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스바 안누아르

Kasbah An-Nouar
Bab Chorfa, Place Bou Jeloud에서 카스바의 문과 입구. 대부분의 날에는 대문 앞에 시장이 있다.

카스바 안누아르 또는 카스바 필랄리모로코 페즈 메디나에 있는 성벽으로 둘러싸인 구역이자 옛 군 은신처다. 그것의 이름은 "꽃의 성"을 의미하지만, 때때로 Kasbah FilalaKasbah Chorfa라고도 불린다.[1] 그것은 여러 시대에 걸쳐 옛 도시 페즈 주변에 세워진 몇몇 요새화된 군사 밀폐물 또는 카스바 중 하나이다.

역사

카스바의 모스크.

카스바의 토대는 무흐마드 알 나시르(12세기)가 페즈의 요새를 재건한 알모하드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한다.[1][2] 그러나 알라우이테 시대에는 [3][4]필랄라(타필랄트 지방 출신의 세틀러)와의 연계를 취득하면서 현재의 형태를 취했을 가능성이 높다.[1]

중세 시대(12세기~16세기)

압드 알무민 휘하의 알모하드 족은 1145년 주민들이 격렬한 저항을 펼친 어려운 포위 공격 끝에 페즈를 정복했다. 압드 알 무민은 이 반대파에 대한 보복과 향후 저항을 막기 위해 페즈의 성벽과 요새를 모두 철거하라고 명령했다.[5] 그러나 결국 도시의 중심적인 경제적 중요성과 북부 모로코의 군사기지로서의 역할을 감안하여 제4대 알모하드 칼리프(1199년–1213년)는 도시의 서쪽에 두 개의 시타델이나 카스바뿐 아니라 도시 성벽의 새로운 회로를 건설하였다. 이 시기에 도시를 요새화하기로 한 결정도 같은라스나바스톨로사 전투에서 알모하드족이 심각한 패배를 당했기 때문에 제국이 더욱 취약해졌기 때문일 것이다.[5]

이 새로운 카스바 중 하나가 바로 카스바 안누아르인데, 바브 마흐루크 서쪽 문(이때도 지어졌다)에 인접한 지역에 세워졌다.[1][5] 다른 한 명인 카스바 부 젤루드는 남쪽에 있는 바브 부 젤루드 근처의 옛 알모라비드 성채 터에 지어졌다. 카스바 부 젤루드는 오늘날 더 이상 요새화되지 않고 다양한 시기(20세기 초 포함)에 페즈 총독의 거주지로 눈에 띄게 중요했다.[3]

그러나 페즈의 수비체계는 계속 진화했다. 13세기에 알모하드의 뒤를 이어 페즈를 그들의 수도와 거주지로 삼은 마리니데스인들은 기존의 군 시타델이 자신들의 목적에 불충분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대신 그들은 옛 도시(페스발리) 밖에 있는 서쪽의 새로운 궁전도시 페스지드를 성벽과 보루로 지었다.[5] 모로코가 사디아 왕조(16~17세기)에 의해 점령당하자 수도는 마라케흐로 옮겨졌고, 사아디아인들은 페즈를 통제하기 위해 새로운 요새(그 중 보르지 노르드)를 건설했다.[5]

알라우아테 시대(17세기 ~ 현재)

최초의 알라우이 술탄인 물레이 라치드(1664–1672)는 다시 한번 페즈를 모로코의 수도로 만들었다. 알라우이족 샤리프(예언자 무함마드의 후예)는 타필랄트 동쪽 오아시스 지역에 근거지를 두고 있었으며, 그 결과 물레이 라치드가 뒤를 따랐고 그가 권력을 잡으면서 그 지역의 많은 사람들과 동행하였다. 카스바 엥누아르는 타필랄트에서 온 정착민들에게 넘겨져 카스바 필랄라("타필랄트에서 온 백성의 성"이라는 뜻)라는 이름을 얻었다.[1] 그것은 나머지 구도심으로부터 일정한 특별한 지위와 자치권을 부여받았다. 물라이 라치드는 또한 인근 카스바 체라르다를 건설하여 기치 부족을 수용하였는데, 이는 술탄들이 종종 그들의 정권의 필요에 맞추기 위해 페즈 가장자리에 새로운 구역을 건설하는 정도를 보여준다.[6]

카스바 안누아르의 성벽과 금요일 사원은 후기 알라우이테 술탄 물레이 슬라메네(1792–1822)에 의해 복원되었다.[1][7] 카스바의 정문인 밥 초르파도 알라우이테 시대부터 현재의 형태로 거슬러 올라간다.[3][4]

알라우이테 시대의 지역사회와 자치체

역사적으로 알라우이 시대부터 카스바 내부의 공동체는 (중앙정부의 관리들이 통치하는 대신) 자치되었다. 그것은 12명의 장로들로 구성된 자체 위원회를 선출했고, 그들은 차례로 수석, 비서, 회계 담당자를 지명했다.[3] 이 지도자들은 와크프(신뢰) 협정에 따라 특별히 유보된 수익 덕분에 유지될 수 있는 이웃의 서비스와 기반시설을 관리하는 일을 담당했다. 예를 들어, 여기에는 다양한 상점 및 임대 주택의 수익이 포함된다.[3]

