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세키

Koseki
코세키 인증서 출력물 복제

고세키(高世木) 또는 호적[1][2](號)은 일본의 호적()으로, 모든 사물의 호적(號)이다. 일본 법률은 모든 일본 가정('i'로 알려져 있다)은 일본 국민의 출생, 친자확인, 입양, 입양 차질, 사망, 결혼, 이혼 등을 관할 지역 당국에 신고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는 관할 지역 내 모든 일본인을 포괄하는 기록이다. 결혼, 입양, 친자확인 등은 이러한 사건이 코세키에 기록될 때에만 법적 효력이 발생한다. 출생과 사망은 발생할수록 법적 효력이 발생하지만, 그러한 사건은 가족 구성원들에 의해 제기되어야 한다.

포맷

코세키에는 종합코세키(ki (本, Koseki tohon)와 선택코세키(Selected Koseki, Koseki Shohon)의 두 가지 주요 유형이 있다. 종합 코세키는 모든 가족 구성원의 기록으로, 사망과 출생, 결혼 등의 날짜가 기록되어 있다. 선택 코세키는 부모 이름, 생년월일과 장소, 성별을 가진 단 한 명의 가족만을 위한 정보다. 세 번째, 덜 흔하게 사용되는 문서는 핵가족의 일부가 아닌 친척들과 같이 부가적인 가족 구성원 애착인 확장 코세키(Extended Koseki, Koseki no fuhyo)이다.[3][4]

전형적인 코세키는 그 가정의 부모와 그들의 첫 두 자녀들을 위한 한 페이지를 가지고 있다: 추가적인 페이지들에 추가 아이들이 기록된다. 이 정보에 대한 모든 변경 사항은 공식 등록 기관에 의해 봉인되어야 한다.

코세키에는 다음과 같은 항목이 기록되어 있다. (호적법, ( (戸法, Kosekiho), 제13조)

  • 성씨와 주어진 이름
  • 출생의 날짜.
  • 기록 및 원인(결혼, 사망, 입양 등)의 날짜
  • 아버지와 어머니의 이름과 그들과의 관계
  • 이름은 변경되지만 원래 이름은 변경되지 않음
  • 입양될 경우, 입양된 아버지와 어머니의 이름
  • 만약 결혼했다면, 그 사람이 남편이든 아내든.
  • 다른 코세키에서 옮겨온다면, 전 코세키.
  • 등기 주소(혼세키치)

역사

6세기에 소개된 일본의 원래 인구조사에서는 고고노넨자쿠(高高野野 n) 또는 고인노넨자쿠(高人野本子 census)로 불렸다. 이 인구조사는 리쓰리오 통치 체제에서 도입되었다.[5] During the Bakufu, there were four major forms of population registration: the ninbetsuchō (人別帳) (Registry of Human Categories), the shūmon jinbetsu aratamechō (宗門人別改帳) (Religious Inquisition Registry) also called the shūmon aratamechō, the gonin gumichō (五人組帳) (Five Household Registry) and the kakochō (過去帳) (Death Registry). 슈몬 진베쓰 아라타메초는 1670년경에 만들어졌으며 거의 200년 동안 지속되었다. 사회와 종교의 등록을 결합했고, 데이터는 매년 갱신되었다.[6] 몇 가지 범주의 왕따는 이 시스템에 전혀 등록되지 않았거나 부라쿠민과 같은 특정 등록부에 등록되었다.[7] 메이지 유신 직후인 1872년 일본의 모든 시민을 아우르는 현대의 코세키가 등장했다. 모든 일본인에게 주어진 이름뿐만 아니라 성도 의무적으로 지도록 한 것은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었다. 이전의 모든 사회 범주가 폐지되고 거의 모든 일본인이 헤이민(서민)으로 기록되었지만, 일부 소수민족은 "새로운 평민" 또는 "원조 에타"(신헤이민 또는 모토에타)라는 꼬리표가 붙으면서 차별이 계속되었다.[7] 오가사와라 제도 등 국토의 가장자리에서도 문제가 발생했다.[7]

일본 제국 시대에는 1910년 이후 코세키 제도의 이중 잣대를 없애기 위해 여러 가지 개혁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제국의 식민지 주민들은 외부 섭정(가이치 코세키)을, 일본인들은 국내 섭정(나이치 코세키)을 개최하였다.[7]

2003년에는 '성인지장애'(GID)나 성인지장애가 있는 사람은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코세키에서 성별을 바꿀 수 있도록 'GID법'이 제정됐다. GID 진단을 받은 사람은 코세키 성별을 바꾸기 위해 독립 정신과 의사 2명의 지원서를 받아 공식 진단을 받아야 한다.[8]

프라이버시 문제

코세키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상세하고 민감하며, 예를 들어 부라쿠민이나 사생아, 미혼모 등과 같은 집단에 대한 차별을 가능하게 한다. 전후 일본에서 부라쿠민 해방 운동이 힘을 얻으면서 가족 등록에 약간의 변화가 생겼다. 1974년 고용주들이 예비 고용인들에게 호적 표시를 요구하는 것을 금지한 고시가 보건복지부에 의해 발표되었다. 1975년에 한 사람의 혈통 이름은 삭제되었고 1976년에는 가족 등록소에 대한 접근이 제한되었다. 2007년 4월 현재 관심 있는 사람은 누구나 다른 사람의 코세키 사본을 얻을 수 있는 자격이 있다. 그러나, 2008년 5월 1일에는, 카피 대상자를 특정 코세키에 이름이 기재된 자와, 카피가 필요한 자(채무수집자, 유언 집행자)로 한정하는 새로운 법이 시행되었다.[9][10] 코세키에 등재된 사람은 이혼 사유로 이름이 엇갈리고 일본 시민이 아니더라도 누구나 코세키 사본을 얻을 수 있다.[9] 직접 또는 우편으로 사본을 얻을 수 있다. 변호사는 또한 목록에 있는 사람이 법적 절차에 관여하는 경우 어떤 코세키 사본도 얻을 수 있다.[11]

