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커우

Hukou
후커우
한자이름
간체자 중국어户口
번체 중국어戶口
대체 중국어 이름
간체자 중국어户籍
번체 중국어戶籍
티베트 이름
티베트어ཐེམ་ཐོ
위구르 이름
위구르족نوپۇس

Hukou(중국어: lit; 불붙음).'가구 개인'은 중국 본토에서 사용되는 호적 제도이다.시스템 자체는 '후지'(중국어: lit ; light)라고 부르는 것이 더 적절하다.hukou 그대로 ""을 의미하며, 영어의 "머리당"과 유사하게 가족을 "먹일 입"으로 간주하는 관행에서 유래했다.호적기록은 공식적으로 그 지역의 영주자로 식별되며 이름, 부모, 배우자, 생년월일 등의 식별정보를 포함한다.호적(간체자: tradition tradition, 번체자: ùǒ b pin, 병음자: ǒ bùùù is)은 가족 구성원 모두의 출생, 사망, 결혼, 이혼, 이사를 포함하기 때문에 호적( in in)을 여러 맥락에서 참조할 수도 있다.

이 제도는 부분적으로 고대 중국의 호적 제도에서 내려온 것이다.후커우 체제는 인접한 동아시아 국가에서도 영향을 끼쳤는데, 예를 들어 일본(고세키), 한국(호주), 베트남(호주)[1][2][3]의 공공 행정 구조 내에서도 마찬가지였다.한국에서는 호주제가 2008년 [4]1월에 폐지되었다.소련의 프로피스카와 러시아의 주민등록은 유래는 무관하지만 비슷한 목적을 가지고 근대 중국의 후커우 제도의 [5][6]모범이 되었다.

후커우 제도는 농업 및 비농업 거주 자격(종종 시골 및 도시)에 따라 혜택을 배분하는 정부에 의해 제공되는 사회 프로그램과의 연관성 때문에 때때로 카스트 제도[7][8][9]한 형태에 비유된다.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된 이후 수십 년 동안 도시 주민들은 퇴직연금부터 교육, 의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혜택을 받는 반면, 시골 시민들은 종종 스스로 목숨을 부지하도록 내버려 두었기 때문에, 그것은 많은 불평등의 원인이 되어왔다.최근 몇 년 동안, 중앙 정부는 시위와 변화하는 경제 체제에 대응하여 제도를 개혁하기 시작했고, 일부 서구 전문가들은 이러한 변화가 실질적인 [10][11]것이었는지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명명법: 후지후커우

시스템의 정식 이름은 huji입니다.후지 제도에서 후커우는 이 제도에서 특정 개인의 등록된 거주자격이다.그러나 후커우라는 용어는 통칭적으로 시스템 전체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고 있으며, 영어권 독자들은 후지 시스템과 개인의 후커우 모두를 가리키는 말로 채택되어 왔다.

중국 본토에서의 호적

개인 가계부 또는 후커우 소책자.지역 경찰서는 이 기록의 사본을 중앙 등록부에 보관하고 있었다
중국 후커우 책자의 안쪽 페이지.

호커우 제도는 고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중국에서 유래했지만, 현재의 형태의 호커우 제도는 1958년 중화인민공화국 호커우 등록 [12]규칙에서 생겨났다.매우 최근까지, 각 시민은 농업 또는 비농업 후커우(일반적으로 시골 또는 도시라고 함)로 분류되었고,[12] 원산지에 따라 더 분류되었다.이러한 이중적인 조직 구조는 사회 정책과 연계되어 있으며, 비농업(도시) 후커우 지위를 [13]가진 주민들은 농촌에서는 얻을 수 없는 혜택을 받았다.국내 이주 또한 중앙 정부에 의해 엄격히 통제되었고, 지난 수십 년 동안만 이러한 제한이 완화되었다.이 제도는 중국의 급속한 경제성장에 큰 역할을 하고 있지만, 호쿠는 또한 사회 계층화를 촉진하고 악화시켜 중국의 많은 농촌 [12]노동자들의 박탈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최근 몇 년 동안 호커우 제도에 의해 확산된 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한 조치가 취해지고 있으며, 가장 최근의 개혁은 2014년 3월과 7월에 발표되었으며, 여기에는 농업과 비농업의 호커우 지위 [13]구분을 없앤 조항이 포함되어 있다.

근거와 기능

원래의 법률에서, 호커우 제도는 다음과 같이 만들어진 것으로 정당화되었습니다.

사회질서를 확립하고 시민의 권익을 보호하며 사회주의를 확립하는 데 도움이 된다.[12]

중앙정부는 농촌이 과잉 노동력을 흡수하고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이 더 크기 때문에 인구의 대부분이 이들 [12]지역에 집중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게다가, 사람들의 자유로운 이동은 도시의 인구 과잉을 초래하고 농업 [12]생산을 위협할 수 있기 때문에 위험하다고 여겨졌다.후커우 체제 하에서 농촌 인구는 농업 생산과[12] 국영 [14]기업의 근로자 모두에서 도시 산업화의 지원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었다.

사실, 호커우 제도는 다른 동기도 작용했다.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을 세운 후 중국 공산당은 안정과 급속한 근대화를 이념으로 정책을 펼쳤고 후커우 체제도 [15]예외는 아니었다.도시 지역은 역사적으로 권위주의 정권이 가장 취약한 지역이었다: 이에 맞서기 위해, 중앙 정부는 특히 [15]국가에 대한 봉기를 막기를 바라며 도시 주민들에게 특혜를 주었다.후커우 체제의 구조는 또한 도시 시민들에 대한 중앙 정부의 힘을 강화했다: 도시 주민들이 일상생활의 모든 면에서 정부에 의존하게 함으로써, 중앙 정부는 문제가 있는 [12]개인들로부터 복종을 강요할 수 있었다.

중앙정부의 이민 억제 노력은 중국 경제가 급속히 발전하는 주요 요인이었다.도시로의 이주에 대한 그들의 철저한 점검은 다른 많은 개발도상국들이 [16]직면하는 많은 문제의 발생을 막는데 도움을 주었다.예를 들어, 일자리를 찾는 사람들의 대량 유입에 의한 도시 외곽의 슬럼가 출현은 문제가 되지 않았고, 인구밀도가 [16]높아 건강상태도 좋지 않았다.그리고 다른 결점에도 불구하고, 후커우 체제의 안정 유지 능력은 중국의 경제 [15]성장에 기여했습니다.

인권운동가들은 위구르족과 티베트인들이 중국 동부에 집을 빌리거나 사는 것을 금지함으로써 위구르족과 티베트인들이 신장과 티베트에서 이주하는 것을 조직적으로 거부하기 위해 사용되었다고 말하고 있으며, [17][18]이 제도를 통해 떠나는 사람들은 보통 강제로 돌아오게 된다고 말한다.

