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위(별명)

Kiwi (nickname)
키위를 안고 있는 키위

"[2]Kiwi" (//ki keewi/KE-wee)[1]는 뉴질랜드 사람들이 흔히 사용하는 자기 표현이지만 국제적으로도 사용됩니다.많은 인구 통계학적 라벨과 달리, 그것의 사용은 불쾌하게 여겨지지 않고, 오히려,[3] 대부분의 뉴질랜드 사람들에게 자부심과 애정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그 이름은 뉴질랜드의 국가 상징인 날지 못하는 토종 새인 키위로부터 유래되었다.제1차 세계 대전까지 키위는 국민이 아닌 나라를 대표했지만 1917년까지 뉴질랜드 사람들은 "Enzedder"[4]와 같은 다른 별명 대신 "Kiwis"로 불리게 되었다.

역사

키위[4]족장을 위한 깃털 망토를 만들기 위해 가죽을 사용했던 원주민 마오리족에게 오랫동안 특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새는 1811년 대영 박물관의 동물학자 조지 쇼가 펭귄의 한 종류로 분류하고 똑바로 [5][6]서 있는 것으로 묘사하면서 유럽인들의 관심을 처음 받았다.1835년 선교사 윌리엄 예이트는 키위를 "뉴질랜드에서 가장 놀랍고 호기심 많은 새"[7]라고 묘사했다.

국가를 대표하다

1900년대 초에 만화가들은 뉴질랜드의 상징으로 키위를 사용하기 시작했다.예를 들어, 1904년 뉴질랜드 프리랜스 만화에서 용감한 키위는 영국 [8]팀을 상대로 럭비를 9-3으로 이긴 후 모아로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준다.이듬해 웨스트민스터 가제트는 식민지 [8]회의에 참석하는 키위와 캥거루의 만화를 실었다.뉴질랜드 헤럴드에서 일했던 트레버 로이드 역시 올 블랙 럭비팀을 대표하기 위해 키위를 사용했지만,[4] 그는 더 자주 모아를 그렸다.이 시기에 뉴질랜드의 다른 상징들은 은양치류, 작은 소년, 어린 사자 [8]새끼를 포함했다.하지만 1차 세계대전 전까지는 뉴질랜드 사람들보다는 [4]키위가 나라의 상징으로 사용되었습니다.

국민을 대표하다

실루엣의 붉은 키위가 특징인 뉴질랜드 왕립 공군(RNZAF) 라운드텔

20세기 초에 뉴질랜드 사람들, 특히 군인과 올 블랙 선수들은 국제적으로 "엔 제드([4]Der)" 또는 "마오리족과 그들의 나라에 [9]대한 역사적 공헌을 지칭하는 "마오리족"으로 불렸다.이 용어들은 1914-18년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날 무렵에 여전히 사용되고 있었다.하지만, 뉴질랜드 병사들은 종종 "도둑" 또는 "돼지 섬 [10]사람"으로 묘사되었지만, 1917년까지 그들은 "키위"[4][11]로도 불리게 되었다.

키위의 이미지는 1886년 [12]사우스 캔터베리 대대가 키위를 사용한 이후 군용 배지에 등장했고, 몇 의 연대가 1차 세계대전에서 키위를 채택했다."키위"는 뉴질랜드 [4]연대의 남자들을 의미하게 되었다.이 별명은 뉴질랜드 군인들의 신체적 특성(즉, 그들이 새처럼 키가 작고 땅딸막하거나 야행성임을 암시하는 것)에 대한 언급에서 유래된 것으로 생각되지 않는다.단순히 키위가 [4]그 나라에 독특하고 독특했다는 것이다.뉴질랜드 연대의 휘장에도 잘 사용되었기 때문에 쉽게 [13][14]연상할 수 있었다.그 별명은 결국 모든 [4]전쟁터에서 널리 쓰이게 되었다.

불포드 키위는 1919년 영국 윌트셔 솔즈베리 평원에 있는 불포드 마을 위에 만들어졌다.

1918년 11월 1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많은 뉴질랜드 군대는 유럽으로 이송되기를 기다리며 몇 달에서 몇 년 동안 유럽에 머물렀다.1919년 [15][16]초 뉴질랜드 군인들윌트셔 솔즈베리 평원에 있는 벌포드 근처의 슬링 캠프에서 분필 키위를 인근 언덕에 새겼다.뉴질랜드인들의 존재가 [4]유럽 내에서 그 별명을 널리 알렸다.

키위라고 불리는 호주의 구두약은 제국 군대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제품의 개발자인 윌리엄 램지는 그의 아내의 고향인 [4]뉴질랜드를 기념하기 위해 광택제 이름을 지었다.1906년부터, 키위 구두약은 영국과 미국에서 널리 팔리게 되었고, 그 상징은 더 [17]널리 알려지게 되었다.호주국립사전[18] 1917년 키위 키즈(Kiwi Kids)와 키위스(Kiwi Kids)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는데, 이는 다시 말해 그들은 매우 광택이 나는 [19]부츠를 가지고 있었다는 뜻이다.

1939년부터 1945년까지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이 용어는 점차 모든 뉴질랜드 사람들에게 귀속되었고,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키위라고 불리고 있으며, 종종 그런 [2][20]식으로 자신을 지칭하기도 한다.

