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타브 알아인

Kitab al-'Ayn
키타브알아인
작가알칼릴 이븐 아마드 알 파라히디
원제목كتاب العين
언어아랍어
장르.사전
발행일자
8세기

키타브 알 아인(아랍어: كتابب لينن)은 최초아랍어 사전이며, 모든 언어의 가장 초기 알려진 사전 중 하나이다. 이 책은 8세기에 알-칼릴 이븐 아마드파라히디에 의해 편집되었다. 사전 제목의 ayn(ع)이라는 글자는 음운학적으로 아라비아 알파벳에서 가장 깊은 글자로 간주된다. 게다가 ayn이라는 단어는 '사막의 수원'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그것의 제목인 "출처"는 또한 저자가 어원에 관심을 가지고 아랍어 기원에 대한 단어의 의미를 추적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바스라 학파 출신인 알 파라히디는 오늘날 익숙한 알파벳 순서를 따르지 않는 특이한 배열을 표준 사전 형식으로 선택했다. 알 파라히디는 아랍어 알파벳의 발음 패턴을 따르는 발음 체계를 고안했다. 이 제도에 따르면 순서는 목구멍에서 가장 깊은 글자인 (아인)으로 시작하여 입술로 발음하는 마지막 글자, 즉 م(mim)으로 끝난다.[5][6] 목구멍에서 나올 가장 안쪽의 편지라는 아인의 위치 때문에 그는 목구멍 깊숙한 곳까지 그 기원을 최초의 소리, 본질적인 소리, 목소리, 자아표현이라는 신호로 보았다.[7]

알 파라히디의 원고는 14세기까지 사라졌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스페인 사전학자 아부 바크르주베이디(dd. 989년)의 요약본은 10세기까지 스페인 알 안달루스 지방에서 유통되고 있었다.[8]

내용물

알 파라히디는 아랍어의 음성학의 개요와 함께 사전을 소개한다.[9] 그가 사전을 위해 채택한 형식은 한 자 한 자 한 자 한 자 한 자 한 자 한 자 한 자 한 자 한 자 한 자 한 자 한 자 한 자 한 자 한 자 한 자 한 자 한 자 한 자 한 자 한 자 한 자 한 자 한 자 [9]한 자 한 자 한 자 한 자 한 자 한 자 한 자 한 자 한 자 한 자 한 자 한 자 한 자 한 자 한 자 한 자 한 자 한 자 한 자 한 이 시스템 루트에 따르면 문법적으로 처리되며, 모든 가능한 급진적 배열의 아나그램이 주어진다. [6][10] 제1권 소개는 아랍어 루트 체계의 음운법칙으로, 자음은 발성, 발성점, 공통분포특성에 따라 분류된다.[7] 의도는 아랍어의 완전한 사전의 제작이 아니라, 아랍어의 방대한, 거의 무제한의 어휘를 확장하는 근본 시스템의 사전이다.[11][12][13]

Al-Farahidi는 자음을 발성 특성에 따라 분류한다.[14]

역사

알 파라히디의 원고는 원래 타히리드 왕조의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었는데, 그가 죽은 지 70년 만인 862년, 즉 863CE에 바스라에게 돌려주었는데, 이때 북동쪽 페르시아 서점에서는 50 디나르에 팔렸다. 비록 이 작품이 중세 시대의 많은 부분을 통해 희귀한 것으로 남아 있고 914/915CE에 알-안달러스에서 유통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1914년 레바논-이라크 수도사 아나스타스 알-카말리에 의해 발견된 후에야 몇 권의 복사본이 상업적으로 판매되었다.[15][17] 근대에 이르러서는 마흐디 알 막주미 박사와 이브라힘 알 사미라 박사로부터 8권으로 리뷰를 받아 막타바 알 힐랄이 인쇄하였다.[18] 사전(알파벳어 배열)은 2003년 다알 키타브 알-알라미야(دار بلتب بببببب)가 발행한 4권 판에 아랍어로 수록되어 있으며, 온라인에서 구할 수 있다.[19][20]

