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거 예트 싱
Tiger Jeet Singh타이거 예트 싱 | |
---|---|
![]() 2018년 타이거 지트 싱 | |
출생명 | 자지트 싱 한스 |
태어난 | 인도 펀자브 수자푸르 | ) 1944년 4월 3일
배우자 | 수크지트 한스 (1970년) |
아이들. | Tiger Ali Singh를 포함한 3 |
프로레슬링 경력 | |
링 이름 | 타이거 예트 싱 |
빌링 높이 | 6피트 3인치(191cm)[1] |
빌드 웨이트 | 265 lb(120 [1]kg |
로부터 청구됨 | 인도 펀자브 |
교육 대상 | 프레드 앳킨스[2] |
데뷔 | 1965 |
자지트 싱 한스[3](Jagjeeet Singh Hans, 1944년 4월 3일 출생)는 인도-캐나다 반퇴기의 프로 레슬링 선수로, 그의 반지름인 타이거 제트 싱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그는 정교한 링 입구로 유명했고, 일반적으로 힐 역할을 했다. 22년간 일본에서 씨름했고 일본 프로레슬러로는 처음으로 스모선수 와지마 히로시를 꺾었다. 그는 프런티어 무술-아트스 레슬링 세계무술 헤비급 챔피언십을 개최했고 1992년 이 회사의 대표 행사인 Abniversary Show를 이끌었다.[citation needed]
프로레슬링 경력
초기 경력
1960년대에 한스는 레슬링을 시작했고 그의 고향인 펀자브에서 캐나다로 이민을 가서 6달러를 주머니에 넣고 도착했다.[3][4] 한스는 프레드 앳킨스 밑에서 토론토에서 훈련을 받았고 결국 토론토 레슬링 프로모터인 프랭크 튜니와 계약을 맺었다.[2] 앳킨스는 그의 사나운 전투 스타일을 보고 한스를 "타이거"라고 불렀다.[4] 타이거는 1965년에 단풍잎정원에 데뷔하여 뒤꿈치로 레슬링을 했다. 토론토에서 그의 첫 번째 주요 이벤트는 그해 말 태그팀 경기였는데, 히로 교수와 팀을 이뤄 조니 파워스와 스위트 대디 시키 팀을 맡았다. 그는 1966년에 프레드 앳킨스와 팀을 구성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1966년 7월 위퍼 빌리 왓슨과 불독 브라우어를 꺾고 토론토 최고의 팀이 되었다. 싱과 앳킨스는 1966년과 1967년까지 카드의 위나 그 근처에서 레슬링을 했다.
싱은 또한 스위트 대디 시키, 자이언트 안드레, 한스 슈미트, 위퍼 빌리 왓슨, "불도그" 딕 브라우어 등과 같은 상대들과 씨름하며 미국 레슬링 서킷에 출전했다. 그는 토론토판 미국 타이틀을 위해 조니 발렌타인을 물리쳤고, 1967년 여름 NWA 월드 헤비급 챔피언십에서 진 키니스키를 레슬링했고, 가을에는 브루노 삼마르티노에게 WWWF 챔피언십에 두 번 도전했다. 와일드 불 커리와 함께, 1968년 왓슨과 브라우어를 다시 물리치고 국제 태그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1971년 2월, 싱은 18,000명이 넘는 매진된 관중들을 끌어 모으기 위해 메이플 리프 가든 역사상 최초의 레슬링 쇼의 메인 이벤트에서 더 셰이크와 레슬링을 했다.
일본(1973-1995)
신일본 프로레슬링(1973-1981)
싱은 1972년 일본을 방문하던 중 쇼핑센터에서 안토니오 이노키와 실랑이를 벌였다.[4] 곧바로 1973년 뉴재팬 프로레슬링에서 레슬링을 시작했으며, 이 사건의 결과로 이노키와 불화를 일으키곤 했다. 이노키는 1974년 경기에서 싱의 팔을 부러뜨렸지만 타이거는 1975년 이노키를 꺾고 NWF 세계 타이틀을 따낸 뒤 3개월 만에 이노키에게 패했다.