역사

중국 후커우 체제의 유산은 이르면 [12]기원전 21세기 이전 다이너스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초기 형태에서, 호적 제도는 주로 이민을 [12]규제할 뿐만 아니라 세금과 징집 목적으로 사용되었다.후커우 시스템의 두 가지 초기 모델은 샹수이와 바오자 시스템이었다.서주(기원전 11~8세기경) 시대에 만들어진 샹수이 제도는 도시와 농촌의 [12]토지를 정리하고 분류하는 방법으로 사용되었다.기원전 4세기 상양에 의해 전파된 바오자 제도의 기능은 시민 집단 내에서 책임 체계를 만드는 것이었다. 즉, 한 사람이 엄격한 규칙을 어기면, 그 집단의 모든 사람들이 [12]고통을 받았다.이 구조물은 나중에 진 왕조 [19](기원전 221-207년) 동안 조세, 인구 통제, [12]징집 등의 목적으로 이용되고 확장되었다.

1317년 발간된 문현동고 후커우시험에 따르면 주나라 인구관리부 장관인 사민(chinese民)이 출생, 사망, 이민, 이민 기록을 담당했다.주례에는 세 권의 문서가 서로 다른 장소에 보관되어 있었다고 적혀 있다.주나라의 행정 구역은 국가 수도까지의 거리에 따른 함수였다.수도에서 가장 가까운 최고 구역은 두비(중국명: (), 더 먼 지역의 최고 구역은 샹(중국명: ) su), 쑤이(중국명: i ()로 명명되었다.가족들은 바오자 [20][21]체제 하에서 조직되었다.

기원전 7세기 제나라의 총리 관종은 지역마다 [22]다른 세금과 징병 정책을 시행했다.게다가,[23] 관종은 또한 허가 없이 이민, 이민, 가족의 분리를 금지했다.상경에서, 상양은 또한 이민과 [24]이민을 제한하는 그의 정책을 묘사했다.

한나라의 초대 재상인 샤오허는 한(漢)의 9대 기본법칙 중 하나로 호()의 장을 추가해 세수 및 징병제도의 기초가 되었다.

후커우 체제의 전조는 청나라 때 개인을 감시하고 전쟁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호커우 체제의 첫 번째 공식 성문화는 1911년 호지법과 [12]함께 청나라 말기(1644-1912)[25]에 시작되었다.이 법령에 따라 명목상 이동이 자유로웠지만, 개인은 정부에 등록해야 했고, 정부는 공산주의 세력을 추구하고 전쟁 [12]자금 조달을 위한 과세 기준으로 삼았다.이 법은 또한 바오자 제도를 확대하였고,[12] 안정감을 확립하기 위한 것이었다.

청나라가 멸망한 후 중국은 다양한 행위자들에 의해 통치되었고, 각각의 행위자들은 가정이나 개인 [15]신분증을 사용하는 제도를 사용했다.일본 점령 기간 동안, 일본인들은 그들의 통치하에 있는 사람들을 식별하고 그들의 전쟁 [15]노력에 자금을 대는 데 사용된 시스템을 사용했다.비슷하게, 국민당은 반대파인 중국 공산당과 중국 공산당의 활동을 감시하기 위해 이 제도를 이용했고, 차례로 롄바오라고 불리는 시스템을 사용했다. 롄바오는 가족을 5인 그룹으로 묶어 [15]반혁명자들을 추적하고 저지하기 위해서였다.

1949-1978: 마오쩌둥주의 시대

1949년 건국 당시 중화인민공화국은 농업이 발달한 국가였다.약 89%의 시민이 시골에 살고 있으며, 약 4억8천400만 명이 시골에 살고 있으며,[26] 이에 비해 도시에는 약 5천800만 명이 살고 있습니다.그러나 산업화 노력이 증가함에 따라 점점 더 많은 시골 주민들이 더 나은 경제적 기회를 찾아 도시로 몰려들었다. 1957년에서 1960년 사이에 도시 [26]노동력은 90.9% 증가했다.

따라서 중앙정부가 시행하는 호커우 제도의 주요 목적은 농업 [12]부문으로부터 멀어지는 자원의 흐름을 통제하는 것이었다.건국 후 몇 년간의 불안정성과 높은 이동률은 사회와 경제를 위한 중앙 [12]정부의 계획을 방해했다.비록 현재의 형태의 호커우 제도는 1958년까지 공식적으로 시행되지 않았지만, 설립되기 몇 년 전에 중국 공산당이 [12]인민에 대한 통제를 주장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한 것이 특징이었다.1950년 뤄레이칭 공안부 장관은 새로운 시대의 [12]후커우 체제 시행에 대한 비전을 상세히 기술한 성명을 발표했다.1954년에는 농촌과 도시 시민이 국가에 등록되었고, 이미 엄격한 후커우 지위 전환 규제가 [12]시행되었다.지원자는 취업, 대학 합격 또는 도시의 직계 가족 관계를 증명하는 서류를 소지해야 자격이 [12]주어졌습니다.같은 해 3월 내무부와 노동부는 도시로의 맹목적인 농민 유입을 억제하기 위한 합동지령을 발표해, 향후 도시 기업의 농촌 노동자의 고용은 [15]모두 지방 노동국에 의해 통제될 것이라고 선언했다.

1958년 1월 9일, 중화인민공화국 후커우 등록규정이 [12]법제화 되었다.이로 인해 주민은 농업용 호쿠를 가진 농민(農民)과 비농업용 호쿠를 가진 시민(西民)으로 나뉘고 [12]지역별로 모든 시민을 분류했다.그러나 중요한 차이는 농업과 비농업의 후커우 [12]지위에 있다.중앙 정부가 산업화를 우선시했기 때문에, 호쿠 지위에 얽매인 국가 복지 프로그램은 도시 주민에게 매우 유리했다. 농업 호쿠의 소유자들은 이러한 혜택을 받을 수 없었고 열등한 복지 [12]정책에 시달렸다.또, 후커우 지위의 이전은 엄격히 제한되고 있어, 공식 쿼터는 연 0.15~0.2%, 실환산율은 약 [13]1.5%였다.그 후 몇 년 동안, 사람들의 이동에 대한 정부의 감시가 확대되었다.1964년에는 대도시, 특히 베이징과 상하이와 같은 대도시로의 이주에 더 큰 제한이 가해졌고 1977년에는 이러한 규제들이 더욱 [12]강화되었다.이 시대 내내, 호커우 제도는 명령 경제의 도구로 사용되었고,[12] 중앙 정부가 국가 산업화 계획을 실행하는 것을 도왔다.