이후 아랍어로 된 사전 편찬 작품들은 모두 알 파라히디의 사전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21] 알 파라히디의 키타브 알 아인(Kitab al-Ayn)이 그의 제자인 시바위의 알 키타브(al-Kitab)가 문법을 위해 했던 것을 사전 편찬용으로 했다고 한다.[17] 역사적으로 소수의 경쟁 아랍어 사전 편찬자들은 알 파라히디에게 이 책이 귀속된 것에 의문을 제기했지만,[22] 현대의 장학금은 이것을 알 파라히디의 그늘에 있는 자신을 발견한 후기 언어학자들의 부분에서 질투의 탓으로 돌렸다.[23] 그 작업은 나중에 논란도 일으켰다. 사상 두 번째 종합 아랍어 사전을 집필한 이븐 두라이드는 알 파라히디의 작품을 단순 표절했다는 이유로 동시대의 니프타웨이에 의해 고발당했다.[24][25][26]

방법론

알 파라히디는 아랍어로 모든 단어를 철저히 열거하기 위해 배열과 조합의 계산을 명시적으로 언급하면서 알 아인에서 사전 편찬의 경험적 실천을 합리화하려고 노력했다.[27] 알 파라히디의 이론에 따르면 아랍어로 알려진 것은 음운학적으로 실현된 전체 언어의 일부일 뿐이다. 다양한 뿌리의 조합은 가능한 언어인 1 < r ≤ 5>와 r의 배열 r에 의해 알 파라히디에 의해 계산된다. 그러나 가능한 언어는 뿌리의 음운들 사이의 음운적 호환성의 규칙에 의해 제한된다. 이 한계를 가능한 언어에 적용함으로써 알 파라히디는 실제 언어를 추출할 수 있고 따라서 아랍어의 어휘소를 기록할 수 있다는 이론을 세웠다.[27]

알 파라히디는 r = 2 - 5로 r로 취한 아랍어 뿌리의 비반복적인 조합 수를 계산하여 음운학적 한계에 근거한 가능한 언어에서 실제 언어를 추출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나서 그는 각 r 그룹의 순열 수와 함께 그것을 취했고, 마침내 그는 Arn = r!()nr를 계산했고 n은 셈 문자에서 글자 수가 되었다. 알 파라히디의 이론과 계산은 현재 대부분의 사전 편찬자들의 저술에서 찾아볼 수 있다.[27]

