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타게데

Kotagede
코타게데
ꦏꦸꦛꦒꦼꦝꦺ
Gate into the great mosque and the royal cemetery
거대한 모스크와 왕립 묘지로 들어가는 문
Kotagede ꦏꦸꦛꦒꦼꦝꦺ is located in Yogyakarta
Kotagede ꦏꦸꦛꦒꦼꦝꦺ
코타게데
ꦏꦸꦛꦒꦼꦝꦺ
Kotagede ꦏꦸꦛꦒꦼꦝꦺ is located in Java
Kotagede ꦏꦸꦛꦒꦼꦝꦺ
코타게데
ꦏꦸꦛꦒꦼꦝꦺ
코타게데
ꦏꦸꦒꦼꦼꦺ(자바)
Kotagede ꦏꦸꦛꦒꦼꦝꦺ is located in Indonesia
Kotagede ꦏꦸꦛꦒꦼꦝꦺ
코타게데
ꦏꦸꦛꦒꦼꦝꦺ
코타게데
ꦏꦸꦒꦒꦼꦺ(인도네시아)
좌표: 7°49′41.88″S 110°23′59.29″E / 7.8283000°S 110.3998028E / -7.8283000; 110.3998028
나라인도네시아
지역자바
요기아카르타의 특별 지역
도시요기아카르타
시간대UTC+7(IWST)
포스트코드
55171년 ~ 55173년
지역번호(+62) 274
차량등록AB
마을3
웹사이트kotagedekec.jogjakota.go.id

코타게데(Javanese: ꦏꦸꦛꦒꦼꦺꦺꦺꦺꦺꦺ Kuthagedhé)는 인도네시아 요기아카르타에 있는 역사적인 동네다. 이 명칭은 또한 요기아카르타 시에 있는 동명의 구(케만트렌)에도 사용되었다. 고타게에는 16세기에 세워진 마타람 술탄국 최초의 수도의 유해가 있다. 옛 코타게데의 유골 중 일부는 궁궐과 왕립묘지, 왕립사원, 방어벽과 해자의 유적이다. 코타게에는 은제 공예로 국제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역사

왕실 도시와 순례지

코타게데는 이전에는 가자 왕 강 동쪽에 있는 멘타옥이라는 이름의 숲이었다. 16세기 마지막 사분기 동안, 이 유적지에서 동쪽으로 약 100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있는 이슬람 파장 왕국의 통치자는 반란을 성공적으로 진압한 그의 궁정 중 한 명인 키아공 페마나한에게 이 숲을 수여했다. 페메나한은 그의 아들 다낭 수타위자야와 함께 숲을 열었는데, 그는 또한 통치자의 양아들이기도 했다. 정착촌이 세워지고, 페마나한 자신이 '마타람의 영주' 기게데 마타람으로 불리면서 마타람이라는 이름이 붙었다.[1]

코타게의 내벽의 폐허.

1575년 페마나한이 죽은 후 다낭 수타위자야는 판엠바한 세나파티 잉갈라가라는 칭호를 가지고 마타람의 왕을 선포하였다. "전장의 지휘관, 오바상이 유급된 주님"[2] 양친의 수도인 파장을 비롯한 자바의 일부 주요 지역을 정복함으로써 영토를 넓혔다. 이 작은 도시는 마타람의 수도가 되었고 아마도 그 이후로 코타게데, "위대한 도시"로 불리게 되었을 것이다. 이 기간 동안 그 도시는 성벽으로 요새화되었다. 서쪽 성벽은 가자 왕강을 따라 세워졌고, 다른 세 면의 해자에 물을 주기 위해 수로를 만들었다.[3]

