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국적법

New Zealand nationality law
1977년 시민권법
Coat of arms of New Zealand.svg
뉴질랜드 의회
  • 뉴질랜드 국적의 지위에 관한 보다 나은 조항을 만들고 1948년 영국 국적 및 뉴질랜드 시민권법을 통합 개정하기 위한 법률
인용문1977년 61호
영토 범위뉴질랜드 왕국(뉴질랜드, 제도, 니우에, 토켈라우, 로스 속령 포함)
제정자제38대 뉴질랜드 의회
왕실 동의1977년 12월[1] 1일
개시.1978년 1월[2] 1일
관리 대상자내무부[1]
소개자앨런[3] 히겟 내무대신
리피탈
1948년 영국 국적뉴질랜드 시민권법(1948년 제15호)
상태: 수정됨

뉴질랜드 국적 요건에 관한 주요 법률은 1978년 1월 1일 발효1977년 시민권법이다.규정은 뉴질랜드 자체, 쿡 제도, 니우에, 토켈라우 및 로스 종속국을 포함뉴질랜드 왕국 전체에 적용됩니다.

2006년 이전에 왕국에서 태어난 모든 사람들은 부모의 국적을 불문하고 태어날 때 자동적으로 시민이었다.그 해부터 왕국에서 태어난 개인은 부모 중 적어도 한 명이 뉴질랜드 시민권자이거나 뉴질랜드에서 무기한 거주할 수 있는 자격이 있는 경우(뉴질랜드 및 호주 영주권자 및 호주 시민권자) 출생 시 뉴질랜드 시민권을 받는다.외국인은 영주권자이며 왕국의 어느 지역에 거주할 경우 시민권을 받을 수 있다.

뉴질랜드는 이전에 대영제국의 식민지였고 지역 주민들은 영국인들이었다.시간이 흐르면서, 그 식민지는 더 많은 자치권을 부여 받았고 점차 영국으로부터 독립하게 되었다.뉴질랜드 시민은 더 이상 영국인이 아니지만 영국에 거주할 때 유리한 지위를 계속 유지하고 있습니다. 영연방 시민으로서 뉴질랜드 국민은 영국 선거에서 투표할 수 있고 그곳에서 공직에 종사할 수 있습니다.

용어.

시민권국적은 별개의 법적 [4]의미를 가지고 있지만,[5] 1948년부터 뉴질랜드 국적은 국내 국적법에서 시민으로 언급되어 왔다.국적은 한 국가에 속한 개인의 법적 권리를 가리키며 한 국가의 구성원을 지칭할 때 국제 조약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인 반면, 시민권은 보통 한 개인이 그 국가에서 가지고 있는 권리와 의무의 집합을 가리킨다.이 구별은 일반적으로 영어권 이외의 국가에서는 명확하게 정의되지만 [6]영어권에서는 정의되지 않는다.뉴질랜드에서는 두 용어가 거의 구분되지 않고 서로 [7]바꿔서 사용되고 있다.

역사

식민지 시대 정책

뉴질랜드는 1840년 와이탕기 [8]조약이 체결된 후 대영제국의 일부가 되었다.이에 따라 식민지에는 영국 국적법이 적용됐다.원주민인 마오리족을 포함한 모든 뉴질랜드인은 영국인이었으며,[9] 그들은 조약의 조건에 따라 영국인으로서의 모든 권리를 확장하였다.

뉴질랜드, 영국, 또는 다른 크라운 영토에서 태어난 사람은 누구나 타고난 [10]영국인이었다.영국인이 아닌 외국인은 재산권이 제한돼 토지를 소유할 수 없었다.프랑스와 독일 이민자들은 1844년 귀화 능력을 위해 정부에 로비를 성공적으로 했다.영국인이 되려는 개인은 정기적으로 외국인에게 대상자 [9]지위를 부여한 주지사 또는 총회에서 통과된 연간 귀화 조례 또는 법률에 자신의 이름을 포함시킬 것을 요청해야 했다.

