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파린 마드라사

Saffarin Madrasa
사파린 마드라사
(아랍어: مدرةةةةة)))))
Place es Seffarine (588955430).jpg
마드라사 뜰의 한 부분
종교
소속이슬람교
위치
위치모로코 페즈
지리 좌표34°3′50.95″N 4°58′21.26″W / 34.0641528°N 4.9725722°W / 34.0641528; -4.9725722좌표: 34°3′50.95″N 4°58′21.26″W / 34.0641528°N 4.9725722°W / 34.0641528; -4.9725722
건축
유형마드라사
스타일마리니드, 모로코, 무어, 이슬람교
완료된1271
사양
미나레1
자재벽돌, 나무

사파린 마드라사(아랍어: مدرةةةةة,,,, lit lit lit, light. '금속노동자의 마드라사')는 모로코 페즈의 옛 메디나 구역인 페스 엘발리에 있는 마드라사이다. 1271년(AH 670 AH) 마리니드 술탄 아부 야쿠브 유수프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마리니드 왕조가 재위 기간 동안 건설한 많은 마드라사 중 첫 번째였다. 사파린 광장(또는 세파린 광장)에 있는 9세기 카라위인 모스크 바로 남쪽에 위치해 있는데, 광장에 근무하는 코퍼스미스(아랍어: ااصارا, 로마자: 사파린)의 이름을 따서 이름이 붙여졌다.[1]

역사

페즈에서 마드라사의 역할

마드라사스는 11세기 까지 이란 북동부에서 발원하여 점차적으로 서쪽으로 입양된 기관의 한 종류였다.[2]: 284–285 이러한 기관들은 이슬람 학자들을 양성하는데, 특히 이슬람 법학과 법학(fiqh)에서 도움이 되었다. 수니파 세계의 마드라사는 일반적으로 알모하드 왕조가 지지하는 교리를 포함한 더 많은 "히테로독스" 종교 교리와 반대되는 것이었다. 이처럼 알모하드의 뒤를 이은 마리니드 왕조 하의 모로코에서만 열리게 되었다.[2] 마리니데스인들에게 마드라사는 그들 왕조의 정치적 정당성을 강화하는 데 한 몫을 했다. 그들은 이 후원금을 통해 에스의 영향력 있지만 맹렬하게 독립적인 종교 엘리트의 충성을 격려하고 또한 정통 수니파 이슬람교의 보호자 및 발기인으로 일반 대중에게 자신을 묘사했다.[2][3] 마드라사들은 또한 그들의 국가의 관료주의를 운영한 학자들과 엘리트들을 훈련시키는 역할을 했다.[3]

사파린 마드라사는 알-아타린족, 메스바히야족과 같은 인근의 다른 마드라사와 함께 페스에서 학문의 중심지이자 역사적으로 모로코의 가장 중요한 지적 중심지인 알-카라위야인과 가까운 곳에 세워졌다.[4][5][1] 이 마드라사들은 카라위인에 조력자 역할을 했다; 모스크와는 달리, 그들은 학생들, 특히 Fes 외부에서 오는 학생들에게 숙소를 제공했다.[6]: 137 [5]: 110 이들 학생들 중 많은 수가 가난하여, 고향에서 더 높은 지위를 얻을 수 있는 충분한 교육을 받으려고 했고, 마드라사들은 그들에게 숙소와 빵과 같은 기본적인 필수품을 제공했다.[1]: 463 그러나 마드라사들도 나름대로 기관을 가르치고 있었고 그들만의 강좌를 개설하여 일부 이슬람 학자들이 특정 마드라사에서 가르침으로써 명성을 떨치고 있었다.[5] 그들은 또한 지역 사회와 주최 의식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7]