1978-현재: Post-Mao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된 이후 1976년 마오 주석이 사망할 까지 중앙정부는 이민에 대한 통제를 강화했고 1978년에는 국가 내 운동이 전적으로 [12]정부에 의해 통제되었다.제도권 밖에서의 생활이 사실상 불가능했기 때문에, 거의 모든 사람들의 이동은 국가가 [12]지원했다.

그러나 1978년 덩샤오핑의 권좌에 오르면서 개혁이 시작되어 농업과 비농업의 후커우 [15]보유자 간의 격차를 완화하는 데 착실히 착수하였다.농촌에서 소도시로의 이동에 대한 제한은 완화되었지만, 베이징과 톈진 같은 대도시로의 이동은 여전히 엄격히 [13]규제되고 있다.후커우 [13]지위 전환을 위한 할당량과 자격 기준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지방 자치체에도 더 큰 자치권이 주어졌다.이주 노동자가 임시 거주 허가를 받을 수 있도록 허용하는 법률이 제정되었지만, 이러한 허가들은 도시 거주자들이 [12]가지고 있는 것과 같은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허용하지는 않는다.그러나 제도 밖에서 사는 것이 예전보다 훨씬 더 실용적이 되면서, 많은 이주 노동자들이 임시 거주 허가를 얻지 못하고 있다. – 주로 그렇게 할 자원이나 구체적인 고용 제안이 없기 때문에 – 그래서 [12]시골로 강제 송환될 위험에 처해 있기 때문이다.그리고 2014년에 중앙정부는 무엇보다도 농업과 비농업의 후커우 지위 [13]구분을 없앤다는 개혁을 발표했다.

농촌 인구에 대한 영향

정부가 도시 교육에 많은 투자를 하는 반면, 시골 교육에 대한 투자는 거의 또는 전혀 일어나지 않는다.

1958년 중앙정부가 시행한 호커우 제도 하에서 비농업 호커우 지위의 소유자에게는 식량과 섬유 등 생필품 배급 카드가 지급되면서 농촌 주민들은 모든 것을 [12]직접 생산해야 했다.국가가 도시에 주택을 제공하는 반면, 개인은 자신의 [12]집을 지어야 했다.국가는 교육에 투자하고, 고용을 알선하고, 도시 주민들에게 은퇴 수당을 제공했으며, 시골 [12]시민들에게는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았다.이러한 불균형은 농촌 주민들을 매우 약하게 만들었고, 대약진 기근과 같은 비극은 주로 중국 농촌 [15]주민들을 황폐화시켰다.

기근에서 살아남다

1958년부터 1962년까지의 중국 대기근 기간 동안, 도시와 시골의 호쿠는 삶과 [27]죽음의 차이를 의미할 수 있다.이 기간 동안, 약 6억 명의 시골 후커우 주민들 중 거의 모두가 마을 공동 농장으로 집단화되었고, 주 세금 후 그들의 농업 생산량은 그들의 유일한 식량원이 될 것이다.지역 공산당 지도자들에 의한 생산량 수치의 제도화된 과장과 생산의 급격한 감소로 인해, 그 몇 년 동안 주세는 많은 농촌 지역의 거의 모든 식량을 몰수했고, 대량 기아와 6천 5백만 [28]명 이상의 중국인들의 죽음을 초래했다.

그러나 1억 명의 도시 후커우 주민들은 중앙 정부가 정한 고정식량에서 식량을 공급받았고, 이것은 때때로 하루 평균 1500 칼로리까지 떨어졌지만 여전히 기근 기간 동안 거의 모든 사람들이 생존할 수 있었다.전체 사망자의 95% 이상이 시골 후쿠 소유자들 사이에서 발생했다.내부적으로 뉴스가 억제되면서 많은 도시 주민들은 시골에서 대량 사망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전혀 알지 못했다.이것은 마오의 [29]정책에 대한 조직적인 반발을 막기 위해 필수적이었다.

1978년 이후

중국이 국가사회주의에서 시장사회주의로 이행하는 동안(1978-2001년) 대부분 여성이었던 이민자들은 도시 근교의 새로운 수출가공지대에서 표준 이하의 [30][31]노동조건으로 일했다.이주 노동자들의 이동성에 제약이 있어,[32] 그들이 학대에 노출된 회사 기숙사나 판자촌에서 불안정한 삶을 살 수 밖에 없었다.

1980년대 수억 명이 국영기업과 [30]협동조합에서 쫓겨난 후 후커우 체제가 이주 노동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부담스러워졌다.1980년대 이후 약 2억 명의 중국인들이 공식적으로 등록된 지역 밖에 살고 있고 교육과 정부 서비스를 받을 자격이 훨씬 적기 때문에 불법[14] 이민자나 아파르트헤이트 하의 "백인" 지역에 사는 것과 많은 면에서 비슷한 환경에서 살고 있다.땅을 떠난 수백만 명의 농민들이 도시 사회의 변두리에 갇혀 있다.그들은 종종 증가하는 범죄와 실업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시민들로부터 압력을 받아 시 정부는 차별적인 규칙을 부과했다.[33]예를 들어, 농장 노동자의 자녀(중국어: óín pin; pinyin: nongmin gong)는 시립 학교에 등록할 수 없으며, 지금도 고향에서 학교를 다니기 위해 조부모나 다른 친척들과 함께 살아야 한다.그들은 보통 홈스테이 아이라고 불린다.중국 [34]연구진이 보고한 바에 따르면 부모 없이 생활하는 이러한 홈스테이 아이들은 약 1억 3천만 명에 이른다.

농촌 근로자들은 도시 지역에서 노동력을 제공하고, 그들의 가족은 농촌 지역의 공공 서비스(예를 들어 자녀들을 위한 학교, 노인들을 위한 건강 관리)를 이용하기 때문에, 이 제도는 공공 부문 차원에서 가난한 지역에서 부유한 도시 지역으로의 부의 이전으로 이어진다.근로연령층에서 농촌지역 친족에게 지급하는 가족 내 급여는 어느 정도 상쇄된다.

도시의 이주 노동자

많은 시골 이주자들이 도시에서 노동자로 일자리를 찾는다.

1980년대에 이민에 대한 규제가 완화되면서 도시에서 [35]더 나은 기회를 노리는 시골 주민들이 대거 유입되었다.하지만, 이 이주 노동자들은 재정 보장을 추구하면서 많은 도전에 직면해야 했다.도시 거주자들은 고용 기회에서 이주자보다 우선시되었고, 이주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구했을 때,[36] 그들은 성장 가능성이 거의 없는 직책이 되는 경향이 있다.도시 근로자들은 고용 혜택과 분쟁 시 고용주보다 유리한 법률에 의해 지지를 받는 반면, 시골의 후커우 소유자들은 그러한 실질적인 [35]보호를 받지 못했다.그리고 시 공무원의 업무 수행은 지역 주민의 번영과 지역 경제를 바탕으로 평가되었기 때문에, 그들은 [35]이주 노동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인센티브가 거의 없었다.