이 시기 동안 영국 국적법은 성문화되어 있지 않았고,[11] 대신 과거전례와 관습법[12]의존하여 표준적인 규정이 없었다.19세기 중반까지 영국의 귀화 규정이 제국의 다른 곳에서도 적용되는지는 불분명했다.각 식민지는 그 [13]시점까지 귀화를 위한 절차와 요건을 개발하는 데 있어 폭넓은 재량권을 가지고 있었다.1847년, 제국 의회는 영국에 귀화한 사람들과 다른 영토에 귀화한 사람들 사이의 명확한 구별을 공식화했다.영국에 귀화한 사람들은 제국주의 귀화에 의해 지위를 받은 것으로 간주되었으며, 이는 제국 전역에서 유효했다.식민지에 귀화한 사람들은 현지 귀화를 거친 것으로 알려져 [14]해당 영토 내에서만 유효한 대상자 지위를 부여받았다.뉴질랜드에서 현지 귀화한 대상자는 영국인이었지만 영국이나 뉴사우스웨일즈에서는 그렇지 않았다.제국 밖을 여행할 때, 식민지에 귀화한 영국인들은 여전히 제국의 보호를 [15]받을 자격이 있었다.

귀화는 1866년까지 매년 개인화된 법률로 계속 처리되었다.뉴질랜드에 거주하거나 거주하고자 하는 개인 중 좋은 성격 요건을 충족하고 1파운드의 수수료를 지불할 수 있는 사람은 식민지 사무국[9]귀화를 신청할 수 있다.최소 거주 요건은 없었고 지원자들은 단지 [16]주지사의 승인이 필요했다.영국이나 제국의 다른 지역(아시아에 있는 식민지 제외)에 이미 귀화한 영국인들은 만약 그들이 이전에 귀화했다면 충성의 선서를 하지 않고도 뉴질랜드에 귀화 신청을 할 수 있었다;[17][18] 그들은 이미 군주에게 충성을 다했을 것이다.영국인과 결혼한 외국 여성들은 새로운 [19]규정에 따라 자동적으로 귀화한 것으로 간주되었다.뉴질랜드는 여성에게 [20]투표권을 부여한 최초의 자치 국가였다;[21] 영국의 신민들은 1893년선거에 참여했다.

마오리 분쟁과 통합

토지 매각 분쟁과 마오리 땅에 대한 정착민들의 침입으로 고조된 긴장은 1860년대에 일련의 무력 충돌과 대규모 토지 몰수, 그리고 마오리족을 식민지 [22]법 체계에 동화시키려는 입법 노력으로 이어졌다.와이탕기 조약의 애매한 표현은 그들이 실제로 주체성을 부여받았는지 아니면 단지 그 지위의 권리를 부여받았는지에 대한 불확실성을 야기했다; 1865년 원주민 권리법은 그들의 영국 주체의[9] 지위를 확인하고 그들에 [23]대한 식민지 사법부의 법적 권한을 명확히 하기 위해 제정되었다.프랜차이즈 자격은 개인이 소유한 토지에 따라 결정되지만, 마오리 토지는 일반적으로 [24]개인 소유의 자유 소유권이 아닌 공동 소유권으로 보유되었다.1867년 임시조치로 마오리족 유권자가 탄생한 반면, 마오리족은 점차 식민지 법에 인정받는 칭호로 바뀌어 1876년 [25]이 특별대표제가 영구화됐다.부분적인 마오리 혈통을 가진 남성들은 그들의 조상에 따라 선거인단에 배정되었고, 절반 이상의 마오리족들은 마오리족 선거인단에 배정되었고, 비 마오리 혈통을 가진 사람들은 일반 선거인단에 배정되었다.정확히 절반의 마오리족인 사람들은 어느 한 [26]쪽 또는 두 쪽 선거인단에 투표할 수 있었다.