시민권

일본 시민들만이 코세키를 가지고 있다.[12] 만약 한 부모가 일본인이라면, 그 아이는 일본 시민권을 받을 자격이 있고, 따라서 일본 여권이다. 그래서, 코세키는 시민권 증명서로 두 배로 뛴다. 비일본인은 일본인의 배우자[4] 또는 일본인 자식의 부모 등 필요한 경우 주목할 수 있으나, 일본인 배우자나 부모와 같은 방식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다.[13]

코세키 제도는 현주소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주민효 주민등록과는 다르다는 점에 유의한다.

기타 비판

코세키는 출생증명서, 사망증명서, 혼인신고서, 다른 나라의 인구조사 등의 기능을 동시에 채운다. 각 개인보다는 가족에 기반을 두고 있다. 부부인 경우 코세키에는 성씨 하나만 등장할 수 있는데, 이는 한 사람이 결혼할 때 성을 버려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개는 여자다.[7] 2015년 12월 15일, 닛케이 아시아 리뷰는 일본 대법원이 결혼한 부부에게 같은 성을 사용하도록 강제하는 법적 조항을 유지했다고 보도했다. 원고들은 이 법적 조항이 "사실상의 여성 차별"에 해당한다고 주장했었다.

코세키에 아이들이 등록되지 않은 곳도 고민거리다. 아이를 등록해야 하는 책임은 부모에게 있지만,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14]

데비토 아루두가 특히 제기한 또 다른 불만 사항은 비일본인 부모는 자녀의 정보를 갖고 있는 같은 코세키에 등록할 수 없다는 것이다. 코세키에 의해 확립된 유일한 부모 관계인 프리마 페이시는 일본인 부모와의 관계를 통해 그들이 다른 부모 관할 구역의 보호자 부모가 아닌 경우에도 일본 내 아이들을 완전히 통제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15]

황실

황실계급대장 표지

일본 황실의 회원은 고세키가 아니라 황실법 26조에 따라 대신 황실 계통등록부(皇帝國등록부, 코토푸)에 등록되어 있다.[16]

다른 나라의 호적

비슷한 등록제가 고대 중국 정부의 영향을 받은 모든 동아시아 국가의 공공행정 구조 내에 존재한다. 호적 명칭의 국부 발음은 다양하지만, 모두 코세키(전통 중국어: 戶籍)와 같은 한자어에서 유래한다. 이들 주에는 중화인민공화국(후커우), 중화민국(대만), 베트남(후커우), 북한(호주, 호적, 호족) 등이 있다. 한국에서는 호주제가 2008년에 폐지되었다.

논란

일본 정부는 2010년 9월 100세 이상 '실종자' 23만명에 대한 조사를 마쳤다. 일부 기자들은 코세키가 고인이 된 친척들의 연금을 더 젊은 가족들이 받을 수 있게 해주는 구식 제도라고 주장했다.[17][18]

참고 항목

참조

  1. ^ "戸籍法" [Family Register Act]. Act No. 224 of December 22, 1947.
  2. ^ "Japan's Family Registry System". U.S. Embassy and Consulate in Japan. Retrieved February 9, 2021.
  3. ^ "List of Public Certificates" (PDF). Numazu City Council. Retrieved 2021-07-01.
  4. ^ a b 후지와라 시의회. 戸籍附票の[코세키 호적부록 부록 사본] 2021년 7월 1일 회수
  5. ^ 채프먼, D. (2008) 밀봉 일본식 정체성, 비판적 아시아학, 제40권, 제3권, 페이지 423 - 443.
  6. ^ Smith, Thomas (1977), Nakahara: Family Farming and Population in a Japanese Village, 1717-1830, Stanford University Press, pp. 15–16, ISBN 9780804766692
  7. ^ a b c d e 데이비드 채프먼(David Chapman), 자기와 다른 지역: 2011년 7월 18일 아시아 태평양 저널 제9권 제2호에 실린 코세키를 통한 일본 지도화
  8. ^ 아베, 테루오 "성 정체성 장애", 준텐도 의학 저널 52권, 제1권(2006031) 페이지 55-61
  9. ^ a b 호적에 관한 법률, 제10조 第10條 (재위법)
  10. ^ 호적에 관한 법률, 제10조의2 第10條 제2호
  11. ^ 호적에 관한 법률, 제10조의2 제3항, 第10條 제2조제3항제3호
  12. ^ "Japanese Passport Application/Renewal".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Retrieved 2020-08-28.
  13. ^ 「주민휴우 몬다이」 2013-05-28년 웨이백머신보관된 「외국인으로서, 당신은 부부로서가 아니라, 일본인과 마찬가지로 「아내」나 「남편」이라는 표제 하에, 양식의 「리마크」(비커우, 칸지: 備)로 배우자의 코세키에 내려진다.
  14. ^ Ninomiya, Shūhei (2018-02-18). "Japan's Archaic Civil Code and the Plight of the Unregistered". Retrieved 2021-07-01.
  15. ^ Arudō, Debito, 1965- (2015). Embedded racism : Japan's visible minorities and racial discrimination. Lanham. ISBN 978-1-4985-1390-6. OCLC 921240377.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16. ^ "The Imperial House Law".
  17. ^ 인디펜던트
  18. ^ 워싱턴포스트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