2008년 중앙정부는 고용에 대한 동등한 접근을 보장하고 최저임금을 제정하며 고용주가 정규직 [35]근로자에게 고용급여를 포함한 계약을 제공하도록 하는 근로계약법을 통과시켰다.그러나, 2010년의 연구에 의하면, 농촌 노동자는 도시 노동자에 비해 40% 적게 벌고, 16%만이 고용 혜택을 [35]받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주 노동자들의 노동권도 자주 침해된다.이들은 열악한 환경에서 과도하게 장시간 일하고 신체적,[37] 정신적 괴롭힘에 직면한다.

이주 노동자들은 또한 고용주가 직원들에게 제때 또는 [37]전액을 지급하지 못할 때 발생하는 임금 체불에 의해 불균형적으로 영향을 받는다.이러한 사건은 기술적으로 불법이고 7년의 징역형에 처해질 수 있지만, 여전히 임금 체불이 발생하고 근로 계약과 연금은 [37]무시될 수 있다.1990년대 말에 실시된 조사에서 이주 노동자의 46%가 3개월 이상의 급여를 받지 못하고 있으며, 일부 노동자는 [37]10년 동안 급여를 받지 못하고 있다.다행히 지난 20년간 임금체불 유병률은 감소해 2006년부터 2009년까지 실시된 조사에서 이주노동자의 8%가 임금체불을 [37]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주 노동자의 자녀

1976년 마오쩌둥의 사망 이후 [38]노동시장의 수요 급증을 초래한 경제 개혁이 뒤따랐다.농촌 주민들은 이 공백을 메우기 위해 서두랐지만, 후커우 지위에 기초한 정부 사회 프로그램의 지원 없이는, 그들 중 많은 사람들이 그들의 가족을 [38]남겨두고 떠나야 했다.수년간 경제 성장은 이주 노동자들에 의해 채워지고 있는 도시에서 노동력에 대한 높은 수요를 유지했고, 2000년 제5차 전국 인구 조사에서는 0-14세의 2,290만 명의 아이들이 부모 [38]중 한 명 또는 둘 다 없이 살고 있다고 밝혔다.2010년에는 그 수가 6100만 명으로 증가했는데, 이는 시골 어린이들의 37.7%, [39]중국 어린이들의 21.88%에 해당한다.이 아이들은 보통 남아 있는 부모나 조부모의 보살핌을 받으며, 낙오자녀들 사이에서 96%의 학교 등록률이 있지만, 그들은 많은 발달상의 어려움을 [38]겪기 쉽다.뒤에 남겨진 아이들은 권위에 저항하고 [38]또래들과 상호작용하는 문제를 경험할 가능성이 더 높다; 그들은 아침 식사나 흡연과 같은 건강하지 못한 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더 높으며, 외로움과 [39]우울증을 포함한 정신 건강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더 높다.그리고 비록 뒤처진 아이들이 부모의 확장된 재정 능력으로 인해 더 많은 학업 기회를 가질 수 있지만, 그들은 종종 학업 성취에 대한 더 큰 압박을 받고, 따라서 학교 [38]관련 스트레스에 더 취약하다.

부모와 함께 이주하는 아이들은 현지 상대방이 경험하지 못한 어려움에 직면한다.

부모와 함께 이주하는 시골 노동자들의 자녀들 또한 어려움에 직면한다.비농업적인 지역 후쿠가 없다면 이주 아동들은 공공 사회 기반시설에 제한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도시 학생들의 교육 기회는 이주 학생들에 [40]비해 훨씬 우수하다.중앙정부는 1986년과 1993년에 교육제도를 개혁하여 지방정부에 [40]교육제도의 규제에서 더 큰 자율성을 부여하였다.한정된 공간과 지역 이익을 보호하려는 욕구가 지방 정부들로 하여금 그들의 공립학교에 [40]이주 어린이들을 등록시키는 것을 피하도록 유도했다.게다가, 중앙 정부가 공립학교에 지역 후쿠아들의 등록률을 기준으로 보조금을 지급했기 때문에, 이주 아동들은 그들이 [40]다니기를 원한다면 더 높은 등록금을 내야 했다.결과적으로, 많은 이주 가정들은 대신 자녀들을 특별히 [40]이주자들의 입맛에 맞는 사립학교에 보내기로 선택한다.그러나 등록금과 수강료를 낮추기 위해 이들 기관은 다른 분야에서의 지출을 줄여야 하며, 결과적으로 [40]교육의 질이 떨어집니다.학교 시설은 종종 열악하고,[40] 많은 선생님들은 자격이 없다.

그 후 몇 년 동안, 중앙 정부는 제한적인 영향과 함께 많은 개혁을 시행했습니다.2001년에는 공립학교가 미국 아이들의 주요 교육 형태여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학교가 더 많은 이주아동을 입학시키는 데 재정적으로 어떻게 지원할지는 명시하지 않아 변화가 [40]거의 없었다.비슷하게, 2003년 정부는 이주 아동에 대한 등록금 인하를 요구했지만, 학교가 이 비용을 [40]부담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에 대해서는 다시 자세히 설명하지 못했다.그리고 2006년, 정부는 교육에 대한 평등한 권리를 주장하면서 새로운 의무 교육법을 제정하고 이주 아동들을 지방 [40]정부에 등록시키는 책임을 이양했다.그러나 이것 역시 이주 아동의 수를 늘리지 못했다.현지가 아닌 후쿠를 가진 학생들은 평균 연소득 10,000위안 중 3,000위안 – 5,000위안의 비싼 입학금을 내야 했고 종종 대학 [40]입시가 어려운 후쿠에서 국가 대학 입학 시험치러야 했다.2012년 이후 일부 지역에서는 요건을 완화하고 일부 이주자 자녀들이 해당 지역에서 대학 입학시험을 볼 수 있도록 허용하기 시작했다.2016년까지 광둥의 정책은 가장 완화되었다.이민자 자녀는 광둥성에서 고등학교를 3년간 다녔으며 부모가 합법적 직업을 갖고 있고 [41]3년간 사회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광둥성에서 입학시험을 볼 수 있다.