중국인 이주자에 대한 차별 정책

중국인들의 뉴질랜드 이민은 1860년대 서해안 골드러시 [27]시작되었다.식민지 민족주의의 부상과 함께 고조되는 적대감과 반중국 정서는 입법부 내에서 중국인 이민을 제한하려는 일치된 움직임으로 이어졌다.1879년부터 1920년까지 중국인들의 이민을 억제하기 위해 작성된 적어도 20개의 법안이 하원에 제출되었다.이들 중 가장 먼저 통과된 것은 1881년 [28]중국인 이민법이었는데, 이 법은 뉴질랜드에 상륙할 수 있는 중국인 이민자의 수를 10톤당 1명으로 제한하고 식민지에 입국하는 중국인 1명당 10파운드의 세금을 부과했다.이러한 제한은 [29]1888년에 100톤당 1명으로 강화되었고,[30] 1896년에는 200톤당 1명으로 강화되었다.중국, 홍콩, 모리셔스 및 현대 인도네시아섬들은 1876년 공중위생법에 따라 "감염 지역"으로 선언되었다. 이들 지역 중 하나에서 출발하거나 정박하는 선박, 또는 이들 지역을 오가는 사람이나 화물이 뉴질랜드에 도착할 때 엄격한 검역을 받았다.셋째,[31] 1896년에 헤드 세금은 100파운드로 인상되었고 1944년까지 폐지되지 않았다.[29]1908년부터 [32]1952년까지 중국인 거주자는 영국인으로 귀화하는 것이 완전히 금지되었다.

영토 취득

제도, 토켈라우 제도, 니우에 제도는 각각 1888년, 1889년, 1901년에 영국의 보호국이 되었다.섬 주민들은 영국이 이 영토들을 획득했을 때 영국의 속국이 되었다.영국은 1901년 쿡 군도와 니우에에 대한 행정권을 뉴질랜드에, 1925년 토켈라우에 대한 행정권을 이양했다.이 섬들의 이전은 이 섬 주민들의 국가 지위를 바꾸지 않았고,[33] 그들은 뉴질랜드 정부에서도 계속 영국의 속국이 되었다.

서사모아는 1900년부터 1차 세계대전까지 독일의 영토였다.전쟁이 끝난 후, 그것은 뉴질랜드의 [34]지배하에 국제 연맹의 위임 통치가 되었다.상설명령위원회[35]권고에 따라 1920년 뉴질랜드가 의무권을 갖게 되었을 때 서부 사모아인들은 자동적으로 영국의 신민이 되지 않고 대신 [36]영국의 보호자로 취급되었다.의회는 1923년과 1928년에 국적법을 개정하여 영국인이 [34]되고자 하는 서부 사모아인의 귀화를 허용했지만, 사실상 아무도 이 선택을 하지 않았다.1928년과 1948년 사이에 50명의 사모아인들만이 귀화했고, 같은 [37]기간 동안 82명의 유럽계 개인이 이 지역에서 이 과정을 완료했다.귀화를 선택하지 않은 다른 사모아인들은 서부 사모아 독립 [34]이후까지 해결되지 않은 불명확한 지위를 가지고 있었다.

제국 공통 코드

제국 의회는 1914년 영국 국적외국인 지위법을 통과시키면서 처음으로 영국 주체의 지위를 위한 규정을 성문법에 도입했다.영국의 속국 지위는 제국 전역의 공통 국적으로 표준화되었다. 법을 지역 법률의 일부로 채택한 영토는 제국 [38][39]귀화에 의해 외국인에게 주체 지위를 부여할 수 있도록 허가되었다.뉴질랜드는 나중에 [40]1928년에 제정된 제국 귀화에 관한 조항(제2부)을 제외하고 1923년에 이 법의 대부분을 채택했다.

1914년 규제는 은밀한 교리를 제국 국적법으로 성문화했는데, 여기서 여성의 외국인 결혼 동의는 또한 변성적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외국 남성과 결혼한 영국 여성들은 자동적으로 영국 국적을 잃었다.여기에는 두 가지 예외가 있었다: 영국 국적을 상실한 남편과 결혼한 아내는 선언으로 영국 국적을 유지할 수 있었고, 영국 태생의 미망인이나 이혼녀는 결혼으로 영국 국적을 상실한 후 해산이나 종료 후 거주 요건을 충족하지 않고 그 지위를 다시 얻을 수 있었다.그녀의 [40]결혼생활에서.