영토를 성공적으로 통치하기 위해, 세나파티는 엄격한 명상을 함으로써 초자연적인 힘과 동맹을 맺었다. 바바드 망쿠부미에 따르면 메라피 산과 인도양 사이의 강 한가운데에 있는 돌에 명상을 하는 동안, 텅굴렁이라는 거대한 신화 속의 물고기가 센나파티에게 강젠 라투 키둘이라는 자바의 가장 강력한 정신이 지배하는 바다 남쪽의 모험을 제안했다고 한다. 세나파티의 아우라에 압도당한 여왕은 자바 백성들을 정복하려는 그의 큰 노력에 지지를 보냈다. 그녀는 심지어 지금까지 통치하고 있는 모든 후손들뿐만 아니라, 그의 왕비로서 자신을 내세우기까지 했다.[4]

1601년 마스 졸랑이라는 왕자가 세나파티의 뒤를 이었다. 재위 12년 동안 궁내와 주변 지역에서 많은 공사를 수행했는데, 그가 궁전에 지은 가장 중요한 건물은 프라바예크사였다. 고고학자 윌렘 프레데릭 슈터하임은 이슬람 이전의 마자파히트 이후 이 중심 건물의 중요성에 주목한다. 현대 궁전인 요기아카르타에서 이 이름은 마법으로 충전된 가문과 무기들이 보관되어 있는 이 왕의 저택의 내부 생텀 역할을 하는 거대한 밀폐된 목조 건물을 가리킨다. 졸랑은 또한 다수의 만(폐쇄된 쾌락 정원) 건설에 착수했다. 졸랑은 그의 사후에 판엠바한 세다 크라피악("사냥 중 죽은 주인님")으로 기억되었다. 왜냐하면 그는 자신의 크라피악(사냥 숲)에서 사냥을 하다가 사슴에게 죽임을 당했기 때문이다.

졸랑의 왕위 계승자는 술탄 아궁 한야크락쿠스마, "우주의 위대한 술탄, 지배자"로 더 잘 알려진 마스 랑상(재위 1613~1645)이다. 그는 중부 자바와 동자바까지 영토를 넓혔다. 그는 비록 소용이 없었지만 바타비아를 두 번 공격했다. 술탄 아궁은 코타게에서 남쪽으로 약 5km 떨어진 케르타라는 곳으로 코타게를 떠나면서 플레드라는 이름의 훨씬 더 큰 성벽이 있는 새로운 수도 건설을 시작하기로 결정했다.[5]

마타람의 수도는 그 후 여러 번 이동했지만 나중에 코타게 인근 지역으로 돌아갔다. 케르타로부터 아궁의 아들 망쿠랏 1세에 의해 플레드로 이전되었다. 1677년 맹쿠랏 1세의 일부 경쟁자들에게 패배한 후 이 도시가 멸망하기 전에 오직 한 세대만이 플레레드에 정착했다. 반란이 진압된 후 그의 후계자 망쿠라 2세는 동쪽으로 50km 떨어진 곳에 카르타수라라는 새로운 수도를 세우기로 결정했다. 바타비아에서의 중국 대학살은 18세기 전반 자바의 많은 주요 지역에서 혼란으로 변했다. 반군 지도자 수난 쿠닝파쿠바와나 2세가 패배하여 수도를 떠난 후 카르타수라의 마타람 왕좌를 점령하였다. 파쿠부와나 2세는 이후 왕국을 되찾았으나 왕위가 퇴색되어 새로운 궁궐을 세워 정화중점을 갖추어야 했다. 1745년에 그는 수라카르타 시의 중심이 되는 새로운 장소를 만들었다.[6]

자바의 다른 많은 지역과 달리, 코타게를 포함한 몇몇 조상 땅은 측정할 수 있는 영토라기보다는 일종의 가보로 여겨졌기 때문에 분리할 수 없었다. 묘지와 모스크는 양 법원 관리들이 지키고 있었고 주변 땅은 이들 관리들의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다. 정치권이 바뀌면서 코타게데는 주로 왕릉과 마타람 왕국의 초기 설립과 관련된 다른 유적들과 함께 순례촌이 되었다.[7]

식민지 시대

1930년대 코타게의 은버스미스.