현재 사용 현황

키위라는 단어의 철자는 사람들을 묘사할 때 종종 대문자로 쓴다.새의 이름은 소문자 k로 표기되며, 마오리어에서 유래한 단어이기 때문에,[21] 복수형일 때 보통 키위로 남습니다.영어 단어로서 닉네임은 보통 키위([2][22]Kiwis)의 복수형을 취한다.따라서, "두 마리의 키위"는 두 사람을 가리키는 반면, "두 마리의 키위"는 두 마리의 새를 의미합니다.이러한 언어적 정교함은 "키위 포 [23]키위"라는 슬로건을 사용한 보존 신탁 Save the Kiwi에서 잘 나타난다.2020년에 Kiwi뱅크는 국민을 나타내는 복수형 Kiwi(대문자로 표기하지만 -s는 사용하지 않음)로 전환하였고, 가장 두드러지게 슬로건을 "Kiwi를 더 잘 살게 한다"에서 "Kiwi를 더 [24]잘 살게 한다"로 변경하였다.

키위는 일반적으로 경멸적인 용어로 간주되지 않지만, 마오리족 혈통을 가진 사람들을 포함한 뉴질랜드 사람들은 그 명칭이 거슬린다고 생각하고 그것과 [25]동일시하지 않는 것을 선호한다.2018년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고용법원은 뉴질랜드인이 "키위"[26]라는 꼬리표를 붙인 뒤 인종차별의 피해자라고 주장하는데 실패하자 이 별명이 차별적이지 않다고 판결했다.

공식적인 맥락에서 키위은행, 키위세이버, 키위레일과 같은 정부 서비스 및 국영 기업 이름에서 키위라는 용어가 사용되어 왔으며, 뉴질랜드에 있거나 뉴질랜드에 있는 모든 사람을 지칭하는 정부 보도 자료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다.

가장 최근인 2022년 8월, 이민부 장관 마이클 우드는 최근 승인된 뉴질랜드 2021 거주 비자의 85,000명의 보유자를 "뉴 키위"[27]라고 불렀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Kiwi Definition of Kiwi at Dictionary.com". Dictionary.com. Retrieved 23 December 2019.
  2. ^ a b c "Kiwi". www.doc.govt.nz. New Zealand Department of Conservation. Retrieved 4 June 2017. New Zealanders have been called 'Kiwis' since the nickname was bestowed by Australian soldiers in the First World War.
  3. ^ Phillips, Jock (May 2015). "Kiwi - A kiwi country: 1930s–2000s". Te Ara: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Retrieved 18 October 2021.
  4. ^ a b c d e f g h i j k Phillips, Jock (July 2012). "Kiwi - Kiwi and people: early history". Te Ara: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Retrieved 4 June 2017.
  5. ^ "Early impacts". The Kiwi Trust. Retrieved 17 August 2017.
  6. ^ Phillips, Jock. "Early European engraving". Te Ara: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Retrieved 17 August 2017.
  7. ^ Yate, William (1835). An account of New Zealand and of the formation and progress of the Church Missionary Society's mission in the northern island. London: Seeley and Burnside. p. 5.
  8. ^ a b c "First use of kiwi as unofficial national symbol?".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27 July 2017. Retrieved 17 August 2017.
  9. ^ Phillips, Jock (March 2009). "The New Zealanders – Maorilanders". Te Ara: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Retrieved 27 February 2011.
  10. ^ 옥스퍼드 뉴질랜드 영어사전(1997년)에는 1909년부터 돼지섬 사람이 사용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11. ^ "Kiwi - A kiwi country: 1930s–2000s". Te Ara: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2011-05-24. Retrieved 2012-09-13.
  12. ^ Phillips, Jock (24 September 2007). "South Canterbury Battalion badge". Te Ara: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Retrieved 4 June 2017.
  13. ^ Norah, Laurence. "Kiwis, Poms and other naming mysteries". Finding the Universe. Retrieved 4 June 2017.
  14. ^ Jock, Phillips (24 September 2007). "RNZAF Harvard". Te Ara: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Retrieved 4 June 2017.
  15. ^ 불포드 캠프 위의 키위 초크 피규어 "해리 클라크 선장이 이끄는 캔터베리, 오타고, 웰링턴 부대원들은 1919년 4월부터 6월까지 12인치의 흙을 제거하고 분필 조약돌로 대체함으로써 인근 언덕에 키위 새의 분필 형상을 만들었습니다.키위는 뉴질랜드 육군 교육대의 그림 교관 퍼시 블렌카른 중사가 디자인했다.
  16. ^ 비교:
  17. ^ Brooks, Miki. Lessons From a Land Down Under: Devotions from New Zealand. Lulu. pp. 3–4. ISBN 9780557098842.
  18. ^ Ramson, Bill, ed. (2008). "Australian National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Australia & New Zealand.
  19. ^ Franzen, Christine; Bauer, Laurie (1993). Of Pavlova, Poetry, and Paradigms. Victoria University Press. ISBN 9780864732477.
  20. ^ "Kiwis/Kiwi - New Zealand Immigration Service (Summary of Terms)". Glossary.immigration.govt.nz. Retrieved 2012-09-13.
  21. ^ "Plurals in te reo Māori". Statistics New Zealan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August 2017. Retrieved 17 August 2017.
  22. ^ 예를 들어 다음과 같습니다.
  23. ^ "Kiwis for kiwi". www.doc.govt.nz. New Zealand Department of Conserv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October 2020. Retrieved 4 June 2017.{{cite web}}: CS1 유지보수: 부적합한 URL(링크)
  24. ^ Day, Simon (19 January 2021). "The man with a mandate to change the way Kiwibank thinks about Māori". The Spinoff. Retrieved 23 October 2021.
  25. ^ Warne, Kennedy. "Don't call me Kiwi: Names matter, so we need to find the right ones". New Zealand Geographic. Retrieved 17 October 2021.
  26. ^ "'Kiwi' nickname not discriminatory, Australian tribunal finds". BBC News. 3 December 2018. Retrieved 27 May 2022.
  27. ^ Wood, Michael (16 August 2022). "85,000 new Kiwis provide certainty for New Zealand businesses". Beehive.govt.nz. Retrieved 1 September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