외국인과 결혼한 여성은 남편이 영국 국적으로 귀화하면 영국 국적을 되찾을 수 있고, 그러면 자동적으로 남편의 새로운 국적을 얻게 된다.중국 남성과 결혼한 뉴질랜드 여성들은 이 기간 동안 모든 중국인에 대한 귀화 금지 때문에 은신처 규제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그런 결혼생활을 하는 어떤 여성도 남편이 죽거나 [41]이혼할 때까지 영국 국적을 취득할 수 없었을 것이다.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날 무렵에, 영토들은 그들 자신의 일을 관리하는 데 있어 점점 더 많은 자치권을 행사했고 그때까지 각각 뚜렷한 국가 정체성을 발전시켰다.영국은 1926년 제국 회의에서 공식적으로 이것을 인정했고, 모든 자치령 정부 수반들과 공동으로 밸푸어 선언을 발표했는데, 이 선언은 영국과 자치령들이 영국 연방 에서 서로 독립적이고 평등하다는 것을 명시했다.완전한 입법 독립은 1931년 [42]웨스트민스터 헌법이 통과되면서 도미니언에 주어졌다.

제국 전역의 여성 인권 단체들은 이 시기 동안 기혼 여성의 지위를 남편의 [43]지위와 결부시키는 국적 규정을 개정하도록 제국 정부에 압력을 가했다.1931년 이후 영국 정부는 더 이상 도미니언에 대한 입법적 패권을 행사할 수 없었고 공통 국적 코드를 통해 강력한 헌법적 연계를 유지하고자 했기 때문에, 영국 정부는 [44]도미니언들 사이의 만장일치 없이 이 문제에 대해 큰 변화를 원하지 않았다.그럼에도 불구하고 1930년대 동안 제국주의적 법적 통일성은 약화되었다; 뉴질랜드와 호주는 결혼으로 인해 비도덕화된 여성들이 영국 국민으로서의 권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1935년과 1936년에 법을 개정했고, 아일랜드는 결혼 [45]후에도 여성의 국적에 변화를 주지 않기 위해 1935년에 규정을 변경했다.

영국과의 관계 변화

도미니언 국적법의 다른 발전, 그리고 영국과 제국의 그것과 분리된 지역적 국가 정체성에 대한 주장의 확산은 1946년 캐나다 시민권이 생기면서 절정에 이르렀고, 일방적으로 공통의 제국 국적의 체계를 깼다.1947년 인도와 파키스탄의 독립이 임박하면서 종래의 [46]제도와 양립할 수 없는 사상에 대처하기 위해 포괄적인 국적법 개혁이 필요하게 되었다.도미니언 정부는 1946년 영연방 총리 회의에서 개혁된 국적 시스템에서 여성의 동등한 지위 원칙에 합의했고, 뉴질랜드는 같은 [47]해에 동등한 국적 권리를 부여하는 법을 개정했다.

뉴질랜드는 1948년 영국 국적뉴질랜드 시민권법을 제정하여 자국 시민권을 만들었고,[48][49] 이는 1948년 영국 국적법과 동시에 제국 전역에서 시행되었다.뉴질랜드에서 최소 12개월 이상 출생, 귀화 또는 거주한 모든 영국인은 1949년 1월 1일 자동으로 뉴질랜드 시민권을 취득했다.뉴질랜드에서 태어나 귀화한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영국인과 뉴질랜드 국적을 가진 여성과 결혼한 영국 여성도 이날 자동으로 [48]시민권을 취득했다.쿡 아일랜드인, 니우에인, 토켈라우인, 그리고 서사모아에서 태어난 영국인들 [33]역시 자동적으로 뉴질랜드 시민이 되었다.

1948년 법은 영국이라는 용어를 뉴질랜드나 다른 영연방 국가의 시민으로 재정의했다.영연방시민은 이 법에서 동일한 [50]의미를 갖는다고 정의된다.각 영연방 [51][52]국가의 시민권과 함께 존재하는 영국 국민/영연방 시민권.모든 영연방 및 아일랜드 시민은 최소 3년간 [53]뉴질랜드에 거주한 후 귀화하지 않고 등록하여 뉴질랜드 시민이 될 수 있었다.뉴질랜드 시민과 결혼한 영연방과 아일랜드 여성들은 더 이상의 [54]요건 없이 등록함으로써 시민권을 취득할 수 있었다.뉴질랜드 남성의 외국인 아내와 미성년자 자녀는 내무부 [55]장관의 재량에 따라 시민 등록을[48] 할 수 있었다.다른 모든 외국인은 최소 5년 이상 [56]거주한 후 귀화를 통해 시민권을 취득할 수 있었다.