19세기 말에 이르러, 농업 경제의 교통과 수익화가 향상되었다. 코타게의 상인은 이 시대에 번창한다. 이 시기에 칼랑 주택이라 불리는 벽이 있는 상가가 나타났는데, 이는 축적된 소유물을 보호하기 위해 두꺼운 석조 벽으로 지어졌다. 이러한 전통적인 상가는 호화롭게 여겨졌던 네덜란드 건축의 요소들을 결합하여 다양한 건축물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이 시대에는 은그릇이 번성했다.[2][8]

종교개혁

이슬람 개혁은 20세기 1분기 중에 나타났다. 일부 지역 종교 지도자들은 코타게의 국민들에게 '진정한' 이슬람 생활 방식을 교육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리카툴 무브타디(The Union of the Presidents)라는 종교 단체를 설립했다. 이 초기 운동은 요기아카르타에 본부를 둔 이슬람 개혁 기구인 무하마디야의 도입으로 훨씬 더 비싸졌다. 이번 개혁은 미신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코타게의 사회에 합리성과 이슬람교 교리를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마스지드 페락(실버 모스크)[9]은 코타게의 주요 거리에 1940년에 건설되었다.

현재

2006년 요기아카르타 대지진 이후 코타게에서 복원된 조글로 중 하나인 오마 UGM의 조글로.

인도네시아는 1970년대 초에 "관광 붐"을 경험했고 코타게데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많은 오래된 집들이 공예 전시장과 식당으로 개발되었다. 폐허는 보존되어 있다.[5]

코타게에 있는 많은 오래된 건물들은 2006년 요기아카르타 지진 이후 파괴되었다. 코타게의 활성화 프로그램은 푸사카 조자 뱅킷!("요기아카르타 유산 부흥!")에 의해 시작되었다. 협력관계는 조자유산학회, 문화재보존센터, 가자마다대학교 건축기획학과, 인도네시아 문화재보존네트워크, ICOMOS 인도네시아 등 지역사회를 포함한 지원기관으로 구성된다.[10][11]

오늘날, 코타게데는 여전히 조상들의 축복과 번영의 초점이 되는 초자연적인 힘을 가진 기원의 현장으로 여겨지고 있다.[1]

관리

행정상 코타게 지역은 세 마을(켈루라한스)로 구분된다. 요기아카르타에 코타게데 구(케카마탄)를 형성하고 있는 프렝간, 푸르바얀, 레조위낭군 등이 함께 모여 있다. 대외적으로 자갈란은 반툴 리젠시 내에 있는 인접한 반군타판 구(케카마탄)에 속한다.

도시계획

코타게의 원래 마을 계획은 마자파히트 마을 계획과 비슷했다: 방어벽으로 둘러싸인 카투르 가트라 텅갈이라고 불리는 모스크-팔라스-마켓-스퀘어의 네 가지 구성: 세푸리(내벽)와 발루베르티(외벽)이다.[11] 시장과 광장은 주로 개방된 공간이었고, 모스크와 궁전은 각각 많은 건물을 포함하는 벽으로 된 복합 건물이었다. 그 도시는 더 정확히 도시명소로 묘사된다.[12]

궁전과 도시의 물리적 유적은 거의 없다. 살아남은 부분으로는 코타게 고대의 대 모스크, 왕립 묘지(이모기리 프리커서), 원래의 도시 성벽의 일부 구간 등이 있다.[12] 이 거대한 모스크와 왕립 묘지는 현재 돈동안이라는 지역에 위치해 있다.

