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논느상글란테

La nonne sanglante
라논느상글란테
샤를 구노드오페라
Gounod - La nonne sanglante - title page of the piano score - Paris 1855.jpg
피아노 악보 제목 페이지, 1855년 파리
리브레티스트외젠 스크라이브
저메인 들라비뉴
언어프랑스어
에 기반을 둔매튜 그레고리 루이스의 고딕 소설 몽크
시사회
1854년 10월 18일 (1854-10-18)
살레 르 벨레티에, 파리 오페라

라논느 상글란테(The Bloody Nune)는 찰스 구노드외젠 스크리브저메인 들라비뉴의 리브레토에 맞추어 작곡한 5막의 오페라다. 1852년에서 1854년 사이에 쓰여진 이 작품은 1854년 10월 18일 파리 오페라(Paris Opéra)에 의해 살레 르 벨레티에(Salle Le Pelletier)에서 처음 제작되었다. 1854년 10월부터 11월까지 11회의 공연을 받았다. 여러 위기 속에서 그것의 부실한 수신은 적수 프랑수아 크로스니에로 교체된 오페라 감독 네스토르 로케플란의 타도에 기여했다. 크로스니어는 곧바로 '그런 오물'(파레유 오르두레스)이 더 이상 용납되지 않을 것이라며 주행을 취소했다.[1]

실적이력

비록 첫 번째 공연은 잘 팔렸지만, 구노드의 오페라는 아주 오랫동안 완전히 사라졌다. 불행한 시작 이후, 다른 오페라 매니저는 위험을 무릅쓰지 않았다. 1년 후, 영국의 작곡가 에드워드 제임스 로더는 그의 주제인 레이몬드와 아그네스를 발표했다. 이 오페라는 맨체스터에서 처음 상영되었고 1859년에 런던으로 옮겨졌다.[2] 로더의 버전도 그다지 성공적이지 못했다. 1866년 케임브리지에서 단 한 번 부활했다.[3]

2008년, 극장 오스나브뤼크와 음악 감독 헤르만 보메르가 독일 무대에서 처음으로 라논 상글란테를 선보였다.[4] 2018년 6월 2일, 이 오페라는 오페라 코미크에서 마이클 스피어스를 로돌페로, 조디 데보스는 아서 역을, 장 테이트겐은 피에르 역을, 마리온 르베그는 수녀 역을, 로렌스 에퀼비가 지휘하고 데이비드 보베가 연출한, 보기 드문 파리 부흥기를 가졌다.[5]

역할

역할 음성 유형 1854년 10월 18일 초연 캐스트
(전도체: 나르시세 지라드)
레 콤테 루도프 저음의 장바티스트 멀리
르 남작 몰도우 저음의 자크알프레드 기그노
피에르 레르미트 저음의 장 드파시오
루도프의 아들 로돌프 테너 루이 게이마르
몰도우의 딸 아그네스 소프라노 앤 푸인소트
라논느상글란테 메조오싱 팔미레 베르테임베르
로돌프의 하인 아서 소프라노 마리두시
신하들, 군인들, 웨딩 게스트들, 농부들, 기사들, 유령들

시놉시스

장소: 보헤미아
시간: 11세기

프롤로그

아그네스는 비록 두 집안이 끊임없이 서로 전쟁을 벌이고 있지만 로돌페를 사랑하고 있다. 몰도우의 성에는 수녀의 피비린내 나는 모습이 유령이 난다고 한다.

1막

은둔자인 피에르는 집안의 신하들 사이에서 말다툼을 벌여 그들을 자신의 십자군에 가담하도록 부추긴다. 그는 아그네스가 가족 간의 관계를 공고히 하기 위해 로도플레의 동생 테오발트와 결혼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연인들은 도망치려면 아그네스가 노네상랑테의 유령으로 위장하고 자정에 그와 함께 도망쳐야 한다는 데 동의한다.

2장.