개혁된 제도 하의 모든 영국인들은 처음에는 [57]영국에 자동적으로 정착할 권리를 가지고 있었다.영국으로의 비백인 이민은 제도적으로 억제되었지만,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영국의 강력한 경제 상황은 전례 없는 식민지 이민의 [58]물결을 불러 일으켰다.이에 대해 영국 의회는 1962년 영연방 이민자법에 따라 영국 제도 밖에서 유래한 모든 주제에 대해 이민 통제를 가했다.이 제한은 1971년 백인 영연방 [60]시민에게 효과적인 특혜를 준 영국에서 [59]부모나 조부모가 태어난 가부장제들에 대해 다소 완화되었다.

뉴질랜드의 영국과의 관계 변화의 신호로, 뉴질랜드 여권은 1964년부터[61] "영국 여권"이라는 문구를 더 이상 붙이지 않았고 [62]1974년부터 "영국 국적자 및 뉴질랜드 시민"으로 국가 지위를 등록하는 것을 중단했다.투표권은 1975년 최소 1년간 국내에 영주하는 모든 개인에게 확대되었다.그 해 이전에는 선거에 [63]참여하기 위해 영국의 주권자 지위가 필요했다.1967년부터[26] 부분적인 마오리족 또는 비마오리족 배경을 가진 정치인들은 마오리족 선거인단에 입후보할 수 있게 되었고, 1975년부터는 [64]혈통에 관계없이 모든 마오리족 유권자들이 마오리족 또는 일반 선거인단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국적을 취득

1970년대와 1980년대까지 대영제국의 대부분의 식민지는 독립했고 영국과 남아있는 유대관계는 상당히 [65]약화되었다.뉴질랜드는 1977년 다른 영연방 국가 시민에게 주어지던 특혜를 폐지하고 아버지뿐만 아니라 어머니를 통해 자녀에게 시민권을 이전할 수 있도록 하는 국적법 개정을 단행했다.뉴질랜드 국적이 된 외국인은 더 이상 귀화하지 않고 [66]"부여에 의한 시민권"을 받는다.영연방과 아일랜드 시민은 뉴질랜드 법에서 외국인 이외로 기술적으로 정의되어 있지만, 어느 [67]단체에도 혜택이 주어지지 않는다.영국은 1981년 [65]영국국적법에 따라 남은 영토와 영토의 보다 온건한 경계를 반영하기 위해 국적법을 개정했다.영국 국적법은 영국도 더 이상 영연방 시민을 의미하지 않는다.뉴질랜드 시민은 영연방[68] 시민으로 계속 투표할 수 있고 영국에서 [69]공직에 입후보할 수 있습니다.

시민권을 성공적으로 신청하는 사람들은 영국 군주와 동일한 인물인 뉴질랜드 군주에 대한 충성을 맹세하거나 시민권을 확약해야 한다.비록 선서에 대한 공식적인 검토가 있었고 [70][71]군주 대신 국가나 뉴질랜드 사람들에 대한 충성을 언급하는 것으로 바꾸려고 시도했지만,[72] 선서는 변하지 않았다.다른 관습법 관할 구역의 일반적인 추세에 따라,[73] 뉴질랜드는 2005년에 제한 없는 출생권 시민권을 폐지했다.2006년부터 뉴질랜드에서 태어난 아이들은 적어도 한 명의 부모가 시민권자이거나 뉴질랜드에 [74]무기한 체류할 수 있는 허가를 받은 경우에만 출생에 의해 시민권을 부여받는다.

