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이가어
Keiga language케이가 | |
---|---|
네이티브: | 수단 |
지역 | 코르도판 |
민족성 | 케이가 |
원어민 | (6,100명 인용 1984)[1] |
카두
| |
언어 코드 | |
ISO 639-3 | kec |
글로톨로지 | keig1242 |
ELP | 케이가 |
게이가, 예가, 또는 데이가(Deiga)는 코르도판(Kordofan)에서 사용되는 카두어다. 방언은 데미크(로픽)와 케이가 정통(아이강)이다.
Keiga는 VSO 언어다. Reh(1994)는 대신 Deiga 또는 Dayga라는 이름을 사용하며, 장소 접두사 k- 대신 접두사 d-를 사용한다.[2]
인구통계학
스티븐슨(1956년; 1957년)은 원래 그것이 주로 사용되는 장소, 즉 게이가 팀메로, 게이가 알킬, 게이가 루분 등의 이름을 따서 게이가라는 언어를 불렀다. 이 언어의 현지 이름은 sani m-aigaŋ '케이가의 말'이다(Stevenson 1956: 104). 스티븐슨(1956년: 104년)은 총 7,520명의 스피커(납세자 1,504명)가 있는 케이가 정통과 데미크라는 두 방언으로 구성된 언어 클러스터로 간주하고 있다.[3]
마을
케이가(Keiga)는 Ethnologue 22판에 따라 다음과 같은 마을에서 쓰인다.
- 암봉(Ambong, Ambongadi, Arungekadi, Bila Ndulang, 칸당, Kuluwaring, Lakkadi, Roofi, Saading, Taffor, Tingiragadi 마을) 지역: 암봉, 암봉, 암봉가디 마을
- 루붕(Lùbuŋ) 지역: 쿠와이크, 미야 은두마루, 미야 은타랑, 미야 은탈루와, 세말릴리, 퉁구운구누 마을
- 투무로(Tʊmʊrɔ) 지역: 주구바, 카이데, 쿨로, 투무로 마을
블렌치(2005)는 3개의 방언, 즉 옴보우(Amboʊ), l부(Lùbuŋ), ʊmmʊrɔ(Tʊmʊrɔ)[4]을 식별했다.
옴부즈 마을은 다음과 같다. 블렌치(2005)는 타포르, 칸탕, 락까아티, 아룬게크카아티 마을만 거주할 것으로 보고됐다. 나머지는 수단 내전으로 인해 버려졌다.
직교 | IPA | 공식명 |
---|---|---|
암봉 | əmbmbɔ́́́ | |
태퍼 | 티슈피슈티크르 | 지하이바 |
새딩 시 | 스́́́́ŋŋŋŋŋ | |
암봉카아티 | ə̀mbɔ̀ŋ kà ə̀ə̀tɪ́ | |
쿨와링 | 킬wwrrŋŋ | |
칸탕 | kntəŋŋ | |
팅키라카아티 | Tɪ́nkɪ̀rə̀ kə́ ə́ə́tɪ̀ | |
락카아티 | Ləkk kə́́̀̀̀̀̀̀ | 터레이크 |
아룬게크카아티 | ə̀rʊ́ŋɛ́k kə́ ə́ə́tɪ̀ | 시하이타 |
무투주 | Mʊ̀tʊ̀jʊ́ |
루부 마을들은 다음과 같다. 쿠웨크만이 거주하고 있다.[4]
직교 | IPA | 공식명 |
---|---|---|
쿠웨크 | 쿠웨크 | 쿠와이크 |
미야 은타랑 | 미야 은타라시 | |
은탈루와 미야 | ||
퉁구논구누 | ||
세말릴리 | ||
은투무로 미야 |
Tʊmʊrɔ 마을들은 다음과 같다. 쿨로만이 살고 있다.[4]
직교 | IPA |
---|---|
쿨로 | Kɔ́́́́̀ |
카이에테 |
참조
- ^ Ethnologue의 Keiga (2015년 제18회 에드워드) (가입 필요)
- ^ 레, 메칠드. 1994년. 다이가의 문법 스케치. 아프리칸 und Uberse 77: 197-261.
- ^ 스티븐슨, 롤랜드 C. 1956; 1957. 오토로, 카차, 니이망 등을 특별히 참고하여 누바 산어의 음운학 및 문법 구조에 관한 조사. In: African und Uberse 40 (1956년) : 73-84; 93-115; 41 (1957년): 27-65; 117-152; 171-196.
- ^ a b c 블렌치, 로저 2005년 수단 누바 언덕의 케이강(케이가, 데이가) 언어. 케임브리지: 케이 윌리엄슨 교육 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