토포니는 그 도시의 초기 도시계획의 많은 흔적을 나타낸다. 시장 남쪽에 알룬 알룬이라는 동네가 있는데, 바로 이 거대한 모스크 앞에 있다. 달렘(내부 가옥)이라는 곳은 이전의 통치자의 거주지라는 것을 의미한다.[12]

케다톤 (왕궁)

1509년에 케다톤, 즉 "왕궁"이 그 자리에 존재했다.[13] 오늘날 왕궁의 유일한 유적은 바투길랑("글리터링 돌"), 바투가퉁("가퉁이 돌"), 바투젠트홍("물통 돌")으로 각각 불리는 세 개의 돌이다. 현재, 이 돌들은 도로 한가운데에 위치해 있고 세 개의 반얀 나무로 둘러싸인 작은 건물 안에서 보호되고 있다.[13]

바투길랑(Batu gilang, 또한 와투길랑)은 판엠바한 세노파티가 쉬었던 돌로 추정되는 네모난 모양의 검은 석판이다. 그 위에 원형대로 새겨진 글귀는 "세계도 간다"는 말인데, 각각 라틴어, 프랑스어, 네덜란드어, 이탈리아어로 되어 있다. Ita movetur Mundus - Ainsi va Monde - Zoo gat de walld - Cosi va Il Mondo. On the outside, the Latin words in circle say: AD ATERN AMMEMORIAM INFELICS - IN FORTUNA CONSOERTES DIGNI VALETE QUIDSTPERIS INSANI VIDETE IGNARI ET RIDETE, CONTEMNITE VOS CONSTEMTU - IGM (In Glorium Maximam).[14]

바투가퉁(Batu gateng, 또한 와투 칸텐)은 크기가 다른 세 개의 옅은 노란색의 석공이다. 이 공들은 현지인들이 판엠바한 세나파티의 아들인 라덴룽고의 놀이용 돌이라고 믿고 있다. 다른 사람들은 이 돌들이 대포알이라고 주장한다.[15]

바투 젠훙이슬람 의례적 축수를 위해 사용되는 물을 담는 돌로 여겨진다. 판엠바한 세노파티(Ki Juuru Mertani, Ki Ageng Giring)의 왕실 고문들이 사용한다.[13]

마스지드 게데(위대한 모스크)

코타게의 거대한 모스크(마스지드 게데)는 마타람 왕국에 귀속된 가장 큰 기념비여서 오늘날 마타람 모스크라고 불린다. 이 사원은 1575년 키 아쟁 페메나한이 죽은 해에 처음 세워졌다. 술탄 아궁이 통치하는 동안 그의 조상을 기리기 위해 최초의 대규모 재건이 수행되었다. 마타람, 수라카르타, 요기아카르타의 통치자들은 후에 여러 번의 재활을 실시했다. 이 사원이 불길에 휩싸인 후 수난 파쿠부와나 X의 명령으로 1926년에 마지막 대규모 재건축이 수행되었다.[16]

이슬람 사원은 전통적인 자바식 건축물로 지어졌다. 그것은 한 쌍의 건물로 구성되어 있다: 주기도원과 흔히 세람비라고 불리는 정면도. 기도실은 두꺼운 평야로 된 건물이고, 세람비는 현관과 같은 반 부속 건물이다. 현관을 둘러싸고 있는 해자는 세람비에 닿기 전에 발을 담그고 들어갈 수 있는 해자로, 모스크에 들어오는 모든 것을 상징적으로 정화한다.

그 모스크는 왕립 묘지의 바로 동쪽에 위치해 있다. 모스크 지역은 사와 케치크(마닐카라 카우키) 나무로 이루어진 광활한 마당으로, 두 개의 주요 건물은 전체 면적의 10분의 1도 채 안 되는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12]

성문은 거대한 모스크와 왕립 묘지 단지를 구분한다. 성문 앞의 일대를 센당 셀리란 콤플렉스라고 한다.[17]

왕립 묘지

1930년대 크라톤 요기아카르타 왕가의 후손들을 위한 묘지 단지인 헤스토렝고 묘지.