외부 링크

인용구

  1. ^ 아라베스크 소개: 아랍 고전 문학의 전기와 시 선택, 13페이지. 에드. 이브라힘 A 무마이스. WATA-공고 제2권: 세계 아랍 번역가 협회. 필라델피아: Garant Publishers, 2006. ISBN9789044118889
  2. ^ 버나드 K. 프리몬, "이슬람법에서 노예 소유의 정의와 개념" 노예제도에 대한 법적 이해: 역사에서 현대까지, 46 페이지 에드. 장 알랭 옥스퍼드: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2012. ISBN 9780199660469
  3. ^ A. Cilardo, "Qur'anic 용어 Kalalala의 의미에 대한 예리 노트" 이슬람 사회의 법, 기독교, 모더니즘에서 취해진 것: 1998년 카톨리케 우니베르시티 르우벤, 페이지 3. 피터스 출판사에서 열린 아랍계 연합의 제18차 회의의 절차. ISBN 9789068319798
  4. ^ 키즈 베르스티흐, 아랍어 언어 전통, 페이지 4. 언어 사상 시리즈의 랜드마크의 일부, 제3권 런던: Routrege, 1997. ISBN 9780415157575
  5. ^ 무함마드 하산 바칼라 "아랍과 이슬람 음운가: 음성학에 대한 그들의 모순에 대한 평가" 표음과학의 시사문제에서 인용: 1977년 12월 17~19일 플로리다 마이애미 해변 IPS-77 의회 의사록 제1부, 페이지 4 에드. 해리 프랜시스 홀리엔과 패트리샤 홀리엔. 제9권 언어이론 시리즈의 시사문제. 암스테르담: 1979년 존 벤자민 출판사 ISBN 9789027209108
  6. ^ Jump up to: a b 아비트 야샤르 코삭, 아랍어 사전 편람, 20페이지. 베를린: 베라크 한스 사일러, 2002년 ISBN 9783899300215
  7. ^ Jump up to: a b Suzanne Pinckney Stetkevych, The Mute Speakes Speaks: 이슬람 이전의 시와 의식의 시인, 178 페이지 코넬의 정치경제학 연구 이타카, 뉴욕: 코넬 대학 출판부, 1993. ISBN 9780801427640
  8. ^ E. J. 브릴의 첫 번째 이슬람 백과사전, 1913-1936, 제4권, 페이지 888.
  9. ^ Jump up to: a b 키즈 베르스티흐, 아랍어 62페이지. 에든버러: 에든버러 대학 출판부, 2001. 페이퍼백 에디션. ISBN 9780748614363
  10. ^ 존 A. 헤이우드, 아랍어, 38페이지
  11. ^ Ibn Khaldun, Muqadimah, vol. 2, 435 페이지. 프란츠 로젠탈. 프린스턴: 프린스턴 대학 출판부, 1969. ISBN 9780691017549
  12. ^ 존 헤이우드, 아랍어, 37페이지
  13. ^ Kees Versteegh, 아랍어 언어 전통, 페이지 21.
  14. ^ 키타브 아인, 1권 58호 에드 마흐디 알 막주미 박사와 이브라힘 알 사미라 박사. 베이루트: 막타바 알 힐랄, 1988.
  15. ^ 존 헤이우드 아랍어 사전 편찬: 그것의 역사, 그리고 그것의 위치, 21 페이지. 라이덴: 브릴 출판사, 1960년. OCLC 5693192
  16. ^ 모니크 버나드, "아랍어 언어 연구의 개척자" 아랍어 그림자에서 따옴: 아랍문화에 대한 언어의 중심성, 페이지 198. 레이든: 브릴 출판사, 2011. ISBN 9789004215375
  17. ^ Jump up to: a b 존 헤이우드, 아랍어, 22페이지
  18. ^ "العين - المكتبة الوقفية للكتب المصورة PDF".
  19. ^ "كتاب العين مرتبا على حروف المعجم - المكتبة الوقفية للكتب المصورة PDF".
  20. ^ "Fp77332".
  21. ^ Keees Versteegh, 아랍어 언어 전통, 페이지 7.
  22. ^ Ibn Khalikan, Deaths, 페이지 496.
  23. ^ 존 헤이우드, 아랍어, 25페이지
  24. ^ 존 A. 헤이우드, "아랍어 사전집필요 사전에서 가져온 내용: 국제 사전 편찬 백과사전, 페이지 2,441. 프란츠 요제프 하우스만 제5권 언어학 및 커뮤니케이션 과학 핸드북 제5/3호. 베를린: 월터그루터, 1991년 ISBN 9783110124217
  25. ^ 람지 바알바키 "키타브 알아인과 잠하라트 알루하" 중세 초기 아랍어에서 따온 말: 알칼릴 이븐 아흐마드에 관한 연구, 44페이지. 에드 카린 C 라이딩. 워싱턴 D.C.: 조지타운 대학 출판부, 1998. ISBN 9780878406630
  26. ^ M.G. 카터, "아랍어 사전 편찬" 'Abbasid Period, pg 112. Eds. M. J. L. Young, J. D. Latham, R. B. Serjeant의 종교, 학습, 과학에서 가져옴. 케임브리지: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2006. ISBN 9780521028875
  27. ^ Jump up to: a b c "합집 분석, 수치 분석, 디오판틴 분석 및 숫자 이론." 아랍 과학사 백과사전 제2권: 수학과 물리 과학, 378 페이지 에드. 로슈디 라시드. 런던: Routrege, 1996. ISBN 0415124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