이주아동이 직면한 어려움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중퇴하고 있으며, 이는 특히 중학교 시절에는 흔한 일입니다.2010년에는 이주아동의 30%만이 중등교육에 [40]등록되었습니다.이주 아동은 정신 건강 문제를 불균형하게 다루고 있습니다. 36%는 현지 후커우족의 22%에 비해 70%는 학업 [40]불안을 경험하고 있습니다.그들은 종종 옷차림과 말투의 차이로 인해 오명과 차별을 받고 다른 [40]학생들과 소통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농촌 고령자에 대한 영향

농촌에서 일자리를 찾아 떠나는 농촌 주민들의 집단 탈출은 이주 노동자들의 자녀들에게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소외된 노인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1970년대에 [42]1자녀 정책이 시행되면서 중국의 평균 연령은 상승세로 돌아섰고,[43] 2000년에는 이주 노동자의 82%가 15~44세였다.이것은 효도의 전통적인 관습에 의문을 불러일으켰고, 은퇴한 도시 근로자들은 정부 은퇴 프로그램에 의해 지원을 받는 반면, 시골 근로자들은 자신과 그들의 [43]가족에게 의존해야 한다.이민이 노인에게 미치는 영향은 애매한 것으로 보인다.이주자녀의 부모는 경제적으로 형편이 더 좋고 경제적 상황에 만족하는 경우가 많지만, 그들은 또한 이주자녀가 [43]없는 노인보다 낮은 삶의 만족도를 보고하는 경향이 있다.이주노동자의 자녀처럼 부모도 우울증과 [43]외로움 같은 심리적 문제를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손주를 돌보는 사람들은 이 [38]책임에 부담을 느낄 수 있다.

리폼

1978년 경제개혁 이후 지난 수십 년간 중화인민공화국은 다양한 개혁정책을 펴며 후커우 체제 개혁을 위한 조치를 취해왔다.1979-1991년은 첫 번째 개혁 [44]기간으로 식별될 수 있다.구체적으로 1984년 10월, 국가는 "도시에 정착하는 농민 문제에 관한 문서"라고 불리는 문서를 발행하였다. 이 문서에서는 지방 정부가 농촌 이주자들을 도시 인구의 일부로 통합하고 농촌 이주자들이 그들의 이주 [44]도시에 등록할 수 있도록 할 것을 요구했다.1985년, 국가는 또한 "도시 임시 인구 관리에 관한 중간 규정"이라는 정책을 시행하여 시골 이주자들이 후커우 지위를 바꾸지 않았거나 원래의 시골 [44]거주지로 돌아가지 않았더라도 이주 도시에 머물 수 있게 하였다.같은 해, 주정부는 "주민증에 관한 규정"이라는 문서를 발행하여 도시 신분증을 [44]소지하지 않아도 농촌 이주자들이 도시에서 일할 수 있도록 했다.하지만, 이러한 정책들은 3천만 개의 시골에서 도시로 이주했을 뿐만 아니라, 많은 거짓 [44]도시 신분증이 도시 혜택을 얻기 위해 시골 이주자들에게 팔리는 현상이었다.그래서 1989년 농촌에서 도시로의 [44]이주를 규제하기 위한 또 다른 정책인 "도시화의 과도한 성장을 엄격히 통제하는 것에 관한 고시"를 시행하도록 국가가 자극했다.이 정책에 따라 농촌 이주자들이 다시 감시되었다.

1992~2013년은 제2차 호커우 개혁기라고 [44]할 수 있다.국가가 시행한 개혁은 다양했다.1980년대 후반부터는 특정 도시(통상 상하이 등 대도시)에 최소 1억 위안 이상의 투자를 할 수 있는 전문 기술 및/또는 능력을 가진 사람들에게 "란음" 또는 "블루 스탬프"를 제공하여 도시에 거주하며 도시 복지 [44][45]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했다.이 "블루 스탬프 호커우"는 1999년에 [44]난징, 톈진, 광저우, 선전포함한 많은 다른 대도시들에 의해 시행되었다.두 번째 종류는 대도시가 아닌 특정 도시와 소도시에 적용되었다.1997년, 국가는 새로 거주한 도시와 [45]소도시에서 안정된 직업을 가진 시골 이주자들에게 도시 후쿠를 주는 정책을 시행했다.한편, 1997년의 2개의 정부 문서 「소도시 호커우 제도 개혁의 파일럿 제도」와 「농촌 호커우 제도 개선 지침」에 의하면, 농촌 이주 노동자는, 특정의 [44]소도시에서 도시 특권을 동등하게 가지는 영주권자로서 등록할 수 있었다.이러한 정책은 2012년 국가 문서인 "후커우 시스템 [44]관리의 개혁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것에 관한 통지"로 공식화되었다.게다가 1999년에는 도시 후쿠를 가진 부모 자녀와 도시 후쿠를 가진 노인을 포함한 더 많은 집단이 도시 후쿠를 [45]얻는 것을 허용했다.세 번째 종류는 경제성장을 위해 특별히 설정된 경제특구 및 구(선전 등)에 적용되었다.구체적으로는 1992년에 주정부는 경제특구와 지역에 거주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두 개의 후쿠를 소지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그들의 원래 호쿠와 또 다른 호쿠는 특별구 및 [44]지역에서의 업무와 관련이 있다.따라서 이 정책은 농촌 이주자들이 특별 구역과 구역에서 [44]다른 도시 기회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했다.그러나 2003년 주정부는 "행정 허가법"을 발표하여 시골 이주자들을 시골 [44]거주지로 돌려보냈다.이 정책 하에서 농촌 이주민의 삶의 기회는 그들의 후쿠 신분에 의해 다시 한번 결정되었다.

제3차 개혁은 2014년에 시작되었으며, 3월에 「국가 신도시화 계획(2014~2020년)」을 공표해 실시해, 중국의 급속한 도시화 [16]과정에서 생기는 여러가지 문제에 임하고 있다.예를 들어,[16] 도시에 거주하지만 도시 후쿠를 가지고 다니지 않는 도시 거주자와 도시 후쿠를 가지고 있는 도시 거주자 사이의 17.3%의 격차를 2020년까지 2%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한편,[16][46][47] 이 계획은 2020년까지 교육, 복지 주택, 의료 등 농촌 후쿠를 가진 사람들에게 적어도 90%(약 1억 명)의 이주자에게 복지 혜택을 제공한다는 의도도 가지고 있다.사실, 이 계획을 통해, 국가는 그들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해왔다.예를 들어, 주 정부는 많은 낙후된 아이들이 시골 이주자 부모와 재결합할 수 있도록 도시 학교에 다닐 권리를 부여하고, 또한 많은 시골 이주자 직업 [44]훈련을 제공했습니다.또, 같은 해 7월에는, 「호커우 제도 개혁의 추진에 관한 의견」을 발표해, 도시나 소도시의 호커우 규제를 서서히 철폐해, 대도시의 규제를 완화하는 한편,[47] 대도시의 규제를 유지하도록 했다.그 결과, 공안부의 발표에 따르면, 2016년까지 국가는 이미 약 2,890만 명의 시골 [46]이주자들에게 도시 후쿠를 지급했다.게다가, 2016년에 베이징 지방 정부는 베이징 내에서 도시 호커우와 비도시 호커우 사이의 공식적인 구별을 폐지할 것이라고 발표했는데, 이는 베이징에 살고 있는 모든 주민이 원래 호커우 [48]신분에 상관없이 베이징 거주자로 확인된다는 것을 의미한다.그러나 2017년 11월 베이징 정부는 도시의 안전하지 않은 구조물과 판자촌(최소 820만 명의 시골 이주민이 살고 있는 곳)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주장된 40일간의 "청소" 캠페인을 시행했다.그러나 일부 사람들은 이 캠페인이 수백만 명의 시골 이민자들을 원래의 시골 [49]지역으로 돌려보내기 위한 것이라고 보았다.