왕립 묘지의 이름은 마캄 코타 게데(인도네시아어) 또는 정식(파사레얀어) 하사 키타 아쟁(자바어어어)이다.[17] 대 모스크의 서쪽에 위치해 있다. 코타게에서 가장 온전한 부분이다. 크로니클스는 세나파티의 아버지 키 게데 마타람이 모스크 서쪽에 묻혔고 세나파티 자신은 아버지의 발끝 방향으로 모스크 남쪽에 묻혔다고 언급하고 있다.[5] 묘지에 안장된 다른 중요한 사람들로는 술탄 하디위자야가 있다. 묘지는 요기아카르타와 수라카르타의 두 궁에 고용된 주루 쿤치가 지키고 있다. 공동묘지로 들어가는 포탈은 힌두교 건축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포탈에는 조각으로 장식된 두꺼운 나무 손잡이가 있다. 벽으로 둘러싸인 공동묘지는 무덤과 그들의 장식을 물리적으로 보호하는 역할을 하지 않으며, 외함은 죽은 자의 영역과 산 자의 영역을 분리한다.[5]

근처에 있는 또 다른 왕족 묘지는 헤스토렝고 묘지다. 1934년에 건립된 이곳은 요기아카르타 궁전의 특정 후손들을 위한 왕족 묘지로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알룬-알룬(제곱)

고타게의 옛 16세기 자바 도시 광장에 발달한 동네인 캄풍 알룬 코크로이구단(Kampung Alun Cokroyudan)의 출입구.

열린 들판인 만큼 알룬알룬은 남아있지 않다. 시장 남쪽에 '알룬알룬(Alun-alun)'이라 불리는 현재의 캄풍(근린)이 자리 잡고 있으며, 이 거대한 모스크 바로 앞에 옛 알룬알룬이 있던 곳을 상징한다. 또 다른 캄풍인 '콕로이단'도 옛 알룬알룬과 가까운 곳에 위치해 있다.

알룬알룬과 콕로이구단의 캄풍은 '캄풍 푸사카 알룬 코크로이구단'이라는 이름으로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12]

마켓플레이스

코타게의 시장은 시내 한가운데에 위치하고 있으며, 4대 번화가의 중턱에 위치하고 있다. 코타게가 파사르 게데("위대한 시장") 또는 간단히 말해서 사르게데(Sargede)라고도 알려진 것은 이 마을의 중요한 부분으로 여겨진다. 판엠바한 세나파티는 '시장 북부의 군주'인 응가비 로링 파사르의 청년 이름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시장의 존재는 왕국만큼이나 오래되었다. 로마 포럼과 마찬가지로 시장도 만남의 장이다.[18]

레기(Legi)는 자바 주간(Javanese week)에 있는 날로 코타게데(Kotagede)의 장날이라 하여 파사르 레기(Pasar Legi) 또는 사르레기(Sarlegi)라고도 한다. 코타게데의 파사르 레기는 항상 요기아카르타에서 독특한 레기에 개최된다.[18]

방어벽

판엠바한 세노파티는 궁전 주변에 해자와 함께 완성된 내성벽(케푸리)을 지었다. 이 내부 벽은 400x400미터 정도의 면적을 덮고 있었다. 남서쪽과 남동쪽 모퉁이에는 아직도 폐허를 볼 수 있다. 그 벽은 두께가 4피트였고 돌덩이로 만들어졌다. 해자는 동서남북에서 볼 수 있다.[15]

바투 길랑 유적지의 남쪽에 외곽 도시 성벽(발루워티)이 있다. 벽돌 폐허는 해자의 잔해가 있는 길이 50미터다.

보공세마르(Bokong Semar)는 성곽의 남동쪽 모퉁이 유적의 이름이다. 원형 보루로, 둥근 모양에서 유래된 이름인 보콩세마르(세마르의 엉덩이)이다.

코타게 인근

코타게 인근의 마을 경관은 전통적인 목조 조글로 주택과 다양한 상가로 이루어져 있다. 코타게에 있는 상인들은 18-19세기 코타게의 부유한 시기 동안 그들의 축적된 소유물을 보호하기 위해 장벽이 쳐져 있다.[8] 이들 상가는 목조 전통 자바식 가옥에서 나온 원소와 벽돌 네덜란드식 건축물을 결합해 현지에서 '칼랑 하우스'[11]로 알려진 자바-네덜란드식 건축물이 절묘하게 어우러지는 경우도 있다.

