 역의 시미즈 고지(跡部 勝資)
- 하라 마사타네 역의 시미즈 노부로(原原))
- 야마모토 센은 오야마다 노부시게(小山田)로 한다.
- 고사카 마사노부 역의 스기모리 슈헤이(高坂 昌信)
- 시무라 다카시 역 타구치 교부( as田uchi)
- 신겐의 또 다른 일본 지배 경쟁자인 우에스기 겐신(上杉杉) 역의 가나쿠보 에이이치.
- 프란시스 셀렉의 프리스트
- 승마인 야부키 지로
- 후지와라 가마타리(의사)
해제
가마무샤는 1980년 4월 26일 일본에서 극적으로 개봉되어 토호(東湖)에 의해 배급되었다.[2] 1980년 10월 6일 미국에서 극적으로 개봉되어 20세기 폭스에 의해 배급되었다.[2] 미국의 연극판은 162분간의 상영 시간을 가졌다.[2] 2005년 180분 러닝타임으로 미국 홈비디오에 공개되었다.[2]
박스오피스
가메무샤는 1980년 일본 국내 영화 1위로 배급 임대 수입 27억 달러를 벌어들였다.[7] 이 영화는 총 55억 원의 일본 박스 오피스 수입을 올렸다.[8]
해외에서 이 영화는 미국에서 400만 달러의 수익을 올렸다.[4] 1980년 10월 1일 개봉한 프랑스에서 이 영화는 904,627장의 티켓이 팔렸는데 [9]이는 약 244만2,500유로[10](약 332만2,800달러)의 예상 총수입에 상당하는 금액이다.[11] 이로써 이 영화의 전 세계 총 예상 총액은 약 33,322,800달러로 늘어났다.
어콜라데스
가메무샤는 일본과 해외에서 수많은 영예를 안으며 쿠로사와의 10년 중 가장 성공적인 10년인 1980년대의 시작을 알렸다.[12] 1980년 칸 영화제에서 카마무샤는 황금종려상을 올댓재즈와 공유했다.[13] 카마무샤는 (무라키 요시로 감독)와 외국어 영화 두 개의 아카데미상 후보에 올랐다.[14][15]
상 | 식일 | 카테고리 | 받는 사람 | 결과 | Ref(s) |
---|---|---|---|---|---|
아카데미상 | 1981년 3월 31일 | 최우수 외국어 영화 | 구로사와 아키라 | 지명했다 | [14] |
베스트 아트 디렉션 | 무라키 요시로 | 지명했다 | |||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 1981 | 베스트 필름 | 구로사와 아키라, 다나카 도모유키 | 지명했다 | [16] |
베스트 디렉션 | 구로사와 아키라 | 원 | |||
베스트 시네마토그래피 | 우에다 쇼지, 사이토 다카오 | 지명했다 | |||
베스트 코스튬 디자인 | 모모사와 세이이치로 | 원 | |||
칸 영화제 | 1980년 5월 9일 ~ 23일 | 황금종려상 | 구로사와 아키라 | 원 | [13] |
세자르상 | 1981년 1월 31일 | 최우수 외국 영화 | 구로사와 아키라 | 원 | [17] |
다비드 디 도나텔로 | 1981년 9월 26일 | 최우수 외국인 감독 | 구로사와 아키라 | 원 | [18] |
최우수 외국인 프로듀서 |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조지 루카스 | 원 | |||
골든 글로브상 | 1981년 1월 31일 | 최우수 외국어 영화 | 구로사와 아키라 | 지명했다 | [19] |
마이니치 영화상 | 1980 | 베스트 필름 | 구로사와 아키라 | 원 | [20] |
베스트 디렉터 | 구로사와 아키라 | 원 | |||
남우주연상 | 나카다이 다쓰야 | 원 | |||
베스트 아트 디렉션 | 무라키 요시루 | 원 | |||
베스트 뮤직 | 신이치로이케베 | 원 | |||
국가심사위원회 | 1981년 1월 26일 | 외국 영화 톱 | 구로사와 아키라 | 원 | [21] |
2016년 할리우드 리포터는 "16세기 일본의 전쟁을 배경으로 쿠로사와의 장엄한 사무라이 서사시는 역사적 경이로움뿐만 아니라 현실과 믿음, 의미에 대한 복잡한 생각을 전달하는 이미지에도 여전히 경외심을 불러일으킨다"[22]고 결론짓고 현재까지 집계된 69명의 황금종려상 수상자 중 10위에 올랐다.
참고 항목
참조
- ^ Ritchie, Donald (1998). The Films of Akira Kurosawa (3 e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 238. ISBN 978-0-520-22037-9.
- ^ Jump up to: a b c d e 갈브레이스 4세, 페이지 322.
- ^ 오브리 솔로몬, 20세기 폭스: 기업과 금융사, 허수아비 출판사, 1989 p259
- ^ Jump up to: a b 박스 오피스 모조의 카마무샤
- ^ Rayns, Tony (2006). Talking with the Director. Criterion Collection. Criterion Collection. p. 13.
- ^ "Greatest Japanese films by magazine Kinema Junpo (2009 vers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11, 2012. Retrieved 2011-12-26.
- ^ "Kako haikyū shūnyū jōi sakuhin 1980-nen" (in Japanese). Motion Picture Producers Association of Japan. Retrieved 4 February 2011.
- ^ "Kagemusha". Toho Kingdom. Retrieved 23 May 2020.
- ^ "Kagemusha (1980)". JP's Box-Office. Retrieved 23 May 2020.
- ^ "Cinema market". Cinema, TV and radio in the EU: Statistics on audiovisual services (Data 1980-2002). Europa (2003 ed.).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s of the European Communities. 2003. pp. 31-64 (61). ISBN 92-894-5709-0. ISSN 1725-4515. Retrieved 23 May 2020.
- ^ "Historical currency converter with official exchange rates from 1953". fxtop.com. 1 October 1980. Retrieved 23 May 2020.
- ^ 와일드 2014, 페이지 165.
- ^ Jump up to: a b "Festival de Cannes: Kagemusha". festival-cannes.com. Retrieved 2009-05-27.
- ^ Jump up to: a b "The 53rd Academy Awards (1981) Nominees and Winners". oscars.org. Retrieved 2013-06-08.
- ^ "NY Times: Kagemusha". Movies & TV Dept. The New York Times.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10-18. Retrieved 2008-12-31.
- ^ "Film in 1981". British Academy of Film and Television Arts. Retrieved 23 June 2017.
- ^ "Prix et nominations : César 1981". AlloCiné. Retrieved 23 June 2017.
- ^ "Cronologia Dei Premi David Di Donatello". David di Donatello. Retrieved 23 June 2017.
- ^ "Kagemusha (The Shadow Warrior)". Hollywood Foreign Press Association. Retrieved 23 June 2017.
- ^ "35th (1980)". Mainichi Film Awards. 2016. Retrieved 23 June 2017.
- ^ "1980 Award Winners". National Board of Review of Motion Pictures. 2016. Retrieved 2 December 2016.
- ^ THR Staff (10 May 2016). "Cannes: All the Palme d'Or Winners, Ranked". The Hollywood Reporter. Retrieved 20 September 2016.
참고 문헌 목록
- Galbraith IV, Stuart (2008). The Toho Studios Story: A History and Complete Filmography. Scarecrow Press. ISBN 978-1461673743. Retrieved October 29, 2013.
- Wild, Peter (2014). Akira Kurosawa. Reaktion Books. ISBN 978-1780233802.
외부 링크
![]() | 위키코테는 다음과 관련된 인용구를 가지고 있다:카게무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