이전 영토의 국적 결정

서사모아는 1962년에 독립했다.1920년대 법률은 사모아인들이 원한다면 영국인이 되는 것을 허용했지만, 공식적인 귀화 절차를 마치지 못한 사람들의 지위는 불명확하게 남겨두었다.사모아 독립 이후 이어진 뉴질랜드의 법률은 이미 뉴질랜드에 살고 있는 사모아인들의 상당수를 불법 [34]이민자로 만들었다.1982년 추밀원 사법위원회는 1928년에서 1948년 사이에 태어난 모든 서부 사모아인들은 영국인이었고 1949년에 자동적으로 뉴질랜드 시민이 되었다고 판결했다.이 결정은 당시 [75]총 인구 16만 명 중 약 10만 명의 사모아인에게 뉴질랜드 시민권을 부여했을 것이다.

서사모아는 1982년 8월 21일 뉴질랜드와의 우호조약 의정서에 서명했다.이 조약과 그에 이은 1982년 시민권(서사모아)법은 추밀원 [76]판결을 사실상 무효화했다.이 법은 1982년 9월 15일 이전에 이미 뉴질랜드에 거주한 사모아인의 시민권을 확인하였으나, 그 날짜 이후에 입국한 사모아인은 [77]시민권을 취득하기 전에 먼저 영주권자가 되어야 한다.

쿡 제도는 1965년 뉴질랜드와 자유 연합하여 자치주가 되었고, 니우에도 1974년에 거의 같은 조건으로 독립했습니다.뉴질랜드는 두 나라의 국방과 외교에 대한 책임을 유지했고, 두 나라의 주민들은 뉴질랜드 [33]시민으로 남아 있다.

시민권 취득 및 상실

찰스 쇼벨 하원의원 웰링턴 시민권 행사 참석

국적 규정은 뉴질랜드 자체, 쿡 제도, 니우에, 토켈라우 및 로스 [8]종속국을 포함뉴질랜드 왕국 전체에 적용됩니다.뉴질랜드 영공, 그 내해 및 영해, 뉴질랜드 등록 선박과 항공기는 국적 [78]목적상 왕국의 일부로 취급된다.

2006년 이전에 왕국에서 태어난 모든 사람은 [73]출생 시 부모의 국적에 관계없이 자동적으로 시민권을 취득한다.그 해부터 왕국에서 태어난 개인은 적어도 한 명의 부모가 뉴질랜드 시민권자이거나 뉴질랜드에 [79]무기한 체류할 자격이 있는 경우 출생 시 뉴질랜드 시민권을 받는다.해외에서 태어난 아이들은 부모 중 [80]한 명이 혈통이 아닌 시민권자일 경우 뉴질랜드 시민이다.입양아들은 [81]입양 당시 입양한 부모에게서 태어난 것처럼 취급된다.

16세 이상의 외국인은 뉴질랜드 왕국에 5년 이상 거주하면서 무기한 [74]체류허가를 받은 후 허가를 받아 뉴질랜드 시민이 될 수 있다.이것은 보통 뉴질랜드 영주권을 보유하는 것을 의미하지만, 호주 시민들과 영주권자들도 무기한 [82]잔류 허가를 가지고 있다.쿡 제도, 니우에 및 토켈라우의 영주권자들도 [83]이 요건을 충족한다.지원자들은 영어에 능통함을 보여야 하며 5년 동안 최소 1,350일, 5년 동안 [74]각각 최소 240일 동안 국내에 있어야 한다.예외적인 상황에서 물리적 존재 요건은 20개월 [84]내에 450일로 줄어들 수 있습니다.해외 출장자 또는 뉴질랜드 국민 배우자의 해외 출장자는 [85]그 기간 동안 뉴질랜드에 있는 것처럼 취급된다.14세 이상[86] 합격자는 뉴질랜드 [17]국왕에게 충성을 맹세하는 시민권 선서나 확약을 해야 한다.이들은 보통 승인 [86]후 3~5개월 후에 열리는 시민권 행사장에서 지방 의회에 의해 관리된다.