사파린 마드라사의 역사

마드라사 앞 사파린 광장 전경

사파린 마드라사는 마리네이드에 의해 지어진 최초의 종류였다. 1271년 술탄 아부 야쿠브 유수프의 위탁으로 완성되었는데, 그는 또한 페스 엘-지드(페즈의 새로운 성채와 모로코의 수도)를 만든 것으로도 유명하다.[2]: 286 [3][8][9] 현대 학자들은 그것의 배치와 디자인을 마린드 마드라사의 초기 모델이자 아직 세련되지 않은 모델로 보고 있는데, 이것은 14세기 초의 마드라사에서 그 후에 완성될 것이다.[3][8][9] 수세기에 걸쳐, 알-카라위인 주변 지역의 마드라사는 모로코의 특정 지역에서 온 각각의 거주 학생들에게도 알려지게 되었다. 사파린 마드라사에 머무는 사람들은 대체로 인근 세르훈, 베니 제르왈 북부, 수스 남부 지역 출신이었다.[1]: 464 18세기에 모하마드리아 마드라사는 사파린 마드라사 다음으로 더 많은 학생들을 수용하기 위한 부속 건물로 지어졌다. 면적이 752㎡에 달하며, 긴 안마당을 중심으로 2층 규모의 방을 갖추고 있다.[10]

1930년대와 1940년대에 세파린 장소와 많은 주변 건물들이 보수되었다. 인접한 모하마드리아 마드라사도 1935년부터 1942년 사이에 모하메드 5세의 주도로 개조되고 확장되었다.[11][10] 20세기 후반에 이르러 마드라사는 비교적 황폐한 상태에 빠졌고 1960년대에 약간의 복원을 거쳤음에도 불구하고 장식의 많은 부분을 잃었다.[6]: 143 [12] 최근 모하메드 6세의 주도로 800만 디르함이라는 비용을 들여 2016~2017년 완공된 대규모 복구 작업을 거쳤다.[10][13][14] 마드라사는 (복원 전후 모두) 알카라위인 대학 학생들의 주거지로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12][14]

건축

마드라사의 스카이라인 경치(가장 최근의 복원 전): 오른쪽에 있는 녹색 피라미드 지붕은 기도당에 속하며, 작은 미니담배는 왼쪽으로 보인다.

배치

마드라사는 휘어진 통로를 통해 들어가는데, 이 통로는 직사각형의 큰 안마당()으로 바로 연결되며, 그 중심에는 큰 사각형의 물대야가 있다. 이 마당 주변에는 학생들의 잠자리 역할을 하는 방들이 두 층에 걸쳐 분포되어 있다.[2]: 286 [4]: 212, 216 입구 맞은편 안뜰의 동쪽에는 큰 높은 방이 있는데, 이 방은 기도실(작은 모스크나 웅변소처럼) 역할을 했다. 그 방은 피라미드형 지붕으로 덮여있고 미합(기도의 깃발이나 방향을 상징하는 니쉬)이 들어있다. 그러나 마드라사의 가로면 일직선이 치블라의 방향과 다르기 때문에 기도실은 안뜰의 나머지 부분과 일직선이 되지 않고 거기에 비스듬히 서 있다. 기도당 북쪽(그리고 같은 방향을 따라)에 있고, 안뜰 구석에서 긴 복도를 통해 도달한 마드라사의 목욕탕(아랍어: ميضةة, 로마자: 미다아)이 있다. 중앙 물대야가 있는 작은 뜰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둘레에는 선반이 들어 있는 작은 방이 많다.[2]: 286 마지막으로 입구 옆에 작은 벽돌담배가 서 있다.[2][6]

장식

마드라사는 대부분의 장식을 잃었지만, 그 일부가 살아남았고, 특히 기도당에서는 더욱 그러했다.[6]: 143 [5]: 111 이 유물들은 마드라사가 한때 이 방과 안마당 주변에 석고 장식을 새겼으며, 나무 천장과 느티나무 기와를 칠하였음을 보여준다.[6][5][7] 작은 미니담배는 창문 둘레에 눈먼 말발굽 아치, 윗부분에는 간단한 다크롬 세라믹 타일 띠를 두르고, 동쪽 면에는 다즈-와-크타프나 인터레이싱 아치 모티브로 장식되어 있다.[4]: 212, 216