아서는 nonne saglante의 전설에 대해 노래한다. 로돌페의 랑데부에서는 수녀의 유령을 아그네스라고 믿고 걸어간다. 로돌페의 조상들의 귀신은 마법처럼 복원된 가족 성에서 로돌페와 수녀의 결혼을 목격하게 된다.

3막

테오발드는 전투에서 전사했기 때문에 로돌프는 이론상으로는 아그네스와의 결혼이 자유롭다. 그러나 로돌프는 아서에게 자신의 맹세를 연상시키는 수녀에게 밤마다 귀신이 들린다는 사실을 밝힌다. 그녀는 결국 자신을 살해한 (식별되지 않은) 남자를 죽여야만 로돌프가 풀려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낸다.

4막

로도페와 아그네스의 결혼 잔치에서 수녀의 귀신은 자정에 나타나 로돌페에게 그의 아버지 루도프가 그녀의 살인자임을 알려준다. 로돌페는 공포에 질려 의식을 버리고, 가족에 대한 고대 상호 증오를 재점화한다.

5막

루도프는 자신의 범죄에 대한 죄책감에 사로잡혀 있으며 마지막으로 로돌프를 만날 수 있다면 처벌을 받아들일 것이다. 그는 로돌프를 납치하려는 몰도우의 가신들을 엿듣는다. 그리고 나서 로돌프는 아그네스와 함께 나타나 그녀에게 유령의 이야기를 고백한다. 아들을 구하기 위해 루도프는 몰도프의 부하들에게 자신의 아들로 자신을 내세우고, 그들에 의해 살해당하며, 살해된 수녀의 무덤에서 아들의 품에 안겨 죽는다. 이런 폭로 행위는 루도프를 위해 기도하며 하늘에 오른 귀신이 분명히 받아들일 수 있다.

주: 이 이야기는 드립에 의해 매튜 루이스의 고딕 소설 <몽크>의 에피소드에서 매우 느슨하게 각색되었다. 리브레토는 원래 "주세페 베르디, 헥토르 베를리오즈 등 다른 8명의 작곡가가 이를 버리기 전에 몇 개의 파편을 작곡했다"[6]고 한다.[7]

녹음

  • 헤르만 보메르, 지휘자, 오스나브루크 교향악단, 오스나브루크 교향악단, 백윤기(로돌프), 에바 슈나이데리트(라논 상글란테), 나탈리아 아트만추크(아그네스) 등. CPO777 388-2
  • Laurence Equilbey, Conductor, Insula Orchestra, Choeur Accentus, Michael Spyres (Rodolphe), Marion Lebeque (La nonne sanglante), Vannina Santoni, (Agnès), Jérôme Boutillier (Le Comte), Jodi Devos (Arthur), Jean Teitgen (Pierre L'Ermite), Luc Bertin-Hugault (Le baron), Enquerrand De Hys (Fritz), stage Director David Bobée. DVD 또는 블루레이 Naxos 2019.

참조

  1. ^ Andrew Gann, 'Theophile Gautier, Charles Gounod, and La Nonne Sanglante 대학살' 음악학 연구 저널 13, 1-2호(1993), 49-66호. Anne Williams 기사 Le La Nonne Sanglante를 참조하십시오. Stephen Huebner, The Opera of Charles Gunod (Clarendon Press, Oxford 1990)
  2. ^ 빅토리아 잉글리시 오페라: 레이먼드와 아그네스, 2018년 5월 20일 회수
  3. ^ 빅토리아 잉글리시 오페라: 레이먼드와 아그네스, 케임브리지 1966년 공연과 악보판, 2018년 5월 20일 회수
  4. ^ 우베 슈바이커트: Tanz der Vampire, Opernwelt, 2008년 3월, 페이지 50, 2018년 5월 20일 회수
  5. ^ 코클란, 알렉산드라 파리에서 보고하다. 오페라, 제69권 제9호, 2018년 9월 1085-87쪽.
  6. ^ 크로스, 루시. 구노드의 로미오와 줄리엣. 바이에른 라디오와 BMG 클래식, 1996.
  7. ^ http://www.hberlioz.com/Libretti/Nonne.htm을 참조하십시오.