위에서 언급한 개혁이 농촌에서 도시로의 이주민 대다수에 적용되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특히, 많은 개혁 정책, 특히 1교시와 2교시 동안의 개혁 정책은 시골 이민자들에게 인적 자본(전문적 기술이나 직함 등)이나 재산 관련 자본(도시 주택 소유자가 될 수 있는 능력 등)을 소유하도록 요구하는 것으로 보인다.따라서 일부 학자들은 일부 개혁 정책을 후쿠를 [45]파는 방법이라고 부르기도 한다.한편, 많은 이민자들은 소셜 네트워크(어떤 의미에서는 부를 축적하는 것)가 부족하여 수익성 있는 [46]일자리는커녕 안정적인 직장을 구하기가 더 어려워졌다고 주장해 왔다.그러므로, 부가 시골 호쿠에서 도시 호쿠로 변화하기 위한 전제 조건이라면, 많은 시골 이민자들은 실제로 그러한 접근을 얻을 수 없다. 왜냐하면 많은 사람들이 "숙련되지 않다"(농사와 같은 많은 사람들의 기술이 전문적 기술로 분류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가난하기 때문이다.그러나 일부 대도시에서는 시골 이주자가 일정한 전문 기술을 가지고 있다고 해도 도시 후쿠가 허가된다는 보장은 없다.이 상황은 많은 고등교육 이민자들에게서 특히 드러난다.그들의 학력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50]집주인이 되지 않는 한 도시 후쿠를 허락받지 못할 것이다.그러나 많은 대도시(예: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의 높은 부동산 가격을 고려하면, 많은 도시들이 이주자들에게 [46]주택 보조금을 제공한다고 해도 그렇게 할 수 없다.도시형 호쿠가 없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아파트 구입의 어려움뿐만 아니라 임대인이라는 단점도 안고 있다.많은 대도시에서는 임대료 통제가 부족하기 때문에, 방을 빌린다 해도, 혹은 드물게 아파트를 빌린다 해도,[50] 퇴거 요구를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그러므로 교육을 받은 이주 청소년들 중 많은 수가 자신의 방이 없고 많은 [51]다른 사람들과 함께 작은 방에서 살아야 하기 때문에 문자 그대로 "개미의 무리"라고 불리고 있다.

따라서 호커우 제도가 사람 중심의 시스템으로 충분히 개선되었는가 하는 의문이 제기될 만하다.사실, 많은 대도시들은 여전히 농촌 이주자들에게 도시 후쿠를 허용하고 후쿠 제도를 사용하여 복지 혜택을 받아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엄격하다.제3차 개혁기 「국가 신도시화 계획(2014~2020년)」이나 「호쿠 제도 개혁의 한층 더 추진에 관한 의견」이 보다 사람 중심적인 제도를 만들고 싶다고 해도, 대도시에는 소도시나 소도시와 다른 호쿠 등록 제도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대도시에 [16]있어서의 규제는 계속 엄격해질 것이다.하지만, 매우 큰 도시들은 대개 광범위한 일자리 기회를 고려할 때 시골 이민자들을 가장 많이 끌어들이는 도시들이다.이 경우 국가가 많은 개혁 정책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지만, 호커우 농촌/도시 부문은 여전히 기능하고 삶의 기회의 분할 체계를 대표한다.따라서 일부 학자들은 호커우 개혁이 호커우 체제를 근본적으로 바꾼 것이 아니라 지방 정부로 권력을 분산시켰을 뿐이며, 여전히 활발하게 남아 중국의 농촌과 도시 불균형에 [52]기여하고 있다고 주장한다.한편,[53] 다른 사람들은 또한 도시에 집중함으로써 후커우 개혁이 교육과 의료와 같은 사회 복지가 주민들에게 제공되지 않는 가난한 지역을 겨냥하지 못했다고 주장한다.그러나 다른 이들은 일부 도시들이 더 많은 이주 부모들에게 자녀들을 [54]동반하도록 장려하는 조건을 제공하고 있다고 말하며 흥분한 듯 보인다.간단히 말해서, 대부분의 시골 이민자들은 도시 후쿠에 대한 부족 때문에 여전히 대부분 간과되고 있다. 후쿠는 종종 삶의 행복을 [55]얻는 출발점으로 여겨진다.

오늘의 Hukou 변환

국민건강가족계획위원회가 2010년부터 매년 실시하고 있는 유동인구동태감시조사는 상당수의 이주노동자가 사실상 후커우 [56]지위 전환에 관심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호커우 정책 개혁은 몇 년 동안 점진적인 반면 전환 장벽은 [56]낮아졌다.그러나 많은 시골 주민들은 농업 후커우 [56]지위를 포기하는 것을 주저하고 있다.농촌의 후커우 소유주로서 그들은 도시 소유자에게 주어지지 않는 재산권을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그들은 토지를 농업 생산과 개인 [57]용도로 모두 사용할 수 있다.그리고 도시가 꾸준히 확장되면서 도시 인근 토지의 부동산 가치가 크게 [56]상승했습니다.이 땅의 소유자들은 이주 노동자들에게 [56]그들의 집을 임대하기 위해 농업을 포기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게다가, 계속되는 도시화 과정으로, 도시 근처의 토지 소유주들은 [56]언젠가 중앙 정부가 그들의 땅을 상당한 금액에 사들일 것을 기대할 수 있다.이러한 혜택과 도시에서의 전반적인 농촌 사회 복지의 향상은 많은 농촌 주민들로 하여금 그들의 [56]후커우 지위를 전환하는 것을 주저하게 만들었다.

중국의 특별 행정구

Hukou는 홍콩과 마카오의 특별 행정구(홍콩과 마카오)에 고용되어 있지 않지만,[58] 그곳의 주민들에게는 신분증이 필수적입니다.대신, 두 SAR 모두 해당 지역에 영구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특정인에게 거주권을 부여한다.