어떤 동네는 유럽의 중세 도시와 비슷한 벽돌집과 접해 있는 좁은 골목길을 가지고 있다.[11]

은공예품 집들은 사원에서 케마산 거리를 따라 갤러리가 있는 동안 찾아볼 수 있다.[11]

자갈란

코타게의 지역인 켈루라한 자갈란에는 역사적인 조글로 주택과 전통적인 자바 정자, 그리고 일부 다양한 갈랑 주택이 있다. 이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조글로는 1750년대 것이다. 그들은 문화유산으로 보호받고 있다.

전통적인 자바 건축의 또 다른 형태는 랑가르 뒤우르(가족 모스크)이다. 랑가르 뒤우르는 코타게에 있는 여러 전통 가옥의 다락방에 위치한 가족 기도원이다. 랑가르 뒤우르는 목조 건축물로 지어졌으며 벽기둥으로 받쳐져 있다. 이전에 많은 랑가르 뒤우르의 배치로 코타게에 있는 마타람 왕궁을 에워싸는 시리즈가 형성되었다. 현재, 두 개의 랑가르 뒤우르 유골만이 개인 소유로 되어 있다.[19]

2006년 요기아카르타 지진 동안 많은 전통 가옥들이 파괴되었다. 일부 조글로 주택이 재건축되었는데, 그 예로는 가자마다대학이 매입하여 그에 따라 재건축한 조글로인 오마 UGM이 있다.[10]

코타게의 자바-네덜란드 건축의 혼합
코타게에 있는 랑가르 뒤우르(가족 모스크)이다.
오마 UGM, 자바-네덜란드 건축의 혼합을 보여주는 전통적인 조글로 복합체
자갈란 지구의 한 골목길.
전통적인 조글로의 입구.

문화

코타게에는 은공예로 잘 알려져 있다. 다른 자바 공예·예술(금, 은, 구리, 가죽 등)과 향토음식(기포, 레고모로 등)으로도 알려져 있다.

공연 예술로는 카라위탄(현지 가멜란 음악 그룹), 시알라와탄(이슬람 음악 그룹), 모코팟(자바어 시 낭독), 크론콩, 팅클룽와앙 인형, 특별한 날(카오)에 제사를 지내고 금욕적인 종교 생활을 영위하는 티라카탄(티라카탄) 등이 있다.[20]

은공예품

코타게 은반시스는 코타게가 마타람의 수도로 설립된 이후부터 성장했다. 그 시기에는 전통적인 은, 금, 구리 산업이 발달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압제(양각) 기법의 사용으로 지배되었다. 이 지역의 산물은 왕실을 위한 가정과 의식용 장비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것이었다.[21][22] 1930년대 식민지 시대에 코타게에는 은공예품과 은공예품이 번창했다.[23] 네덜란드 식민지 정부는 코타게의 은공을 보호하기 위해 스티칭 베베딩 헥트 요기아카르타 켄트 암바흐트를 설립했다.[24] 필리그리 기법은 술라웨시 켄다리 출신의 장인의 영향을 받아 1950년경 코타게에 들어온다. 현지 실버스미스에 따르면, 코타게에 필리그리 기술을 도입한 선구자는 그의 회사 'SSO'와 함께한 사스트로 디물리요였다.

코타게의 은그릇은 힌두교 전통에 바탕을 둔 잎이나 연꽃과 같은 꽃무늬와 역사적으로 진실한 수공업으로 특징지어진다. 코타게가 생산하는 은그릇의 종류는 필릿수, 실버캐스팅, 조각(미니어), 핸드메이드 제품(목걸이, 반지)이다.

북쪽에서 마을로 통하는 큰길인 잘란 케마산에는 손으로 만든 그릇, 상자, 고운 필리와 현대 장신구를 파는 은공방이 줄지어 있다.

코타게의 은공소
차 세트의 일부인 사스트로 사르죠노의 은설탕 냄비.
사스트로 사르죠노의 은 티스푼, 찻잔 세트의 일부.
반쯤 완성된 은색 메달리온.
베크의 장식적인 은색 모델.