뉴질랜드에서 취득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시민권 사이에 효과적인 차별이나 위계질서가 없다.유일한 큰 불이익은 해외에서 [81]태어난 자녀에게 시민권을 물려줄 수 없는 혈통 시민에게 적용된다.이들 개인은 5년 거주 및 신체 존재 요건을 충족한 후 보조금으로 시민이 될 수 있다.그렇지 않으면 [87]총무대신의 재량으로 외국에서 태어난 자녀의 국적을 취득할 수 있다.2010년대까지 [88]매년 평균 28,000명의 사람들이 시민권을 받았다.2018년 인구조사 기준, 뉴질랜드에 거주하는 약 127만 명의 뉴질랜드 [89]국민이 해외에서 태어났다.

1982년 9월 14일 이후 뉴질랜드에 입국하여 뉴질랜드에 무기한 체류 허가를 받은 사모아 국민은 최소 거주 요건 없이 허가를 받아 뉴질랜드 시민이 될 수 있다.그 날 이미 뉴질랜드에 살고 있던 사모아인들은 자동적으로 [90]뉴질랜드 시민이 되었다.사모아에서 태어난 토켈라우인 어머니 사이에서 치료를 받으려는 아이들은 [91]토켈라우에서 태어나 뉴질랜드 시민인 것처럼 취급된다.

뉴질랜드 시민권은 이미 다른 국적을 가지고 있는 경우 포기 선언을 함으로써 포기할 수 있다.출원인이 현재 뉴질랜드에 거주하고 있거나 다른 나라와 전쟁 중인 경우에는 포기가 거부될 수 있다.시민권은 부정하게 취득한 개인이나 다른 국적을 소유하고 국익[92]반하는 행위를 한 개인으로부터 비자발적으로 박탈될 수 있다.