후기 마드라사 아키텍처와의 비교

이 마드라사는 나중에 모로코 마드라사에 다시 등장한 초기 특징을 보여주지만, 마린드 건축가들이 (모로코에서는 아직 전례가 없던) 목적의 마드라사 건물을 구상하려는 초기 시도 중 하나였기 때문에 중요한 측면에서 다른 것들과도 다르다.[3][8][9] 구부러진 입구와 물대야가 있는 중앙 안마당 모두 후기 마드라사의 공통적인 특징이었다. 그러나 기도와 평면도의 다른 요소들의 어색한 배열은 물론 학생들의 침실이 바로 1층 뜰로 개방된 것도 모두 수정되어 후기 마드라사의 설계에서 반복되지 않는 측면들이다.[2] 마드라사의 기도실은 학생들을 위해 마련되어 있고 완전한 모스크처럼 대중에게 공개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미나레의 존재는 다른 마드라사(금요 사원의 특별한 지위를 가진 부 이나니아 마드라사(Bou Inania Madrasa)의 특징도 아니었다.[2][5]: 111 조나단 블룸은 이 소형차가 지상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말하면서, 마드라사의 원래 공사가 끝난 후 얼마 후에 추가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시사한다.[15]: 179

참고 항목

  • 사흐리마드라사
  • Fes el-Jdid의 그랜드 모스크 (Fes el-Jdid의 마드라사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사파린 마드라사 다음으로 알려진 마드라사)

참조

  1. ^ a b c d Le Tourneau, Roger (1949). Fès avant le protectorat: étude économique et sociale d'une ville de l'occident musulman. Casablanca: Société Marocaine de Librairie et d'Édition.
  2. ^ a b c d e f g h i Marçais, Georges (1954). L'architecture musulmane d'Occident. Paris: Arts et métiers graphiques.
  3. ^ a b c d e Lintz, Yannick; Déléry, Claire; Tuil Leonetti, Bulle (2014). Maroc médiéval: Un empire de l'Afrique à l'Espagne. Paris: Louvre éditions. pp. 474–475. ISBN 9782350314907.
  4. ^ a b c Métalsi, Mohamed (2003). Fès: La ville essentielle. Paris: ACR Édition Internationale. ISBN 978-2867701528.
  5. ^ a b c d e f Gaudio, Attilio (1982). Fès: Joyau de la civilisation islamique. Paris: Les Presse de l'UNESCO: Nouvelles Éditions Latines. ISBN 2723301591.
  6. ^ a b c d e Parker, Richard (1981). A practical guide to Islamic Monuments in Morocco. Charlottesville, VA: The Baraka Press.
  7. ^ a b 사파린 마드라사. 아르크넷. 2018년 1월 23일 회수
  8. ^ a b c Terrasse, Michel (2017). "Un brillant chapitre de l'architecture marocaine: La période mérinide". Hespéris-Tamuda. LII (3): 135–150.
  9. ^ a b c Kubisch, Natascha (2011). "Maghreb - Architecture". In Hattstein, Markus; Delius, Peter (eds.). Islam: Art and Architecture. h.f.ullmann. p. 132.
  10. ^ a b c "La magnifique rénovation des 27 monuments de Fès – Conseil Régional du Tourisme (CRT) de Fès" (in French). Retrieved 2020-06-10.
  11. ^ Jelidi, Charlotte (2011). "Patrimonialisation de la médina de Fès et création architecturale sous le protectorat français (1912-1956) : à la quête d'une « couleur locale »". In Bacha, Myriam (ed.). Architectures au Maghreb (XIXe-XXe siècles): Réinvention du patrimoine. Tours: Presses universitaires François-Rabelais. p. 172. ISBN 9782869063174.
  12. ^ a b مدرسة الصفارين.. أول مدرسة بنتها الدولة المريني. 마그레스 2018년 1월 23일 회수
  13. ^ "Fès : Les médersas enfin opérationnelles". LesEco.ma (in French). 2017-05-29. Retrieved 2020-06-10.
  14. ^ a b "Fès: Réouverture après restauration de cinq Medersas et de Dar Al Mouaqqit". Medias24 - Site d'information (in French). 2016-06-24. Retrieved 2020-06-10.
  15. ^ Bloom, Jonathan M. (2020). Architecture of the Islamic West: North Africa and the Iberian Peninsula, 700-1800. Yale University Press. ISBN 9780300218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