전일본 프로레슬링 (1981-1990)
1976년 사카구치 세이지(사카구치 세이지)를 꺾고 NWF 아시아 우승을 차지했고 1981년 올재팬 프로레슬링으로 도약할 때까지 챔피언을 지켰다. 싱은 1978년 도쿄에서 열린 뉴 재팬-올 재팬 카드 공동의 주 종목에서 이노키와 자이언트 바바의 일본 드림팀을 맡기 위해 압둘라 도살자와 씨름했다. 싱은 나중에 압둘라와 자주 팀을 이루곤 했다.
싱은 1980년 멕시코에서 열린 UWA 월드 헤비급 챔피언십에서 엘 카네크를 꺾고 우승했고 몇 달 뒤 이노키에게 우승을 빼앗겼다. 싱은 그것을 되찾았으나 1981년에 카네크에게 다시 떨어뜨렸다. 토론토에서 싱은 1977년 프랭크 튜니와의 결승전을 가졌는데, 그 때 그는 노쇼 더스티 로즈의 서브를 넣었다. 싱은 1979년 토론토에서 Ric Flair를 물리쳤고, Gardens에서 열린 AWA 타이틀에 닉 보크윙클에 도전하는데 실패했다.
싱은 1990년대까지 일본에서 레슬링을 계속했고 토론토에서 인디 쇼에 가끔 출연하기도 했다. 1990년 요코하마에서 열린 이노키의 30주년 기념 쇼의 메인 이벤트에서 이노키와 팀을 이뤄 빅 밴 베이더, 애니멀 하마구치 등을 꺾었다.
새로운 일본 프로레슬링으로 돌아가기(1991-1995)
1990년대 초 싱은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 레슬링을 했다. 1991년 12월 18일, 싱은 간류지마 섬에서 열린 경기에서 하세 히로시에게 졌다.
프런티어 무술 레슬링 (1992-1994)
1992년 프런티어 무술 레슬링(FMW)에 과감히 뛰어들어 오니타 아쓰시와 피비린내 나는 싸움을 벌였다. FMW에 있는 동안 싱은 어린 사부 한 명과 팀을 이루었는데, 그들은 또한 그와 함께 링에 갔다. 싱은 1994년 도쿄에서 열린 제1회 헤이세이 이시군 카드의 메인 이벤트에서도 씨름하며 이노키가 판정하는 시합에서 고시나카 시로에게 패했다.
IWA 재팬(1995)
싱은 IWA-Japan 1995 Death Matchs 토너먼트의 저명한 참가자였다. 8강전 개막전에서는 간노스케가 철조망 안에 있는 동안 간노스케씨를 강제로 굴복시켰다. 싱은 테리 펑크에게 패하는 준결승에 진출했다. 경기를 지배하고 펑크를 깨진 유리컵에 던진 뒤에도 캑터스 잭은 갑자기 나타나 펑크에 싱의 시그니처 검으로 공격을 잘못 계산해 대신 싱을 때렸다. 결승전에서 싱은 잠시 방해했고 캑터스 잭과 함께 테리 펑크를 공격했다.
허슬(2004,2007-2009)
싱은 2000년대 동안 때때로 일본의 홍보 허슬을 위해 씨름했다. 2008년 7월, 싱은 허슬의 그랑프리 대회에 참가했다. 그는 인도를 대표했고 미국을 대표하는 밥 삽과 마주했다.
사생활
싱과 그의 아내는 아들이 셋 있다.[3] 그의 아들 중 한 명은 전 세계 레슬링 엔터테인먼트 레슬링 선수 타이거 알리 싱이다.