레퍼런스

인용문

  1. ^ a b 1977년 시민권법
  2. ^ 1977년 시민권법 제1조 (2)
  3. ^ "Citizens and Aliens Bill". Parliamentary Debates (Hansard). Vol. 410. New Zealand Parliament. 16 June 1977. p. 553. Retrieved 25 August 2021.
  4. ^ Fransman 2011, 페이지 4
  5. ^ 윌슨 1966년
  6. ^ 곤도 2001, 페이지 2-3
  7. ^ 스푼리 2001, 페이지 163
  8. ^ a b 맥밀란 & 후드 2016, 페이지 3
  9. ^ a b c d McMillan & Hood 2016, 페이지
  10. ^ 카라타니 2003, 페이지 41~42
  11. ^ 고즈윈켈 2008, 13페이지
  12. ^ 카라타니 2003, 페이지 41
  13. ^ 카라타니 2003, 페이지 55-56
  14. ^ 국적에 관한 역사적 배경 정보, 페이지 8.
  15. ^ 카라타니 2003, 페이지 56
  16. ^ Mercer 2018, 페이지 26
  17. ^ a b 도킨스 1978, 페이지 209
  18. ^ 외계인법 1866년 9월 9일
  19. ^ Mercer 2018, 24-25페이지.
  20. ^ Ray 1918, 페이지 471
  21. ^ Mercer 2018, 페이지 29
  22. ^ Borassa & Strong 2002, 페이지 233-234.
  23. ^ Seuffert 2003, 194-195페이지.
  24. ^ Borassa & Strong 2002, 페이지 233-235.
  25. ^ Joseph 2008, 페이지 8-9.
  26. ^ a b 1985년 플레라스, 555페이지
  27. ^ 페어번 2004, 페이지 67
  28. ^ 몰로니 & 스텐하우스 1999, 47페이지
  29. ^ a b 비글홀 2009, 115페이지
  30. ^ 윌리엄스 1980, 페이지 178~179.
  31. ^ 1889년, 페이지 223
  32. ^ 페어번 2004, 페이지 68
  33. ^ a b c McMillan & Hood 2016, 페이지 11~12.
  34. ^ a b c d McMillan & Hood 2016, 12페이지
  35. ^ 쿠엔틴-박스터 1987, 페이지 363
  36. ^ Mercer 2018, 페이지
  37. ^ 타구파 1994, 34페이지
  38. ^ Baldwin 2001, 527–528페이지.
  39. ^ 국적에 관한 역사적 배경 정보, 페이지 10.
  40. ^ a b Baldwin 2001, 526페이지, 528-529.
  41. ^ Mercer 2018, 34-35페이지.
  42. ^ 카라타니 2003, 페이지 86~88
  43. ^ 볼드윈 2001, 페이지 522
  44. ^ Baldwin 2001, 546–549페이지.
  45. ^ 볼드윈 2001, 페이지 552
  46. ^ 카라타니 2003, 페이지 114~115, 122~126.
  47. ^ Baldwin 2001, 553–554페이지.
  48. ^ a b c 맥밀란 & 후드 2016, 페이지 6
  49. ^ 1948년 웨이드, 페이지 69
  50. ^ 1948년 웨이드, 페이지 70
  51. ^ Thwaites 2017, 페이지 2
  52. ^ 1948년 웨이드, 73페이지
  53. ^ Perham 2011, 페이지 231
  54. ^ 1948년 영국 국적뉴질랜드 시민권법 제8조 (2)항. 8(2).
  55. ^ 1948년 웨이드, 페이지 72
  56. ^ 도킨스 1978, 페이지 205
  57. ^ McKay 2008.
  58. ^ 한센 1999, 90페이지, 94-95
  59. ^ 에반스 1972, 페이지 508-509.
  60. ^ 1997, 페이지 181
  61. ^ "Passport Revised by New Zealand; The Word 'British' Will Be Dropped From Cover". The New York Times. 3 March 196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August 2021. Retrieved 25 June 2021.
  62. ^ 멜레와 알위 2015, 페이지 70
  63. ^ McMillan 2015, 페이지 3
  64. ^ 1985년 플레라스, 563페이지
  65. ^ a b Paul 1997, 182-183페이지.
  66. ^ 맥밀란 & 후드 2016, 페이지 7
  67. ^ 1977년 시민권법, s2(1).
  68. ^ Bloom 2011, 640페이지
  69. ^ Bloom 2011, 페이지 654
  70. ^ "NZ to review swearing allegiance to Queen". ABC News. Agence France-Presse. 23 May 200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October 2016. Retrieved 7 August 2021.
  71. ^ "Shearer joins movement to change oath to Queen". The New Zealand Herald. 20 December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November 2020. Retrieved 7 August 2021.
  72. ^ McGuinness, Wendy (July 2013). "Ensuring New Zealand's Constitution is Fit for Purpose" (PDF). McGuinness Institute. pp. 24–25.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16 September 2021. Retrieved 16 September 2021.
  73. ^ a b 소이어 2013, 페이지 653-654.
  74. ^ a b c 맥밀란 & 후드 2016, 페이지 14
  75. ^ Quentin-Baxter 1987, 페이지 364-365.
  76. ^ 쿠엔틴-박스터 1987, 페이지 365-366.
  77. ^ 타구파 1994, 페이지 30-31, 33.
  78. ^ 도킨스 1978, 페이지 202
  79. ^ 맥밀란 & 후드 2016, 9페이지
  80. ^ 맥밀란 & 후드 2016, 페이지 8
  81. ^ a b 맥밀란 & 후드 2016, 페이지 15
  82. ^ "Part 3: Citizenship and permanent residency". Controller and Auditor-Genera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January 2021. Retrieved 30 December 2020.
  83. ^ Perham 2011, 페이지 232–233.
  84. ^ McMillan & Hood 2016, 페이지
  85. ^ 1977년 시민권법 제8조 (5)
  86. ^ a b "Citizenship ceremonies". New Zealand Governmen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March 2021. Retrieved 7 August 2021.
  87. ^ Dawkins 1978, 페이지 204–205.
  88. ^ "New citizens by grant by country of birth". New Zealand Governmen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February 2018. Retrieved 4 January 2021.
  89. ^ "New Zealand's population reflects growing diversity". Statistics New Zealand. 22 September 201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August 2021. Retrieved 7 August 2021.
  90. ^ 쿠엔틴-박스터 1987, 페이지 366
  91. ^ 소이어 2013, 672페이지
  92. ^ McMillan & Hood 2016, 16-17페이지.

원천

출판물

법령 및 판례법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