중국 본토에 호적을 가진 사람이 일방통행허가통해 홍콩이나 마카오에 정착할 때는 호적을 포기해야 하며, 이에 따라 중국 본토에서 시민권을 상실해야 한다.단, SARs에 7년간 거주할 수 있으며, SARs의 영주자격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이는 시민의 권리와 관련되어 있습니다).따라서 영주권 취득 전 기간에는 아직 중국 시민권자이지만 어디에서도(선거 투표, 여권 발급 등) 시민권을 행사할 수 없고 2류 시민으로 간주되고 있다.

양안 관계

중화인민공화국(중국 본토)과 중화민국(대만)은 각각 상대방이 관할하는 영토를 각자의 국가의 일부로 주장한다.그러므로, 법적으로, 각자는 상대편 영토에 있는 사람들을 그들의 시민으로 취급한다.그러나, 시민권은 각각 자신의 통제하에 있는 사람들에게만 이용 가능하다. - 이것은 법에 의해 대만 지역(중화인민공화국) 또는 본토 지역(중화인민공화국)에서 호적을 보유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중화민국 정부재외동포 중국인[citation needed]국적으로 간주하여 대만 여권을 발급하고 있다.그러나, 이것은 그들에게 대만에서의 거주권이나 다른 시민권을 부여하지 않는다; 그러한 권리는 대만에서의 호적 등록을 요구한다.대만에서는 호적 미등록자가 출입국 심사 대상이지만, 대만에 정착한 후에는 대만에서 호적을 개설하여 정식 시민이 될 수 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인용문