타이거!라는 제목의 다큐멘터리는 인도에서의 삶에서 레슬링 선수로서의 그의 직업에 이르기까지 그의 인생 이야기를 연대기화한다.[3][4]
2010년 9월 문을 연 온타리오주 밀턴의 공립초등학교는 프로레슬러의 이름을 따서 공립학교로 명명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일부 사회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싱의 이름을 따왔다. 현지 작가 겸 역사학자 존 챌리노르 2세는 할튼 교육위원회에 발표하며 타이거 예트 싱의 자선사업과 인도주의적인 저작에 기초해 명예가 만들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역 신탁 관리자인 도나 다니엘리는 프로레슬링의 폭력적인 내용을 고려할 때 일부 논란에 부딪힌 이 결정에 대해 "그는 확실히 지역사회에 변화를 주고 있으며, 나는 그가 그 학교에서 매우 긍정적인 역할 모델이자 멘토가 될 것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5]
2012년 싱은 캐나다 이민 잡지가 수여하는 25대 캐나다 이민자상 수상자 중 한 명이었다.[6]
선수권 대회 및 성과
- 전일본 프로레슬링
- NWA 국제 태그팀 챔피언십(1회) - 우에다 우마노스케와 함께
- 프런티어 무술 레슬링
- 국제레슬링협회
- IWA 국제 헤비급 챔피언십(1회)
- 메이플 리프 레슬링
- NWA 인터내셔널 태그팀 챔피언십 (토론토 버전) (2회) - 프레드 앳킨스(1)와 불 커리(1)가 함께한다.
- NWA 미국 헤비급 챔피언십 (토론토 버전) (1회)
- 신일본 프로레슬링
- 아시아 헤비급 챔피언십(1회)[7]
- 아시아 태그팀 챔피언십(1회) - 우에다[8] 우마노스케와 함께
- NWA 북미 태그팀 챔피언십(로스앤젤레스/일본판)(1회) - 우에다 우마노스케와 함께
- NWF 헤비급 챔피언십(1회)
- NWF 북미 헤비급 챔피언십(1회)
- Great Gaijin 힐 섹션(2002)[9]
- NWA 올스타 레슬링
- 프로레슬링 일러스트레이티드
- 1992년 "PWI 500" 싱글 500위 중 274위
- 2003년 "PWI Years" 기간 동안 500명의 싱글 레슬링 선수 중 383위에 올랐다.
- 도쿄 스포츠
- 유니버설 레슬링 협회
- 월드 챔피언십 레슬링 (호주)
- IWA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1회) – Mr. Fuji와 함께
- 세계레슬링협회
- WWA 세계무술선수권대회(1회)
참조
- ^ a b Shields, Brian; Sullivan, Kevin (2009). WWE Encyclopedia. DK. p. 305. ISBN 978-0-7566-4190-0.
- ^ a b "Tiger Jeet Singh". SLAM! Wrestling. Retrieved 2010-05-15.
- ^ a b c d "Tiger Singh: Most Feared Man in Japan". Rediff Sports. May 5, 2005. Retrieved 2010-05-15.
- ^ a b c d Livesey, Bruce (January 13, 1996). "Tiger Jeet Singh's career is burning bright". SLAM! Wrestling. Retrieved 2010-05-15.
- ^ Oliver, Greg (March 5, 2010). "School named after Tiger Jeet Singh". SLAM! Wrestling. Retrieved 2010-03-06.
- ^ "Canada's Top 25 Immigrants 2012". Canadian Immigrant. Retrieved 2021-06-18.
- ^ "Asia Heavyweight Title". Wrestling-Titles.com. Retrieved June 1, 2016.
- ^ "Asia Tag Team Title". Wrestling-Titles.com. Retrieved June 1, 2016.
- ^ http://www.puroresufan.com/njpw/results/notes/050202.html
- ^ 東京スポーツ プロレス大賞. Tokyo Sports (in Japanese). Retrieved 2014-01-20.
- ^ Centinela, Teddy (February 17, 2015). "En un día como hoy… 1980: Mil Máscaras y Canek exponen sus respectivas versiones del Campeonato Mundial de Peso Completo". SuperLuchas Magazine (in Spanish). Retrieved July 1, 2015.
추가 읽기
- Tedesco, Antoine. "Unleashing a Tiger: Documenting the struggles and sacrifices of a wrestling icon". Scene and Hear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