이러한 자치체제는 적어도 20세기까지 카스바가 필라리(타필랄트) 출신 가문에 의해 엄격하게 거주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반영하고 있으며, 이 제도는 타필랄트에 존재했던 지방 통치의 관행을 반영했을 가능성이 높다.[3] 그들 중에는 연장된 왕족 알라우이테 가문의 샤리피아 가문(또한 언급된 바와 같이 필라리 출신)도 많았는데, 이것이 이 지역의 특별한 지위에 더욱 동기를 부여했을지도 모른다.[3][1] (이것은 또한 그것의 문인 Bab Chorfa의 이름인 이유일지도 모른다; Shurafa는 아랍어 샤리프의 복수형이다.) 카스바에 들어가는 것은 외부인들에게 금지되어 있었는데, 그것은 오늘날에도 어느 정도 사실일 수 있다.[1][3]

담장 밖에서 북쪽으로 보이는 카스바의 모습. 왼쪽에서 두 번째 미니담배는 카스바 모스크에 속한다. 맨 오른쪽의 직사각형 보루는 카스바에 인접한 밥 마루크(Bab Mahrouk이다.

설명

카스바(시타델)는 페스 엘발리의 서쪽 끝이나 북서쪽 끝에 있는 바부 젤루드(옛 메디나의 서쪽 주요 입구)와 바브 마흐루크(Bab Mahrouk) 사이에 있다. 페스 엘 발리의 주요 도시 성벽은 북서쪽을 따라 달리고, 또 다른 성벽은 동쪽과 남쪽을 커튼으로 치고, 나머지 성벽은 메디나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닫혀 있다.[3]

유일한 진입 지점은 부 젤루드 광장(Bou Jeloud 광장, Pace Pacha el-Baghdadi 또는 Place Babdadi라고도 알려져 있음)[8]에서 열리는 기념비적인 문인 Bab Chorfa이다. 대문 옆에는 두 개의 튼튼한 팔각탑이 있고, 문양이 조각되어 있다. 내부에는 관문이 구부러진 통로(즉, 직각으로 여러 번 회전)가 있으며, 여러 개의 순차적인 챔버로 구성되어 있다.[5][3] 그 탑 안에는 십여 개의 방이 있는데, 역사적으로 공동체의 수익에 기여하기 위해 빌릴 수 있었다.[3]

벽 안쪽에 있는 오늘날의 카스바는 다른 메디나처럼 집들과 구불구불한 골목으로 가득 찬 주택가다. 입구 바로 북쪽, 카스바 중심가의 시작 부근에는 금요일 모스크가 있고, 그 옆에는 작은 공공 광장(오우스at Bab el-Jama'[3]s)이 있다. 그것의 작은 담배는 상당히 두드러지고 카스바 밖에서 쉽게 볼 수 있으며, 광장의 주요 포탈이 있다. 모스크의 날짜와 기원은 확실하지 않지만 카스바의 기초와 일치할 가능성이 있어 알모하드 재단도 될 수 있지만, 나중에 알라우이족에 의해 복원되거나 재건되었을 가능성이 크다.[3][1]

카스바 외곽, 밥 초르파 앞은 대대로 이곳에서 벌어져 온 지역이지만 광활한 야외 시장이다.[9]

참고 항목

참조

  1. ^ a b c d e f g h i Gaudio, Attilio (1982). Fès: Joyau de la civilisation islamique. Paris: Les Presses de l'Unesco: Nouvelles Éditions Latines. pp. 72–73. ISBN 2723301591.
  2. ^ Gaillard, Henri (1905). Une ville de l'Islam: Fès. Paris: J. André. pp. 109.
  3. ^ a b c d e f g h i j k l m Le Tourneau, Roger (1949). Fès avant le protectorat : étude économique et sociale d'une ville de l'occident musulman. Casablanca: Société Marocaine de Librairie et d'Édition. pp. 74, 84, 107–108, 188, 265–266.
  4. ^ a b Parker, Richard (1981). A practical guide to Islamic Monuments in Morocco. Charlottesville (Ca.): Baraka Press.
  5. ^ a b c d e f Métalsi, Mohamed (2003). Fès: La ville essentielle. Paris: ACR Édition Internationale. pp. 18–19, 36–37, 273, 297. ISBN 978-2867701528.
  6. ^ Métalsi, Mohamed (2003). Fès: La ville essentielle. Paris: ACR Édition Internationale. pp. 294, 296. ISBN 978-2867701528.
  7. ^ Rogerson, Barnaby (2000). Marrakesh, Fez, Rabat. London: Cardogan Guides. p. 167. ISBN 1860119735.
  8. ^ The Rough Guide to Morocco. London: Rough Guides. 2016. ISBN 9780241236680.
  9. ^ Le Tourneau, Roger (1949). Fès avant le protectorat: étude économique et sociale d'une ville de l'occident musulman. Casablanca: Société Marocaine de Librairie et d'Édition. p. 395.

좌표: 34°03′45.1″N 4°59′6.4″W / 34.062528°N 4.985111°W / 34.062528; -4.985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