  1. ^ Liu, Laura Blythe (2016). Teacher Educator International Professional Development as Ren. Springer. p. 37. ISBN 978-3662516485.
  2. ^ Miller, Tom (2012). China's Urban Billion: The Story behind the Biggest Migration in Human History. ISBN 978-1780321417.
  3. ^ Kroeber, Arthur R. (2016). China's Economy: What Everyone Needs to Know?. Oxford University Press. pp. 73–75. ISBN 978-0190239039.
  4. ^ Koh, Eunkang (2008). "Gender issues and Confucian scriptures: Is Confucianism incompatible with gender equality in South Korea?". Bulletin of the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University of London. 71 (2): 345–362. doi:10.1017/s0041977x08000578. JSTOR 40378774.
  5. ^ Liu, Li; Kuang, Lei (2012). Denson, Tom (ed.). "Discrimination against Rural-to-Urban Migrants: The Role of the Hukou System in China". PLOS ONE. PLOS (published 5 November 2012). 7 (11): e46932. Bibcode:2012PLoSO...746932K. doi:10.1371/journal.pone.0046932. PMC 3489849. PMID 23144794.
  6. ^ Guo, Zhonghua; Guo, Sujian (2015). Theorizing Chinese Citizenship. Lexington Books (published 15 October 2015). p. 104. ISBN 978-1498516693.
  7. ^ "중국 사회:변화, 갈등, 저항" (Elizabeth J. Perry, Mark Selden, 90페이지)
  8. ^ "중국의 새로운 유교:변화하는 사회에서의 정치와 일상" 86페이지, 다니엘 A.에 의해.
  9. ^ 「신뢰와 불신:사회문화적 관점", 페이지 63, 이바나 마르코프바, 알렉스 길레스피
  10. ^ Lu, Rachel (31 July 2014). "China Is Ending Its 'Apartheid.' Here's Why No One Is Happy About It". Foreign Policy. Retrieved 14 August 2018.
  11. ^ Sheehan, Spencer (22 February 2017). "China's Hukou Reforms and the Urbanization Challenge". The Diplomat. Retrieved 14 August 2018.
  12.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ah ai Young, Jason (3 June 2013). "2". China's hukou system : markets, migrants and institutional change. Basingstoke. ISBN 9781137277305. OCLC 847140377.
  13. ^ a b c d e f 챈, K. W. (2015년)중국 후커우 체제 50년중국어 이행 핸드북: 정체성과 웰빙(23-47페이지)노샘프턴, 매사추세츠주: 에드워드 엘가 출판사, 주식회사
  14. ^ a b 루아드, 팀"중국은 농민 '아파르트헤이트'재고한다." BBC 뉴스, 2005년 11월 10일.
  15. ^ a b c d e f g h i L., Wallace, Jeremy (2014). Cities and stability : urbanization, redistribution, & regime survival in China. New York. ISBN 9780199378982. OCLC 871534491.
  16. ^ a b c d e f Wang, Xin-Rui; Hui, Eddie Chi-Man; Choguill, Charles; Jia, Sheng-Hua (2015). "The new urbanization policy in China: Which way forward?". Habitat Internatioinal. 47: 279–284. doi:10.1016/j.habitatint.2015.02.001. hdl:10397/27398.
  17. ^ V, Nathan (4 August 2020). "Inside a Uyghur's 'quarantine' room: Video shows shackles, filthy conditions and propaganda - The Globe and Mail". The Globe and Mail.
  18. ^ "Wear your Mask Under your Hood: An Eyewitness Account of Arbitrary Detention in Xinjiang during the 2020 Coronavirus Pandemic. by James A. Millward Medium". 19 August 2020.
  19. ^ "Qin dynasty China [221-207 BC]". Encyclopedia Britannica. Retrieved 16 November 2017.
  20. ^ Jason Young. China's Hukou System: Markets, Migrants and Institutional Change. Palgrave Macmillan. p. 30.
  21. ^ Fan Zhang. China's Urbanization and the World Economy. Edward Elgar Publishing. p. 29.
  22. ^ Guanzi: 门外 guan guan guan guan guan guan guan guan guan guan guan guan
  23. ^ Guanzi:禁迁徙、止流民、圉分异
  24. ^ Guanzi: 禁迁徙、止流民、圉分异 chapter 2:使民无得擅徙
  25. ^ "Qing dynasty Chinese history". Encyclopedia Britannica. Retrieved 16 November 2017.
  26. ^ a b Duan, C., Gao, S. 및 Zhu, Y. (n.d.)중국 내부 이주 현상중국 이민 및 위험에 처한 가족(p. 14-36)에서.캠브리지 스콜라 출판사.
  27. ^ 베커, 재스퍼배고픈 유령: 마오쩌둥의 비밀 기근.뉴욕: 홀트, 1998년 220-232
  28. ^ 베커, 재스퍼배고픈 유령: 마오쩌둥의 비밀 기근.뉴욕: 홀트, 1998년, 270년
  29. ^ 베커, 재스퍼배고픈 유령: 마오쩌둥의 비밀 기근.뉴욕: 홀트, 1998년 220년
  30. ^ a b "중국의 아파르트헤이트:1980년대 이후 중국이 시장 자본주의를 도입하면서 국가의 우려와 협동조합에서 쫓겨난 수억 명에 이르는 이주 노동자들은 6개의 출입증을 가지고 있어야만 자신의 지방 이외의 지방에서 일할 수 있다.많은 도시에서 이주노동자를 위한 사립학교는 이민을 막기 위해 정기적으로 문을 닫는다." The Star, 2007년 2월 6일.
  31. ^ 백악관, 데이비드"중국의 노동자와 농민들은 3단계 축적" 2008년 2월 26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 2006년 3월 2일 콰줄루 나탈 대학 시민사회센터의 후원으로 경제, 사회, 자연에 관한 토론회에서 배포된 종이.2007년 8월 1일 취득.
  32. ^ 챤, 아니타.중국 노동자들 폭행: 세계화 경제에서의 노동 착취, M.E. 샤프, 2001, 페이지 9.
  33. ^ 매클로드, 칼룸"중국은 900만 농민들을 위한 '아파르트헤이트'를 검토한다." 인디펜던트, 2001년 6월 10일자.
  34. ^ "从1000万到1.3 파일: http://www.cnki.com.cn/Article/CJFD2005-QLTS200502000.htm
  35. ^ a b c d e Maurer-Fazio, M., Connelly, R. 및 Tran, N. T. (2015년)중국 이주 노동 시장의 부정적인 토착민 고정관념과 차별적인 임금 벌칙.중국어 이행 핸드북: 정체성과 웰빙(71-104페이지)아니요, MA: Edward Elgar Publishing, Inc.
  36. ^ Li, C. (2013년)제도적 및 비제도적 경로: 중국에서 이민자와 비이주자의 사회경제적 지위 획득에 대한 다양한 과정.중국 국내 및 국제이주(p.29-39.뉴욕, 뉴욕: 루트리지.
  37. ^ a b c d e 청, Z, 닐슨, I., & Smyth, R. (n.d.)임금체불 결정요인과 중국 이주노동자의 사회경제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광둥성의 증거.중국어 이행 핸드북:정체성과 웰빙 (105-125페이지)Edward Elgar Publishing Limited.
  38. ^ a b c d e f g Chen, M., & Sun, X. (n.d.)중국 농촌의 낙오자녀 양육과 조부모.중국 이민 및 위험에 처한 가족(p. 37-51)에서.캠브리지 스콜라 출판사.
  39. ^ a b Gao, S., & Sue, J. (n.d.)중국 본토의 낙오 아동의 미래 지향과 학교와의 유대.중국 이민 및 위험에 처한 가족(pp. 78-104)에서.캠브리지 스콜라 출판사.
  40.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Sun, X, & Chen, M. (n.d.)중국 이주 아동의 교육 기회의 불평등.중국 이민과 위험에 처한 가족(p. 52-77)에서.캠브리지 스콜라 출판사.
  41. ^ Hornby, Lucy; Mao, Sabrina (30 December 2012). "Chinese cities to relax school entry for rural migrants". Beijing, China. Jin, Dan (7 June 2016). "Nearly 10,000 migrant students sit for gaokao in Guangdong".
  42. ^ "one-child policy Definition & Facts". Encyclopedia Britannica. Retrieved 24 October 2017.
  43. ^ a b c d 츄오, Y, 량, Z. (n.d.)중국 농촌의 노인들의 이주와 복지.중국어 이행 핸드북:정체성과 웰빙 (p. 126-147).Edward Elgar Publishing Limited.
  44.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Cui, Rong; Cohen, Jeffrey H. (January 2015). "Reform and the Hukou System in China". Article History: Received: 327–335.
  45. ^ a b c d Fan, C. Cindy (2008). "Migration, Hukou and the City". In Yusuf, Shahid; Saich, Tony (eds.). China Urbanizes: Consequences, Strategies, and Policies. Washington: The World Bank.
  46. ^ a b c d Sheehan, Spencer (22 February 2017). "China's Hukou Reforms and the Urbanization Challenge". The Diplomat. Retrieved 22 April 2018.
  47. ^ a b Chan, Kam Wing (2014). "Achieving Comprehensive Hukou Reform in China". Paulson Policy Memorandum.
  48. ^ 白, 墨 (20 September 2016). "观察:户籍改革里程碑 北京取消农业户口". BBC. Retrieved 26 April 2018.
  49. ^ Pabon, John (4 December 2017). "Beijing's Heavy-Handed Solution to Urbanization". The Diplomat. Retrieved 22 April 2018.
  50. ^ a b Suda, Kimoko (2016). "A Room of One's Own: Highly Educated Migrants' Strategies for Creating a Home in Guangzhou". Population, Space and Place. 22 (2): 146–157. doi:10.1002/psp.1898.
  51. ^ "蚁族:在现实中找出路". 凤凰财经. Retrieved 26 April 2018.
  52. ^ Chan, Kam Wing; Buckingham, Will (2008). "Is China Abolishing the Hukou System?". The China Quarterly.
  53. ^ Li, Bingqin (19 May 2017). "China Going Nowhere on Hukou Reform". Asia Times. Retrieved 25 April 2018.
  54. ^ Fish, Eric. "How Hukou Reform is Changing the Makeup of Chinese Factory Towns". Asia Society. Retrieved 25 April 2018.
  55. ^ Chan, Kam Wing (2013). "China: Internal Migration". In Ness, Immanuel (ed.). The Encyclopedia of Global Human Migration. Hoboken: Wiley-Blackwell.
  56. ^ a b c d e f g Chan, Chuanbo; Fan, C. Cindy (October 2016). "China's Hukou Puzzle: Why Don't Rural Migrants Want Urban Hukou?". China Review. 16: 9–39.
  57. ^ Tyner, Adam; Ren, Yuan (2016). "The Hukou System, Rural Institutions, and Migrant Integration in China".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16 (3): 331–348. doi:10.1017/jea.2016.18.
  58. ^ "China Law Deskbook: A Legal Guide for Foreign-Investment Enterprise, Volume 1", James M. Zimmerman, 406, 출판사 = 미국 변호사 협회, year = 2010

원천

  • 왕페이링(2014)."호구(호구) 제도"옥스포드 서지학에서 중국학을 전공했다.에드 팀 라이트뉴욕, 뉴욕: 옥스포드 대학 출판부.
  • 왕페이링(2010)."대수문 철거:중국 호커우 체제의 개혁"은 마틴 킹 왜테 에드, 일국양회:현대 중국의 농촌-도시 불평등, 하버드 대학 출판부, 335–364페이지.
  • Wang, Fei-Ling (2005), 분할 및 제외를 통한 조직:스탠포드 캘리포니아의 중국 후커우 시스템: 스탠포드 대학 출판부.
  • Wong DFK, Chang, YL, He XS (2007). "Rural migrant workers in urban China: living a marginalised life".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Welfare. 16: 32–40. doi:10.1111/j.1468-2397.2007.00475.x.{{cite journal}}: CS1 maint: 작성자 파라미터 사용(링크)

추가 정보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