참고 항목

메모들

  1. ^ a b Revianto Budi Santosa 2007, 페이지 4.
  2. ^ a b 코타게의 말랑전통보안초소 안내판
  3. ^ Revianto Budi Santosa 2007, 페이지 4-5.
  4. ^ J.J. Ras의 바바드 타나 자위 - ISBN90-6765-218-0(34:100 - 36:1)
  5. ^ a b c d Revianto Budi Santosa 2007, 페이지 6.
  6. ^ Revianto Budi Santosa 2007, 페이지 10.
  7. ^ Revianto Budi Santosa 2007, 페이지 11.
  8. ^ a b Revianto Budi Santosa 2007, 페이지 16.
  9. ^ Mitsuo Nakamura (2012). The Crescent Arises Over the Banyan Tree: A Study of the Muhammadiyah Movement in a Central Javanese Town, C. 1910-2010.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p. 62. ISBN 9789814311915.
  10. ^ a b 오마 UGM 앞 안내봉.
  11. ^ a b c d e "Kotagede Site Conservation Assessment" (PDF). GlobalHeritage Fund 2011. Retrieved July 4, 2013.
  12. ^ a b c d e Revianto Budi Santosa 2007, 페이지 12.
  13. ^ a b c 건물 안내봉.
  14. ^ van der Aa, A.J. (1857). Nederlands Oost-Indië: of, Beschrijving der Nederlandsche bezittingen in Oost-Indië. 4. Oxford University: Schleijer. p. 178. Retrieved July 5, 2013.
  15. ^ a b "KOTAGEDE - Witness of the Rise of Islamic Mataram Kingdom (16th Century)". YogYES. YogYES. Retrieved July 4, 2013.
  16. ^ Revianto Budi Santosa 2007, 페이지 32–9.
  17. ^ a b 하사 키타 아쟁 입구 근처에 있는 잘란 마스지드 베사르에 대한 안내봉.
  18. ^ a b 레비앙토 부디 산토사 2007, 페이지 20.
  19. ^ 자갈란의 랑가르 뒤우르 벽의 안내봉.
  20. ^ Junichiro; Okata, Shuichi; Shima, N. (2008). Vulnerable Cities: Realities, Innovations and Strategies. Springer. p. 245. ISBN 9784431781493. Retrieved July 6, 2013.
  21. ^ Selly Sagita (2008). Filigri Indonesia: Perhiasan Kontemporer Dengan Teknik Tradisional. Jakarta: Kanisius. pp. 53–55. ISBN 9789792118483. Retrieved July 5, 2013.
  22. ^ Kal, Pienke W. H. (2005). Yogya Silver: Renewal of a Javanese Handicraft. Centraal Boekhuis. p. 10. ISBN 9789068321838. Retrieved July 5, 2013.
  23. ^ Tadié, J; Guillaud, Dominique (ed.); Seysset, M. (ed.); Walter, Annie (ed.) (1998), Kota Gede : le devenir identitaire d'un quartier périphérique historique de Yogyakarta (Indonésie); Le voyage inachevé... à Joël Bonnemaison, ORSTOM, retrieved 20 April 2012CS1 maint: 추가 텍스트: 작성자 목록(링크)
  24. ^ "Sejarah dan Ciri Khas Kerajinan Perak Kotagede". Kotagede Silver (in Indonesian). Kotagede Silver. June 10, 2011. Retrieved July 4, 2013.

인용 작품

  • 묵, H.J 밴, (1958) 조직개편쿠타 게데 '인도네시아 타운/도시사회학 연구', 헤이그: W. 반
  • Revianto Budi Santosa (2007). Kotagede: Life Between Walls. Gramedia Pustaka Utama. ISBN 9789792225471.

외부 링크

좌표: 7°49′41.88″S 110°23′59.29″E / 7.8283000°S 110.3998028°E / -7.8283000; 110.399802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